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샤이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이반은 몽골 제국의 유럽 침공에 참여하여 모히 전투에서 헝가리군에 피해를 입힌 몽골의 왕족이다. 루스 침공에도 참여하여 키예프 공방전을 승리로 이끌었으며, 이후 바투로부터 우랄산맥에서 시르 다리야강까지의 영토를 분봉받았다. 조치 울루스 북동부에 샤이반 울루스를 형성했으며, 그의 후손들은 킵차크 칸국 멸망 이후에도 살아남아 샤이반 왕조를 이루었다. 샤이반의 아들 발라가는 훌라구의 바그다드 점령에 협력했으나, 이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 제국 사람 - 테무게
    테무게는 칭기즈 칸의 동생으로 막내아들을 뜻하는 '옷치긴' 칭호를 받았으며, 초기 공을 세우고 몽골 본토를 지키며 세력을 키웠으나, 제위 찬탈 시도와 정치적 암투에 휘말려 몰락 후 사망했고, 그의 후손들은 요동 주변 지역을 다스리다 명나라에 투항하기도 했다.
  • 몽골 제국 사람 - 라시드웃딘
    라시드웃딘은 페르시아 유대인 가문 출신으로 일 칸국의 재상으로 활동하며 《자미 알타와리흐》를 저술했고, 몽골 제국사와 세계사, 의학서 등 다양한 저작 활동을 펼쳤으며, 특히 《집사》는 세계 주요 종족들의 역사를 담은 최초의 세계사로 평가받는다.
  • 킵차크 칸국 - 히바 칸국
    히바 칸국은 16세기 초에 건국되어 1920년까지 존속한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크 칸국으로, 초기 혼란과 수도 이전, 러시아 제국의 보호국 시기를 거쳐 소비에트 혁명으로 붕괴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와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킵차크 칸국 - 타타르의 멍에
    타타르의 멍에는 13세기 몽골 제국이 루스 지역을 지배한 약 200년간의 시기를 의미하며, 몽골군은 루스를 침략하여 킵차크 칸국을 세우고 간접 지배하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샤이반
인물 정보
이름시반
칭호
국가조치 울루스
몽골(시반 포함)과 헝가리 사이의 모히 전투 묘사, 13세기 삽화
모히 전투 (1241년) 묘사
출생알 수 없음
사망1248년
사망 장소유라시아
아버지조치 칸
자녀바하두르
살간
카다크
왕가보르지긴 가문
왕조몽골 제국
몽골어시반 (Шибан)
몽골어 (발음)/ˈɕib̥əɴ/
카자흐어시반 (Сибан)
영어 (발음)/ʃaɪˈbɑːn/
페르시아어شيْبان
페르시아어 (발음)/ʃæjˈbɒːn/

2. 생애

샤이반은 몽골 제국의 유럽 원정에 참여한 인물로, 모히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다. 아불 가지 바하두르에 따르면, 유럽 원정이 끝난 뒤 바투로부터 우랄산맥에서 시르 다리야 하류, 추강, 사리수강까지의 땅을 분봉받았다. 샤이반은 겨울에는 우랄강 유역, 여름에는 볼가강 유역에서 유목 생활을 했다. 오르다에게서 15,000호의 백성을 받아 자신의 분봉지에서 유목하게 했다.

이후 샤이반의 행적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그의 후손들은 킵차크 칸국이 멸망한 뒤에도 살아남았다. 샤이반은 12명의 아들을 두었는데, 이들의 이름은 바이날, 바하두르, 카닥, 발라가, 체릭, 메르겐, 쿠르투가, 아야치, 살리간, 베얀자르, 마자르, 쿤치이다.[8] 샤이반의 후손들은 샤이반 왕조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혈통을 이어받은 가문은 현재까지 남아있다. 샤이반의 아들 발라가 베그는 1258년 훌라구바그다드 점령을 도왔으나, 알 수 없는 이유로 사망했다.[9]

루브룩의 기욤에 따르면, 샤이반은 구육 칸과 싸우다 죽었다고 전해진다.

2. 1. 몽골 제국의 유럽 원정

샤이반은 몽골 제국의 유럽 침공에 참여하여 1241년 모히 전투에서 벨러 4세의 군대에 결정적인 공격을 가했다.[7] 1237년에는 바시키르인, 볼가 불가르인, 모르도바인에 대한 공격에 가담했고, 같은 해 겨울 키예프 루스에 도달하여 루스의 각 도시 공격을 시작했다. 샤이반은 잠시 노브고로드 방면으로 향한 후 스텝으로 물러나 서쪽 루트를 택한 군단에 속했다. 이 군단은 스몰렌스크 동쪽 30km 지점을 통과한 후, 후시치이슈를 거쳐 코젤스크 동쪽으로 이동했다. 1239년 말에는 보추크와 함께 크림 반도를 침공, 수다크(ru)를 함락시켰다.[7]

루스 원정 후반, 샤이반의 군대는 키예프 포위전에 참여하여 함락에 기여했다. 이후 바투, 수부타이가 이끄는 본대는 할리치-볼히니아 공국을 거쳐 서쪽으로 진격했으나, 샤이반은 할리치 함락 후 카다안이 지휘하는 남쪽 루트 군단에 합류했다. 두 갈래로 나뉜 몽골군은 카르파티아 산맥을 넘어 헝가리 왕국 동부에 도달했다. 이후 머히 전투, 바르슈타트 전투 등에서 승리했으나, 오고타이 황제 (카안)의 사망 소식을 듣고 동쪽으로 철수했다.[7]

중세에 묘사된 모히 전투

2. 2. 샤이반 울루스

샤이반은 몽골 제국의 유럽 침공에 참여하여 모히 전투에서 헝가리벨러 4세의 군대에 큰 피해를 입혔다.[7] 아불 가지 바하두르에 따르면, 이 원정이 끝난 뒤 바투는 샤이반에게 우랄산맥에서 시르 다리야 하류, 추강, 사리수강까지의 땅을 분봉했다.[7] 샤이반은 겨울에는 우랄강 유역에서, 여름에는 볼가강 유역에서 유목했다. 오르다는 샤이반에게 쿠치족, 나이만족, 카를룩족, 부이룩족으로 이루어진 15,000호를 주면서 오르다와 바투의 분봉지 사이에서 유목하는 것을 허락했다.[7] 따라서 샤이반의 분봉지는 바투와 오르다의 분봉지 사이, 즉 백장 한국의 북쪽이라고 볼 수 있다.

조치 울루스가 흥기하자, 샤이반은 조치 울루스의 북동부 (현재의 카자흐스탄 일부)를 영유하여 샤이반 울루스(ru)를 형성했다.

3. 후손

샤이반은 12명의 아들을 남겼다. 샤이반의 후손들은 샤이반 왕조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부계 혈통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샤이반의 아들들[8]
이름
바이날 또는 야살
바하두르
카닥
발라가 (불가이)
체릭 또는 제릭
메르겐 또는 수르한
쿠르투가 또는 쿨투가
아야치 또는 아바지
살리간 또는 사실탄
베얀자르 또는 바이카차르
마자르
쿤치 또는 쿠윈지



샤이반의 아들들 중 발라가 베그는 1258년에 훌라구바그다드를 점령하는데 협조했다.[9] 그러나 그는 알려지지 않은 이유로 죽었다. 루브룩의 기욤에 따르면, 그는 구육 칸과 싸우다 죽었다고 한다.

샤이반의 후손들은 킵차크 칸국이 무너진 뒤에도 살아남았다. 1359년 바투 칸의 혈통이 단절된 후 골든 호드의 왕위에 올랐으며, 시비르 칸국우즈베크 칸국과 같은 골든 호드의 후계 국가의 왕좌에도 올랐다. 샤이반의 후손 두 집단은 중앙아시아에 정착하여 트란스옥시아나 (후에 부하라)와 호레즘(나중에 히바) 칸국을 세웠다.

15세기에 중앙아시아에 흥기한 샤이바니 왕조의 시조인 아불-하이르 칸은 샤이반의 후손에 해당한다. 시반의 자손들에 의한 시반 울루스는 약 200년 동안 존속하며, 그 지역의 문화 및 민족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4. 이름의 유래

Y.A. 자예프의 설에 따르면, 시반(Shiban)이라는 이름은 튀르크 조어에서 사랑·충성을 의미하는 세베크 혹은 세벤에서 유래했다고 한다[6].

참조

[1] 서적 Abhulgazi
[2] 서적 Abhulgazi
[3] 서적 Golden Horde
[4] 웹사이트 The Mongol's besiege and capture Baghdad in 1258 http://www.deremilit[...]
[5] 서적 Материалы по истории казахских ханств XV—XVIII веков (Извлечения из персидских и тюркских сочинений) Наука 1969
[6] 논문 О формах этно-социальной организации народов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в древности и средневековье: Пестрая Орда, Сотня 1998
[7] 서적 Abhulgazi
[8] 서적 Abhulgazi, Golden Horde
[9] 웹인용 "The Mongol's besiege and capture Baghdad in 1258" De Re Militari: The Society for Medieval Military History http://www.deremilit[...] 2007-05-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