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칭 티베트족 자치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는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 북서부에 위치한 자치주이다. 당나라 시대 토번의 지배를 받다가 대리국, 량왕국 등을 거쳐 청나라 시기 윈난성에 편입되었다. 1956년에 자치주가 성립되었으며, 2001년 주도는 샹그릴라시로 개칭되었다. 지리적으로는 티베트 고원이 남쪽으로 뻗어 있고, 횡단산맥이 남북으로 뻗어 있으며, 메이리 설산, 금사강, 메콩강 등이 위치한다. 2020년 기준 티베트족, 리수족, 한족 등이 거주하며, 샹그릴라시, 더친현, 웨이시 리수족 자치현으로 구성된다. 디칭 샹그릴라 공항이 있으며, 리장-샹그릴라 철도가 건설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윈난성의 자치주 -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는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에 위치하며 미얀마와 국경을 접하고, 1956년에 자치주로 승격되었고,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커피 재배가 활발하다. - 윈난성의 자치주 - 추슝 이족 자치주
추슝 이족 자치주는 중국 윈난성 서부의 윈구이고원과 뎬중고원에 걸쳐 있는 자치주로, 산악 지형이 대부분이며 이족이 다수를 차지하고 농업과 광업이 주요 산업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족 자치지방 -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는 쓰촨성 서북부에 위치하여 칭하이성, 간쑤성과 접경하고 민산 산맥과 양쯔강, 황허강 발원지를 포함하는 암도 티베트 문화권 지역으로,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관광업, 수력 발전, 광업이 주요 산업이고 주자이거우, 황룽 등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족 자치지방 -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는 칭하이성 서부에 위치하며 티베트고원 북부의 차이다무 분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민족(한족, 티베트족, 몽골족, 후이족 등)이 거주하는 자치주로, 3개의 현급시, 3개의 현, 1개의 행정위원회를 관할하며 차카 염호와 칭하이-티베트 철도가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춘시
창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성도로, 부여의 수도였고 만주국의 수도 신징으로 불렸으며, 현재 자동차, 영화 산업 등의 중심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자딩구
자딩구는 상하이시의 시할구로, 1218년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면적은 약 463.9km²이며, 자동차 산업과 F1 중국 그랑프리가 열리는 곳이다.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중국어 간체) | 迪庆藏族自治州 |
이름 (중국어 정체) | 迪慶藏族自治州 |
로마자 표기 (병음) | Díqìng Zàngzú Zìzhìzhōu |
가나 표기 | 디ー칭ツァンツーズーチーヂョー |
티베트어 | བདེ་ཆེན་བོད་རིགས་རང་སྐྱོང་ཁུལ་ |
티베트어 (와일리) | bde-chen bod-rigs rang-skyong khul |
티베트어 (티베트어 병음) | Dêqên Poirig Ranggyong Kü |
의미 | 길조로운 곳 |
![]() | |
위치 | 중국 윈난성 |
![]() | |
약칭 | 雲R (윈R) |
웹사이트 |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 정부 웹사이트 |
행정 | |
구분 | 자치주 |
소재지 | 샹그릴라 시 |
CCP 서기 | 구 쿤 |
인민대표대회 주임 | 구 쿤 |
성장 | 치 젠신 |
CPPCC 주석 | 두 용춘 |
설치 | 1956년 |
지리 | |
면적 | 23,185.59 km² |
지역 번호 | 887 |
우편 번호 | 674400 |
인구 통계 | |
인구 (2010년) | 400,182 명 |
주요 민족 | 티베트족 (33.12%) 리수족 (27.78%) 한족 (16.39%) 나시족 (12.81%) 바이족 (5.14%) 이족 (3.29%) 후이족 (0.42%) 부이족 (0.42%) |
경제 | |
GDP | zh-cn |
2. 역사
당대에 토번이 이 지역에 신천도독(神川都督)을 설치하고 남조와 연계를 꾀했다. 이후 토번이 쇠퇴하자 대리국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대리국이 몽골 제국의 쿠빌라이에게 항복함에 따라 량왕국에 편입되었다. 량왕국이 1390년에 멸망하자 리장을 근거지로 하는 무정왕국(ジャン王国)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17세기 중반, 무정왕국은 오이라트 구시한 왕조에 정복되어, 데첸 지역에서 리탄, 바탄 등까지 뻗어 있던 캄 지역 남부의 광대한 영토를 모두 빼앗겼다.
1724년, 청나라 옹정제는 티베트를 분할하면서 구시 칸 일족이 티베트 제후에 대해 가지고 있던 지배권을 접수했다. 쟌 왕국은 디칭 지방을 비롯한 캄 지방 남부에 대한 지배권 회복을 요구했지만, 청나라는 이를 거부했다. 1726년, 디칭 지방의 제후들은 청나라로부터 토사의 칭호를 받고 윈난성에 편입되었다. 이때 현재의 영역을 골조로 하는 디칭 주(迪庆州)라는 행정 단위가 성립되었다.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하자, 티베트 정부 간덴포탄은 라싸를 점거하고 있던 청나라 군대의 잔당을 몰아내고 독립을 선언했다. 동시에 티베트 전 국토의 통합을 목표로 암도, 캄 지방으로 출병했다. 1913년, 윈난성의 도독 채악(蔡鄂)이 이끄는 윈난군은 디칭 지방을 경유하여 캄 지방으로 침공, 티베트군을 요격했다. 티베트군은 디추 강(金沙江) 서쪽으로 격퇴되었고, 디칭 지방은 윈난성의 지배하에 남았다.
캄 남부는 1915년부터 1927년까지 운남의 다른 지역과 함께 운남파의 통치를 받았다. 이후 국민당 정부 시기에는 룽윈(龍雲)이 통치하였고, 국공내전 시기 장제스(蔣介石)의 명령을 받은 두위밍(杜聿明)에 의해 축출되었다.
1936년 중국 홍군이 장정 도중 이 지역을 통과했다. 1950년 중국 인민해방군이 진주했다. 1956년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가 성립되어 리장 지구(丽江地区)에 소속되었다. 1957년 공식적으로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가 설립되었다. 1973년 윈난성 직할의 자치주가 되었다.
20세기 후반, 자치주의 주도는 중뎬현(中甸县)이었으나, 1933년 제임스 힐튼의 소설 ''잃어버린 지평선''에 나오는 가상의 땅인 샹그릴라를 따서 관광객 유치를 위해 2001년 12월 17일 샹그릴라시(香格里拉市)로 개칭했다. 2007년 6월 25일에는 푸다춰 국립공원(普达措国家公园)이 설립되었다. 2014년 1월 11일, 샹그릴라시 두커쭝(独克宗) 고성에서 대규모 화재가 발생하여 많은 피해를 입었다.
2. 1. 고대 ~ 중세
당대에 토번이 이 지역에 신천도독(神川都督)을 설치하고 남조와 연계를 꾀했다. 이후 토번이 쇠퇴하자 대리국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대리국이 몽골 제국의 쿠빌라이에게 항복함에 따라 량왕국에 편입되었다. 량왕국이 1390년에 멸망하자 리장을 근거지로 하는 무정왕국(ジャン王国)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17세기 중반, 무정왕국은 오이라트 구시한 왕조에 정복되어, 데첸 지역에서 리탄, 바탄 등까지 뻗어 있던 캄 지역 남부의 광대한 영토를 모두 빼앗겼다.2. 2. 청나라 시기
1724년, 청나라 옹정제는 티베트를 분할하면서 구시 칸 일족이 티베트 제후에 대해 가지고 있던 지배권을 접수했다.[5] 쟌 왕국은 디칭 지방을 비롯한 캄 지방 남부에 대한 지배권 회복을 요구했지만, 청나라는 이를 거부했다. 1726년, 디칭 지방의 제후들은 청나라로부터 토사의 칭호를 받고 윈난성에 편입되었다. 이때 현재의 영역을 골조로 하는 디칭 주(迪庆州)라는 행정 단위가 성립되었다.2. 3. 중화민국 시기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하자, 티베트 정부 간덴포탄은 라싸를 점거하고 있던 청나라 군대의 잔당을 몰아내고 독립을 선언했다. 동시에 티베트 전 국토의 통합을 목표로 암도, 캄 지방으로 출병했다.[5] 1913년, 윈난성의 도독 채악(蔡鄂)이 이끄는 윈난군은 디칭 지방을 경유하여 캄 지방으로 침공, 티베트군을 요격했다. 티베트군은 디추 강(金沙江) 서쪽으로 격퇴되었고, 디칭 지방은 윈난성의 지배하에 남았다.[5]캄 남부는 1915년부터 1927년까지 운남의 다른 지역과 함께 운남파의 통치를 받았다.[5] 이후 국민당 정부 시기에는 룽윈(龍雲)이 통치하였고, 국공내전 시기 장제스(蔣介石)의 명령을 받은 두위밍(杜聿明)에 의해 축출되었다.[5]
2. 4. 중화인민공화국 시기
1936년 중국 홍군이 장정 도중 이 지역을 통과했다.[5] 1950년 중국 인민해방군이 진주했다. 1956년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가 성립되어 리장 지구(丽江地区)에 소속되었다. 1957년 공식적으로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가 설립되었다.[2][6] 1973년 윈난성 직할의 자치주가 되었다.20세기 후반, 자치주의 주도는 중뎬현(中甸县)이었으나, 1933년 제임스 힐튼의 소설 ''잃어버린 지평선''에 나오는 가상의 땅인 샹그릴라를 따서 관광객 유치를 위해 2001년 12월 17일 샹그릴라시(香格里拉市)로 개칭했다.[7][8] 2007년 6월 25일에는 푸다춰 국립공원(普达措国家公园)이 설립되었다.[9] 2014년 1월 11일, 샹그릴라시 두커쭝(独克宗) 고성에서 대규모 화재가 발생하여 많은 피해를 입었다.[9]
3. 지리
북쪽은 티베트 자치구의 창두 시(昌都市), 동쪽은 쓰촨성의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甘孜藏族自治州) 및 량산 이족 자치주(凉山彝族自治州), 남쪽과 서쪽은 윈난성의 리장 시(丽江市) 및 누장 리수족 자치주(怒江傈僳族自治州)와 접한다. 티베트 고원이 남쪽으로 뻗어 있으며, 횡단산맥이 남북으로 뻗어 해발 1,600m에서 6,000m의 고도를 이룬다. 메이리 설산(梅里雪山)이 유명하다. 양쯔강(长江) 상류에 해당하는 디추허(진사강/金沙江중국어)가 주 남쪽 경계를 크게 곡류하며, 메콩강(湄公河)이 주 서부를 남쪽으로 흐르며, 삼강병류(三江併流)의 일부를 구성한다. 금사강 본류에는 호도협(虎跳峡)이라는 깊은 협곡이 있다.
3. 1. 위치 및 지형
북쪽은 티베트 자치구의 창두 시(昌都市), 동쪽은 쓰촨성의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甘孜藏族自治州) 및 량산 이족 자치주(凉山彝族自治州), 남쪽과 서쪽은 윈난성의 리장 시(丽江市) 및 누장 리수족 자치주(怒江傈僳族自治州)와 접한다. 티베트 고원이 남쪽으로 뻗어 있으며, 횡단산맥이 남북으로 뻗어 해발 1,600m에서 6,000m의 고도를 이룬다. 메이리 설산(梅里雪山)이 유명하다. 양쯔강(长江) 상류에 해당하는 디추허(迪曲河, 진사강/金沙江중국어)가 주 남쪽 경계를 크게 곡류하며, 메콩강(湄公河)이 주 서부를 남쪽으로 흐르며, 삼강병류(三江併流)의 일부를 구성한다. 금사강 본류에는 호도협(虎跳峡)이라는 깊은 협곡이 있다.3. 2. 수계
장강(양쯔강) 상류에 해당하는 진사강(금사강)이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 남쪽 경계를 크게 돌아 흐르며, 메콩강이 자치주 서부를 남쪽으로 흐른다. 이 두 강은 삼강병류(三江併流)의 일부를 구성한다. 진사강 본류에는 호도협(虎跳峡)이라는 깊은 협곡이 있다.4. 행정 구역
(2010년 인구 조사)
(/k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