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뮤얼 즈웨이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새뮤얼 즈웨이머는 미국의 선교사이자 신학자이며, 1889년 미국 아라비아 선교회를 공동 설립하고 무슬림 공동체에 대한 선교 활동을 펼쳤다. 그는 프린스턴 신학교 교수로 임용되어 선교 운동을 위한 인력 양성에 기여했으며, 저술 활동을 통해 이슬람과 기독교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즈웨이머는 '무슬림 세계'를 편집하고, 다양한 저서를 집필했으며, 그의 선교학은 하나님의 영광을 목표로 하는 것을 강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레인에 거주한 미국인 - 마이클 잭슨
마이클 잭슨은 잭슨 5로 데뷔해 솔로 가수로서도 큰 성공을 거두며 혁신적인 뮤직비디오와 춤, 사회적 메시지로 "팝의 황제"라 불렸지만, 논란과 함께 프로포폴 과다 복용으로 사망한 미국의 전설적인 팝 가수, 작곡가, 댄서, 배우이다. - 미국의 동양학자 - 에드워드 사이드
팔레스타인 출신 미국인 학자 에드워드 사이드는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이자 문학 비평가, 음악가, 공공 지식인으로서, 오리엔탈리즘 연구를 통해 서구 중심주의와 제국주의를 비판하고 탈식민주의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팔레스타인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과 서구-동부 디반 오케스트라 설립 등 음악 분야에서도 기여했다. - 미국의 동양학자 - 크리스토퍼 벡위스
크리스토퍼 벡위스는 중앙아시아사, 특히 티베트사 연구에 기여한 미국의 역사학자이자 언어학자로, 고구려어와 일본어의 친연성을 주장하며 '고구려-일본어족' 가설을 제안하기도 했다. - 종교학자 - 막스 뮐러
막스 뮐러는 독일 태생의 영국 문헌학자, 동양학자, 종교학자로, 산스크리트어 문헌 연구, 비교 신화학, 리그베다 교정 및 번역, 동방성전총서 간행 등 동양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비교 언어학과 종교학 분야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수행했지만, 아리아인 개념과 종교적 편향성 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 - 종교학자 - 앤드류 월즈
영국의 신학자이자 선교학자인 앤드류 월즈는 세계 기독교, 특히 비서구 세계 기독교 연구에 지대한 공헌을 했으며, 종교학과 설립 및 학술지 창간 등을 통해 학문적 기반을 다졌다.
새뮤얼 즈웨이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새뮤얼 매리너스 즈웨이머 |
원어 이름 | Samuel Marinus Zwemer |
별명 | 이슬람의 사도 |
출생일 | 1867년 4월 12일 |
출생지 | 미시간주 브리즐랜드 |
사망일 | 1952년 4월 2일 |
사망지 | 뉴욕 |
국적 | 미국 |
직업 | 선교사, 신학자 |
배우자 | 에이미 엘리자베스 윌크스 |
교육 | 호프 칼리지 뉴 브런즈윅 신학교 |
가족 | |
자녀 | 에이미 캐서리나 분 (1897–1904) 넬리 엘리자베스 (1899–) 루스 (1900–1904) 레이먼드 럴 (1902–1981) 에이미 루스 (1905–) 메리 모팻 (1907–) |
2. 생애
새뮤얼 매리너스 즈웨이머는 미시간주 브리즐랜드에서 태어났다. 미시간 홀랜드에 있는 호프 칼리지와 뉴브런즈윅 신학교를 졸업하고 호프 칼리지, 럿거스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1889년, 즈웨이머는 제임스 캔틴과 함께 신학교에서 미국 아라비아 선교회를 공동 설립했다.[1][5] 1890년 아라비아로 건너가 무슬림 공동체와 직접 사역을 시작한 것을 그의 사역의 첫 번째 이정표로 여겼다.[6] 당시 그의 주요 전도 방식은 문헌 배포[7]와 개인적인 대화였다.[8] 그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제시하는 대결적인 방식과 더 온건한 방식을 결합했는데, 이는 '학생 자원봉사자들의 특징'이었다.[9] 사람들과의 즉흥적인 교류에 대한 이야기는 그가 유능하고 창의적인 개인 전도자였음을 시사한다.[10]
레이몬드 룰의 전기를 쓴 새뮤얼 즈웨이머는 룰의 사역을 세 가지로 나누었고[4], 우리는 즈웨이머 자신의 사역을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광범위한 범주를 사용할 수 있다: '전도', '저술', '모집'.
즈웨이머는 1929년 프린스턴에서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이는 선교 운동을 위한 인력 양성 및 모집의 시대를 열었다.[19] 그는 장기간의 안식년 동안 학생 자원 운동의 순회 대표였으며, 선교에 대한 그의 연설 능력은 전설적이었다.[19] 1914년 미국에서 그는 113일 동안 전국에서 151번의 연설을 했다.[20] W.H.T. 게이드너는 그를 '바지를 입은 증기 기관차'라고 불렀다.[20] 그의 모금 능력 또한 인상적이어서, 어느 해에는 개혁 해외 선교 위원회를 위해 32,886달러를 모금했는데, 당시 현지 선교사의 연봉은 900달러였다.[21] J. 크리스티 윌슨 주니어는 "스피어와 즈웨이머는 기독교 역사상 다른 어떤 두 사람보다 더 많은 젊은 남녀들이 선교사로 봉사하도록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라고 요약했다.[20]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새뮤얼 매리너스 즈웨이머는 미시간주 브리즐랜드에서 태어났다. 미시간 홀랜드에 있는 호프 칼리지와 뉴브런즈윅 신학교를 졸업하고 호프 칼리지, 럿거스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2. 2. 아라비아 선교
1889년, 즈웨이머는 제임스 캔틴과 함께 신학교에서 미국 아라비아 선교회를 공동 설립했다.[1][5] 1890년 아라비아로 건너가 무슬림 공동체와 직접 사역을 시작한 것을 그의 사역의 첫 번째 이정표로 여겼다.[6] 당시 그의 주요 전도 방식은 문헌 배포[7]와 개인적인 대화였다.[8] 그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제시하는 대결적인 방식과 더 온건한 방식을 결합했는데, 이는 '학생 자원봉사자들의 특징'이었다.[9] 사람들과의 즉흥적인 교류에 대한 이야기는 그가 유능하고 창의적인 개인 전도자였음을 시사한다.[10]
2. 3. 프린스턴 신학교 교수 임용
즈웨이머는 1929년 프린스턴에서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이는 선교 운동을 위한 인력 양성 및 모집의 시대를 열었다.[19] 그는 장기간의 안식년 동안 학생 자원 운동의 순회 대표였으며, 선교에 대한 그의 연설 능력은 전설적이었다.[19] 1914년 미국에서 그는 113일 동안 전국에서 151번의 연설을 했다.[20] W.H.T. 게이드너는 그를 '바지를 입은 증기 기관차'라고 불렀다.[20] 그의 모금 능력 또한 인상적이어서, 어느 해에는 개혁 해외 선교 위원회를 위해 32,886달러를 모금했는데, 당시 현지 선교사의 연봉은 900달러였다.[21] J. 크리스티 윌슨 주니어는 "스피어와 즈웨이머는 기독교 역사상 다른 어떤 두 사람보다 더 많은 젊은 남녀들이 선교사로 봉사하도록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라고 요약했다.[20]3. 신학 및 선교학
3. 1. 신학
즈웨이머는 부모의 칼빈주의에 따른 신학으로 모든 것에서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였다.[92][93] 성경은 그의 믿음과 사역의 사고에 실제적으로 작동하게 했다.[94] 그는 신론을 공부하고 성경의 하나님과 대조적인 것을 알았지만 좀더 토착화하였다.[95] 그래서 이슬람의 신의 개념은 동양의 칼빈주의적 개념에서 이해가 되었다.[96][97] 그는 이슬람의 포괄적인 하나님의 개념을 칭찬하며, 이를 '동양의 칼뱅주의'로 보았고, 카이로에 있는 그의 연구실 벽과 그의 저널 "이슬람 세계"의 표지에 비스밀라(Basmala)를 걸어두었다.[30] 그는 이슬람의 유일신교에 대한 이해를 이슬람의 가장 큰 강점으로 보았지만, 또한 가장 큰 결함으로 보았다.[31][32] 그에게 있어, 삼위일체에 대한 이해 없이는, 하나님은 알 수 없고 인격적이 아니었다.[33][34] 따라서 그는 성육신과 속죄 교리를 소중히 여겼으며, 이 주제에 관한 주요 저작으로 ''구유의 영광''[35]과 그가 가장 좋아했던 ''십자가의 영광''[37]을 저술했다. 무슬림에게 걸림돌이 되기는 했지만, 그는 이를 복음 전파에 중요한 요소로 보았다.[38] 즈웨이머의 하나님은 영광스럽고 모든 것을 포괄하는 분이셨다. 그는 '타협이나 양보에 결코 만족하지 않고', 대신 '무조건적인 항복'을 요구했다.[39]3. 2. 선교학
즈웨이머의 선교의 최고의 목적은 사람들의 구원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광이었다.[98] 그는 칼빈이 본 것처럼 이 세상은 하나님의 영광의 극장인데 하나님의 복음이 전파됨으로써 그의 영광의 극장이 된다고 보았다.[99] 결국 그의 선교학이란 하나님의 주권이 기초이며 하나님의 영광이 목표이며 하나님의 의지가 동기가 된다.[100] 즈웨이머의 모든 것을 포괄하는 하느님에 대한 비전은 그의 선교학의 원동력이었다. "선교의 주된 목적은 인간의 구원이 아니라 하느님의 영광이다."[40] 그는 이 웅대한 비전을 칼뱅에게서 직접적으로 기인한다고 보았다. "하느님은 복음 전파를 통해 하느님의 영광의 무대가 되도록 온 세상을 창조하셨다."[41] 하느님의 무한한 능력과 지고함을 굳게 믿는 이 신념은 즈웨이머를 '이슬람의 요람'으로 이끌어 '불가능의 영광'을 보여주게 했다.[42] 중동에서의 복음의 승리에 대한 그의 확신도 마찬가지로 확고했다.[43] 그러나 이러한 승리의 선교학은 근본적으로 십자가에 의해 형성되었다. "그리스도는 손실과 굴욕, 고통을 통해 항상 승리를 거두는 정복자이다."[44] 즈웨이머에게 이것은 결코 학문적인 것이 아니었는데, 그는 현장에서 형제와 두 딸을 잃었기 때문이다.[45] 라일 반더 워프는 즈웨이머의 선교학적 접근 방식을 '그리스도 중심적-인간학적'이라고 묘사하며, 즉 복음의 메시지가 서구 문명이나 '교육의 자선 프로그램'이 아닌 무슬림의 가장 큰 필요라고 보았다.[46] 즈웨이머는 그의 선교 신학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하느님의 주권이 기초이고, 하느님의 영광이 목표이며, 하느님의 뜻이 동기인 오늘날의 선교 사업은 모든 선교 과제 중에서 가장 어려운 과제인 무슬림 세계의 복음화를 직면할 수 있다."[47]3. 3. 교회론
즈웨이머에게 교회는 "자신의 피로 사신 하나님의 교회"였기에 소중했다.[48] 그는 교파에 대한 관점이 에큐메니컬하고 관대했으며, 개혁주의 전통에서 때때로 나타나는 편협한 경향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가 설립한 아라비아 위원회는 명백히 '초교파적'이었다.[49] 그는 그레고리오 7세와 인노첸시오 3세를 칭찬할 수 있었다.[50] 그는 동방 정교회가 이슬람교 선교에 동참하는 날을 갈망했다.[51] 그의 잡지 ''이슬람 세계''의 창간 사설은 '교회의 어떤 파벌이나 분파를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 단어의 최상의 의미에서 광범위해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52] 그의 슬로건은 다음과 같았다. '본질적인 문제에서는 일치를 추구하고, 비본질적인 문제에서는 자유를 추구하며, 모든 일에서 사랑을 추구한다.'[53] 그러나 그는 본질적인 것이 무엇인지 명확하고 정확하게 밝혔다.[54] 이러한 에큐메니즘에 대한 열망은 이슬람 선교에 대한 그의 모든 것을 아우르는 열정에서 비롯되었다. '위험에 처한 문제는 너무나 중요하고, 긴급함은 너무나 커서 연합 전선 외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55]4. 저술 활동 및 작품
새뮤얼 즈웨이머는 를(Lull)의 전통을 이어받아, "50년이 넘는 기간 동안 거의 매년 한 권씩 영어로 된 방대한 인쇄물"을 남겼다.[12] 1910년 에든버러 세계 선교 회의의 결과로, 그는 1911년 분기별 간행물인 《무슬림 세계》(The Moslem World)를 창간했는데, 이는 "기독교 교회가 복음으로 무슬림 세계에 다가가려면, 그 세계에 대해 알고 이해해야 하기" 때문이었다.[14] 그는 1947년까지 이 잡지를 편집했으며, 사비를 들여 운영비를 충당했다.[15] 그는 복음주의 문학 출판을 위해 25만 달러 이상을 모금한 미국 무슬림 기독교 문학 협회(A.C.L.S.M)를 설립했다.[16] 즈웨이머는 인쇄물을 자신의 선교 전략에서 '열방을 치유하는 잎사귀'로 보았다.[18]
그는 분기별 학술지인 ''이슬람 세계''(The Moslem World) - 37권(1911–47)과 ''Quarterly Review'' (런던)의 편집 외에도 다음과 같은 책을 저술했다.
- ''아라비아, 이슬람의 요람'' (Arabia, the Cradle of Islam) (1900)[101]
- ''거꾸로 가는 나라'' (Topsy Turvy Land) (1902), 아내 에이미 E. 즈웨이머 여사(Mrs. Amy E. Zwemer)와 공저[102]
- 라이먼 룰(Raymond Lull) (1902)[103]
- ''신의 이슬람 교리'' (Moslem Doctrine of God) (1906)
- ''오늘날의 무슬림 세계'' (The Mohammedan World of Today) (1906)
- ''이슬람: 신앙에 대한 도전: 무함마드교 종교와 무함마드교 세계의 필요와 기회에 대한 연구'' (Islam: a challenge to faith: studies on the Mohammedan religion and the needs and opportunities of the Mohammedan world) (1907)[104]
- ''우리의 무슬림 자매들: 어둠의 땅에서 온 외침, 그것을 들은 자들이 해석하다'' (Our Moslem sisters: a cry of need from lands of darkness interpreted by those who heard it) (1907) — 애니 반 소머(Annie van Sommer)와 함께 편집[105][106]
- ''이슬람 세계'' (The Moslem World) (1908)[107]
- ''가까운 동방과 먼 동방: 무슬림 국가, 시암, 버마, 한국에 대한 개요 연구'' (The Nearer and Farther East: Outline studies of Moslem lands, and of Siam, Burma, and Korea) (1908), 아서 저드슨 브라운(Arthur Judson Brown)과 공저[108][109]
- ''점령되지 않은 선교지'' (The Unoccupied Mission Fields) (1910)
- ''이슬람과 선교: 1911년 1월 23–28일 러크나우에서 열린 무함마드교 세계를 위한 두 번째 선교사 회의에서 발표된 논문집'' (Islam and missions: being papers read at the second Missionary conference on behalf of the Mohammedan world at Lucknow, January 23–28, 1911) (1911)[110]
- ''무슬림의 그리스도'' (The Moslem Christ) (1911)[111]
-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점령되지 않은 선교지'' (The Unoccupied Mission Fields of Africa and Asia) (1911)[112]
- ''하렘의 햇살: 무슬림 여성을 위한 새로운 시대'' (Daylight In The Harem: A New Era For Moslem Women) (1911) — 러크나우 회의에서 발표된 무슬림 여성에 대한 현대 개혁 운동, 상황 및 작업 방법에 관한 논문[113]
- ''낙타 나라의 지그재그 여행'' (Zigzag Journeys in the Camel Country) (1912)[114]
- ''무슬림 세계의 어린 시절'' (Childhood in the Moslem World) (1915)[115][116]
- ''무함마드인가 그리스도인가? 세계 각지에서 이슬람이 급속도로 확산되는 현상, 개종자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거대한 언론, 그들의 요새, 악을 막기 위해 채택해야 할 제안된 수단에 대한 설명'' (Mohammed or Christ? An account of the rapid spread of Islam in all parts of the globe, the methods employed to obtain proselytes, its immense press, its strongholds, & suggested means to be adopted to counteract the evil) (1916)[117]
- ''이슬람의 붕괴'' (The Disintegration of Islam) (1916) — 프린스턴 신학교 선교에 관한 학생 강의[118]
- ''하나님을 찾는 무슬림: 11세기의 신비주의자이자 신학자인 알 가잘리의 삶과 가르침에서 이슬람의 가장 좋은 모습 제시'' (A Moslem Seeker after God: Showing Islam at its best in the life and teaching of al-Ghazali, mystic and theologian of the eleventh century) (1920)[119]
- ''애니미즘이 이슬람에 미치는 영향: 대중의 미신에 대한 설명'' (The Influence of Animism on Islam : An Account of Popular Superstitions) (1920)[120]
- ''기독교, 최종 종교''(Christianity the Final Religion), 에어드만스-세븐스마(Eerdmans-Sevensma Co.), 그랜드 래피즈, 미시간 (1920)
- ''이슬람 세계, 제4권'' (The Moslem World, Volume 4) (1914)[121]
- ''이슬람 세계, 제8권'' (The Moslem World, Volume 8) (1918)[122]
- ''이슬람 세계, 제9권'' (The Moslem World, Volume 9) (1919)[123]
- ''이슬람 세계, 제10권'' (The Moslem World, Volume 10) (1919)[124]
- ''이슬람 세계, 제11권'' (The Moslem World, Volume 11) (1919)[125]
- ''이슬람 세계, 제12권'' (The Moslem World, Volume 12) (1919)[126][127]
- ''이슬람의 배교 법'' (The Law of Apostasy in Islam) (1924)[128]
- ''무슬림 여성'' (Moslem Women) (1926), 아내 에이미 E. 즈웨이머 여사와 공저
- ''십자가의 영광'' (The Glory of the Cross) (1928)[129]
- ''이슬람 세계를 가로질러'' (Across the world of Islam) (1929)[130]
- ''그리스도의 숭고한 이름'' (The exalted name of Christ) (1932), 오스카 헤르만손과 구스타프 알베르트가 아랍어에서 번역, 압두 발리 아콘드(Abdu Vali Akhond)의 도움을 받음
- ''그리스도와 함께 선교를 생각하기'' (Thinking Missions with Christ) (1934)
- ''하나님을 붙잡기: 기도의 본질, 필요, 능력에 대한 연구'' (Taking hold of God : studies on the nature, need and power of prayer) (1936)[131]
- ''그리스도인이 되기는 어렵다: 순례자의 삶에서 성격을 위한 투쟁의 몇 가지 측면'' (It's Hard To Be A Christian: Some Aspects of the Fight for Character in the Life of the Pilgrim) (1937)
- ''고독한 왕좌, 케즈윅 컨벤션에서 그리스도교 메시지의 영광과 독창성에 대해 주어진 연설'' (The Solitary Throne, addresses Given at the Keswick Convention on the Glory and Uniqueness of the Christian Message) (1937)[132]
- ''황금 이정표: 아라비아에서 개척 시대의 회상, 50년'' (The Golden Milestone : Reminiscences of Pioneer Days Fifty Years in Arabia) (1938), 제임스 칸틴(James Cantine)과 공저[133]
- ''역동적인 기독교와 오늘날의 세계'' (Dynamic Christianity and the World Today) (1939)
- ''대중 이슬람 연구: 일반 사람들의 미신과 신념을 다룬 논문 모음'' (Studies in Popular Islam: A Collection of papers dealing with the Superstitions & Beliefs of the Common People) (1939)
- ''구유의 영광: 성육신에 대한 연구'' (The Glory of the Manger: Studies on the Incarnation) (1940)[134]
- ''하나님께 귀 기울이는 기술'' (The Art of Listening to God) (1940)
- ''초승달 위의 십자가'' (The Cross Above the Crescent) (1941)
- ''마다가스카르의 이슬람'' (Islam in Madagascar) (1941)
- ''온 세상으로'' (Into All the World) (1943)
- ''오늘날의 복음 전도: 방법이 아닌 메시지'' (Evangelism Today: Message Not Method) (1944)
- ''종교의 기원: 진화인가 계시인가'' (The Origin of Religion: Evolution or Revelation) (1945) — 1935년 스미스 강좌에 기초함
- ''예언자들의 상속자'' (Heirs of the Prophets) (1946)
- ''지도와 통계 표를 갖춘 무슬림 세계에 대한 사실적 조사'' (A factual survey of the Moslem world with maps and statistical tables) (1946)
- ''빈 무덤의 영광'' (The Glory of the Empty Tomb) (1947)[135]
- ''수확이 얼마나 풍성한가'' (How Rich the Harvest) (1948)
- ''아담의 아들들: 신약의 빛에서 본 구약 등장인물 연구'' (Sons of Adam: Studies of Old Testament characters in New Testament light) (1951)
- ''이슬람의 사회적, 도덕적 악'' (Social And Moral Evils Of Islam) (2002) — 이전 작품의 재인쇄
- ''북부 오만에서의 세 번의 여행'' (Three Journeys in Northern Oman) (1902), The Geographical Journal, Vol XIX, No1
즈웨이머는 오만과 트루셜 코스트(현재의 아랍에미리트) 여행에 대한 기사를 썼으며, 이 기사에는 아부다비의 카스르 알호슨의 초기 사진이 포함되어 있다.
4. 1. 주요 저서
새뮤얼 즈웨이머는 1911년부터 1947년까지 37권에 달하는 학술지 ''이슬람 세계''(The Moslem World)를 편집했으며, ''Quarterly Review''(런던)에도 기고했다.[101]그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아라비아, 이슬람의 요람'' (Arabia, the Cradle of Islam) (1900)[101]
- ''거꾸로 가는 나라'' (Topsy Turvy Land) (1902), 아내 에이미 E. 즈웨이머 여사(Mrs. Amy E. Zwemer)와 공저[102]
- 라이먼 룰(Raymond Lull) (1902)[103]
- ''신의 이슬람 교리'' (Moslem Doctrine of God) (1906)
- ''오늘날의 무슬림 세계'' (The Mohammedan World of Today) (1906)
- ''이슬람: 신앙에 대한 도전'' (Islam: a challenge to faith) (1907)[104]
- ''우리의 무슬림 자매들'' (Our Moslem sisters) (1907) - 애니 반 소머(Annie van Sommer)와 함께 편집[105][106]
- ''이슬람 세계'' (The Moslem World) (1908)[107]
- ''가까운 동방과 먼 동방'' (The Nearer and Farther East) (1908), 아서 저드슨 브라운(Arthur Judson Brown)과 공저[108][109]
- ''점령되지 않은 선교지'' (The Unoccupied Mission Fields) (1910)
- ''이슬람과 선교'' (Islam and missions) (1911)[110]
- ''무슬림의 그리스도'' (The Moslem Christ) (1911)[111]
-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점령되지 않은 선교지'' (The Unoccupied Mission Fields of Africa and Asia) (1911)[112]
- ''하렘의 햇살'' (Daylight In The Harem) (1911) - 럭나우 회의 논문[113]
- ''낙타 나라의 지그재그 여행'' (Zigzag Journeys in the Camel Country) (1912)[114]
- ''무슬림 세계의 어린 시절'' (Childhood in the Moslem World) (1915)[115][116]
- ''무함마드인가 그리스도인가?'' (Mohammed or Christ?) (1916)[117]
- ''이슬람의 붕괴'' (The Disintegration of Islam) (1916) - 프린스턴 신학대학원 강의[118]
- ''하나님을 찾는 무슬림'' (A Moslem Seeker after God) (1920)[119]
- ''애니미즘이 이슬람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nimism on Islam) (1920)[120]
- ''기독교, 최종 종교''(Christianity the Final Religion), 에어드만스-세븐스마(Eerdmans-Sevensma Co.), 그랜드 래피즈, 미시간 (1920)
- ''이슬람 세계, 제4권'' (The Moslem World, Volume 4) (1914)[121]
- ''이슬람 세계, 제8권'' (The Moslem World, Volume 8) (1918)[122]
- ''이슬람 세계, 제9권'' (The Moslem World, Volume 9) (1919)[123]
- ''이슬람 세계, 제10권'' (The Moslem World, Volume 10) (1919)[124]
- ''이슬람 세계, 제11권'' (The Moslem World, Volume 11) (1919)[125]
- ''이슬람 세계, 제12권'' (The Moslem World, Volume 12) (1919)[126][127]
- ''이슬람의 배교 법'' (The Law of Apostasy in Islam) (1924)[128]
- ''무슬림 여성'' (Moslem Women) (1926), 아내 에이미 E. 즈웨이머 여사와 공저
- ''십자가의 영광'' (The Glory of the Cross) (1928)[129]
- ''이슬람 세계를 가로질러'' (Across the world of Islam) (1929)[130]
- ''그리스도의 숭고한 이름'' (The exalted name of Christ) (1932), 오스카 헤르만손과 구스타프 알베르트가 번역
- ''그리스도와 함께 선교를 생각하기'' (Thinking Missions with Christ) (1934)
- ''하나님을 붙잡기'' (Taking hold of God) (1936)[131]
- ''그리스도인이 되기는 어렵다'' (It's Hard To Be A Christian) (1937)
- ''고독한 왕좌'' (The Solitary Throne) (1937)[132]
- ''황금 이정표'' (The Golden Milestone) (1938), 제임스 칸틴(James Cantine)과 공저[133]
- ''역동적인 기독교와 오늘날의 세계'' (Dynamic Christianity and the World Today) (1939)
- ''대중 이슬람 연구'' (Studies in Popular Islam) (1939)
- ''구유의 영광'' (The Glory of the Manger) (1940)[134]
- ''하나님께 귀 기울이는 기술'' (The Art of Listening to God) (1940)
- ''초승달 위의 십자가'' (The Cross Above the Crescent) (1941)
- ''마다가스카르의 이슬람'' (Islam in Madagascar) (1941)
- ''온 세상으로'' (Into All the World) (1943)
- ''오늘날의 복음 전도'' (Evangelism Today) (1944)
- ''종교의 기원'' (The Origin of Religion) (1945) - 1935년 스미스 강좌
- ''예언자들의 상속자'' (Heirs of the Prophets) (1946)
- ''지도와 통계 표를 갖춘 무슬림 세계에 대한 사실적 조사'' (A factual survey of the Moslem world with maps and statistical tables) (1946)
- ''빈 무덤의 영광'' (The Glory of the Empty Tomb) (1947)[135]
- ''수확이 얼마나 풍성한가'' (How Rich the Harvest) (1948)
- ''아담의 아들들'' (Sons of Adam) (1951)
- ''이슬람의 사회적, 도덕적 악'' (Social And Moral Evils Of Islam) (2002) - 재인쇄
- ''북부 오만에서의 세 번의 여행'' (Three Journeys in Northern Oman) (1902), The Geographical Journal, Vol XIX, No1
즈웨이머는 오만과 트루셜 코스트(현재의 아랍에미리트) 여행에 대한 기사를 썼으며, 이 기사에는 아부다비의 카스르 알호슨의 초기 사진이 포함되어 있다.
4. 2. 《무슬림 세계》(The Moslem World)
새뮤얼 즈웨이머는 1911년부터 1947년까지 37권의 ''이슬람 세계''(The Moslem World)와 ''Quarterly Review''(런던)의 편집을 맡았다. 그는 학술지 편집 외에도 다양한 저서를 남겼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아라비아, 이슬람의 요람''(Arabia, the Cradle of Islam, 1900), 라이먼 룰(Raymond Lull, 1902), ''신의 이슬람 교리''(Moslem Doctrine of God, 1906), ''오늘날의 무슬림 세계''(The Mohammedan World of Today, 1906), ''이슬람: 신앙에 대한 도전''(Islam: a challenge to faith, 1907), ''이슬람 세계''(The Moslem World, 1908), ''무슬림의 그리스도''(The Moslem Christ, 1911), ''이슬람의 붕괴''(The Disintegration of Islam, 1916), ''하나님을 찾는 무슬림''(A Moslem Seeker after God, 1920), ''이슬람의 배교 법''(The Law of Apostasy in Islam, 1924), ''십자가의 영광''(The Glory of the Cross, 1928), ''이슬람 세계를 가로질러''(Across the world of Islam, 1929), ''종교의 기원: 진화인가 계시인가''(The Origin of Religion: Evolution or Revelation, 1945), ''빈 무덤의 영광''(The Glory of the Empty Tomb, 1947) 등이 있다.또한, 그는 오만과 트루셜 코스트(현재의 아랍에미리트) 여행에 대한 기사를 썼으며, 이 기사에는 아부다비의 카스르 알호슨의 초기 사진이 포함되어 있다. 그의 저서 ''북부 오만에서의 세 번의 여행''(Three Journeys in Northern Oman, 1902)은 The Geographical Journal에 게재되었다.
5. 유산 및 평가
그의 직접적인 선구자적 활동의 결과로 4개의 선교 기지가 세워졌고, 비록 그 수가 적었지만, '개종자들은 그들의 믿음을 고백하는 데에 유례없는 용기를 보여주었다.'[23] 그 결과 바레인에 세워진 바레인 전국 복음주의 교회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22] 그가 배포를 도왔던 방대한 양의 소책자와 성경이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는지 아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의 저서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의 분기별 학술지는 중요한 학술 저널로 계속 출판되고 있다. 즈웨이머가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던 학생 자원 운동을 통해 14,000명의 젊은이들이 선교 현장으로 나갔다.[24] 즈웨이머 센터는 이슬람에 대한 종합적인 강좌를 제공하고, 연구를 지원하며, 대화를 촉진하고, 세미나를 제공하며, 훈련을 실시하고, 자원을 제공한다.
5. 1. 비판적 시각
참조
[1]
웹사이트
Zigzag Journeys in the Camel Country: Arabia in Picture and Story
http://www.wdl.org/e[...]
2013-09-22
[2]
뉴스
Princeton Seminary Opens 119th Session - Dr S W Zwemer is installed as Head of New Department - 50 Colleges Represented
https://www.nytimes.[...]
1930-10-02
[3]
서적
From Jerusalem to Irian Jaya: A Biographical History of Christian Missions
[4]
서적
[5]
웹사이트
The Golden Milestone: Reminiscences of Pioneer Days Fifty Years Ago in Arabia
https://archive.org/[...]
Fleming H. Revell Company
2016-12-18
[6]
서적
From Jerusalem to Irian Jaya
[7]
간행물
A Call to Prayer
[8]
간행물
From Jerusalem to Irian Jaya
[9]
간행물
From Jerusalem to Irian Jaya
[10]
간행물
One of a kind
[11]
서적
Apostle to Islam: a biography of Samuel M. Zwemer
Grand Rapids: Baker
[12]
서적
Apostle to Islam: a biography of Samuel M. Zwemer
Grand Rapids: Baker
[13]
서적
Christian Mission to Muslims
[14]
간행물
Editorial
[15]
서적
Apostle to Islam: a biography of Samuel M. Zwemer
Grand Rapids: Baker
[16]
서적
Apostle
[17]
서적
Apostle to Islam: a biography of Samuel M. Zwemer
Grand Rapids: Baker
[18]
서적
Apostle to Islam: a biography of Samuel M. Zwemer
Grand Rapids: Baker
[19]
간행물
The Apostle to Islam: The Legacy of Samuel Zwemer
[20]
간행물
The Apostle to Islam: The Legacy of Samuel Zwemer
[21]
서적
Apostle to Islam: a biography of Samuel M. Zwemer
Grand Rapids: Baker
[22]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 Missions
Ringwood, Victoria: Penguin
[23]
서적
From Jerusalem to Irian Jaya
[24]
서적
The Significance of Samuel Zwemer
[25]
서적
Apostle
[26]
서적
Apostle to Islam: a biography of Samuel M. Zwemer
Grand Rapids: Baker
[27]
서적
Apostle to Islam: a biography of Samuel M. Zwemer
Grand Rapids: Baker
[28]
간행물
Samuel Zwemer
[29]
간행물
Calvinism and the Missionary Enterprise
[30]
서적
Apostle to Islam: a biography of Samuel M. Zwemer
Grand Rapids: Baker
[31]
간행물
The Allah of Islam and the God of Jesus Christ
[32]
간행물
Surat al-Ikhlas
[33]
간행물
The Doctrine of the Trinity
[34]
간행물
The Doctrine of the Trinity
[35]
서적
The Glory of the Manger
[36]
논문
The Apostle to Islam: The Legacy of Samuel Zwemer
IJFM
1996
[37]
서적
The Glory of the Cross
Marshall, Organ & Scott
1928
[38]
서적
The Glory of the Cross
[39]
간행물
Editorial
The Moslem World
1911
[40]
서적
Thinking Missions with Christ
Marshall, Organ & Scott
1934
[41]
문서
Calvinism
[42]
서적
The Glory of the Impossible
Paternoster
2009
[43]
서적
Tosy-Turvy Land: Arabia pictured for children
Fleming H. Revell
1902
[44]
서적
A Call to Prayer
P&R
2002
[45]
논문
The Apostle to Islam: The Legacy of Samuel Zwemer
IJFM
1996
[46]
간행물
Our Evangel and Islam
The Moslem World
1936
[47]
간행물
Calvinism and the Missionary Enterprise
Theology Today
1950
[48]
서적
The Glory of the Cross
[49]
서적
The Golden Milestone: Reminiscences of Pioneer Days Fifty Years Ago in Arabia
Fleming H. Revell
1939
[50]
서적
Raymond Lull: First Missionary to the Moslems
Funk & Wagnalls
1902
[51]
간행물
Our Evangel and Islam
[52]
간행물
Editorial
The Moslem World
[53]
간행물
Editorial
The Moslem World
[54]
서적
The Glory of the Empty Tomb
Fleming H. Revell
1947
[55]
문서
[56]
웹사이트
Arabia The Cradle Of Islam
https://archive.org/[...]
1900-01-01
[57]
웹사이트
Topsy-turvy land;
https://archive.org/[...]
New York, Chicago [etc.] F. H. Revell company
1902-01-01
[58]
웹사이트
Raymond Lull : first missionary to the Moslems
https://archive.org/[...]
New York : Funk & Wagnalls
1902-01-01
[59]
웹사이트
Islam challenge
http://muhammadanism[...]
[60]
웹사이트
Project Gutenberg
http://www.gutenberg[...]
2022-12-11
[61]
웹사이트
Moslem Sisters
http://muhammadanism[...]
[62]
웹사이트
The Moslem world
https://archive.org/[...]
New York, [[Young People's Missionary Movement|Young people's missionary movement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1908-01-01
[63]
서적
The nearer and farther East: outline studies of Moslem lands and of Siam, Burma, and Korea
https://archive.org/[...]
Macmillan
1908-01-01
[64]
웹사이트
The nearer and farther East; outline studies of Moslem lands and of Siam, Burma, and Korea
https://archive.org/[...]
New York, Macmillan
1909-01-01
[65]
서적
Islam and Missions: Being Papers Read at the Second Missionary Conference on Behalf of the Mohammedan World at Lucknow, January 23-28, 1911
https://archive.org/[...]
Fleming H. Revell Company
1911-01-01
[66]
웹사이트
Moslem Christ
http://muhammadanism[...]
[67]
웹사이트
The unoccupied mission fields of Africa and Asia
https://archive.org/[...]
London, Marshall Brothers, Ltd.
1911-01-01
[68]
웹사이트
Daylight Harem Illustrations
http://muhammadanism[...]
[69]
웹사이트
Zigzag journeys in the camel country; Arabia in picture and story
https://archive.org/[...]
New York, Chicago [etc.] Fleming H. Revell company
1911-01-01
[70]
웹사이트
Childhood in the Moslem World
http://muhammadanism[...]
[71]
서적
Childhood in the Moslem World
https://archive.org/[...]
Fleming H. Revell Company
1915-01-01
[72]
웹사이트
Mohammed or Christ; an account of the rapid spread of Islam in all parts of the globe, the methods employed to obtain proselytes, its immense press, its strongholds, & suggested means to be adopted to counteract the evil
https://archive.org/[...]
New York, London Fleming H. Revell
[73]
웹사이트
The disintegration of Islam
https://archive.org/[...]
New York; Toronto : F.H. Revell
1916-01-01
[74]
웹사이트
A Moslem seeker after God : showing Islam at its best in the life and teaching of al-Ghazali, mystic and theologian of the eleventh century
https://archive.org/[...]
New York : Fleming H. Revell
[75]
웹사이트
The influence of animism on Islam; an account of popular superstitions
https://archive.org/[...]
London : Central Board of Missions and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1920-01-01
[76]
웹사이트
The Muslim world
https://archive.org/[...]
Hartford [etc.] Hartford Seminary Foundation [etc.]
[77]
웹사이트
The Moslem World
https://books.google[...]
Nile Mission Press
1918-01-01
[78]
웹사이트
The Moslem World
https://books.google[...]
Nile Mission Press
1919-01-01
[79]
웹사이트
The Moslem World
https://books.google[...]
Nile Mission Press
1920-01-01
[80]
웹사이트
The Moslem World
https://books.google[...]
Nile Mission Press
1921-01-01
[81]
웹사이트
The Moslem World
https://books.google[...]
Nile Mission Press
1922-01-01
[82]
서적
The Moslem World
https://archive.org/[...]
Nile Mission Press
1922-01-01
[83]
문서
The Law of Apostasy in Islam
http://muhammadanism[...]
[84]
문서
The Glory of the Cross
http://muhammadanism[...]
[85]
문서
Across the world of Islam
http://muhammadanism[...]
[86]
웹사이트
Taking Hold of God : studies in Prayer
https://archive.org/[...]
London : Marshall, Morgan & Scott
[87]
문서
The Solitary Throne
http://muhammadanism[...]
[88]
웹사이트
The golden milestone [microform]; reminiscences of pioneer days fifty years ago in Arabia
https://archive.org/[...]
New York [etc.] : Fleming H. Revell
[89]
문서
The Glory of the Manger: Studies on the Incarnation
http://muhammadanism[...]
[90]
문서
The Glory of the Empty Tomb
http://muhammadanism[...]
[91]
웹인용
Pronunciation of Zwemer : How to pronounce Zwemer
https://inogolo.com/[...]
2020-03-24
[92]
문서
‘His father taught him the Heidelberg Catechism as a boy and he remembered many of the answers all his life.’ Wilson Sr. Apostle, 241.
[93]
문서
‘His theology was conservative Calvinism and he believed with all his heart in the whole of the Bible as the Word of God, and in the Reformed Faith.’ J. Christy Wilson Sr. Apostle to Islam: a biography of Samuel M. Zwemer (Grand Rapids: Baker, 1952), 241.
[94]
문서
‘The Bible was so much a part of his life that thought and word seemed naturally to take the form of Biblical phrase’ J. Christy Wilson Sr. Apostle to Islam: a biography of Samuel M. Zwemer (Grand Rapids: Baker, 1952), 241.
[95]
문서
Hubers, ‘Samuel Zwemer’, 118. See Samuel Zwemer, Arabia: The Cradle of Islam, (New York: Fleming H. Revell, 1900), 171 and then Samuel Zwemer, ‘The Allah of Islam and the God of Jesus Christ’, The Moslem World 36/4 (1946): 66-67. e.g. ‘The ninety-nine excellent names of Allah can also (with one or two exceptions) be found as attributes of Jehovah in the Old Testament Scriptures.’
[96]
문서
Samuel Zwemer, ‘Calvinism and the Missionary Enterprise’, ThTo 7/2 (1950): 212-214.
[97]
문서
Zwemer, ‘Editorial’, The Moslem World 1/2, (1911): 97. He wrote: ‘there is a sense in which Christianity is as intolerant as Islam;’
[98]
문서
Samuel Zwemer, Thinking Missions with Christ, (London: Marshall, Organ & Scott, 1934), 67. See Vander Werff, Christian Mission to Muslims, 260.
[99]
문서
Calvin quoted by Zwemer in ‘Calvinism’, 208.
[100]
문서
Zwemer, ‘Calvinism and the Missionary Enterprise’. Theology Today 7:2 (1950): 214.
[101]
웹인용
Arabia The Cradle Of Islam
https://archive.org/[...]
1900-01-01
[102]
웹인용
Topsy-turvy land;
https://archive.org/[...]
New York, Chicago [etc.] F. H. Revell company
1902-01-01
[103]
웹인용
Raymond Lull : first missionary to the Moslems
https://archive.org/[...]
New York : Funk & Wagnalls
1902-01-01
[104]
문서
http://muhammadanism[...]
[105]
웹인용
Project Gutenberg
http://www.gutenberg[...]
[106]
URL
http://muhammadanism[...]
[107]
웹인용
The Moslem world
https://archive.org/[...]
New York, Young people's missionary movement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1908-01-01
[108]
웹인용
The nearer and farther East: outline studies of Moslem lands and of Siam, Burma, and Korea
https://books.google[...]
Macmillan
1908-01-01
[109]
웹인용
The nearer and farther East; outline studies of Moslem lands and of Siam, Burma, and Korea
https://archive.org/[...]
New York, Macmillan
1909-01-01
[110]
웹인용
Islam and Missions: Being Papers Read at the Second Missionary Conference on Behalf of the Mohammedan World at Lucknow, January 23-28, 1911
https://books.google[...]
Fleming H. Revell Company
1911-01-01
[111]
URL
http://muhammadanism[...]
[112]
웹인용
The unoccupied mission fields of Africa and Asia
https://archive.org/[...]
London, Marshall Brothers, Ltd.
1911-01-01
[113]
URL
http://muhammadanism[...]
[114]
웹인용
Zigzag journeys in the camel country; Arabia in picture and story
https://archive.org/[...]
New York, Chicago [etc.] Fleming H. Revell company
1911-01-01
[115]
URL
http://muhammadanism[...]
[116]
웹인용
Childhood in the Moslem World
https://books.google[...]
Fleming H. Revell Company
1915-01-01
[117]
웹인용
Mohammed or Christ; an account of the rapid spread of Islam in all parts of the globe, the methods employed to obtain proselytes, its immense press, its strongholds, & suggested means to be adopted to counteract the evil
https://archive.org/[...]
New York, London Fleming H. Revell
[118]
웹인용
The disintegration of Islam
https://archive.org/[...]
New York ; Toronto : F.H. Revell
1916-01-01
[119]
웹인용
A Moslem seeker after God : showing Islam at its best in the life and teaching of al-Ghazali, mystic and theologian of the eleventh century
https://archive.org/[...]
New York : Fleming H. Revell
[120]
웹인용
The influence of animism on Islam; an account of popular superstitions
https://archive.org/[...]
London : Central Board of Missions and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1920-01-01
[121]
웹인용
The Muslim world
https://archive.org/[...]
Hartford [etc.] Hartford Seminary Foundation [etc.]
[122]
웹인용
The Moslem World
https://books.google[...]
Nile Mission Press
1918-01-01
[123]
웹인용
The Moslem World
https://books.google[...]
Nile Mission Press
1919-01-01
[124]
웹인용
The Moslem World
https://books.google[...]
Nile Mission Press
1920-01-01
[125]
웹인용
The Moslem World
https://books.google[...]
Nile Mission Press
1921-01-01
[126]
웹인용
The Moslem World
https://books.google[...]
Nile Mission Press
1922-01-01
[127]
웹인용
The Moslem World
https://books.google[...]
Nile Mission Press
1922-01-01
[128]
URL
http://muhammadanism[...]
[129]
URL
http://muhammadanism[...]
[130]
URL
http://muhammadanism[...]
[131]
웹인용
Taking Hold of God : studies in Prayer
https://archive.org/[...]
London : Marshall, Morgan & Scott
[132]
URL
http://muhammadanism[...]
[133]
웹인용
The golden milestone [microform] ; reminiscences of pioneer days fifty years ago in Arabia
https://archive.org/[...]
New York [etc.] : Fleming H. Revell
[134]
URL
http://muhammadanism[...]
[135]
URL
http://muhammadanis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