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략』은 상략, 중략, 하략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 고대 중국의 병법서로, 통치 철학, 군사 이론, 조직 통제술 등을 다룬다. 유교, 법가, 도교 사상을 융합하여 통치 전략을 제시하며, 지휘력, 신속함, 권위, 유연한 전술 등을 강조한다. 저자는 일반적으로 강태공으로 알려져 있으나, 저작 시기와 저자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군사서적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무경칠서에 포함되었으며, '유능제강'과 같은 명언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경칠서 - 손자병법
    《손자병법》은 손무가 저술한 고대 중국의 군사 전략서로, 저자와 시기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죽간손자병법 발견으로 손무 저술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으며, 13편으로 구성되어 전쟁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고, 현대에도 전략적 원리를 제시하며 동서양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무경칠서 - 사마법
    사마법은 중국 전국시대 제나라의 군사 사상을 담은 병법서로, 정의로운 전쟁을 옹호하고 군사와 문민의 역할 구분을 강조하며 후대 병법과 군사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한나라의 문학 - 논형
    《논형》은 후한 시대 왕충이 사회 현상과 통념을 비판적으로 논하며 저울질하는 의미를 담아 쓴 30권 85편의 철학 서적으로, 19세기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번역되었다.
  • 한나라의 문학 - 태평경
    태평경은 혼란한 시대를 극복하고 태평성대를 구현하기 위한 도교 경전으로, 우주 균형 회복, 개인 수양, 천사의 역할을 강조하며, 한나라 시대에 다양한 판본이 존재했으나 현재는 일부 내용만 전해진다.
  • 명수 3 - 삼국지연의
    《삼국지연의》는 나관중이 유비를 중심으로 184년부터 280년까지의 삼국 시대를 배경으로 저술한 중국 4대 기서 중 하나인 역사 소설로, 격동적인 시대의 사건과 인물들의 활약상을 다루며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미디어로 각색되어 왔다.
  • 명수 3 - 삼국지
    진수가 쓴 《삼국지》는 위, 촉, 오 삼국의 역사를 기록한 기전체 역사서로, 위지, 촉지, 오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대에 《삼국지연의》에 영향을 주고 동아시아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쓰인다.
삼략
개요
제목황석공 삼략
원어 제목黃石公三略
한어 병음Huáng Shígōng Sān Lüè
광둥어 병음wong4 sek6 gung1 saam1 loek6
분류
분야중국 군사 서적
포함무경칠서
관련 정보
저자황석공 (추정)
번역가랄프 D. 소여
메이 메이-춘 소여
출판사웨스트뷰 프레스
출판년도1993년
ISBN0-8133-1228-0

2. 내용

『황석공 삼략』은 상략(上略), 중략(中略), 하략(下略)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삼략"이라는 제목도 여기서 유래했다. 각 부분은 중요도에 따라 다른 주제를 다룬다. 태공망이 저술하고, 신선인 황석공이 내용을 가려 뽑았다고 전해지지만, 나라나 나라 시대에는 전차전이 주를 이루었는데, 아직 존재하지 않았을 기마전에 대한 언급이 있거나, 마찬가지로 사용되지 않는 "장군"이라는 단어가 사용되는 점 등으로 미루어 보아, 후세의 인물이 태공망이나 황석공의 이름을 빌려 쓴 위서(僞書)라고도 생각된다.[15]

이러한 유래와는 별개로, 『삼략』은 예로부터 그 가치를 인정받아, 수많은 병서 중에서 엄선되어 신종에 의해 "무경칠서"에 포함되었다. 저자가 같은 태공망이라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육도』와 함께 묶어 언급된다.

일본의 무장호조 소운은 "대저 주장의 법은, 힘써 영웅의 마음을 사로잡고, 유공을 상록하며, 뜻을 뭇 사람에게 통한다"라는 첫 구절만 듣고, 그것으로 충분하다며 학자의 강의를 중단시켰다고 전해진다.[15]

"유능제강(柔能制剛)"이라는 성어의 출처이기도 하다. 또한, "지혜를 쓰고, 용기를 쓰고, 탐욕을 쓰고, 어리석음을 쓴다"라는 명언은 지혜로운 자, 용감한 자뿐만 아니라, 탐욕스러운 자나 어리석은 자도 능숙하게 활용하여, 지도자는 어떠한 사람이라도 활용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16]

『삼략』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구분내용
상략(上略)인재를 초빙하는 필요성과 정치의 요점 등을 기술.
중략(中略)책략의 필요성과 조직의 통제술에 대한 기술.
하략(下略)치국의 요점과 신하를 다루는 방법 등에 대한 기술.



장군이 숙달해야 할 세 가지 사항은 다음과 같다.


  • 강경함과 유연함을 번갈아 가며 사용하며, 상황에 따라 자비롭고 두려움을 주는 존재가 되어야 한다.
  • 실제 상황에 따라 행동하고, 상상, 과거의 기억, 다른 상황에서 얻은 습관에 근거한 대응을 피해야 한다.
  • 유능한 사람만 채용하고, 다른 사람에 대한 정확한 통찰력을 가져야 한다.

2. 1. 철학 및 통치

『삼략』은 유교, 법가, 도교 사상을 융합한 통치 철학을 제시한다. 유교적 관점에서는 를 갖춘 지도자의 중요성, 백성을 위한 인도주의적 통치, 덕치, 현인(賢人) 등용을 강조한다.[5] 법가적 관점에서는 국가 강화, 엄격하고 공정한 법 집행을 통한 상벌 시행, 권력 집중을 주장한다.[5] 도가적 관점에서는 소극적이고 조화로운 사회, 다투지 않고 승리하는 이상, 생명 보존, 도(道)와 덕(德)의 중요성, 전쟁의 악함을 강조한다.[5] 이 책은 세 가지 사상을 모두 활용하여 훌륭한 정부를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한다.[5]

지도자는 다음 세 가지 사항을 숙달해야 한다.

  • 강경함과 유연함을 번갈아 사용하며 상황에 따라 자비롭고 두려움을 주는 존재가 되어야 한다.
  • 실제 상황에 따라 행동하고, 상상력, 과거의 기억, 다른 상황에서 얻은 습관에 근거한 대응을 피해야 한다.
  • 유능한 사람만 채용하고, 다른 사람에 대한 정확한 통찰력을 가져야 한다.

2. 2. 군사 이론

『황석공 삼략』은 군사 전략과 전술을 직접 다루기보다는, 뛰어난 지휘력, 신속함, 권위, 가용 전력의 통합과 균형, 강경 전술과 유연 전술의 관계를 강조한다. 일단 장군이 지휘권을 맡으면 그의 권위는 절대적이어야 한다.[6] 지휘관은 감정적으로 통제되어야 하며 의심이나 우유부단함을 보여서는 안 된다. 조언과 건설적인 비판은 수용해야 하지만, 그의 결정은 의문의 여지가 없어야 한다.[6]

이 책은 손자병법과 마찬가지로 군사 작전에서 속도를 강조하며, 길고 결정적이지 않은 소모전은 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비밀 유지, 단결, 정의는 지휘관의 결정을 특징지어야 한다. 대중의 의심, 내부 분열, 점술 등 군대의 속도를 늦추거나 헌신을 약화시키는 것은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6]

장군은 공개적인 상벌 시스템을 엄격하고, 가혹하고, 체계적으로 사용하여 자신의 위엄을 길러야 한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문이 없을 때에만 지휘관의 위엄과 존엄성이 확립된다. 상벌 시스템이 없으면 지휘관은 부하들의 충성을 잃고, 그의 명령은 무시될 것이다.[7]

저자는 부드럽고 약한 것이 강하고 단단한 것을 이길 수 있다는 도교적 믿음을 군사 전략과 전술로 확장한다. 『삼략』은 군대가 직접적인 행동에 참여하지 않을 때는 낮고 수동적인 자세를 취하여 쉽게 극복당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가르친다. 성공적인 군대는 강경 전술과 유연 전술을 모두 사용하여 예측 불가능성과 유연한 배치를 달성해야 한다.[8]

장군은 다음 세 가지 사항을 숙달해야 한다.

  • 강경함과 유연함을 번갈아 사용해야 한다. 지도자는 상황에 따라 자비롭고 두려운 존재가 되어야 한다.
  • 실제 상황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 과거의 기억이나 습관에 근거한 대응을 피하고, 관찰과 인지에 의존하며 계획을 수정할 의지를 가져야 한다.
  • 유능한 사람만 채용해야 한다. 이는 다른 사람에 대한 정확한 통찰력을 필요로 한다.

3. 구성

『삼략』은 상략, 중략, 하략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 상략(上略): 인재 초빙의 필요성과 정치의 요점을 다룬다.
  • 중략(中略): 책략의 필요성과 조직 통제술을 설명한다.
  • 하략(下略): 나라를 다스리는 요점과 신하를 다루는 방법을 제시한다.

3. 1. 상략(上略)

인재를 초빙하는 필요성과 정치의 요점을 기술한다.

3. 2. 중략(中略)

책략의 필요성과 조직 통제술을 기술한다.

3. 3. 하략(下略)

나라를 다스리는 요점과 신하를 다루는 방법 등을 설명하고 있다.[1]

4. 역사와 저자

『육도』와 마찬가지로, 『삼략』은 일반적으로 "태공"으로 알려진 강태공에게 귀속된다. 그러나 이 책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론이 존재한다.[9]


  • 강태공 본인이 아니라 후대의 추종자들이 이 책을 쓰고 편집했다는 주장이 있다.
  • 장량에게 이 책을 전해준 것으로 알려진 황석공이 직접 이 책을 썼을 수도 있다는 이론도 있다.
  • 보수적인 고전 학자들은 이 책을 위작(僞作)으로 보기도 한다.
  • 전한 말기에 황로학의 은둔한 추종자에 의해 이 책이 쓰여졌다는 견해도 있다.[9]


고고학적 증거가 없기 때문에, 학자들 사이에서는 이 이론들 중 어느 것이 정확한지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태공망이 저술하고, 신선인 황석공이 내용을 추려 뽑았다고 전해지나, 상략, 중략, 하략의 3가지로 구성되어 있어 "삼략"이라고 불린다. 내용에는 은나라나 주나라 시대에는 전차전이 주를 이루었는데, 아직 존재하지 않았을 기마전에 대한 언급이 있거나, 마찬가지로 사용되지 않는 "장군"이라는 단어도 사용되고 있어, 후세의 인물이 태공망이나 황석공에게 이름을 빌려 쓴 위서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억지스럽게 끌어 맞추는 것(억지춘향)의 유래와는 별개로, 옛날부터 가치가 있는 것으로 여겨져 신종에 의해 "무경칠서"에 포함되었다. 저자가 같은 태공망이라는 점에서, 『육도』와 함께 언급된다.

호조 소운은 "대저 주장의 법은, 힘써 영웅의 마음을 사로잡고, 유공을 상록하며, 뜻을 뭇 사람에게 통한다"라는 첫 구절만 듣고, 그것으로 충분하다며 학자의 강의를 중단시켰다고 전해진다[15]

"유능제강"이라는 성구는 이 책에서 유래했다. 또한, "지혜를 쓰고, 용기를 쓰고, 탐욕을 쓰고, 어리석음을 쓴다"(지혜로운 자, 용감한 자는 물론, 탐욕스러운 자나 어리석은 자도 능숙하게 활용한다. 지도자는 어떠한 자라도 활용한다)는 명언도 있다.[16]

4. 1. 전통적 관점

『삼략』은 초기 전한의 장군 장량과의 역사적 관계를 통해 중국 군사 저술의 정경에 자리 잡았다. 사기에 따르면, 장량은 진시황 암살 시도(기원전 218년) 실패 후 도망자로 살아가던 중, 다리를 건너다 그를 알아본 평범한 노인을 만났다. 노인은 여러 번 그의 덕성을 시험한 후, 마침내 그에게 『삼략』을 건네주고, 굽힐 곡산 아래에 있는 황색 돌을 자신과 동일시했다(이로써 이 책은 "황석공" 즉 "황색 돌의 공작"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장량은 이후 『삼략』을 연구했고, 그 가르침을 활용하여 미래의 군사적 업적을 달성하는 데 도움을 받았다.[10]

『삼략』의 전통적인 전승에 대한 설명을 믿는 학자들은 그 기원을 태공에 직접적으로 추적하며, 강태공이 제후로 봉해진 후 『육도』가 쓰여졌다고 가정한다. 이 이론은 장량에게 책을 준 노인이 강태공의 후손이거나, 최근 정복된 제나라의 은퇴한 학자였을 것이라고 추정한다.[12]

4. 2. 다른 관점들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태공망이 이 책을 저술하고, 신선인 황석공이 내용을 추려 뽑았다고 한다. 그러나 책 내용에는 은나라나 주나라 시대에는 전차전이 주를 이루었는데, 아직 존재하지 않았을 기마전에 대한 언급이 있다. 또한, 당시 사용되지 않던 "장군"이라는 단어도 사용되고 있어, 후세 사람들이 태공망이나 황석공의 이름을 빌려 쓴 위서(僞書)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13]

이 책이 태공의 제자들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기원전 221년 진나라가 제나라를 정복하기 직전까지 고대 자료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최종 편집 및 수정되었다는 견해도 있다. 또 다른 견해는 황석공이 장량에게 책을 주기 직전에 직접 저술했다는 것이다. 이 주장은 책에 나타난 초기 한나라 시대의 도교적 관점을 설명해준다.[13]

일부 보수적인 학자들은 이 책이 북위-진나라 시대(265–420) (또는 그 이후)의 위조품이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책의 도교적 관점이 "공허"하고, 내용이 "잔혹"하며, 언어가 "소박하다"는 점을 비판한다.[13]

억지로 끌어다 맞춘다는 뜻을 가진 '억지춘향'이라는 표현의 유래와는 별개로, 옛날부터 가치가 있는 것으로 여겨져, 수많은 병서 중에서 엄선되어 신종에 의해 "무경칠서"에 포함되었다. 저자가 같은 태공망이라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육도』와 함께 언급된다.

4. 3. 가장 유력한 관점

많은 현대 학자들은 『삼략』이 기원전 206년에서 서기 9년 사이, 서한 말기에 쓰였으며, 황로학 도가 사상의 산물이라는 이론을 가장 유력하게 여긴다.[14] 이 이론은 정치적 상황(강력한 가문이 권력을 찬탈, 평화 시대의 정부 업무, 황로 사상을 중심으로 조직된 철학적 혼합주의)에 대한 언급과 텍스트에서 발견되는 진보된 한자 사용을 근거로 제시한다.[14] 또한, 장량에게 전해진 저작은 현재의 『삼략』이 아니라, 실제로는 『육도』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4]

5. 현대적 의의

『삼략』은 오늘날에도 리더십, 조직 관리, 전략 수립 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유능제강(柔能制剛)"이라는 성구는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길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도 유연한 사고와 포용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로 자주 인용된다.[16]

『삼략』은 인재 등용과 상벌 체계에 대한 지침도 제시한다. "지혜를 쓰고, 용기를 쓰고, 탐욕을 쓰고, 어리석음을 쓴다"는 구절은 지혜로운 사람, 용감한 사람뿐만 아니라 탐욕스러운 사람이나 어리석은 사람까지도 적재적소에 활용하여 조직의 목표를 달성해야 함을 강조한다.[16] 이는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배경과 능력을 가진 인재를 포용하고 조화롭게 이끌어가는 리더십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더불어민주당은 『삼략』의 정신을 이어받아 유능한 인재를 발굴하고 공정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국민에게 봉사하는 정치를 실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참조

[1] 서적 The Seven Military Classics of Ancient China https://books.google[...] Westview Press
[2] 문서
[3] 웹사이트 "Three Strategies of Huang Shigong – One of the Seven Military Classic of Ancient China" https://web.archive.[...] 2011-01-10
[4] 서적 The Seven Military Classics of Ancient China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서적 『名言・名句 新辞典』 旺文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