샐러리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샐러리맨은 영어 'salaried man'에서 유래한 일본식 영어로, 급여를 받는 봉급 생활자를 의미한다. 1930년대 일본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회사에 고용되어 일하는 남성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샐러리맨은 정규직으로 안정적인 수입을 얻지만, 장시간 노동과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에 시달리기도 하며, 때로는 '사축'(회사의 가축)과 같은 부정적인 이미지로 묘사되기도 한다. 샐러리맨은 1990년대 이후 사회적 환경 변화에 따라 업무 외적인 삶의 모습도 변화했으며, 탈샐러리맨을 통해 다른 직업을 갖는 경우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무직 - 화이트칼라
화이트칼라는 사무직, 관리직, 전문직 등 정신 노동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지칭하는 용어로, 산업 고도화와 함께 증가했지만 기술 혁신 등으로 블루칼라와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내부 양극화, 건강 문제, 가짜 업무 등의 특징이 나타난다. - 사무직 - 비서
비서는 조직에서 행정 업무를 지원하는 직책으로, 기원은 중국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중세 유럽의 권력자 측근 역할을 거쳐 타자기 발명 후 여성 진출 증가와 함께 직무 범위가 확장되어 전문적인 행정 업무 지원 역할로 진화하였고, 현재는 다양한 유형으로 분화되어 전략적 사고와 전문 지식을 필요로 한다. - 일본의 노동 - 일본국 헌법 제27조
일본국 헌법 제27조는 국민의 근로 권리와 의무, 근로 조건에 대한 법률 유보, 아동 혹사 금지를 규정하여 근로자 권익 보호와 아동 노동 착취 금지를 목표로 한다. - 일본의 노동 - 블랙기업
블랙기업은 노동법을 위반하거나 악용하여 직원에게 장시간 노동과 인권 침해를 강요하는 기업을 의미하며, 과도한 업무, 낮은 임금, 직장 내 괴롭힘 등으로 직원의 건강과 사생활을 침해하는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 고용 - 비정규직
비정규직은 정규직과 달리 고용 불안정, 차별, 저임금 등의 문제를 겪는 고용 형태를 의미하며, 한국에서는 기간제, 단시간, 파견, 용역, 특수고용 등의 형태로 나타나고 IMF 외환위기 이후 증가했다. - 고용 - 채용
채용은 기업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전략적 인력 확보 과정으로, 직무중심주의, 기업풍토 적격주의, 잠재능력주의 원칙하에 직무 능력, 조직 적응력, 미래 성장 가능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공정성, 효율성, 윤리적 기준 준수를 통해 균등한 기회 보장과 다양성 확보를 추구한다.
샐러리맨 | |
---|---|
개요 | |
정의 | 특정 회사에 고용되어 급여를 받는 회사원 |
어원 | 샐러리(salary) + 사람(man) |
일반적인 이미지 | 정장 차림 넥타이 착용 서류 가방 소지 대중교통 이용 |
특징 | |
역할 | 회사 조직의 일원으로서 특정 업무 수행 |
충성심 | 회사에 대한 높은 충성심 강조 |
근무 시간 | 장시간 노동 및 야근이 잦음 |
인간 관계 | 회사 내 상하 관계 및 동료 관계 중요시 |
스트레스 |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 및 경쟁 심화 |
사회적 인식 | 경제 성장의 주역 가정 경제의 책임자 사회생활의 어려움을 겪는 존재 |
문화 | |
음주 문화 | 회식 및 술자리 참여가 잦음 |
유행 | 획일적인 스타일 (정장, 넥타이) 유행에 민감 |
관련 작품 | 영화, 드라마, 소설 등 다양한 작품에서 묘사 샐러리맨의 애환과 성공을 다룬 이야기 |
문제점 | |
과로사 | 장시간 노동으로 인한 건강 문제 심각 |
스트레스 | 정신 건강 문제 증가 |
가정 소홀 | 가정 불화 및 이혼 증가 |
여성 샐러리맨 | 남성 중심의 조직 문화에서 차별 경험 |
사회 변화와 샐러리맨 | |
고용 불안정 | 정년 단축 및 구조 조정 증가 |
개인주의 확산 | 회사보다 개인의 가치를 중시하는 경향 |
워라밸 |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 문화 확산 |
참고 사항 | |
유사 용어 | 회사원, 직장인 |
관련 기사 | 한국경제 - '나 때는 말이야' 꼰대 상사…MZ세대 샐러리맨 90% "사표 던지고 싶다" |
2. 어원 및 정의
''사라리만''(sararīman)은 일본어 용어보다 거의 1세기 앞선 영어 구절 "salaried man"(봉급 생활자)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이 용어는 1930년대 일본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3] 샐러리맨은 "기업이나 정부 기관의 대규모 관료 체제 내의 사무직 근로자"를 지칭하며, 정부에서 일하는 사람들과 주요 기업 종사자를 포함한다.[3]
'샐러리맨'이라는 용어는 다이쇼 시대(1912~1926)부터 일본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22] 1928년 마에다 하지메의 저서 『샐러리맨 이야기』가 이 용어를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23] 국어 사전에서 "샐러리맨"은 "회사에 다니는 남성"으로 정의되기도 하고, "급료로 생활하는 사람. 월급쟁이. 봉급 생활자"처럼 매달 받는 급료로 생계를 유지하는 노동자 전반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샐러리맨은 매달 받는 급여를 주 수입원으로 생활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말이다. 국어사전에서는 "회사에 다니는 남성"(데일리 콘사이즈 국어사전)처럼 남성 회사원으로 한정하기도 하고, "급료로 생활하는 사람. 월급쟁이. 봉급 생활자"(디지털 대사전)처럼 매달 급여로 생계를 유지하는 노동자 전반을 포괄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하기도 한다.[19] 총무성의 "일본 표준 직업 분류"에는 샐러리맨이라는 항목이 없으며,[19] 샐러리맨은 특정한 직업을 가리키는 단어가 아니다.
국어 사전에서 "샐러리맨"은 "회사에 다니는 남성" 또는 "급료로 생활하는 사람. 월급쟁이. 봉급 생활자"로 정의된다. 총무성의 "일본 표준 직업 분류"에는 샐러리맨이라는 항목이 없으며,[19] 특정 직업을 지칭하는 단어가 아니다.
"샐러리"(영어 salary)는 고대 로마 시대에 소금을 사기 위해 병사나 관리들에게 지급된 급여인 salarium에서 유래했다고 여겨진다.[20][21] 1920년경부터 샐러리맨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대학 또는 전문학교를 졸업하고 민간 기업에 근무하는 양복에 넥타이를 맨 지식 노동자를 가리키는 일본식 영어이다.[22] 1928년 마에다 하지메가 간행한 『샐러리맨 이야기』가 "샐러리맨"이라는 단어를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23]
3. 역사
"샐러리"(salary)는 고대 로마 시대에 병사나 관리들에게 소금을 사도록 지급된 급여인 salarium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다.[20][21] '샐러리맨'은 일본식 영어이지만, 이후 유럽과 미국에서도 "일본의 화이트 칼라 회사원"을 가리키는 용어(salaryman)로 사용되고 있다.[24][25][26]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부터 샐러리맨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며, 해방 이후 경제 성장과 함께 샐러리맨 계층이 확대되었다. 현대에는 샐러리맨이라는 단어가 남성만을 지칭하는 인상을 줄 수 있어, 여성 OL을 포함한 총칭으로 "회사원"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4. 특징
"샐러리"(영어 salary)는 고대 로마 시대에 소금을 사기 위해 병사나 관리들에게 지급된 급여인 salarium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다.[20][21] "샐러리맨"이라는 용어는 다이쇼 시대인 1920년경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대학 또는 전문학교(현재의 사립 대학)를 졸업하고 민간 기업에 근무하는 양복에 넥타이를 맨 지식 노동자를 가리키는 일본식 영어이다.[22]
1928년 홋카이도 탄광 기선 회사에 근무했던 마에다 하지메(후에 일본 경영자 단체 연맹 초대 전무 이사)가 간행한 『샐러리맨 이야기』가 "샐러리맨"이라는 단어를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23] 의사, 변호사, 세무사, 사회 보험 노무사 등을 비롯한 전문직이나 회사 임원, 고위 관료는 샐러리맨에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17] "샐러리맨"은 일본식 영어이지만, 후에 유럽과 미국에서도 "일본의 화이트 칼라 회사원"을 가리키는 보통 명사(salaryman)로 점차 스며들고 있다.[24][25][26]
'샐러리맨'이라는 단어는 멸시적인 의미를 갖는 경우도 있어, 주로 영업에 종사하는 급료 생활자를 가리켜 '비즈니스맨'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한, 샐러리'맨'이라는 표현이 남성만을 지칭하는 인상이 있기 때문에, 텔레비전 등의 공공 매체에서는 여성의 OL을 포함한 총칭으로 "회사원"으로 표현되는 경우도 많다.
기업들은 인건비 절감을 위해 정규직을 줄이는 경향이 있으며,[27][28][29] 샐러리맨 중에서도 구조 조정에 대항하여 자기 계발에 힘쓰거나, 회사 외에 삶의 보람을 찾는 등, 회사 의존적인 생활에서 벗어나려는 모습이 많이 보인다.
샐러리맨의 상당수는 신중간층에 속하며, 자작농이나 상점 주인 등 구중간층과 대비된다. 일반적인 사회학에서는 신중간층은 구중간층과 함께 중산계급을 구성하지만, 마르크스주의의 입장에서는 샐러리맨은 피고용자이므로 노동자계급에 포함된다.[30]
샐러리맨의 직업 만족도는 낮은 편이며, 업무 내용, 고용 안정성, 휴가, 가정과 직장의 양립 등에서 공무원보다 만족도가 낮다. 샐러리맨의 삶의 보람 보유율은 1991년부터 2016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6년에는 43.6%까지 하락했다.[37]
일본에서는 호텔 체인이 샐러리맨의 출장 여행을 위한 비즈니스 호텔을 만들었다. 북미의 경제 및 제한 서비스 호텔과 유사하게, 일본의 비즈니스 호텔은 고급/국제급 호텔의 모든 부대시설 없이 합리적인 가격으로 작지만 효율적인 객실을 제공한다.[11]
4. 1. 복장
샐러리맨의 전형적인 복장은 어두운 색 정장, 흰색 셔츠, 그리고 단색 넥타이로 구성된다.[10] 이는 전문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집단 조화를 중시하는 일본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다.[10] 회사는 종종 특정 복장 규정을 마련해두고 있으며, 직원들은 이를 준수해야 한다.[10]
일본에서는 여름철 에어컨 사용을 줄이기 위해 쿨 비즈 캠페인을 통해 간소화된 복장을 권장하기도 한다.[10] 하지만, 이는 서양의 비즈니스 캐주얼과는 달리 여전히 단정하고 전문적인 모습을 유지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10]
4. 2. 근무 환경
샐러리맨은 주당 80시간 이상 장시간 근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강렬한 일 중심적인 생활 방식의 결과로, 샐러리맨은 심부전과 같은 정신적 또는 신체적 건강 문제에 시달리거나 자살할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다.[9]
일본에서는 샐러리맨에 대한 극심한 압박이 과로사로 이어질 수 있다.[14][15] 샐러리맨은 남성에게 부여된 성 역할 기대 때문에 가족을 부양해야 한다는 강한 압박감을 느낀다. 워싱턴 포스트(Washington Post) 기사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근로 시간을 제한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수년 동안 노력해 왔으며, 이 문제는 1970년대부터 만연해 왔다. 2014년, 30년간의 활동 끝에 일본 국회는 "과로사에 대한 대책을 장려하는" 법을 통과시켰다.[15]
많은 일본인들은 여전히 정부를 비판하며, 근로 시간 법을 위반하는 기업에 대한 일종의 처벌이 있어야 한다고 믿고 있다. 과로사로 사망한 샐러리맨의 유족들이 매년 약 2,000건의 신청서를 제출한다. 그러나 사망자 수는 훨씬 더 많을 수 있으며, "매년 30,000건의 자살 중 최대 8,000건이 업무 관련으로 추정"되며, "매년 10,000건의 자살 이외의 과로사 사망"이 발생할 수 있다.[14]
과로사는 문자 그대로 "과로사"를 뜻하며, 1973년 석유 파동 이후 1970년대 후반에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순환기 질환"으로 처음 진단되었으며, 이는 일본 산업의 전후 재건에 타격을 주었다.[15] 그 이후 과로로 인한 사망자 수가 증가했으며, 특히 대규모의 명망 있는 기업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2002년에는 토요타의 30세 품질 관리 매니저인 우치노 겐이치(内野 健一|우치노 겐이치일본어)가 6개월 동안 80시간 이상의 초과 근무를 무급으로 한 후 쓰러져 사망했다.[16] 이 사건 이후 토요타는 근로자의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모든 초과 근무 시간에 대해 급여를 지급하겠다고 발표했다.[15]
5. 사회적 위치
샐러리맨은 대부분 신중간층에 속하며, 자작농이나 상점 주인 등 구중간층과 비교된다. 일반적인 사회학에서는 신중간층이 구중간층과 함께 중산계급을 구성하지만, 마르크스주의 관점에서는 샐러리맨이 피고용자이므로 노동자계급에 포함된다.[30]
노동자 세대 수입의 중앙값은 현역·기업 연금이 있는 회사원 남성, 현역·공무원 남성과 여성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현역·기업 연금이 있는 회사원 여성, 현역·기업 연금이 없는 회사원 남성 순이다. 현역·기업 연금이 없는 회사원 여성, 완전 퇴직·공무원 여성, 완전 퇴직·기업 연금이 있는 회사원 남성과 여성, 완전 퇴직·기업 연금이 없는 회사원 남성과 여성, 완전 퇴직·공무원 남성이 뒤를 잇는다. 대부분 샐러리맨의 세대 수입은 현역 공무원보다 낮다.[31] 통계적으로도 직업별 평균 자산액은 샐러리맨(민간 직원·노무 작업자)이 가장 낮다.[32]
6. 사회적 이미지
일본 사회에서 샐러리맨의 보편화는 일본과 미국 미디어 모두에서 많은 묘사를 낳았다. 샐러리맨에 관한 일본 영화로는 ''샐러리맨 씨'', ''일본 샐러리맨 NEO''(TV 시리즈 기반), 드라마 시리즈 ''샐러리맨의 역사'' 등이 있다. 많은 젊은 일본 남녀에게 샐러리맨이 되는 것보다 못한 것을 받아들이는 것은 본인뿐만 아니라 부모에게도 실패로 여겨진다.[12]
샐러리맨의 삶은 일을 중심으로 돌아가며, 근무 시간 외 활동도 동료들과 관련되는 경우가 많아 샐러리맨과 일 사이의 거리를 좁힌다. 이러한 기대 때문에 샐러리맨에게는 社畜일본어(''샤치쿠'', 문자 그대로 "기업의 가축"으로 임금 노예제를 지칭), 会社の犬일본어(''카이샤노 이누'', "회사의 개"), 企業戦士일본어(''키교 센시'', "기업 전사")와 같은 경멸적인 이름이 붙었다.
샐러리맨은 생활 기반을 특정 기업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야유하여 '''사축'''(회사의 가축이라는 의미)이나 '''회사의 개'''라고 불리는 (자조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개성 없는 조직의 톱니바퀴, 회사에 대한 충성 및 의존(근무)·연공서열·기업 전사·접대 골프·과도한 잔업·워커홀릭·과로사와 같은 이미지로 종종 연결된다.
고도 경제 성장기의 '''맹렬 사원'''이나, 거품 경제기(버블 경기) 당시 영양 드링크를 손에 들고 새벽 늦게까지 일하는 것도 개의치 않고 세계를 누비는 비즈니스맨, 버블 경제 붕괴 후의 구조 조정에 떨고 있는 샐러리맨 등 시대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가 만들어지고 있다.
대학생들이 샐러리맨에 대해 가지는 이미지는 "수트와 넥타이 차림으로 바쁘게 잔업을 하는 남자가, 잔업으로 지쳐서, 바쁘고, 불평을 늘어놓는" 모습, "땀을 흘리며 머리를 숙여 일하는" 모습, "차 안에서 지쳐 버린 모습으로 집단에 묻혀 있는" 모습, "여성을 포함하여 웃는 얼굴로 인사를 하는" 모습 등이다. 감정 평가로는 "힘들어 보인다", "괴로워 보인다" 등의 동정심이나 연민, "되고 싶지 않은 모습", "재미없다" 혹은 "더럽다"와 같은 경멸 감정이 나타나고 있다.[38]
6. 1. 탈샐러리맨
샐러리맨 생활을 그만두고 다른 직업을 갖는 것을 '''탈샐러리맨'''이라고 한다. 탈샐러리맨은 창업, 자격증 취득 후 전문직, 실질적인 생산 업종 종사, 창작 활동 전향 등 개인 사업주가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구조조정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가업을 잇거나, 다니던 회사가 망해서 그 고객을 승계하는 형태로 새롭게 회사를 창업하는 것과 같이 수동적이거나 목적 없는 이직은 일반적으로 탈샐러리맨에 포함되지 않는다. 질병이나 구조조정을 계기로 샐러리맨 이외의 직업을 구하는 것은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결혼하여 전업주부가 되는 것은 탈샐러리맨으로 취급되지 않는다.탈샐러리맨의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창업으로 경영자가 되는 것 (SOHO를 통한 웹 디자이너, 통신 판매업, 컨설팅업, 학원 등)
- 농업이나 어업 등의 1차 산업 (농업만으로는 생계를 유지할 수 없어, 겸업 농가가 되는 경우도 있음)
- 전통 산업 등의 장인이 되는 것
- 저술가, 만화가, 사진가, 일러스트레이터 등으로 전향
- 음식점이나 개인 경영 상점 개업 (프랜차이즈 등도 포함)
한편, 탈샐러리맨 창업(특히 음식 관련)은 실패 사례도 많으며[39][40][41], 샐러리맨 시절과의 평가나 신용도의 차이에 고통받는 경우도 적지 않다.[42][43]
7. 대중문화
샐러리맨은 대중문화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묘사된다. 특히 일본에서는 샐러리맨을 소재로 한 영화, 드라마, 만화 등이 많이 제작되었다. 이러한 작품들은 샐러리맨의 일상, 애환, 사회적 역할 등을 다룬다.
7. 1. 일본
일본에서 샐러리맨의 보편화는 일본과 미국 미디어 모두에서 많은 묘사를 낳았다. 샐러리맨에 관한 일본 영화로는 ''샐러리맨 씨'', ''일본 샐러리맨 NEO''(TV 시리즈를 기반으로 함), 드라마 시리즈 ''샐러리맨의 역사'' 등이 있다. 많은 일본 젊은 남녀에게 샐러리맨이 되는 것보다 못한 것을 받아들이고 그 이상에 순응하지 않는 것은 본인뿐만 아니라 부모에게도 실패로 여겨진다.[12]샐러리맨의 삶은 일을 중심으로 돌아간다. 근무 시간 외에 하는 활동은 동료들과 관련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샐러리맨과 일 사이의 거리를 좁힌다. 이러한 기대 때문에 샐러리맨에게는 다양한 경멸적인 이름이 붙었다. 社畜|샤치쿠|임금 노예제를 지칭일본어, 会社の犬|카이샤노 이누|또는 "회사의 개"일본어, 企業戦士|키교 센시|또는 "기업 전사"일본어는 샐러리맨을 조롱하는 용어들이다.
샐러리맨을 소재로 한 작품은 다음과 같다.
- 마에다 하지메 『샐러리맨 이야기』 (쇼와 3년, 동양경제출판부)
- 샐러리맨 돈트 절 경쾌한 직업이라고 왔구나
- 스오 마사유키 『샐러리맨 교실 계장은 즐겁구나』 (쇼와 61년, TBS 텔레비전 드라마)
- 샐러리맨 킨타로
- 샐러리맨 NEO
- 샐러리맨 - 우리들은 바보족에 등장하는 캐릭터
- 샐러리맨 전과
- 브리프 & 트렁크스 - 샐러리맨 ( 브리토라 의존증#수록곡 참조)
- 스다라절 와캇챠 이루케도 야메라레네
- 과장 바카 1대
- 총무부 총무과 야마구치 로쿠헤이타
- 우에다 마사시의 4컷 만화 작품
- 논키군
- 후리텐군
- 카리아게 군
- 어벙이 과장
- 회사원의 멜로디
- 기업전사 YAMAZAKI
- 조개 사원
- 수염을 깎다. 그리고 여고생을 줍다.
참조
[1]
Youtube
A Week in the Life of a Tokyo Salary Man
https://www.youtube.[...]
2015-02-28
[2]
웹사이트
Salarymen and Japanese business culture - Venture Japan
https://www.venturej[...]
2024-10-16
[3]
서적
Japan's New Middle Class: The Salary Man and His Family in a Tokyo Suburb
https://www.degruyt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3-12-31
[4]
서적
A Companion to the Anthropology of Japan
https://onlinelibrar[...]
Blackwell Publishing Ltd
2005
[5]
간행물
A Test of Theories Underlying the Japanese Lifetime Employment System
http://link.springer[...]
1991
[6]
웹사이트
Life of a Japanese Salaryman: An Insider's View
https://japan-dev.co[...]
2024-10-16
[7]
웹사이트
Retiring from Unemployment
https://www.drorpole[...]
2024-10-16
[8]
웹사이트
The Company NEET: Japan's Employee Who's Hardly Working
https://unseen-japan[...]
2024-10-16
[9]
간행물
Salaryman Sudden Death Syndrome
https://www.emerald.[...]
1994-02-01
[10]
웹사이트
Why Japanese Salarymen and Workers Wear the Same Uniform: The Streets of Tokyo as a Visual Tradition - Geinokai BIJ Big In Japan
https://geinokai.jp/[...]
2024-10-16
[11]
웹사이트
Business Hotels In Kyoto
https://www.insideky[...]
2024-10-16
[12]
서적
Genders, Transgenders and Sexualities in Japan
Routledge
2005-12-20
[13]
서적
Creating Corporate Warriors: The "Salaryman" and Masculinity in Japan
Routledge
2003
[14]
뉴스
Japan's Killer Work Ethic
https://www.washingt[...]
2015-04-05
[15]
웹사이트
Japanese Workers Fight against Karoshi, Death from Overwork
http://www.redpepper[...]
Red Pepper
2015-04-05
[16]
웹사이트
Worked to death at car plant
https://www.thestar.[...]
2023-01-12
[17]
웹사이트
サラリーマンとは
https://kotobank.jp/[...]
2021-04-11
[18]
웹사이트
リーマンとは
https://kotobank.jp/[...]
2021-04-11
[19]
웹사이트
総務省|統計基準・統計分類|日本標準職業分類(平成21年12月統計基準設定) 分類項目名
https://www.soumu.go[...]
2021-07-14
[20]
웹사이트
サラリウムとは
https://kotobank.jp/[...]
2023-07-13
[21]
웹사이트
サラリーの語源(古代ローマ)
https://www.shiotoku[...]
2023-07-13
[22]
서적
<サラリーマン>の文化史
青弓社
2022
[23]
문서
前田一
朝日新聞社
1990
[24]
웹사이트
salaryman
https://dictionary.c[...]
2023-07-13
[25]
뉴스
Googleニュース検索における"salaryman"の検索結果
https://www.google.c[...]
[26]
서적
Google書籍検索における"salaryman"の検索結果
https://www.google.c[...]
[27]
웹사이트
リストラ数は6年ぶりに1万人超え。業績好調でも早期退職者を募集する理由
https://www.business[...]
2020-04-30
[28]
웹사이트
再来した大リストラ時代と「雇用流動化」礼賛の幻想
https://business.nik[...]
2020-04-30
[29]
웹사이트
45歳以上はクビ!? NEC、富士通、コカ・コーラetc.でリストラが進行中
https://nikkan-spa.j[...]
2020-04-30
[30]
문서
リンク切れ
https://archive.fo/o[...]
2020年6月
[31]
간행물
サラリーマンの生活と生きがいに関する調査: 中高年の会社員と公務員の比較
https://doi.org/10.2[...]
年金シニアプラン総合研究機構
2020-04-30
[32]
문서
http://www.e-stat.go[...]
[33]
웹사이트
第36回ワークス大卒求人倍率調査(2020年卒)
https://www.works-i.[...]
リクルートワークス研究所
2020-05-18
[34]
웹사이트
【2020年版】有効求人倍率とは? 全国・都道府県・職種別推移から転職事情が分かる!
https://tenshoku.myn[...]
マイナビ転職
2020-05-18
[35]
문서
五ヶ山・小川内 昭和点描
https://hdl.handle.n[...]
福岡県教育委員会
[36]
뉴스
金口木舌
https://web.archive.[...]
琉球新報
2011-12-08
[37]
간행물
サラリーマンの生活と生きがいの変化(団塊の世代を追って)
https://doi.org/10.2[...]
年金シニアプラン総合研究機構
2020-04-30
[38]
논문
大学生が抱く社会人・サラリーマン―ステレオタイプに関する予備的研究描画を用いた検討
http://id.nii.ac.jp/[...]
江戸川大学
2008-03-01
[39]
웹사이트
"脱サラ起業」の成否... その肝は「ポジティブマインド」だった
https://www.j-cast.c[...]
2020-04-30
[40]
웹사이트
脱サラしてロックバーを開業した男性の「こんなはずじゃなかった」顛末
https://www.msn.com/[...]
2020-04-30
[41]
웹사이트
飲食店経営に手を出したら、その先には「地獄」が待っている(三戸 政和) @moneygendai
https://gendai.media[...]
2020-04-30
[42]
웹사이트
勘違いで独立するな。他人は社名や肩書きにペコペコしているだけだ
https://www.mag2.com[...]
2020-04-30
[43]
웹사이트
脱サラで、得すること・損すること。クレカさえ審査落ちする現実
https://bizspa.jp/po[...]
2020-04-30
[44]
Youtube
A Week in the Life of a Tokyo Salary Man
https://www.youtube.[...]
Stu
2015-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