사할린 전투 (190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할린 전투 (1905년)는 러일 전쟁의 일환으로, 일본이 강화 회담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 사할린 섬을 점령하기 위해 벌인 군사 작전이다. 일본은 1905년 7월 7일 사할린 남부에 상륙하여 코르사코프와 블라디미로프카를 점령하고, 7월 24일에는 북사할린 알렉산드롭스크를 점령했다. 이 전투의 결과로 일본은 사할린 섬 남부를 점령하고, 포츠머스 조약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했다. 포츠머스 조약으로 사할린 섬은 북위 50도선을 기준으로 분할되어 남부는 일본에 할양되었고, 이후 일본은 1945년 패망하며 사할린 섬 전체가 소련에 편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5년 7월 - 가쓰라-태프트 밀약
1905년 가쓰라 다로와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의 비밀 회담에서 일본의 필리핀 비침략, 미·일·영 협력, 일본의 대한제국 보호권 행사에 대한 미국의 묵인이 논의되었으며, 이는 한국의 식민 지배에 대한 미국의 책임 논쟁과 한국 주권 침해에 영향을 미쳤다. - 일본의 침략전쟁 - 을미 전쟁
을미사변은 청일 전쟁 후 일본이 대만을 점령하는 과정에서 탕징쑨이 대만 민주국을 수립하여 저항했으나 실패하고 일본이 대만을 식민지로 만들었으며, 일본군은 질병과 게릴라전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 일본의 침략전쟁 - 일본의 만주 침공
일본의 만주 침공은 1931년 9월 18일 류탸오후 사건을 계기로 일본군이 만주 지역을 무력으로 점령한 사건으로, 만주국 수립과 국제 연맹 탈퇴 등 국제 질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일본 내부적으로 군부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 1905년 전투 - 쓰시마 해전
쓰시마 해전은 1905년 러일 전쟁 중 쓰시마 해협에서 일본 연합 함대가 러시아 발트 함대를 압도적으로 격파하여 러시아 해군의 몰락과 일본의 위상 상승을 가져왔고, 해전사에도 큰 영향을 미친 결정적인 사건이다. - 1905년 전투 - 여순항 포위전
여순항 포위전은 1904년 러일 전쟁 중 일본군이 러시아의 여순항을 점령하기 위해 벌인 전투로, 치열한 전투 끝에 일본이 승리하였으나 막대한 사상자를 냈으며, 대한제국의 국권 침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사할린 전투 (1905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분쟁 | 러일 전쟁 |
날짜 | 1905년 7월 7일 - 7월 31일 |
장소 | 사할린섬 |
결과 | 일본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일본 제국 |
교전국 2 | 러시아 제국 |
지휘관 및 지도자 | |
일본 제국 | 하라구치 가네자네 가타오카 시치로 |
러시아 제국 |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르야푸노프 |
병력 규모 | |
일본 제국 | 약 14,000명 (2개 여단) |
러시아 제국 | 7,280명 (보병 1개 대대, 포병 1~2개 중대) |
사상자 및 피해 | |
일본 제국 | 경미한 피해 |
러시아 제국 | 181명 전사, 3,270명 포로 |
이미지 | |
![]() | |
관련 전투 정보 | |
관련 캠페인 | 러일 전쟁 전투 목록 |
일본어 명칭 | 樺太作戦 (가라후토 작센) |
러시아어 명칭 | Японское вторжение на Сахалин (야폰스코예 프토르제니예 나 사할린) |
2. 배경
러일 전쟁 발발 이전부터 일본 육군 참모본부의 나가오카 가이시 장군은 사할린 점령을 주장했다. 그러나 1904년 9월 8일 나가오카가 입안한 사할린 공략 방안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905년 3월 22일 대본영에서 사할린 원정 준비 회의가 열렸을 때도 해군 등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했다.[9]
쓰시마 해전 이후, 일본군은 2개 여단으로 편성된 사할린 원정군을 연합함대 소속 제3함대와 제4함대의 호위를 받으며 7월 7일 사할린 남부 아니바 만 연안에 상륙시켰다. 당시 남사할린의 러시아군은 병력이 적어 유격전으로 전환했고, 5개의 빨치산 부대가 편성되었다. 일본군은 우세한 전력을 바탕으로 남사할린의 주요 거점들을 빠르게 점령해 나갔다.
전쟁을 계속 수행할 국력이 부족했던 일본은 러시아와의 강화를 모색했다. 1905년 5월 27일 쓰시마 해전 승리 후, 5월 31일 외무대신 고무라 주타로는 주미 공사 다카히라 고고로에게 시어도어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에게 강화 중재를 요청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6월 1일 다카히라는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이 내용을 전달했다. 6월 6일 미국은 "러일 양국뿐만 아니라 문명 세계 전체의 이익을 위해 강화 회의가 시작되기를 희망한다"는 내용의 루스벨트 공문을 양국에 전달했다.[9] 6월 7일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는 루스벨트의 정전 권고를 수용하겠다고 답했다. 러시아는 일본군의 사할린 점령 이전에 강화를 희망했다.[10]
일본 수뇌부는 사할린 점령에 소극적이었으나, 나가오카 가이시 참모차장은 만주군 총참모장 고다마 겐타로 육군대장에게 협력을 요청했다. 1905년 6월 14일 고다마는 강화 담판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 사할린 점령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전보를 보냈다. 6월 15일 사할린 작전이 정부와 통수부의 협의로 결정되었고, 6월 17일 메이지 천황의 재가를 받아 신설된 독립 제13사단에 출동 명령이 내려졌다.
한편, 사할린 현지에서는 사할린섬 어업조합의 다카이 요시키 등이 코르사코프의 케루바 장관과 육군 주둔군 요시프 아르치셰프스키 대령을 방문하여 사할린에 거주하는 일본인의 안전과 보호를 약속받았다. 케루바 장관은 다카이에게 특별 우대 허가증을 발급해 주는 등 편의를 제공했고, 일본인들이 떠날 때에는 개인적으로 식량을 준비하여 눈물을 흘리며 이별을 아쉬워했다. 이처럼 사할린에서 러일 양국 주민의 관계는 양호했지만, 일본 정부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군사 작전을 강행했다.[11]
3. 전개 과정
이후 일본군은 7월 24일 북사할린 알렉산드로프스크사할린스키(일본명 : 라쿠세키 옷치시) 부근에 상륙했다. 북사할린에는 5,000명이 넘는 러시아군이 있었지만, 큰 저항 없이 알렉산드로프스크사할린스키를 점령했다. 7월 29일 메이지 천황은 사할린 점령의 공을 치하하는 칙서를 내렸고,[12] 7월 31일 러시아군 장관 랴프노프 중장은 항복했다.[2]
3. 1. 일본군의 남사할린 침공 (1905년 7월 7일 ~ 7월 16일)
일본 제국 육군 제13사단은 연합함대의 제3함대, 제4함대의 호위를 받으며 7월 7일 사할린 남부 아니바 만에 상륙했다. 당시 남사할린의 러시아군은 병력이 1,200명 정도로 적었기 때문에, 5개의 빨치산 부대를 편성하여 유격전으로 전환했다.
일본군은 우세한 전력을 바탕으로 7월 8일 코르사코프(일본명 오토마리 군)를 점령하고, 7월 10일에는 블라디미로프카(현 유즈노사할린스크, 일본명 도요하라 시)를 점령했다. 7월 12일에는 블라디미로프카 서쪽 다리네에 촌(일본명 도요하라 시 니시쿠보) 부근 숲에서 러시아군 주력을 격파하고 200명의 포로를 얻었다. 이 전투에서 일본군은 19명이 전사하고 58명이 부상당했다.
7월 16일 코르사코프 방면 사령관 아르치셰프스키 대령이 항복했다.[1] 그러나 러시아 빨치산 부대는 그 후에도 1개월 이상 저항을 계속했다.
3. 2. 일본군의 북사할린 점령 (1905년 7월 24일 ~ 7월 31일)
7월 24일, 일본군은 북사할린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일본명 : 라쿠세키 옷치시) 부근에 상륙했다. 북사할린에는 랴프노프 중장 휘하의 5,000명이 넘는 러시아군이 있었으나, 이들은 약간의 저항 후 섬 깊은 곳으로 퇴각했다. 일본군은 당일 저녁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를 점령했다.[12] 7월 29일에는 메이지 천황으로부터 가타오카 시치로 파견 함대 사령관에게 사할린 상륙을 완수하고 점령의 기초를 다진 것을 칭찬하는 칙서가 내려졌다.[12] 7월 31일, 랴푸노프 중장은 항복 권고를 받고 항복했다.[2]
4. 결과
일본은 사할린 점령에 성공하여 8월 10일부터 시작된 포츠머스 강화 회담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했다. 1905년 9월 5일 포츠머스 조약의 결과, 사할린 남부(북위 50도 이남)는 일본에 할양되었고, 일본은 이곳에 가라후토 청을 설치했다. 사할린 북부(북위 50도 이북)는 러시아에 반환되었다.[9][10][11]
러시아군의 저항이 미미했던 이유는 주로 훈련을 거의 받지 못했거나 전혀 받지 못한 죄수들과 추방자들로 구성된 병사들의 낮은 사기에 있었다. 일본군 전사자는 18명, 부상자는 58명이었다. 러시아군은 181명이 전사하고, 3,270명이 포로로 잡혔다.
5. 이후
1905년 8월 10일부터 시작된 러일 강화 회의(포츠머스 조약)의 결과, 사할린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북위 50도선 이남은 일본령이 되었지만, 이북은 러시아에 반환되었다. 러시아 제국 붕괴 후 시베리아 출병에 간섭한 일본제국군이 1925년까지 사할린 전역을 지배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이 패망하였고, 이 과정에서 소련군이 기습적으로 가라후토를 함락하여 사할린섬 전체가 다시 소련의 영토가 되었다. 전쟁 이전 북사할린은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의 하바롭스크 지방에 속해 있었으나, 소련이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남사할린과 쿠릴 열도를 모두 차지하였다. 1947년, 소련은 북사할린, 남사할린, 쿠릴 열도를 통합하여 사할린주를 설치했다.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으로 일본은 남사할린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하였고, 현재까지 러시아 연방의 영토이다.
참조
[1]
서적
알 수 없는 제목의 서적
[2]
웹사이트
明治38年(1905年)7月7日樺太作戦
https://www.jacar.go[...]
[3]
서적
Русско-Японская война 1904-1905 гг.
http://runivers.ru/l[...]
Тип. Тренке и Фюсно
[4]
서적
Русско-японская война 1904–1905 гг.
http://militera.lib.[...]
[5]
서적
日露戦争
中央公論社
[6]
서적
小村外交史 上
新聞月鑑社
[7]
서적
樺太アイヌの足跡
第一書房
[8]
웹사이트
明治三十八年七月廿九日片岡北遣艦隊司令長官ニ賜リタル勅語
http://www.jacar.go.[...]
[9]
서적
러일전쟁
中央公論社
[10]
서적
小村外交史 上
新聞月鑑社
[11]
서적
樺太アイヌの足跡
第一書房
[12]
웹사이트
메이지 38년 7월 廿九日片岡 北遣艦隊 司令長官ニ賜リタル勅語
http://www.jacar.go.[...]
2016-03-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