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카드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존재했던 도시이자, 도시를 중심으로 형성된 제국을 지칭한다. 아카드는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의 지역을 중심으로 수메르 문명을 정복하며 번성했으며, 셈어족의 아카드어를 사용했다. 사르곤 1세에 의해 건국된 아카드 제국은 나람신 시대에 최대 영토를 확장했으나, 이후 쇠퇴하여 기원전 2083년경 구티인에 의해 멸망했다. 이후 바빌로니아 시대에 아카드어는 바빌로니아의 언어가 되었으며, 아케메네스 제국에 정복될 때까지 그 이름이 유지되었다. 아카드 도시의 정확한 위치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티그리스 강 유역, 키쉬 인근 등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반트 - 시리아 (지역)
시리아는 루위어에서 유래하여 고대 그리스에서 아시리아를 지칭했으며, 역사적으로 키질이르마크 강에서 이집트까지, 또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 지중해 동쪽, 유프라테스 강 서쪽, 아라비아 사막 북쪽, 타우루스 산맥 남쪽을 포함하는 지역을 의미했고, 현재는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터키 남부 일부를 포함하며 '샴'이라고도 불리는, 다양한 민족과 종교, 아브라함계 종교 관련 유적지가 많은 지역이다. - 레반트 - 팔레스타인 (지역)
팔레스타인(지역)은 역사, 지리, 정치적 맥락에 따라 다양한 범위를 지칭하는 용어로, 넓게는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자치구, 요르단, 레바논, 시리아의 일부를 포괄하며, 좁게는 요르단 강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 더 좁게는 국제사법재판소가 "점령된 팔레스타인 지역"이라고 명명한 지역을 가리킨다. - 아카드 - 누지
누지는 현재 이라크 요르간 테페에 위치한 고대 도시 유적으로, 기원전 3천 년기부터 존재했으며 아카드 제국 시대에는 가수르로 번성했고, 후리족에 의해 누지로 개명되었으며, 발굴을 통해 다양한 유물과 4,000여 점의 설형 문자 점토판, 그리고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지도가 발견되었다. - 아카드 - 사르곤
사르곤은 기원전 24세기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아카드 제국을 건설하고 수메르를 통일한 인물로, 다양한 기록과 전설을 통해 알려져 있으며, 34개의 도시를 통합하고 후대 왕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이라크의 유적 - 바빌론
바빌론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국가이자 여러 왕조의 수도로, 함무라비 법전과 네부카드네자르 2세 시대의 번영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문명의 흔적을 간직한 채 현재 이라크에 위치, 201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고, 문화적, 종교적 상징성이 커 현대 예술 및 대중문화에서도 중요한 모티프로 사용된다. - 이라크의 유적 - 키시
키시는 기원전 6천년경부터 사람이 거주한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도시로, 수메르 문명의 중심지이자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배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도시이며, 여러 왕조를 거쳐 번영과 쇠퇴를 반복하다 사산조 시대에 폐기되었다.
아카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아가데 |
로마자 표기 | Akkad |
아카드어 표기 | 𒀀𒂵𒉈𒆠 (akkadê) |
수메르어 표기 | 𒌵𒆠 (Uri𒆠) |
히브리어 표기 | אַכַּד (ʾakkad) |
역사 | |
위치 | 메소포타미아 |
국가 | 아카드 제국 |
중요성 | 사르곤 왕조의 수도 |
고고학적 정보 | |
위치 추정 | 이라크 |
위치 좌표 | 북위 33도 6분, 동경 44도 6분 (추정) |
기타 | |
관련 문서 | 아카드 (지역) |
2. 지도
학자들은 아시리아학 초창기부터 아카드 도시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제안된 위치는 기본적으로 두 지역으로 나뉜다.
# 티그리스강과 디알라강이 합류하는 지점 근처 (현대 도시 바그다드의 상당 부분이 이 지역에 해당)
# 티그리스강과 아드헤임강(이후 라다누로 알려짐)이 합류하는 지점, 사마라 남쪽[32]
아카드 도시 위치에 대한 거의 모든 제안은 티그리스강을 기반으로 한다. 문제는 사마라 남쪽의 티그리스강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둑을 이동해 왔고, 그 역사적 경로가 미지수라는 점이다. 이는 아카드 도시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복잡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티그리스강이나 유프라테스강이 이동했을 때처럼 그 위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했을 가능성을 열어둔다.[33]
쿠두루에 따르면, 카시트 통치자 마르두크나딘아헤(기원전 1095–1078년)와 이신 제2왕조 통치자 네부카드네자르 1세(기원전 1121–1100년) 통치 기간 동안 아카드는 2천 년기 중 어느 시점에 이름을 바꿨을 가능성이 있다. 쿠두루는 새로운 이름이 "밀리쿠 지구의 니시가티강 강변에 있는" 두르-샤루-킨이었다고 제안한다. 이는 기원전 8세기에 신아시리아인들이 건설한 두르샤루킨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가장 유력한 장소는 두르-샤루킨에서 북쪽으로 9km 떨어진 두르-리무시(신 아다드의 숭배 중심지, 텔 엘-므젤라트)일 것이다.[34]
이란에서 발원하여 이라크 쿠르디스탄 지역의 알 자브 바로 남쪽에서 티그리스강과 합류하는 리틀 자브강 유역도 제안되었다.[35]
키쉬에서 북서쪽으로 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이샨 미지야드(텔 미지야드)는 크고(1,000m x 600m) 낮은 유적으로, 바빌론에서 동북동쪽으로 15km 떨어져 있으며 아가데의 위치로 제안되었다.[36][37]
멜리-시팍 2세의 마르두크-아플라-이디나 1세에게 하사한 토지 증서(기원전 1186–1172년)에 따르면 수혜자는 비트-피리-아무르의 나르 사리(왕의 운하)에 인접한 타마쿠 정착지 주변, "이스타르-아가데의 땅" 북쪽, 키바티 운하 동쪽에 위치한 아가데 도시의 공동 토지에 경작지를 하사받았다.[44]
구 바빌로니아 시대의 마리에서 온 여정에 따르면 아카데는 에쉬눈나로 가는 길에 있는 시파르(시파르와 시파르-아므나눔)와 카파자(투투브) 사이에 위치하며, 티그리스강과 그 지류인 디알라강이 만나는 지점 근처의 바그다드 바로 하류에 위치한다. 마리 문서에 따르면 아카드는 강을 건너는 지점에 위치해 있다.[45]
텔 무함마드(아마도 디니크툼)는 티그리스강과 디알라강이 합류하는 지점 근처의 바그다드 남동쪽 교외에 위치하며, 아카드의 위치 후보로 제안되었다.[52]
2. 1. 주요 도시 및 제국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를 중심으로 번성했으며, 수메르 문명을 정복하고 셈어족으로 분류되는 아카드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정착한 곳이 아카드이다.제국 및 도시 | 설명 |
---|---|
수메르 | 우루크, 우르, 에리두, 키시, 라가시, 니푸르 등 초기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중심지였다. |
아카드 제국 | 아카드, 바빌론, 이신, 수사 등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
아시리아 | 아수르, 니네베, 두르샤루킨, 님루드 등 주요 도시들을 중심으로 후기 메소포타미아의 강력한 제국이었다. |
바빌로니아 | 바빌론을 중심으로 한 메소포타미아 남부 지역의 제국이었다. |
2. 1. 1. 수메르
우루크, 우르, 에리두, 키시, 라가시, 니푸르는 초기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중심지였다.[1]2. 1. 2. 아카드 제국

기원전 2300년경 사르곤이 등장하기 전까지, 아카드어로 쓰인 아카드에 관한 기록은 없었다. 전통적으로 사르곤은 아카드와 수메르 통일 제국의 첫 번째 지배자로 여겨지지만, 최근 학설은 이전 왕 루갈자게시 아래에서 수메르인의 팽창이 시작되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사르곤은 이러한 팽창을 더욱 추진하여 많은 지역을 정복했으며, 그가 세운 제국은 지중해나 아나톨리아 반도까지 이르렀다.[2]
사르곤이 창시한 아카드 제국은 그의 손자 나람신 시대까지 더욱 판도를 확대했지만, 각지에서 일어나는 반란에 계속 시달렸다. 나람신 시대에는 자신의 이름과 신을 나타내는 사인(sign)이라는 단어가 함께 쓰이기 시작했다. 즉, 왕권의 신격화가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나람신 사후, 아카드 제국의 지도력은 약화되고 각지의 세력이 자립해 나갔다. 그리고 기원전 2083년(저년대 설), 아카드시는 구티인의 왕조에 의해 점령, 파괴되었다.[2]
2. 1. 3. 아시리아
아수르, 니네베, 두르샤루킨, 님루드 등 주요 도시들을 중심으로, 후기 메소포타미아의 강력한 제국이었다.[1]2. 1. 4. 바빌로니아
바빌로니아는 바빌론을 중심으로 한 메소포타미아 남부 지역의 제국으로, 함무라비 법전으로 유명하다. 이후 바빌로니아는 수메르와 아카드를 합한 영역에서 정치적, 지리적으로 형성된 바빌로니아라는 개념으로 묶여 갔고, 아카드어가 바빌로니아의 언어가 되었다.후대의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 문학에서는 "아카드"와 "수메르"의 이름이 바빌로니아의 왕호의 일부로 나타난다.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이라는 뜻의 lugal Kengi (ki) Uru (ki) (비셈어) = sar mat Sumeri u Akkadi (아카드어) 왕호는 단순히 "바빌로니아 왕"을 의미한다.[1]
3. 위치
아카드 도시의 정확한 위치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학자들은 아시리아학 초창기부터 그 위치를 찾기 위해 노력해왔다.
티그리스강을 중심으로 여러 위치가 제안되었으나, 사마라 남쪽 티그리스강의 강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동하여 역사적 경로가 불분명하다는 문제가 있다.[33] 이는 아카드의 위치 비정을 복잡하게 할 뿐만 아니라, 도시 위치 자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했을 가능성도 제시한다.
여러 기록과 유적을 바탕으로 다양한 학설이 제기되고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쿠두루에 따르면, 마르두크나딘아헤(기원전 1095–1078년)와 네부카드네자르 1세(기원전 1121–1100년) 통치 기간에 아카드의 이름이 "밀리쿠 지구의 니시가티강 강변에 있는" 두르-샤루킨으로 바뀌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 두르-샤루킨은 기원전 8세기에 신아시리아인들이 건설한 두르-샤루킨과는 다른 곳이다.[34]
- 멜리-시팍 2세의 토지 증서(기원전 1186–1172년)에는 "이스타르-아가데의 땅" 북쪽, 키바티 운하 동쪽에 아가데 도시의 공동 토지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44]
- 림-아눔 시대(기원전 1800년경) 우루크 통치자는 아카드 출신 전쟁 포로들을 에쉬눈나 및 네레브툼 포로들과 함께 묶었다.[46] 이는 아카드가 디알라 계곡의 에쉬눈나 지역에 있었음을 시사한다.[47] 에쉬눈나 통치자들이 아카드에서 숭배 활동을 계속했다.[49]
- 짐리-림 시대(기원전 1775–1761년경) 텍스트에는 에쉬눈나가 안다리그의 아탐룸에게 정복된 후, 여가수가 마리로 송환되었다가 곧 아가데에 도착했다는 기록이 있다.[50][51]
- 신아시리아 제국 에사르하돈의 대리인 마르-이사르는 아카드에서 왕에게 보고서를 전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아카드와 니네베 사이 우편 기지 이름을 언급했다.[60]
3. 1. 티그리스 강 유역설
아카드의 위치에 대한 학자들의 탐구는 아시리아학 초창기부터 계속되었다. 제안된 위치는 크게 두 지역으로 나뉜다.대부분의 학설은 티그리스강을 기반으로 아카드의 위치를 추정한다. 그러나 사마라 남쪽 티그리스강 유역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해 왔고, 역사적 경로가 불분명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는 아카드의 위치 비정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유프라테스강처럼 도시 위치 자체가 이동했을 가능성도 제시한다.[33]
쿠두루에 따르면, 카시트 왕조의 마르두크나딘아헤(기원전 1095–1078년)와 이신 제2왕조의 네부카드네자르 1세(기원전 1121–1100년) 통치 기간에 아카드의 이름이 바뀌었을 가능성이 있다. 쿠두루는 새 이름이 "밀리쿠 지구 니시가티강 강변의 두르-샤루킨"이었다고 제안하지만, 이는 기원전 8세기 신아시리아인들이 건설한 두르-샤루킨과는 다른 곳이다.[34]
이란에서 발원하여 이라크 쿠르디스탄 지역의 알 자브 바로 남쪽에서 티그리스강과 합류하는 리틀 자브강 유역도 후보지로 제안되었다.[35]
구 바빌로니아 시대 마리에서 온 문서에 따르면, 아카데는 에쉬눈나로 가는 길목의 시파르(시파르와 시파르-아므나눔)와 카파자(투투브) 사이에 위치하며, 티그리스강과 디알라강 합류 지점 근처, 바그다드 바로 하류에 있었다. 마리 문서에는 아카드가 강을 건너는 지점에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45]
텔 무함마드(디니크툼으로 추정)는 티그리스강과 디알라강 합류 지점 근처 바그다드 남동쪽 교외에 위치하며, 아카드 위치 후보로 거론된다.[52]
엘 사남(혹은 마칸 엘 사남)은 카디시야(쿠드시아) 근처에 있으며, 이곳에서 발견된 고대 아카드 조각상 파편(대영 박물관 소장)을 근거로 아카드 위치로 제안되었다.[54] 이 지역은 티그리스강에 의해 부분 침식되었으며, 사마라와 티그리스강- 아드하임강 합류점 사이에 있다.[55][56]
3. 2. 키쉬 인근설
키쉬에서 북서쪽으로 5 km 떨어진 이샨 미지야드(텔 미지야드) 유적이 아가데의 위치로 제안되었다.[36][37] 이 유적은 1,000m x 600m 크기의 낮은 형태로, 바빌론에서 동북동쪽으로 15km 떨어져 있다.이샨 미지야드에서는 아카드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는데, 여기에는 약 200개의 고대 아카드 행정 텍스트(주로 노동자 명단)와 우르 III 시대의 설형 문자판 기록 보관소가 포함된다.[38][4][39][40][41] 우르 III 시대, 이신-라르사 시대, 신바빌로니아 시대 유물도 발견되었다. 신바빌로니아 시대까지 키쉬에서 미지야드까지 운하가 이어졌다.[42][43]
3. 3. 기타 학설
티그리스강과 디알라강이 합류하는 지점 근처인 현대 도시 바그다드 일대와 티그리스강과 아드헤임강이 합류하는 사마라 남쪽 지역이 아카드의 유력한 후보지로 꼽힌다.[32] 그러나 티그리스강의 물줄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뀌었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를 특정하기 어렵다.[33]쿠두루에 따르면, 마르두크나딘아헤(기원전 1095–1078년)와 네부카드네자르 1세(기원전 1121–1100년) 통치 기간 동안 아카드의 이름이 바뀌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새로운 이름은 "밀리쿠 지구의 니시가티강 강변에 있는" 두르-샤루킨으로 추정된다. 이 두르-샤루킨은 기원전 8세기에 신아시리아인들이 건설한 두르-샤루킨과는 다른 곳이며, 가장 유력한 장소는 두르-샤루킨에서 북쪽으로 9km 떨어진 두르-리무시(텔 엘-므젤라트)일 것이다.[34]
리틀 자브강 유역도 후보지로 제안되었다.[35] 키쉬에서 북서쪽으로 5km 떨어진 이샨 미지야드(텔 미지야드)는 아카드 시대의 유물(약 200개의 고대 아카드 행정 텍스트, 주로 노동자 명단)이 발견되었지만, 우르 III 시대, 이신-라르사 시대, 신바빌로니아 시대 유물이 주를 이룬다.[36][37][38][4][39][40][41]
멜리-시팍 2세의 토지 증서(기원전 1186–1172년)에는 수혜자가 "이스타르-아가데의 땅" 북쪽, 키바티 운하 동쪽에 위치한 아가데 도시의 공동 토지에 경작지를 하사받았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44]
구 바빌로니아 시대 마리의 여정에 따르면 아카데는 에쉬눈나로 가는 길에 있는 시파르와 카파자(투투브) 사이에 위치하며, 티그리스강과 디알라강이 만나는 지점 근처의 바그다드 바로 하류에 있다.[45]
림-아눔 시대(기원전 1800년경) 우루크의 통치자는 아카드 출신 전쟁 포로들을 에쉬눈나 및 네레브툼의 포로들과 함께 묶었다.[46] 이는 아카드가 디알라 계곡의 에쉬눈나 지역에 있었음을 시사한다.[47] 에쉬눈나 통치자들이 아카드에서 숭배 활동을 계속했다는 사실도 알려져 있다.[49]
짐리-림 시대(기원전 1775–1761년경)의 텍스트는 에쉬눈나에서 멀지 않은 곳을 가리킨다. 에쉬눈나가 안다리그의 아탐룸에게 정복된 후, 여가수 후슈툼은 마리로 송환되었다가 곧 아가데에 도착했다는 기록이 있다.[50][51]
텔 무함마드는 바그다드 남동쪽 교외에 위치하며 아카드의 후보지로 제안되었으나,[52] 발굴 결과 아카드 제국 시대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고, 이신-라르사, 구 바빌로니아, 카시트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다.[53]
엘 사남에서는 고대 아카드 조각상의 기초 파편이 발견되었는데, 이 조각상은 리무시의 것으로 추정되며 원래 높이가 3m였을 것으로 보인다.[54][55][56]
신아시리아 제국의 통치자 에사르하돈의 대리인 마르-이사르는 아카드에서 왕에게 보고서를 전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아카드와 니네베 사이의 우편 기지 이름을 언급했다.[60]
4. 역사
기원전 2300년경 사르곤 1세 이전까지 아카드에 관해 아카드어로 쓰인 기록은 없었다. 전통적으로 사르곤이 아카드와 수메르 통일 제국의 첫 번째 지배자로 여겨지지만, 최근 학설은 이전 왕 루갈자게시 치하에서 수메르인의 팽창이 시작되었음을 시사한다. 사르곤은 이러한 팽창을 더욱 추진하여 많은 지역을 정복했고, 그가 세운 제국은 지중해나 아나톨리아 반도까지 이르렀다.
사르곤이 창시한 아카드 제국은 손자 나람신 시대까지 판도를 확대했지만, 각지에서 발발하는 반란에 계속 시달렸다. 나람신 시대에는 왕명과 신을 나타내는 단어가 함께 쓰이기 시작했는데, 이는 왕권의 신격화를 보여준다. 그러나 나람신 사후, 아카드 제국의 지도력은 쇠퇴하고 각지의 세력이 독립해 나갔다. 기원전 2083년(저년대 설), 아카드시는 구티인의 왕조에 의해 점령, 파괴되었다.
4. 1. 아카드 제국
기원전 2300년경 사르곤 1세 이전까지 아카드에 관해 아카드어로 쓰인 기록은 없었다. 전통적으로 사르곤이 아카드와 수메르 통일 제국의 첫 번째 지배자로 여겨지지만, 최근 학설은 이전 왕 루갈자게시 치하에서 수메르인의 팽창이 시작되었음을 시사한다. 사르곤은 이러한 팽창을 더욱 추진하여 많은 지역을 정복했고, 그가 세운 제국은 지중해나 아나톨리아 반도까지 이르렀다.
사르곤이 창시한 아카드 제국은 손자 나람신 시대까지 판도를 확대했지만, 각지에서 발발하는 반란에 계속 시달렸다. 나람신 시대에는 왕명과 신을 나타내는 단어가 함께 쓰이기 시작했는데, 이는 왕권의 신격화를 보여준다. 그러나 나람신 사후, 아카드 제국의 지도력은 쇠퇴하고 각지의 세력이 독립해 나갔다. 기원전 2083년(저년대 설), 아카드시는 구티인의 왕조에 의해 점령, 파괴되었다.[1]
4. 1. 1. 아카드 제국의 군주 목록
이후 우르 제3왕조가 되었다.
4. 2. 바빌로니아 시대
이후 바빌로니아는 수메르와 아카드를 합한 영역에서 정치적, 지리적으로 형성된 바빌로니아라는 개념으로 묶여 갔고, 아카드어가 바빌로니아의 언어가 되었다.후대의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 문학에서는 "아카드"와 "수메르"의 이름이 바빌로니아의 왕호의 일부로 나타난다.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을 뜻하는 왕호는 비셈어로는 'lugal Kengi (ki) Uru (ki)', 아카드어로는 'sar mat Sumeri u Akkadi'로 표기되었으며, 단순히 "바빌로니아 왕"을 의미한다.
4. 3. 페르시아 제국 시대
아카드라는 이름은 페르시아 제국에 정복될 때까지 이어졌다.5. 언어
아카드어는 셈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아카드 지역에 정착한 사람들이 사용했다. 이들은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를 중심으로 번성하며 수메르 문명을 정복했다.
5. 1. 아카드어
셈어족에 속하는 아카드어는 아카드 제국의 공용어였으며, 후대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에서도 사용되었다.6. 신화
(이전 출력이 원본 소스 부재로 인해 빈칸이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빈칸으로 출력합니다.)
참조
[1]
서적
Reallexikon der Assyriologie
W. de Gruyter
[2]
서적
Inanna, Lady of the Largest Heart. Poems by the Sumerian High Priestess Enheduanna
University of Texas Press
[3]
간행물
"Belet-šuhnir and Belet-terraban and Religious Activities of the Queen and the Concubine(s)"
De Gruyter
[4]
간행물
"The Old Akkadian Period: History and Culture"
Universitätsverlag Freiburg Schweiz
[5]
간행물
"Elam And Sumer In The Epigraphical Sourc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6]
논문
"Further Considerations On KišKI In The Ebla Texts"
[7]
서적
"Old Sumerian and Old Akkadian Texts in Philadelphia, Chiefly from Nippur"
Undena Publications
[8]
논문
"Assembling King and State: The Statues of Manishtushu and the Consolidation of Akkadian Kingship"
[9]
논문
"Bassetki Statue with an Old Akkadian Royal Inscription of Naram-Sin of Agade (2291-2255 BC)"
[10]
서적
The Sargonic and Gutian Periods (2334-2113)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1]
간행물
"The Divine Rulers of Akkade and Ur: Toward a Definition of the Deification of Kings in Babylonia"
De Gruyter
[12]
간행물
"Akkad à l’époque paleo- babylonienne"
PeWe
[13]
논문
"The Synchronism Assyria—Ešnunna—Babylon"
[14]
서적
"Archives royales de Mari1"
Impr. Nationale
[15]
논문
"Akkadian Terms for Streets and the Topography of Mesopotamian Cities"
[16]
웹사이트
Composite of Laws of Hammurabi at CDLI - RIME 4.03.06.add21 (P464358)
https://cdli.mpiwg-b[...]
[17]
웹사이트
Cuneiform Inscription Of Defeat Of Oman & Indus Valley - MS-2814 Schoyen Collection
https://www.schoyenc[...]
[18]
논문
"Notes on the Slave Names of Old Babylonian Sippar"
[19]
논문
"Kurigalzu I and the restoration of Babylonia"
[20]
논문
"Nabonidus and the history of the Eulmas temple at Akkad"
[21]
서적
"House Most High. The temples of ancient Mesopotamia"
[22]
논문
"New Inscriptions of Nabuna'id"
[23]
간행물
"How Tall Was Naram-Sîn’s Victory Stele? Speculation on the Broken Bottom"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4]
간행물
"City as Lofty as Heaven: Arbela and Other Cities in Neo-Assyrian Prophecy"
De Gruyter
[25]
간행물
"Ashurbanipal and Shamash-shum-ukin"
De Gruyter Mouton
[26]
간행물
"Natural Knowledge in Ancient Mesopotami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7]
논문
"BM 134701=1965-10-14,1 and the Hellenistic Period Eclipse ritual from Uruk"
[28]
서적
"Assyrian and Babylonian chronicles"
J. J. Augustin
[29]
서적
"Uncertain Dynastie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30]
간행물
"Appendix A. Cuneiform Texts"
Penn State University Press
[31]
간행물
"A selection from the miscellaneous inscriptions of Assyria and Babylonia"
[32]
웹사이트
"The Location of the Ancient City of Akkade: Review of Past Theories and Identification of Issues for Formulating a Specific Methodology for Searching Akkade"
https://kokushikan.r[...]
[33]
웹사이트
"GIS and Historical Geographical Analyses of the Reconstructed Ancient Course of the Tigris in the Northern Part of Southern Mesopotamia"
https://kokushikan.r[...]
[34]
웹사이트
"A New Kudurru of Maroduk-Nadin-Ahhe IM. 90585"
https://findit.libra[...]
[35]
웹사이트
"The city and area of Kish"
http://hdl.handle.ne[...]
[36]
논문
Kish, Akkad and Agade
1975
[37]
간행물
Akkad or Bab-Aya
1984
[38]
간행물
Excavations in Iraq, 1979–80
1981
[39]
간행물
The Ur III tablets from Ishan Mizyad
1989
[40]
간행물
Excavations in Iraq, 1981–82
1983
[41]
간행물
Clay Tablets from Tell Mizyad
1985
[42]
간행물
Orientalists Meet at Berkeley
1968
[43]
간행물
Economical Texts from Išān-Mazyad
Ghent
1991
[44]
서적
A New Boundary Stone of Nebuchadrezzar I from Nippur (BE IV)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Philadelphia
1907
[45]
서적
Babylonian and Assyrian: a history of Akkadian
https://eprints.soas[...]
British School of Archaeology in Iraq, London
2007
[46]
서적
A ‘Prisoner Text’ from Birmingham
Peeters Publishers. Publications de l'Institut du Proche-Orient Ancien du Collège de France
2019
[47]
서적
A 'Prisoner Text' from Birmingham
Leuven
2019
[48]
간행물
Les toponymes paléo-babyloniens de la Haute-Mésopotamie
Paris
2016
[49]
서적
Akkad à l’époque paleo- babylonienne
PeWe, Gladbeck
2014
[50]
서적
Warfare
Penn State University Press, University Park, USA
2015
[51]
학위논문
Come as you are, as you were, as I want you to be: A Study of Foreign Musicians in the Mari Archives
https://figshare.mq.[...]
Macquarie University
2022
[52]
간행물
An areal location of Agade
1990
[53]
간행물
Wandering Through Time: The Chronology Of Tell Mohammed
2011
[54]
간행물
A Journey from Baghdád to the Ruins of Opis, and the Median Wall, in 1834
https://archive.org/[...]
1841
[55]
간행물
Early monuments in Gulf stone at the British Museum, with observations on some Gudea statues and the location of Agade
2002
[56]
간행물
The Akkadian Royal Image: On a Seated Statue of Manishtushu
2015
[57]
서적
Narrative of a Residence in Koordistan &c, edited by his widow
https://archive.org/[...]
London
1836
[58]
서적
Babylonian Problems
https://archive.org/[...]
John Murray, London
1923
[59]
간행물
The 1986 Survey Season at Sāmarrā
1987
[60]
간행물
Royal pen pals: the kings of Assyria in correspondence with officials, clients and total strangers (8th and 7th centuries BC)
2015
[61]
기타
https://books.google[...]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