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보완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호보완론은 기독교에서 남자와 여자가 본질적인 존엄성과 인격에서 동등하지만, 기능 면에서는 다르고 상호 보완적이며, 가정과 교회에서 남성이 머리가 된다고 주장하는 신념이다. 이 입장은 교회의 성 역할에 대한 전통적인 가르침을 옹호하며, 결혼에서는 남편이 가정을 부양하고 보호하며 이끌고, 아내는 남편을 돕고 존경하며 가사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고 본다. 교회 내 역할에 있어서는 여성의 역할이 제한적일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일부 기독교 교파, 가톨릭교회, 동방정교회 등에서 지지한다. 반면, 기독교 성경적 평등을 위한 기독교인들과 같은 단체는 상호보완론이 불공정한 역할과 기회를 정당화한다고 비판한다. 또한, 상호보완론이 관계 내 위계질서를 통해 폭력을 용인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상호보완적인 성 역할에 대한 개념은 기독교뿐만 아니라 랍비 유대교, 바하이교 등 다른 종교에서도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젠더와 종교 - 여신
여신은 여성적 특성을 가진 신성한 존재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숭배받으며 종교, 신화, 예술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사랑, 풍요, 지혜, 전쟁 등을 상징한다. - 젠더와 종교 - 남신
남신은 남성 신을 의미하며, 가부장제 사회와 유일신 종교에서 여성 신보다 더 높은 지위를 갖는 경향이 있다. - 젠더와 기독교 - 기독교 평등주의
기독교 평등주의는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신자가 동등한 은사와 사역의 부르심을 받았다고 믿는 성경적 관점으로, 갈라디아서 3장 28절과 같은 구절을 근거로 남녀의 동등한 봉사를 주장하며, 퀘이커교, 감리교회 등 다양한 교파와 "남성, 여성, 그리고 하나님"과 같은 단체들의 지지를 받는다. - 젠더와 기독교 - 근육적 기독교
근육적 기독교는 기독교 신앙과 육체적 건강, 특히 스포츠의 가치를 결합하려는 사상으로, 19세기 영국에서 스포츠를 통해 도덕적, 종교적 가치를 함양하고자 했으나, 남성성 강조와 특정 집단 편향 등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 성 역할 - 남성성
남성성은 사회적 성으로서 남성에게 요구되거나 남성과 관련된다고 여겨지는 자질, 특성, 역할, 행동 양식 등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생물학적 요인과 사회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받아 역사와 문화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며 사회적 관계, 건강, 젠더 문제 등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 성 역할 - 젠더표현
젠더 표현은 성 정체성, 성적 지향, 출생 시 지정된 성별과 독립적으로 개인이 외부로 성별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의복, 머리 스타일, 말투 등을 통해 드러나며 문화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고, 국제 인권법은 젠더 표현의 자유를 중요한 인권으로 인정한다.
상호보완론 | |
---|---|
개요 | |
정의 | 남성과 여성은 동등하지만, 역할과 기능에서 차이가 있다는 기독교 신학적 관점. |
핵심 주장 | 남성은 가정과 교회에서 책임을 지고, 여성은 남성을 지지하고 돕는 역할. |
관련 개념 | 가부장제 성차 성 역할 남녀평등주의 |
주요 신학적 근거 | |
창세기 | 남성이 먼저 창조되었고, 여성이 남성을 돕기 위해 창조되었다는 내용. |
신약성경 | 에베소서 5장: 남편은 아내의 머리이고, 아내는 남편에게 복종해야 함. 디모데전서 2장: 여성이 교회의 가르치는 역할이나 권위를 가져서는 안 됨. |
주요 주장 내용 | |
가정 | 남성이 가정의 영적 리더십을 행사하고, 아내는 남편을 돕는 역할. |
교회 | 남성이 교회 지도자 (목사, 장로 등)를 맡고, 여성은 주로 보조적인 역할. |
주요 논쟁점 | |
성경 해석 | 남녀평등주의: 성경의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남녀 역할 차이를 제한적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주장. 상호보완론: 성경을 문자적으로 해석하여 남녀 역할 차이가 영원히 변하지 않아야 한다는 주장. |
여성의 역할 | 남녀평등주의: 여성도 남성과 동등하게 모든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 상호보완론: 여성은 남성과 다른 고유한 역할과 은사를 가지고 있으며, 남성과 동등한 가치를 지니지만 역할은 다르다고 주장. |
사회적 영향 | 남녀평등주의: 상호보완론은 여성의 사회적 진출을 막고 불평등을 조장한다고 비판. 상호보완론: 상호보완론은 건강한 가정과 사회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주장. |
기타 | |
용어 | 상호보완주의 상호보완적 성 역할 |
관련 인물 및 단체 | |
주요 인물 | 존 파이퍼 웨인 그루뎀 N.T. 라이트 |
주요 단체 | 성경적 남성다움과 여성다움 협의회 복음연합 |
비판 | |
일부 페미니스트의 비판 | 여성의 사회적 진출을 억압하고 불평등을 정당화한다는 비판. |
여성 억압 논쟁 | 상호보완론이 여성의 권리와 자유를 제한한다는 주장. |
문화적 영향 논쟁 | 상호보완론이 일부 문화권에서 여성에 대한 차별과 억압을 강화한다는 주장. |
주요 차이점 | |
남녀평등주의와 차이점 | 남녀평등주의: 남성과 여성은 모든 면에서 동등하다고 주장. 상호보완론: 남성과 여성은 동등하지만 역할과 기능에서 차이가 있다고 주장. |
추가 정보 | |
서적 | 회복하는 성경적 남성다움과 여성다움 (Recovering Biblical Manhood and Womanhood) 새로운 약속 (New Covenant) |
웹사이트 | 디자이어링 갓 크로스웨이 복음연합 |
2. 기독교의 상보주의
상보성(Complementarianismeng)은 하나님이 남자와 여자를 그 본질적인 존엄성과 인격에서 동등하게 창조하셨지만, 기능면에서는 다르고 상호 보완적이며, 가정과 교회에서 남성이 머리가 된다고 주장하는 신학적 관점이다.[8] 상보성을 옹호하는 사람들과 반대하는 사람들 모두 성경을 하나님의 무오한 말씀으로 간주한다.[9]
상보성 입장은 교회의 성 역할에 대한 가장 전통적인 가르침[10]을 옹호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입장을 지지하는 이들은 일반적으로 "전통주의자" 또는 "계층주의자"라는 용어 사용을 피하는데, 전자는 성경이 전통적 행동 패턴에 도전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려는 태도를, 후자는 상호 의존성이나 평등을 간과하고 구조적 권위만을 과도하게 강조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그들은 평등과 유익한 차이점을 모두 함축한다고 보아 '상보성'이라는 용어를 선호한다.[11]
가톨릭교회에서는 "상보성"이라는 용어를 직접 사용하지는 않지만, 가톨릭 사회 교리와 관련하여 유사한 입장을 보인다. 가톨릭교회 교리서는 "하나님께서 남자와 여자에게 동등한 인격적 존엄성을 부여하셨다"[12]고 명시하면서도, 사회의 조화는 "성 간의 상호 보완성, 필요성 및 상호 지지가 어떻게 실현되는지에 부분적으로 의존한다"[12]고 설명한다.
2. 1. 역사
"상보성"(complementarianismeng)이라는 용어는 1988년 성경적 남성성과 여성성 위원회 설립자들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13]2. 2. 결혼에서의 역할
상호보완적 관점(complementarian view)은 결혼에서 성별에 따른 역할이 있다고 주장한다.[23] 이 관점에서 남편은 하나님으로부터 가정을 부양하고, 보호하며, 이끌어야 할 책임을 부여받았다고 여겨진다. 아내는 남편과 협력하고, 그를 존경하며, 가사를 관리하고 다음 세대를 양육하는 데 있어 남편의 조력자 역할을 수행한다. 상호보완주의자들은 성경이 남편에게 가장으로서 가정을 이끌고, 아내를 그리스도가 교회를 사랑하듯 사랑하라고 가르친다고 주장한다. 또한 성경이 아내에게 그리스도를 경외하는 마음으로 남편의 리더십을 존중하라고 가르친다고 언급한다.[14][15] 이에 따라 남편은 아내에 대한 도덕적 책임을 지며 그녀를 위해 희생적인 사랑을 보여야 하고, 아내는 남편의 사랑에 상응하는 사랑과 그의 봉사 및 리더십을 기꺼이 받아들임으로써 응답해야 한다고 본다.[16]이러한 상호보완적 결혼관의 예는 남침례회(Southern Baptist Convention)의 ''침례교 신앙과 메시지(2000)''[15]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해당 문서의 일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남편과 아내는 둘 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기에 하나님 앞에서 동등한 가치를 지닌다. 결혼 관계는 하나님이 그의 백성과 관계를 맺는 방식을 모델로 한다. 남편은 그리스도께서 교회를 사랑하신 것처럼 아내를 사랑해야 한다. 그는 하나님으로부터 가정을 부양하고, 보호하고, 이끌 책임을 받았다. 아내는 교회가 기꺼이 그리스도의 머리됨에 복종하듯이 남편의 섬기는 리더십에 기꺼이 복종해야 한다. 그녀는 남편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형상이며 그와 동등하기 때문에 하나님으로부터 남편을 존중하고 가사를 관리하고 다음 세대를 양육하는 데 있어 그의 조력자 역할을 할 책임을 받았다.
— ''제18조. 가정.'' 침례교 신앙과 메시지 2000
성경적 남성성과 여성성 위원회(Council on Biblical Manhood and Womanhood)는 "그리스도는 남녀 모두에게 최고의 권위자이자 지침이며, 따라서 어떤 지상의 복종—가정, 종교 또는 시민적—도 인간 권위자를 따라 죄를 짓도록 명령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가르침으로써, 복종의 한계를 명확히 하고 있다.[17]
한편, '그리스도의 신부'(Sponsa Christi)라는 표현은 미주리 시노드 루터교회(Lutheran Church–Missouri Synod)와 같은 일부 상호보완주의 교파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이들은 사도 바울이 신약에서 이러한 관점을 제시했다고 주장한다. 가톨릭교회 교리에서도 그리스도는 신랑을, 교회(Ecclesia)는 신부를 상징하는 것으로 설명된다.[18]
2. 3. 교회에서의 역할
상호보완론(Complementarianism)은 특정 성경 구절 해석에 따라 교회 내에서 여성의 역할, 특히 사역 참여를 제한적으로 본다.[17] 이 관점은 여성이 남성을 가르치거나 남성에 대한 권위를 행사하는 교회 지도자 역할을 맡아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19]예를 들어, 남침례교협회(Southern Baptist Convention, SBC) 전 회장인 프랭크 페이지(Frank Page)는 "남성과 여성 모두 교회에서 봉사할 은사를 받았지만, 목사 직분은 성경에 따라 자격을 갖춘 남성에게만 국한된다"고 기술했다. 다만, 집사 직분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열려 있다고 본다(가톨릭교회 제외).[20][23] 상호보완론에 따르면, 바울이 교회 안에서 여성의 예언에 대해 언급했기 때문에, 여성이 교회 안에서 말하는 것 자체가 완전히 금지된 것은 아니다.[21]
성경적 남성성과 여성성 위원회(Council on Biblical Manhood and Womanhood, CBMW)는 "[교회에서] 그리스도 안에서의 구원은 남성과 여성에게 구원의 축복을 동등하게 나누어 준다"고 인정하면서도, "교회 내 특정한 통치 및 가르침 역할은 남성에게 제한되어 있다(고린도전서 14:33-38; 고린도전서 11:2-16; 디모데전서 2:11-15; 디모데전서 3:1-7)"고 주장한다.[17] 대부분의 상호보완론자들은 여성이 목사 또는 경우에 따라 전도사로 안수받는 것을 옳지 않다고 본다. 일부는 여성이 전도사가 되는 것은 허용하지만 목사가 되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다고 보기도 한다.[22] 이는 여성이 남성에 대한 권위를 갖거나 행사하는 교회나 가정의 최고 지도자 역할을 하는 것을 지지하지 않기 때문이다. 여성에게 허용되는 다른 특정 사역 역할에 대해서는 상호보완론자들 사이에서도 견해가 다양하다.[23]
남침례교 신학자이자 신학교 총장인 알버트 몰러(Albert Mohler)는 "여성 설교자, 이혼, 동성애 주교 – 무슨 연관성이 있을까?"라는 글에서, 여성 안수를 지지하는 주장이 여성이 가르치는 직분을 허용하지 않는 특정 성경 본문을 무시하거나 '재해석'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논리가 이혼한 사람이나 동성애자의 안수를 옹호하는 주장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보았다.[24]
한편, 일부 전통적인 가톨릭 국가들은 여성에게 높은 가치를 부여했기 때문에 모계사회(matriarchal)로 불리기도 했다. 수많은 여성들이 시복되었고, 로마 순교록(Roman Martyrology)의 성인들 사이에서 존경받고 있다. 그러나 가톨릭교회는 "주 예수께서는 사도들의 대학을 형성하기 위해 남성(''viri'')을 선택하셨고, 사도들 또한 그들의 사역에서 자신들을 계승할 협력자들을 선택할 때 그렇게 했다"는 이유로 안수를 남성에게만 제한한다.[25]
2. 4. 상보주의 옹호
교회나 가정 내에서 특정 형태의 성 역할 보완성을 지지하는 기독교 교파로는 다수의 보수적인 개신교 교파(그리고 많은 비교파 개신교 교회 포함), 가톨릭교회, 그리고 동방정교회가 있다.[26] 구체적인 입장을 밝힌 단체들로는 남침례회,[23] 미국 장로교회,[27] 시드니 성공회 교구, 오스트레일리아 독립 복음주의 교회 연합회,[28] 미주리 시노드 루터교회, 로마 가톨릭 교회,[29] 보수적 멘노나이트, 뉴프론티어즈, 여호와의 증인,[30] 미국 복음주의 자유 교회, 기독교 선교 연합, 주권 은총 사역, 그리고 갈보리 채플 운동 등이 있다.성경적 남성성과 여성성 위원회(Council on Biblical Manhood and Womanhoodeng, CBMW)는 보완주의적(complementarian) 성(性)관에 대한 견해를 홍보하기 위해 존재하는 주요 복음주의 기독교 단체이다.[31][32][33] CBMW의 현 회장은 데니 버크[34]이며, 그는 남침례신학교(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eng )의 학부 과정인 보이스 성서대학( Boyce Bible Collegeeng )의 성서 연구 교수이기도 하다. CBMW는 ''성경적 남성성과 여성성 저널''( Journal for Biblical Manhood & Womanhoodeng )이라는 반기 학술지도 발행한다.[35]
3. 여성주의 내의 상보주의 운동
새로운 여성주의는 주로 가톨릭 철학에 기반을 두며, 남성이 여성보다 우월하거나 여성이 남성보다 우월하다는 관점보다는 남성과 여성의 통합적인 상호보완성에 대한 믿음을 강조한다.[36]
차이 여성주의는 남성과 여성이 인간 존재의 존재론적으로 다른 버전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철학이다.
4. 비판
기독교 성경적 평등을 위한 기독교인들 (CBE)과 같은 기독교 평등주의 단체들은 상호보완론이 남녀 간 유익한 차이점 존재 여부라는 핵심 문제를 회피한다고 비판한다. 이들은 진짜 문제는 이러한 차이가 성별에 따른 불공정한 역할, 권리, 기회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라고 주장한다.[37] CBE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 정의 추구, 성경 존중 등 상호보완론자들과 일부 공통된 입장을 인정하면서도[38], 성별에 기반한 인간의 본성, 목적, 가치에 대한 견해 차이가 크다고 지적한다. CBE 회장 미미 하다드는 이러한 견해 차이가 과거 노예 제도를 둘러싼 기독교인들의 분열과 유사하게 심각한 결과를 낳는다고 주장하며, 상호보완론이 가부장제를 정당화하는 논리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38]
2018년 Jensen 등의 연구에서는 관계 내 위계질서가 폭력을 용인하는 믿음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는데, 이 연구에서 성역할 보완주의는 위계적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었다.[39] 이를 바탕으로 비판론자들은 성역할 보완주의가 가정 폭력을 정당화하고, 피해자인 여성이 남성 가해자에게 책임을 묻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한다.[40][41] 또한, 성역할 보완주의가 강조하는 남성 중심의 위계질서가 권력 불균형을 초래하여 폭력을 조장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42] #ChurchToo 해시태그 운동을 시작한 Hannah Paasch와 같은 인물들은 성역할 보완주의가 서구 세속 사회의 영향을 받은 미국 기독교 내 일부에서 "강간 문화"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고 주장한다.[42]
이에 대해 상호보완론 지지자들은 성경에서 요구하는 남성의 리더십은 본질적으로 폭력을 배제하고 금지한다고 반박한다.[43] 존 파이퍼와 같은 인물은 상호보완론에서 제시하는 남성의 보호적인 리더십이 오히려 여성을 성적 학대로부터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42] 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위계적인 권력 구조 자체가 잠재적으로 폭력을 유발하거나 용인할 수 있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5. 다른 종교에서의 상보주의
종교적 신념에 근거한 여성의 역할 차별은 기독교나 서구 문화에만 국한되지 않는다.[44]
카라이파 유대교와는 달리, 랍비 유대교 내 다양한 분파들은 성별 관계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를 채택해 왔다.[45][46] 메나헴 멘델 슈네어슨(루바비치 레베)은 "창조에 대한 신의 계획에서 남성과 여성은 구별되고 다양한 사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명들은 서로 보완하며 함께 신의 계획을 조화롭게 결실 맺게 합니다. 한쪽의 역할이 다른 쪽의 역할보다 더 높거나 낮은 것은 아닙니다. 단지 다를 뿐입니다."라고 말하며 상보주의적 입장을 보였다.[47] 이와 대조적으로 개혁 유대교는 예배와 일상생활 모두에서 완전히 평등주의적이다. 북미에서는 보수 유대교 또한 대체로 평등주의적이다. 정통 유대교 내 일부에서도 예배와 삶에 평등주의가 채택되었지만, 정통 유대교 공동체에서는 상보주의가 더욱 널리 퍼져 있다.
바하이교는 남녀 간의 기능적 차이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가정과 사회 전반에서 남녀가 수행하는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확언한다고 선포한다. 바하이교의 가르침에 따르면, "인류의 세계는 두 날개를 가지고 있다. 남성과 여성이다. 이 두 날개가 힘에서 동등하지 않은 한, 새는 날 수 없다. 여성이 남성과 같은 수준에 이르기 전까지, 그녀가 같은 활동 영역을 누리기 전까지는, 인류를 위한 특별한 성취는 실현될 수 없다. 인류는 진정한 성취의 높이에 날갯짓할 수 없다. 두 날개가… 힘에서 동등해지고, 같은 특권을 누릴 때, 인류의 비상은 매우 높고 특별할 것이다."[48]
참조
[1]
서적
Women Embracing Islam: Gender and Conversion in the Wes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7-12-31
[2]
웹사이트
Women's Service in the Church: The Biblical Basis.
http://www.ntwrightp[...]
2004-09-04
[3]
서적
Handbook of New Testament Exegesis
Baker Academic
2010-11-01
[4]
서적
Recovering Biblical Manhood and Womanhood
https://archive.org/[...]
Crossway
[5]
웹사이트
Sexual Complementarity: Session 3
https://www.desiring[...]
2007-11-10
[6]
웹사이트
5 Myths about Complementarianism
https://www.crossway[...]
2019-01-15
[7]
웹사이트
Foundation Documents of The Gospel Coalition
https://www.thegospe[...]
[8]
웹사이트
Male Authority and Female Equality: In the beginning—Genesis 1–3 being understood as part of God's created design
http://www.cbmw.org/[...]
Council on Biblical Manhood and Womanhood
2004-12-15
[9]
웹사이트
All About Eve: Feminism and the Meaning of Equality
http://bible.org/ser[...]
[10]
웹아카이브
Historical/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women speaking in the church; Commentaries
https://web.archive.[...]
2011-03-25
[11]
간행물
Recovering Biblical manhood and womanhood
http://cbmw.org/wp-c[...]
[12]
웹아카이브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https://web.archive.[...]
Libreria Editrice Vaticana
[13]
잡지
The Unmaking of Biblical Womanhood
https://www.newyorke[...]
2021-07-25
[14]
웹아카이브
CBMW » About Us
http://www.cbmw.org/[...]
[15]
웹아카이브
The Baptist Faith & Message
http://www.sbc.net/b[...]
[16]
웹아카이브
A Christ-Centered Marriage
https://web.archive.[...]
2012-05-12
[17]
웹아카이브
Core Beliefs: The Danvers Statement on Biblical Manhood and Womanhood.
https://web.archive.[...]
Council on Biblical Manhood and Womanhood (CBMW)
2010-11-03
[18]
간행물
God's Design for Marriage
http://witness.lcms.[...]
The Lutheran Witness
[19]
웹아카이브
19 Objections to Complementarianism — 1 Timothy 2:8–15
https://web.archive.[...]
Council on Biblical Manhood and Womanhood
2004-12-15
[20]
웹아카이브
Focus on Doctrine The Church~Who Is in Charge?
https://web.archive.[...]
Southern Baptist Convention
2011-10-01
[21]
웹사이트
All About Eve: Feminism and the Meaning of Equality
http://bible.org/ser[...]
[22]
서적
Women in Ministry: Four Views
https://archive.org/[...]
InterVarsity Press
[23]
웹아카이브
The Baptist Faith and Message
https://web.archive.[...]
Southern Baptist Convention
2009-03-03
[24]
웹사이트
Women Preachers, Divorce, and a Gay Bishop–What’s the Link?
http://www.albertmoh[...]
2003-08-05
[25]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26]
서적
Christian Thought: A Historical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05-14
[27]
서적
Countering the Claims of Evangelical Feminism
https://books.google[...]
Multnomah Books
[28]
웹사이트
FIEC Constitution
https://static1.squa[...]
2018
[29]
서적
Kingdom Ethics: Following Jesus in Contemporary Context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03-01-17
[30]
웹사이트
Marriage – Watchtower ONLINE LIBRARY
https://wol.jw.org/e[...]
[31]
서적
Encyclopedia of Women and Religion in North America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32]
서적
Evangelical Feminism: a History
https://books.google[...]
NYU Press
[33]
웹사이트
Nuptial Agreements
http://www.christian[...]
Christianity Today
2002-03-11
[34]
웹아카이브
An interview with CBMW's new president, Denny Burk
https://web.archive.[...]
2017-02-03
[35]
서적
Men and Women in the Church: Building Consensus on Christian Leadership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36]
간행물
Man-Woman Complementarity: the Catholic Inspiration
http://www.endowonli[...]
2006
[37]
웹사이트
Complementarians—What's in a Name? | Christians for Biblical Equality (CBE)
http://www.cbeintern[...]
2019-04-17
[38]
간행물
President's Message: Egalitarians and Complementarians. One Gospel, Two Worldviews
http://www.cbeintern[...]
2014
[39]
논문
Religious Beliefs and Domestic Violence Myths
https://www.research[...]
2019-02-07
[40]
웹사이트
Reflecting on complementarianism and domestic violence
https://www.commongr[...]
2024-06-27
[41]
웹사이트
3 Ways Egalitarian Theology Opposes Abuse
https://www.cbeinter[...]
[42]
뉴스
Evangelical Pastor Claims Traditional Gender Roles Can Prevent Sexual Abuse
https://www.huffpost[...]
2018-03-26
[43]
웹사이트
Complementarians Should Be Toughest on Abuse
https://www.desiring[...]
2018-06-12
[44]
서적
Encyclopedia of women & Islamic cultures
https://archive.org/[...]
Brill
[45]
웹사이트
Karaite Customs and Traditions
https://www.karaites[...]
2023-11-09
[46]
웹사이트
About Karaite Judaism Karaite Jews of Europe
https://www.karaitej[...]
2023-11-09
[47]
웹사이트
Rights and Priorities – Discrimination?
http://www.sichosine[...]
[48]
서적
Women in the New Millennium: The Global Revolu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06-02-28
[49]
서적
Women Embracing Islam: Gender and Conversion in the Wes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7-12-31
[50]
웹인용
19 Objections to Complementarianism — 1 Timothy 2:8–15
http://www.cbmw.org/[...]
Council on Biblical Manhood and Womanhood
2007-05-29
[51]
웹인용
Women's Service in the Church: The Biblical Basis.
http://www.ntwrightp[...]
2010-07-12
[52]
서적
Handbook of New Testament Exegesis
https://archive.org/[...]
Baker Academic
2010-11-01
[53]
서적
Recovering Biblical Manhood and Womanhood
https://archive.org/[...]
Crosswa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