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만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만술은 1927년 경상북도 경주 출생으로,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선총련)의 주요 인물이었다. 1955년 조선총련 결성에 참여하여, 히로시마현 본부 위원장, 중앙상임위원회 조직국장, 중앙위원회 부의장 등을 역임하고, 2001년 한덕수 의장 사망 이후 조선총련 중앙상임위원회 의장에 선출되었다. 의장 재임 중 북일 정상회담 실현에 관여했으며, 재일본대한민국민단과의 화해를 시도했으나 북한의 미사일 발사 실험으로 파기되었다. 2012년 심부전으로 사망하여, 유골은 북한 애국열사릉에 매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중앙상임위원회 의장 - 허종만
    허종만은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고성 출신으로 조총련에서 활동하며 간부직을 역임하고 의장까지 지냈으며, 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과 노력영웅 칭호를 받는 등 북한 정권과의 관계를 유지했으나, 북한산 송이버섯 부정 수입 혐의로 논란이 된 인물이다.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중앙상임위원회 의장 - 한덕수 (1907년)
    한덕수는 대한제국 출생 재일 한국인으로, 조총련 초대 의장을 지냈으며, 일제강점기 항일 운동 참여, 해방 후 조총련 결성 주도, 북한 정권과 긴밀한 관계 유지 등의 활동을 했다.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은 1945년 평양에서 창당되어 김일성이 북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위원장으로 추대된 후 여러 정당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주체사상을 유일 지도 이념으로 하여 북한 사회의 모든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 조선신보
    조선신보는 조총련 중앙의 기관지로, 재일 조선인 사회 소식과 북한 입장을 대변하는 기사를 다루며 김정남 암살 사건 등 국제 이슈에 대해 북한 시각을 반영하고 대한민국과 미국 언론 보도를 비판하는 논조를 보인다.
  • 조선로동당의 정치인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조선로동당의 정치인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서만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국어 이름서만술
한자 표기徐萬述
로마자 표기Seo Mansul
출생일1927년 4월 27일
출생지경상북도 경주군 (현재 대한민국)
사망일2012년 2월 19일
사망지일본 도쿄도
알려진 업적조총련 의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정치 경력
소속 정당조선로동당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구정보 없음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당선 횟수3회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임기 시작1990년 4월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임기 종료2012년 2월 19일
역대 최고 지도자김일성 (1948년 - 1994년)
김정일 (1994년 - 2011년)
김정은 (2011년 - )
기타 직책제2대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중앙상임위원회 의장
기타 직책 임기 시작2001년 5월
기타 직책 임기 종료2012년 2월 19일
수상
훈장 및 상훈김일성훈장
공화국 노동영웅 칭호
조국통일상
국기훈장 제1급
노동훈장
공화국 창건 기념 훈장
국기훈장 제3급
김정일훈장

2. 생애

경상북도 경주시 출신으로[9], 1941년 일본으로 건너가[9] 1955년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선총련) 결성에 참여하며 활동을 시작했다[9]. 이후 조선총련 내에서 여러 주요 직책을 거쳐[9] 1998년 제1부의장에 올랐으며[9], 2001년에는 한덕수의 뒤를 이어 중앙상임위원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9]. 2012년 심부전으로 사망하였고[7], 유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의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14].

2. 1. 초기 생애 및 조선총련 활동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태어났다[9]. 1941년 일본으로 건너갔으며[9], 1955년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선총련) 결성에 참여하였다[9].

1968년에는 조선총련 히로시마현 본부 위원장을 맡았고[9], 1973년에는 중앙상임위원회 조직국장에 임명되었다[9]. 이후 중앙위원회 사무총국을 거쳐 1983년 중앙위원회 부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9], 1998년에는 제1부의장에 올랐다[9].

2. 2. 조선총련 의장 활동

2001년 5월, 같은 해 2월에 병사한 한덕수의 후임으로 중앙상임위원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9]. 의장 취임 후에는 북일 정상회담의 실현에 관여하였다. 2006년 5월 17일에는 오랫동안 대립 관계에 있던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과 화해하여 공동 성명을 발표했지만, 같은 해 7월 5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 실험을 이유로 화해는 파기되었다[10][11]. 이는 북한의 도발적인 행동이 남북 화해 및 재일동포 사회 통합 노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2012년 2월 19일, 심부전으로 인해 도쿄도 내 자택에서 사망하였다[7]. 2월 25일에 거행된 장례식에는 약 600명이 참석했으며, 북한의 김정은 최고지도자로부터 조화가 전달되었고, 과거 북일 정상회담의 상대였던 고이즈미 준이치로일본 내각총리대신으로부터 조전이 보내졌다[12]. 또한, 일본공산당에서는 시이 가즈오 위원장의 조전과 함께 이치다 타다요시 서기국장이 직접 장례식에 참석했다[13].

그의 유골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옮겨져, 조선인민군 의장대의 조총 발사 등 예우 속에서 평양의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14].

3. 사망

2012년 2월 19일, 도쿄도 에도가와 자택에서 심부전으로 사망했으며, 향년 84세였다.[5][7]

장례식은 2월 25일 도쿄 한국회관에서 거행되었으며, 장례위원장은 호종만이 맡았다.[6] 장례식에는 약 600명이 참례했다.[1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김정은 최고지도자로부터 조화가 전달되었고, 과거 북일 정상회담의 상대였던 고이즈미 준이치로일본 총리로부터 조전이 보내졌다.[12] 또한 일본공산당에서는 시이 가즈오 위원장의 조전과 함께 이치다 타다요시 서기국장이 직접 조문했다.[13]

유골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이송되어 애국렬사릉에 매장되었다.[14]

4. 평가

조선총련의 의장이었지만, 실질적인 권력은 책임 부의장인 허종만이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서만술은 주로 대외적인 창구 역할을 수행했으며, 특히 건강이 나빠진 이후에는 이러한 역할에 더욱 집중하게 되었다.[7]

한편, 허종만은 북한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아 한덕수의 후임 의장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그러나 강압적인 일 처리 방식으로 조직 내 신망을 얻지 못해, 균형 감각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던 서만술이 후임 의장으로 선출되었다고 알려져 있다.[15]

참조

[1] 웹사이트 Talks between Delegates of Chongryon and Mindan Held http://www1.korea-np[...]
[2] 웹사이트 Find articles http://findarticles.[...]
[3] 웹사이트 Opinions about the 5•17 Issue – Should reunite in the sprit of understanding and tolerance https://web.archive.[...] 2007-08-02
[4] 웹사이트 Chairman of Chongryon Central Standing Committee Meets Chairman of Pro-Reunification Body in S Korea http://www.tongilkor[...] 2006-11-06
[5] 웹사이트 Notice of death of So Man-sul https://archive.toda[...] 2023-05-28
[6] 웹사이트 Memorial Service for Late So Man Sul Held in Tokyo http://www.kcna.co.j[...] 2012-02-26
[7] 웹사이트 社説 「拉致事件」の全容明らかにせよ https://mindan.org/o[...] 在日本大韓民国民団 2022-12-31
[8] 뉴스 徐萬述議長死去、25日に朝鮮会館で葬儀 http://chosonsinbo.c[...] 朝鮮新報 2015-03-28
[9] 뉴스 徐萬述
[10] 뉴스 朝鮮総連の徐萬述議長が死去 対外的な窓口役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2-02-20
[11] 뉴스 共同声明発表・反目、対立から和解、和合へ http://www.toyo-keiz[...] 東洋経済日報 2015-03-29
[12] 뉴스 朝鮮総連葬 金正恩氏から花輪 http://www.nikkanspo[...] nikkansports.com 2015-03-29
[13] 뉴스 徐萬述 朝鮮総連議長死去/志位委員長が弔電、市田書記局長が葬儀参列 http://www.shii.gr.j[...] 日本共産党公式サイト 2015-03-29
[14] 뉴스 平壌に徐萬述朝鮮総連元議長の遺骨安置される http://dailynk.jp/ar[...] デイリーNKジャパン 2015-03-29
[15] 뉴스 朝鮮総連議長の徐萬述氏が死去 http://dailynk.jp/ar[...] 데일리NKジャパン 2015-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