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위 50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위 50도는 지구의 북쪽 50도에 위치한 위선으로,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의 여러 지역을 통과한다. 이 선은 영국 해협, 프랑스, 벨기에, 룩셈부르크, 독일, 체코, 폴란드, 우크라이나, 러시아, 카자흐스탄, 몽골, 중국, 캐나다, 그리고 사할린 섬을 지나며, 태평양, 오호츠크해, 타타르 해협, 대서양, 세인트로렌스 만 등 해역을 통과한다. 1905년 러일 전쟁 이후 사할린 섬의 북위 50도 이남은 일본이 영유하였으며, 1905년부터 1945년까지는 가라후토 청과 소련 사할린 주의 경계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사할린 섬 전체가 소련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할린섬 - 사할린 한인
    사할린 한인은 일제강점기 강제징용으로 사할린에 거주하게 된 한국인들로, 1945년 소련 점령 후 귀환이 어려워져 힘든 삶을 이어왔으며, 한-소 수교 후 일부 귀환했으나 여전히 상당수가 사할린에 거주하며 독특한 문화와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고 국적 문제, 차별, 소외 등 어려움을 겪으며 국제 사회의 과제로 남아 있다.
  • 사할린섬 - 윌타인
    윌타는 퉁구스어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러시아 사할린주에 주로 거주하며 오로크어를 사용하고 순록 유목, 수렵, 어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소수 민족이다.
  • 러시아-일본 관계 - 포츠머스 조약
    포츠머스 조약은 1905년 러일 전쟁을 종결하기 위해 체결된 조약으로, 러시아의 영토적 양보와 일본의 조선에 대한 우월권 인정, 배상금 면제 등을 포함하며 동아시아 국제 질서 재편에 기여했으나 한국에서는 국권 침해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러시아-일본 관계 - 쿠릴 열도 분쟁
    쿠릴 열도 분쟁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는 쿠릴 열도에 대해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며 발생하는 영토 분쟁으로, 1855년 러일 화친 조약 이후 역사적 사건들과 국제법 해석 차이, 제3국의 입장 등이 얽혀 2000년대 이후에도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 위선 - 남회귀선
    남회귀선은 태양 남중고도가 90°가 되는 남위 23° 26′ 11.7″의 위도로, 동짓날 태양이 머리 위에 나타나는 지점이며, 대서양, 아프리카, 인도양, 오스트랄라시아, 태평양, 남아메리카를 통과하고 남아프리카는 안정적인 계절 강우, 오스트레일리아는 변동성이 큰 강우량, 남아메리카의 아타카마 사막은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 중 하나이다.
  • 위선 - 위도
    위도는 지구 표면의 남북 위치를 각도로 나타내며, 지구를 회전 타원체로 가정했을 때 법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하여 적도를 0°로 북극과 남극까지 나타내고, 기후와 지리적 특징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북위 50도
개요
위치지구의 위도 50도 북반구
지리
통과 지역유럽: 영국, 프랑스, 벨기에, 룩셈부르크, 독일, 체코, 폴란드, 우크라이나, 러시아
아시아: 카자흐스탄, 러시아, 몽골, 중국
북아메리카: 캐나다
설명이 위도는 유럽의 여러 나라와 아시아, 북아메리카를 가로지른다.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 동쪽으로 가면 유럽 대륙을 지나 아시아로 이어지고, 서쪽으로 가면 캐나다를 지난다.
특히 프랑스 파리를 지난다.
유럽에서는 런던, 브뤼셀, 프라하, 크라쿠프, 키예프 등의 도시가 이 위도 근처에 위치한다.
특징
하지낮 시간 약 16시간 22분
동지낮 시간 약 8시간 0분
활용
경계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앨버타주의 경계 일부
캐나다 매니토바주와 노스웨스트 준주의 경계

2. 지리

본초 자오선에서 동쪽으로 북위 50°선이 통과하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

지리 좌표국가, 영토, 해역비고
style="background:#b0e0e6;" |영국 해협style="background:#b0e0e6;" |
France|프랑스프랑스어노르망디 (약 20km), 피카르디 (아미앵 바로 북쪽), 노르파드칼레 (약 13km)
België|벨기에nl왈롱
France|프랑스프랑스어샹파뉴아르덴 (약 10km)
België|벨기에nl왈롱
Lëtzebuerg|룩셈부르크lb디키르히 구
Deutschland|독일de라인란트팔츠 주, 헤센 주, 라인란트팔츠 주 (마인츠 구텐베르크 광장 통과), 헤센 주 (프랑크푸르트 바로 남쪽,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 활주로, DCF77 시각 신호 송신기 바로 남쪽 통과), 바이에른 주 (바이로이트 바로 북쪽 통과)
Česko|체코cs프라하 남부 통과
Polska|폴란드pl약 11km
Česko|체코cs약 10km
Polska|폴란드pl크라쿠프 남부 (동경 20도), 타르누프 남부 (동경 21도), 제슈프 남부 (동경 22도) 통과
Україна|우크라이나uk리비우 주 (리비우 바로 북쪽), 테르노필 주 (포차이우 통과), 흐멜니츠키 주, 지토미르 주 (안드루시우카 통과), 키이우 주, 체르카시 주, 폴타바 주 (루브니 통과), 하르키우 주 (하르키우 시내 통과)
Россия|러시아ru벨고로드 주 (약 18km)
Україна|우크라이나uk루한스크 주 (약 12km)
Россия|러시아ru벨고로드 주, 보로네시 주 (보구차르 바로 북쪽 통과), 로스토프 주, 볼고그라드 주 (카미신 바로 남쪽 통과)
Қазақстан|카자흐스탄kk서카자흐스탄 주 (약 63km)
Россия|러시아ru사라토프 주 (약 55km)
Қазақстан|카자흐스탄kk서카자흐스탄 주 (차파예프, 짐피티 바로 남쪽, 카라토베 바로 북쪽 통과), 악퇴베 주 (알가, 카라부타크 바로 북쪽 통과), 코스타나이 주 (아르칼릭 바로 남쪽 통과), 카라간다 주 (테미르타우 바로 남쪽, 카라간다 바로 북쪽 통과), 동카자흐스탄 주 (오스케멘 북부 외곽 통과)
Россия|러시아ru알타이 공화국, 투바 공화국
Монгол|몽골mn우브스 호 남단 통과
Россия|러시아ru투바 공화국
Монгол|몽골mn약 11km
Россия|러시아ru투바 공화국 (약 7km)
Монгол|몽골mn약 11km
Россия|러시아ru투바 공화국
Монгол|몽골mn
Россия|러시아ru부랴티야 공화국 (약 5km)
Монгол|몽골mn약 3km
Россия|러시아ru부랴티야 공화국, 자바이칼 지방
Монгол|몽골mn
Россия|러시아ru자바이칼 지방
Монгол|몽골mn
Россия|러시아ru자바이칼 지방
China|중국중국어내몽골 자치구, 헤이룽장성
Россия|러시아ru아무르 주, 하바롭스크 지방
style="background:#b0e0e6;" |타타르 해협style="background:#b0e0e6;" |
Россия|러시아ru사할린 주 (사할린 섬)
style="background:#b0e0e6;" |오호츠크 해style="background:#b0e0e6;" |
Россия|러시아ru사할린 주 (파라무시르 섬)
style="background:#b0e0e6;" |태평양style="background:#b0e0e6;" |
Canada|캐나다영어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밴쿠버 섬 (캠벨 리버 통과) 및 본토, 켈로나 바로 북쪽에 있는 오카나간 계곡 통과), 앨버타 주 (메디신 해트 통과), 서스캐처원 주 (스위프트 커런트, 무스 조, 수도인 레자이나에서 몇 km 남쪽 통과), 매니토바 주 (위니펙 바로 북쪽 통과), 온타리오 주 (니피곤 호 통과), 퀘벡 주 (포르-카르티에 통과)
style="background:#b0e0e6;" |세인트로렌스 만퀘벡 주 앤티코스티 섬 바로 북쪽 통과
Canada|캐나다영어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 (뉴펀들랜드 섬)
style="background:#b0e0e6;" |화이트 만style="background:#b0e0e6;" |
Canada|캐나다영어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 (뉴펀들랜드 섬)
style="background:#b0e0e6;" |대서양혼란 만
Canada|캐나다영어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 (뉴펀들랜드 섬)
style="background:#b0e0e6;" |대서양실리 제도 바로 북쪽 통과
United Kingdom|영국영어잉글랜드 (리자드 반도, 콘월 (약 7km))
style="background:#b0e0e6;" |영국 해협style="background:#b0e0e6;" |


2. 1. 유럽

본초 자오선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면, 북위 50도선은 영국 해협을 지나 여러 유럽 국가들을 통과한다.
독일 라인-마인 지역 공원에 있는 조각상으로, 북위 50도에 위치한 마인츠와 전 세계 다른 도시들을 보여준다(거리는 축척에 맞지 않음)


독일 마인츠 시내에 있는 위도 50도 지점

thumb, 하르키우에 있는 북위 50도를 표시하는 표지판]]

2. 2. 아시아

북위 50°선은 본초 자오선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다음과 같은 아시아 지역을 통과한다.

지리 좌표국가/영토비고
style="background:#b0e0e6;" |scope="row" style="background:#b0e0e6;" |
러시아벨고로드주(약 18km)
우크라이나루한스크주(약 12km)
러시아벨고로드주, 보로네시주, 로스토프주, 볼고그라드주
카자흐스탄서카자흐스탄주
러시아사라토프주
카자흐스탄서카자흐스탄주, 악토베주, 코스타나이주, 카라간다주(카라간다 북쪽 통과), 동카자흐스탄주(오스케멘 북쪽 통과)
러시아알타이 공화국, 투바 공화국
몽골우브스호 남쪽 통과
러시아투바 공화국
몽골약 11km
러시아투바 공화국(약 7km)
몽골약 11km
러시아투바 공화국
몽골
러시아부랴트 공화국(약 5km)
몽골약 3km
러시아부랴트 공화국, 자바이칼 지방
몽골
러시아자바이칼 지방
몽골
러시아자바이칼 지방
중화인민공화국내몽골 자치구, 헤이룽장성
러시아아무르주, 하바롭스크 지방
style="background:#b0e0e6;" |타타르 해협style="background:#b0e0e6;" |
러시아사할린주(사할린섬)
style="background:#b0e0e6;" |오호츠크해style="background:#b0e0e6;" |
러시아파라무시르섬(사할린주)



1905년 포츠머스 조약으로 러일 전쟁이 끝나면서, 북위 50°선은 일본 가라후토청소련 사할린주 사이의 국경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가라후토청(사할린) 전체를 소련(소련 붕괴 후 러시아)이 실효 지배하고 있다.

2. 2. 1. 사할린섬 (가라후토청)

러일 전쟁이 끝난 1905년, 포츠머스 조약에 따라 사할린섬의 북위 50도 이남은 일본이 영유하게 되었다.[4] 1906년부터 1908년까지 천문 측량을 거쳐 러시아와 일본의 국경 획정 작업이 진행되었다. 동쪽의 오호츠크해부터 서쪽의 타타르 해협(일본명 마미야 해협)까지 130km에 걸쳐 4개소에 천문 관측 경계 표식, 17개소에 평균 6km 간격으로 중간 표석, 19개소에 걸쳐 나무 표식이 세워졌다.

표석은 높이 64cm, 앞면 너비 30~50cm, 옆면 너비 18~30cm 정도였다. 표석 한쪽에는 국화 문양과 함께 "대일본제국"(大日本帝国|대일본제국일본어), "경계"(境界|경계일본어)라는 한자가, 반대쪽에는 러시아 제국의 머리 둘 달린 독수리 문장과 키릴 문자로 "러시아"(РОССИЯ|로시야ru), "1906", "경계"(ГРАНИЦА|그라니차ru)라고 새겨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사할린섬 전체는 소련 (현재 러시아)이 실효 지배하고있다.[4]

2. 3. 북아메리카

북위 50도는 캐나다를 관통하며, 주요 경로는 다음과 같다.

상세 경로
브리티시컬럼비아주밴쿠버 섬(캠벨 리버 통과) 및 본토, 켈로나 바로 북쪽에 있는 오카나간 계곡 통과
앨버타주메디신 해트 통과
서스캐처원주스위프트 커런트, 무스 조, 수도인 레자이나에서 몇 km 남쪽 통과
매니토바주위니펙 바로 북쪽 통과
온타리오주니피곤 호 통과
퀘벡주포르-카르티에 통과



또한, 북위 50도선은 세인트로렌스 만을 지나 퀘벡주 앤티코스티 섬 바로 북쪽을 통과하며,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의 뉴펀들랜드 섬을 지난다.[1]

2. 4. 해양

북위 50도는 본초 자오선에서 동쪽으로 영국 해협을 통과한다. 유라시아 대륙을 지나 타타르 해협, 오호츠크해를 지나며, 러시아 사할린주의 섬들을 거쳐 태평양을 횡단한다. 북아메리카 대륙 통과 후에는 세인트로렌스 만, 캐나다의 섬, 화이트 만을 지나 대서양에 이른다.

해역비고
영국 해협본초 자오선 통과
타타르 해협
오호츠크해
태평양
세인트로렌스 만캐나다 퀘벡주 앤티코스티 섬 북쪽 통과
화이트 만
대서양캐나다 혼란만, 영국 실리 제도 북쪽 통과


3. 역사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 체결부터 1904년 러일 전쟁 발발 전까지, 러시아 제국사할린섬 전체를 지배했다.[4] 러일 전쟁이 끝난 1905년 포츠머스 조약에 따라 사할린섬의 북위 50도 이남은 일본이 영유하게 되었다.[4]

북위 50도 선


북위 50도 국경을 지키는 일본 경찰


1906년부터 1908년까지 천문 측량을 거쳐 러시아와 일본의 국경 획정 작업이 진행되었다. 동쪽의 오호츠크해부터 서쪽의 타타르 해협(일본명 마미야 해협)까지 130km에 걸쳐 4개소에 천문 관측 경계 표식, 17개소에 평균 6km 간격으로 중간 표석, 19개소에 걸쳐 나무 표식이 세워졌다. 표석의 크기는 높이 64cm, 앞면 너비 30~50cm, 옆면 너비 18~30cm 정도였다. 표석의 한쪽에는 국화 문양과 함께 "대일본제국"(大日本帝国|대일본제국일본어), "경계"(境界|경계일본어)라는 한자가, 반대쪽에는 러시아 제국의 머리 둘 달린 독수리 문장과 키릴 문자로 "러시아"(РОССИЯ|러시아ru), "1906", "경계"(ГРАНИЦА|경계ru)라고 새겨졌다.

1905년부터 1945년까지, 북위 50도선은 대일본제국 가라후토청과 소비에트 연방 사할린주 사이의 국경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사할린섬 전체는 소련의 관할이 되었다.[4] 1945년 여름, 한 달간의 소련-일본 전쟁 이후, 섬 전체가 소련의 통제 하에 재통합되었다.[4] 현재는 가라후토 (사할린) 전토를 러시아실효 지배하고 있다.

4. 기타



thumb 하르키우에 있는 북위 50도를 표시하는 표지판.]]

북위 50도선에는 다음과 같은 기념물 및 표지판이 있다.


  • 독일 마인츠: 북위 50도 선을 나타내는 조각상과 표지판.
  • 우크라이나 하르키우: 북위 50도 선을 표시하는 표지판.
  •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캠벨 리버: 올드 아일랜드 하이웨이 옆 50도 병렬 표지판.

참조

[1] 웹사이트 Duration of Daylight/Darkness Table for One Year http://aa.usno.navy.[...] 2019-09-24
[2] 웹사이트 Earth-Sun geometry - The Encyclopedia of Earth http://www.eoearth.o[...]
[3] 웹사이트 Zonal Mean Sea Surface Temperatures (5 deg Latitude Bands) Average of Jan 1982 to Dec 2011 https://pielkeclimat[...] 2022-07-07
[4] 웹사이트 Sakhalin: the Japanese Under Soviet Rule http://www.historyto[...] History Today 2014-05-10
[5] 웹사이트 Duration of Daylight/Darkness Table for One Year http://aa.usno.navy.[...] 2013-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