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르칼리샤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르칼리샤리는 기원전 2217년경 아카드 제국의 왕으로, 아버지 나람신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그는 니푸르의 총독으로 있다가 왕위에 올랐다는 설이 있으며, 수메르 왕 목록에 따르면 25년 동안 통치했다. 샤르칼리샤리는 선임자가 시작한 아카드 직접 통치 체제를 완성했으며, 통치 초기에 수메르로 왕의 행차를 하기도 했다. 그의 치세 동안 구티족, 엘람족과의 충돌이 있었고, 아카드 제국은 그의 사후 무정부 상태에 빠지며 붕괴되었다. 그의 연대기 이름을 통해 샤르칼리샤리 시대의 주요 사건들을 알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카드의 왕 - 나람신
나람신은 기원전 23세기 아카드 제국의 왕으로, 정복 활동을 통해 제국 최대 영토를 건설하고 중앙 집권 정책과 신격화를 추진했으나 반란에 직면했으며, 그의 치세는 제국의 번영과 멸망에 대한 전설로 남았다. - 아카드의 왕 - 사르곤
사르곤은 기원전 24세기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아카드 제국을 건설하고 수메르를 통일한 인물로, 다양한 기록과 전설을 통해 알려져 있으며, 34개의 도시를 통합하고 후대 왕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아카드 - 누지
누지는 현재 이라크 요르간 테페에 위치한 고대 도시 유적으로, 기원전 3천 년기부터 존재했으며 아카드 제국 시대에는 가수르로 번성했고, 후리족에 의해 누지로 개명되었으며, 발굴을 통해 다양한 유물과 4,000여 점의 설형 문자 점토판, 그리고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지도가 발견되었다. - 아카드 - 사르곤
사르곤은 기원전 24세기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아카드 제국을 건설하고 수메르를 통일한 인물로, 다양한 기록과 전설을 통해 알려져 있으며, 34개의 도시를 통합하고 후대 왕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샤르칼리샤리 | |
---|---|
기본 정보 | |
칭호 | 아카드 왕 수메르 왕 |
![]() | |
통치 기간 | 기원전 2217년 – 2193년경 |
아버지 | 아카드의 나람-신 |
배우자 | 투타-사르-리비스 |
후임 | 아카드의 이기기 |
왕조 | 아카드 왕조 |
계승 | 아카드 제국의 왕 |
이름 | |
아카드어 (쐐기 문자) |
2. 생애
나람신의 아들로, 기원전 2100년경에 25년간 아카드 제국을 통치하였다.[7] 그의 통치 이후, 이기기, 이미, 나눔, 일룰루 4왕이 3년간 다스리는 혼돈기가 이어졌다. 그 후 두두왕이 21년간 통치하였다.[31]
아카드 제국 시대의 많은 통치자, 특히 샤르칼리샤리의 연대기 이름을 찾을 수 있다.[32] 이는 그의 통치 기간과 주요 사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샤르칼리샤리의 재위 기간 연대기 이름은 다음과 같다.[36][37]
나람신의 아들이자 후계자로, 아카드 왕조의 왕이었다. 아버지 나람신은 메소포타미아 역사상 처음으로 스스로를 신격화했지만, 샤르칼리샤리는 이를 계승하지 않았다. 신하들이 그를 신으로 여기는 문서는 남아있지만, 샤르칼리샤리 자신이 스스로를 신으로 기록하게 한 문서는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았다.
[1]
웹사이트
CDLI-Archival View
https://cdli.ucla.ed[...]
샤르칼리샤리는 기원전 2217년경 아버지 나람신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그는 선왕이 확립한 아카드의 직접 통치 체제를 완성했다.[8] 그의 아내 투타사르리비시는 세 명의 집사 인장을 통해 왕비였음이 확인된다.[9]
나람신은 아들들을 지방 총독으로, 딸들을 고위 여사제로 임명하여 도시 국가들을 통제했다. 샤르칼리샤리도 이 체제를 계승했을 것으로 보이나, 자녀 유무나 지방 총독의 성격은 대부분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왕위 계승 전 니푸르 총독이었다는 주장이 있으며,[10][11] 그의 누이 투다나프숨이 니푸르의 고위 여사제로 임명된 기록으로 뒷받침된다.[12][13]
메소포타미아 통치자들은 주요 종교 유적지를 방문하는 "왕의 순행" 전통이 있었다. 샤르칼리샤리는 통치 초기에 최소 6개월간 수메르로 왕의 행차를 했으며, 움마, 자발라, 이신, 기르수, 니푸르 등의 도시를 방문하여 왕실 선물을 배포하고 잔치를 열었다.[14] 최소 5명의 장군(사기나)이 동행하여 군사적 위엄을 과시했다.[15]
샤르칼리샤리 치하의 아답 총독은 루갈-기스였으며, 그의 후임자는 우르-투르였다.[8] 라가시의 총독 루갈-우슈움갈은 나람신과 샤르칼리샤리의 봉신( 아라드|aradakk , "하인" 또는 "노예")으로, 여러 비문을 통해 알려져 있다.[16][17] 루갈-우슈움갈의 후임자 푸제르-마마는 샤르칼리샤리 사후 라가시의 통치자를 자처하며 라가시 제2왕조를 시작했다.[19][20][21]
샤르칼리샤리는 최고신 엔릴의 에쿠르 사원을 유지하고,[22]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의 근원을 방문한 후 니푸르에서 엔릴에게 의례적인 물건을 바쳤다.[25] 또한 바빌론에서 안니니툼과 일라바에게 새로운 사원을 지었다.[26]
그의 통치는 비교적 평화로웠으나, 마르투와 구티족 등 유목민 집단과의 충돌, 엘람족과의 갈등이 있었다.[27] 당시 경제는 상당한 수준의 번영을 나타냈다.[28][29][30] 구티족은 세력이 커져 아답을 수도로 삼았지만, 아카드에 대한 봉신이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샤르칼리샤리의 비문에는 광범위한 반란을 극복했다는 내용이 있지만,[24] 이는 아버지 나람신의 대반란과 혼동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수메르 왕 목록에 따르면, 기원전 2193년경 샤르칼리샤리 사후, 이 지역은 무정부 상태에 빠졌다.[31]
나람 신의 아들이자 후계자였지만, 스스로를 신격화한 아버지와 달리 샤르칼리샤리는 신격화를 하지 않았다. 신하들의 문서에는 그를 신으로 여기는 기록이 있지만, 샤르칼리샤리 자신이 스스로를 신으로 기록하게 한 문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는 아무르인, 후르리인, 구티인 등 이민족의 침입에 대응해야 했다. 서쪽 도시 바살에서 아무르인을 격파하고, 구티인의 왕 샤라크을 물리치는 등 제국 유지를 위해 노력했다.
특히 구티인의 침입은 심각하여, 농장주에게 구티인의 습격 시 가축을 도시 안으로 들이라는 지시가 담긴 서한도 남아 있다. 수메르 여러 도시에서 반란이 발생하고 라가쉬와 엘람이 독립하는 등, 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카드 왕조는 쇠퇴했다.
결국 그는 점토판에 맞아 암살당했고, 아카드 제국은 붕괴하여 아카드 시 주변만 지배하게 되었다. 구티 왕조가 메소포타미아에서 세력을 뻗치는 혼란의 시대가 도래했다.
수메르 왕명표는 그의 뒤를 "'''누가 왕이었고, 누가 왕이 아니었는가'''"라는 말로 이어, 무정부 상태에 빠졌음을 시사하고 있다.
3. 연대기 이름
4. 평가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아무르인, 후르리인, 구티인 등 이민족이 제국 각지에 침입하여, 이에 대응해야 했다. 그는 서쪽 도시 바살(현재: 제벨 비셰리)에서 아무르인과 싸워 승리했고, 구티인의 왕 샤라크를 격파하는 등 제국 유지를 위해 노력했다.
특히 구티인의 침입은 심각한 문제였다. 당시 농장주가 구티인의 습격에 대비해 가축을 도시 안으로 들이라는 지시가 적힌 서한이 남아있을 정도였다. 수메르 여러 도시에서도 반란이 발생하여 라가쉬와 엘람이 독립하는 등 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카드 왕조는 쇠퇴의 길을 걸었다.
결국 그는 점토판에 맞아 암살당했고, 아카드 제국은 붕괴하여 그 지배력이 아카드 시 주변으로 축소되었다. 이후 구티 왕조가 메소포타미아에서 세력을 확장하는 혼란의 시대가 도래했다.
수메르 왕명표는 그의 죽음 이후 "'''누가 왕이었고, 누가 왕이 아니었는가'''"라는 말로 무정부 상태가 도래했음을 시사하고 있다.
참조
[2]
웹사이트
Cylinder Seal of Ibni-Sharrum
https://collections.[...]
[3]
문서
The Makers of Civilization
1968
[4]
간행물
Shar-gani-sharri, King of Akkad.
1908
[5]
간행물
'Review of: The Civilization of Babylonia and Assyria by Morris Jastrow, Jr.'
1917-04
[6]
서적
'The Divine Rulers of Akkade and Ur: Toward a Definition of the Deification of Kings in Babylonia'
De Gruyter
2017
[7]
간행물
Encore la Dynastie d'Agadé
1912
[8]
문서
The palace of Adab during the Sargonic period
https://digital.csic[...]
Harrassowitz
2019
[9]
서적
Early Near Eastern Seals in the Yale Babylonian Collection
1981
[10]
간행물
Nippur: New Perspectives
1977
[11]
간행물
Tudanapšum, Naram-Sin and Nippur
1981
[12]
서적
A Tale of Twin Cities: Archaeology and the Sumerian King List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15
[13]
서적
EN-Priestess: Pawn or Power Mogul?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12
[14]
간행물
When the King Came Down to Sumer: The Royal Sojourn of Sar-Kali-Sarre and the Court of Akkad
2019
[15]
서적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in the Sargonic Period
Sargon srl.
1993
[16]
서적
L’art d’Agadé au Musée du Louvre
Éditions des Musées Nationaux
1976
[17]
문서
Seal of Lugal-ushumgal at CDLI (RT 165)
https://cdli.ucla.ed[...]
[18]
문서
Seal of Lugalushumgal at CDLI (RT 162)
https://cdli.ucla.ed[...]
[19]
간행물
Some notes on the Akkadian glyptic from Tell Brak
2001
[20]
서적
Lagaš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Incorporated
1993
[21]
문서
Puzur-Mama und die Reise des Königs
1992
[22]
간행물
Akkad Dynasty Inscriptions from Nippur
1968
[23]
문서
'Nippur I, Temple of Enlil, Scribal Quarter, and Soundings: Excavations of the Joint Expedition to Nippur of the University Museum of Philadelphia and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http://oi.uchicago.e[...]
1967
[24]
서적
Akka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3
[25]
서적
Die altakkadischen Königsinschriften des dritten Jahrtausends v. Chr
Franz Steiner
1990
[26]
서적
Babylon: Origins
De Gruyter
2011
[27]
문서
Recherches sur Torigine de Tecriture cuneiformes
1898
[28]
서적
The “Šuilišu Archive” and Other Sargonic Texts in Akkadian
CDL Press
2015
[29]
서적
Akkadian of the Me-ság Archive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12
[30]
간행물
New Light on the ‘Mu-Iti’ Texts
1979
[31]
간행물
The Weapon of Blood: Politics and Intrigue at the Decline of Akkad
2018
[32]
웹사이트
Year Names
http://cdli.ox.ac.uk[...]
[33]
문서
Notes on Sargonic royal progress
https://janes.schola[...]
1980
[34]
서적
House Most High. The temples of ancient Mesopotamia
1993
[35]
서적
Les nomades en Misopotamie au temps des rois de Mari
Societ d'edition "Les Belles Lettres
1957
[36]
웹사이트
Year Names of Sharkalisharri [CDLI Wiki]
http://cdli.ox.ac.uk[...]
[37]
논문
Akkad Dynasty Inscriptions from Nippu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