샹그릴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샹그릴라는 티베트어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소설 《잃어버린 지평선》에 등장하는 가상의 낙원을 의미한다. 소설 속 샹그릴라는 히말라야 산맥의 안개 낀 계곡에 위치한 사찰로 묘사되며, 외부와 단절된 지상 낙원, 동양의 무릉도원과 같은 이상향을 상징한다. 소설 출판 이후, 히말라야, 중국 윈난성, 파키스탄, 인도 등 여러 지역이 샹그릴라의 실제 모델로 거론되었으며, 관광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샹그릴라는 대통령 휴양지, 항공모함, 호텔 등의 명칭으로 사용되었으며, 대중문화 속에서 신비로운 낙원의 대명사로 널리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공의 아시아 나라 - 라퓨타
조너선 스위프트의 소설 《걸리버 여행기》에 나오는 하늘을 나는 섬 라퓨타는 특정 광물의 자력으로 비행하며, 이후 다양한 창작물에 영감을 주어 화성 위성 지형 이름이나 애니메이션 영화 제목 및 설정에 영향을 미쳤다. - 가공의 아시아 나라 - 릴리퍼트
조너선 스위프트의 소설 《걸리버 여행기》에 등장하는 가상 국가 릴리퍼트는 인간보다 훨씬 작은 사람들이 사는 나라로, 국왕은 걸리버에게 명령을 내리고 블레퍼스큐와 갈등을 겪는다. - 작품에서 유래한 단어 - 유토피아
유토피아는 토머스 모어가 처음 사용한 단어로, 이상적인 사회를 묘사하며 시대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어 왔고, 획일성과 인간 자유 억압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작품에서 유래한 단어 - 이중사고
이중사고는 조지 오웰의 소설 《1984》에서 제시된 개념으로, 모순된 두 신념을 동시에 가지며 수용하는 능력으로, 전체주의 국가에서 권력 유지를 위해 현실 인식을 조작하면서도 그 사실을 인지하는 사고방식을 의미한다.
샹그릴라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가상의 장소 |
위치 | 히말라야 산맥 |
등장 작품 | 잃어버린 지평선 |
창조 | |
창조자 | 제임스 힐튼 |
발표 연도 | 1933년 |
특징 | |
묘사 | 영원한 행복과 평화가 있는 유토피아적인 장소 |
묘사의 특징 | 외부 세계로부터 고립된 은둔적인 공동체 주민들은 비정상적으로 장수하며, 느리고 평화로운 생활방식을 가짐 고대 사원 또는 수도원 중심지 지상 낙원에 비유됨 |
문화적 영향 | |
일반적 사용 | 지구상의 낙원, 영원한 젊음과 행복을 위한 이상향 |
기타 영향 | 여러 책과 영화에 등장 관광 산업에 영향 |
관련 정보 | |
샤그릴라의 모티브 | 티베트 문화 샹그릴라현 캉딩 라다크 카슈미르 훈자 불교 |
추가 정보 | |
잃어버린 지평선 | 샹그릴라의 이야기는 제임스 힐튼의 1933년 소설 잃어버린 지평선에 처음 등장함 소설에서 샹그릴라는 히말라야의 외딴 지역에 위치한 이상향으로 묘사됨 소설 속 샹그릴라에 도착한 이들은 장수와 평화를 누리게 됨 샹그릴라는 이후 대중문화에 널리 알려짐 |
2. 어원
샹그릴라는 티베트의 샹(''ཞང་'', 창 지역의 한 지역으로 타실룬포 사원 북쪽)[13], “རི”(ri, 리, “산”이라는 뜻), “ལ”(라, “산의 고개”)에서 유래하여 “샹의 산 고개”를 의미한다.[14]
소설 속 샹그릴라는 히말라야 산맥 서쪽 끝, 쿤룬 산맥 쪽에 있는 카라칼이라는 8,500미터가 넘는 고봉 기슭의 안개 낀 계곡에 있는 사찰로 묘사된다. 샹그릴라에 사는 사람들은 보통 사람들보다 훨씬 오래 살며, 늙는 속도가 매우 느리다.[12]
3. 위치
3. 1. 현실에서의 위치
소설 발표 이후, 여러 지역이 샹그릴라의 실제 모델로 거론되었다. 북인도와 티베트 사이 히말라야 산맥의 여러 곳이 소설 속 장소로 주장되었으며, 주로 관광객 유치 목적이었다. 중국 윈난성 중뎬(中甸)은 2001년 샹그릴라로 개명되어 국제적인 관광도시로 개발되고 있다. 파키스탄 북부, 인도 북부, 중국 서부(특히 티베트와 히말라야 고원)에서 '샹그릴라'라는 이름이 관광용으로 자주 사용된다.
1936년 ''뉴욕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힐튼은 샹그릴라에 티베트 문화와 불교적 영감을 주기 위해 영국 박물관의 티베트 자료, 특히 프랑스 사제 에바리스트 레지 휫과 조셉 가베의 여행기를 사용했다고 말했다. 휫과 가베는 1844년부터 1846년까지 베이징과 라싸를 왕복 여행했는데, 그 경로는 윈난성에서 북쪽으로 250km 이상 떨어져 있었다.[4][5][6][7] 힐튼은 소설 출판 전 쿤룬 산맥 남쪽 훈자 계곡을 방문했으며, 이곳이 샹그릴라의 물리적 묘사에 영감을 준 것으로 추정된다.[9]
4. 샹그릴라와 유사한 개념
중국 진나라 때 사람인 도잠의 《도화원기》에는 샹그릴라와 비슷한 무릉도원에 관한 이야기가 나온다.[12] 티베트 고대 경전에는 "Nghe-Beyul Khimpalung"이라는 샹그릴라와 같은 성지가 7곳 등장하는데, 그중 하나는 네팔 오지의 마칼루 산기슭 Makalu-Barun 국립공원 근처에 있다고 한다.[12] 샹그릴라는 샹발라와 함께 전설과 종교에서 유토피아로 여겨진다.
5. 소설 속 샹그릴라
18세기 초 펠로라는 이름의 선교사가 세운 사찰이었으나, 이후 티베트 불교 승려들이 모여 도서관, 중앙 난방 등 최신 시설을 갖추고 세계 각국의 지식을 수집하는 연구의 장이 되었다.[12] 샹그릴라는 히말라야 산맥의 서쪽 끝을 쿤룬 산맥 쪽으로 향한 즈음에 있는 카라칼(Karakal)이라는 이름의 8,500미터가 넘는 고봉의 산기슭, 안개가 자욱한 조화로 가득 찬 계곡에 있는 사찰이다. 샹그릴라에 사는 사람들은 보통 사람들보다 훨씬 오래 살며, 늙는 속도가 매우 느리다.
이 소설에 의해 "샹그릴라"라는 단어는 유명해졌고, 1930년대 후반 이후, 히말라야 오지의 신비로운 영원한 낙원, 외부 세계와 단절된 지상 낙원과 같은 의미의 단어가 되었다. 동양의 무릉도원과 함께 이상향의 대명사가 되어 동양(오리엔트)에 대한 이국 정서를 자극하는 단어가 되었다. 또한 신비주의의 총본산으로 인식되어 지구 중심에 있는 이상향 중 하나인 아갈타의 수도와 통한다고도 한다.
6. 대중문화 속 샹그릴라
1933년 소설이 발표되고 영화로도 만들어지면서, 나치는 고대 북유럽인종의 기원을 찾는 일과 관련하여 샹그릴라에 관심을 보였다. 1938년 에른스트 섀퍼를 단장으로 조사단을 파견하기도 했다.
1942년 미국의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지금은 캠프 데이비드로 불리는 대통령 휴양지를 샹그릴라로 명명했다. 그 해 4월, 항공모함 호넷호에서 발진한 미국의 폭격기가 일본의 주요 도시를 공격하였는데, 당시 항공 기술수준으로 일본은 미 본토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이었기 때문에 일본을 폭격한 폭격기가 어디서 출발했는지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했다. 루스벨트는 그 질문에 샹그릴라에서 날아갔다고 답했고, 이에 맞춰 에식스급 항공모함 20번함에 샹그릴라(USS Shangri-La)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1937년 텍사스의 자선가 루처 스타크는 텍사스주 오렌지에 샹그릴라를 지었다. 사이프러스 택지를 따라 진달래가 아름답게 피어있는 정원을 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방문했고, 정원에 관한 잡지들이 사진을 출판했다. 1958년 강한 폭풍이 동부 텍사스를 강타하여 진달래를 망가뜨려 정원은 영영 문을 닫았다.
수많은 카페, 음식점 등이 샹그릴라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호텔로는 '''샹그릴라 호텔'''(Shangri-La Hotels and Resorts, 홍콩에 본사를 둔 호텔 체인, 1971년 싱가포르에서 시작하여 전 세계 주요 도시에 55개의 호텔을 보유)이 유명하다.
1936년 ''뉴욕 타임스'' 인터뷰에서 힐튼은 샹그릴라에 티베트 문화와 불교적 영감을 주기 위해 영국 박물관의 "티베트 자료", 특히 프랑스 사제 에바리스트 레지 휫과 조셉 가베의 여행기를 사용했다고 말했다.[4][5] 휫과 가베는 1844년부터 1846년까지 베이징과 라싸를 왕복 여행했는데, 그 경로는 윈난성 북쪽으로 250km 이상 떨어져 있었다. 그들의 여행기는 1850년 프랑스어로 처음 출판되었고,[6] 여러 언어로 많은 판본이 출판되었다.[7] 영국에서는 1928년에 "축약 번역본"이 출판되었다.[8]
힐튼은 『잃어버린 지평선』 출판 몇 년 전 길기트-발티스탄의 훈자 계곡을 방문했다. 중국-파키스탄 국경 근처의 고립된 녹색 계곡은 히말라야 서쪽 끝에 있으며, 소설 속 묘사와 매우 유사하여 힐튼의 샹그릴라에 대한 물리적 묘사에 영감을 준 것으로 여겨진다.[9]
오늘날, 중국 남서부 윈난성 북서부 캄 지역 일부와 중디엔 현 등 관광지들이 샹그릴라라는 이름을 주장한다. 2001년 윈난성 북서부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의 중디엔 현은 공식적으로 상그릴라로 개명되었다. 중국어로는 "香格里拉"(샹거리라), 티베트어로는 "སེམས་ཀྱི་ཉི་ཟླ།", 인도에서는 "ज्ञानगंज"[gyanganj]로 알려져 있다.
미국 탐험가 테드 베일과 피터 클리카는 1999년 중국 쓰촨성 남부 무리 티베트 자치현 지역을 방문하여, 이 외딴 지역의 무리 사원이 제임스 힐튼의 샹그릴라 모델이라고 주장했다. 그들은 힐튼이 1920년대 후반과 1930년대 초 오스트리아계 미국인 탐험가 조셉 록이 쓴 ''내셔널 지오그래픽'' 잡지 기사를 통해 이 지역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고 생각했다.[10] 베일은 그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영화 "샹그릴라를 찾아서"를 완성했고, 2007년 칸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그러나 마이클 맥크레이는 희귀한 제임스 힐튼 인터뷰를 ''뉴욕 타임스'' 소문 칼럼에서 발견했는데, 그는 샹그릴라의 문화적 영감이 있다면 무리에서 북쪽으로 250km 이상 떨어진 헉과 가베가 여행했던 길에 있다고 밝혔다.[4][5]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작가이자 영화 제작자인 로렌스 브람이 중국 서부에서 일련의 탐험을 이끌었다. 이 탐험을 통해 힐튼의 책 ''잃어버린 지평선''에 나오는 신화적인 장소 샹그릴라가 ''내셔널 지오그래픽'' 최초 상주 탐험가 조셉 록이 발표한 기사에서 언급된 중국 윈난성 남부를 바탕으로 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11]
2010년 12월 2일, OPB는 마틴 얀의 ''숨겨진 중국'' 에피소드 중 하나인 "샹그릴라의 삶"을 방영했다. 여기서 얀은 "샹그릴라"가 중국 남서부 윈난성의 구릉지대에 있는 실제 도시 샹그릴라 현의 이름이라고 말했다. 이곳은 한족과 티베트인 모두가 자주 찾는 곳이다. 마틴 얀은 공예품 가게와 현지 농부들을 방문하여 농작물 수확 모습을 보고 음식을 맛보았다. 그러나 이 도시는 원래 샹그릴라라는 이름이 아니었고, 관광객을 늘리기 위해 2001년에 이름이 바뀌었다.
BBC 다큐멘터리 시리즈 ''신화와 영웅을 찾아서''의 "샹그릴라" 에피소드에서 텔레비전 진행자이자 역사가인 마이클 우드는 전설적인 샹그릴라가 버려진 도시 차파랑일 수 있으며, 두 개의 큰 사원이 한때 현대 티베트 구게 왕국의 왕들 본거지였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트래블 채널은 2016년에 ''미지의 탐험'' 두 에피소드를 방영했다. 여기서 진행자 조쉬 게이츠는 네팔 로만탕과 그 주변 지역, 특히 무스탕 동굴을 찾아 샹그릴라를 찾았다. 그의 발견은 샹그릴라가 실제로 존재했거나 존재한다는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
이 소설로 "샹그릴라"라는 단어는 유명해졌고, 1930년대 후반 이후 히말라야 오지의 신비로운 영원한 낙원, 외부 세계와 단절된 지상 낙원 같은 의미가 되었다. 동양의 무릉도원과 함께 이상향의 대명사가 되어 동양에 대한 이국 정서를 자극하는 단어가 되었다.
참조
[1]
서적
Lost Horizon
http://gutenberg.net[...]
Macmillan
2022-11-20
[2]
서적
The Makalu-Barun National Park & Buffer Zone Brochure
Makalu-Barun National Park
[3]
서적
[4]
서적
The Siege of Shangri-La: The Quest for Tibet's Sacred Hidden Paradise
Broadway Books
[5]
뉴스
Film gossip of the week
https://www.nytimes.[...]
1936-07-26
[6]
간행물
Souvenirs d'un Voyage dans la Tartarie, le Thibet, et la Chine pendant les Années 1844, 1845, et 1846
https://archive.org/[...]
Adrien le Clere & Co
1850
[7]
논문
A selective survey of literature on Tibet
[8]
간행물
Travels in Tartary, Thibet, and China during the Years 1844–5–6
https://archive.org/[...]
National Illustrated Library
1852
[9]
뉴스
Shangri-la Valley
http://www.atp.com.p[...]
Adventure Tours Pakistan
2006-06-20
[10]
뉴스
Could This Be the Way to Shangri-La?
https://www.telegrap[...]
Electronic Telegraph
2002-07-29
[11]
영화
Shambhala Sutrah
[12]
서적
The Makalu-Barun National Park & Buffer Zone Brochure
MBNP
2009-07
[13]
서적
Tibetan English Dictionary
[14]
웹사이트
シャングリラ
https://kotobank.jp/[...]
2015-04-04
[15]
웹사이트
云南香格里拉的召唤
http://www.yfao.gov.[...]
云南省人民政府外事办公室
2006-04-2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