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도 제41호선 (안내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특별시도 제41호선은 헌릉로에서 시작하여 강남대로, 한남대로, 장충단로, 동호로, 대학로, 창경궁로, 동소문로, 삼양로를 거쳐 도선사 입구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다. 서초구, 강남구, 용산구, 중구, 종로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를 지난다. 주요 교차로로는 헌릉로에서 국도 제47호선, 강남대로에서 서울특별시도 제92호선, 서울특별시도 제90호선, 한남대로에서 독서당로, 이태원로, 대학로에서 율곡로, 창경궁로, 동소문로에서 아리랑로, 정릉로, 삼양로에서 솔샘로, 4.19로 등이 있다. 강남대로와 동소문로 구간에는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과거 삼양로 구간에 우이-신설 경전철 건설 계획이 있었으나 2017년 완공 예정이었으나 현재는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도봉구의 교통 - 동부간선도로
동부간선도로는 경기도 의정부시에서 서울특별시를 남북으로 잇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분당수서로와 연결되어 수도권 간선 도로망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며, 이륜차 통행이 금지되고 일부 구간에서 화물차량 진입이 제한되며 지하화 사업이 추진 중이다. - 서울 도봉구의 교통 - 덕릉로
덕릉로는 서울 강북구에서 시작해 도봉구, 노원구를 지나 경기 남양주시 별내동까지 이어지는 도로로,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지정되었으며 주변에 다양한 공공기관, 복지시설, 교육기관이 위치한다. - 서울 강북구의 교통 - 덕릉로
덕릉로는 서울 강북구에서 시작해 도봉구, 노원구를 지나 경기 남양주시 별내동까지 이어지는 도로로,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지정되었으며 주변에 다양한 공공기관, 복지시설, 교육기관이 위치한다. - 서울 강북구의 교통 - 우이령
우이령은 북한산국립공원의 고개로, 출입 통제 후 2009년 개방되었으며, 환경 문제 논란 속에 탐방 예약제를 통해 시민들에게 개방되었다. - 서울 용산구의 교통 - 녹사평대로
녹사평대로는 반포대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남산3호터널을 지나 소공로와 연결되며, 이태원 관광특구 등 상권과 남산으로의 접근성을 가지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도로이다. - 서울 용산구의 교통 - 한강대교
한강대교는 1917년에 완공된 한강인도교를 전신으로 하며,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전쟁으로 파괴되었으나 1958년에 재건되었고, 198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2020년에는 서울특별시 등록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다.
서울특별시도 제41호선 (안내용)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노선 번호 | 서울특별시도 제41호선 |
총 연장 | 27.5km |
기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 |
종점 |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 |
주요 경유지 | |
주요 교차 도로 |
2. 구성
이 도로는 남쪽의 헌릉로부터 시작하여 강남대로, 한남대로, 장충단로, 동호로, 대학로, 창경궁로, 동소문로, 삼양로로 이어진다.
경유지는 다음과 같다.
서울특별시도 제41호선은 헌릉로에서 시작하여 강남대로, 한남대로, 장충단로, 동호로, 대학로, 창경궁로, 동소문로, 삼양로를 거쳐 도선사 입구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다. 각 도로는 고유한 특징과 역사를 가지고 있다.
3. 주요 도로 및 구간
도로명 주요 시설 및 구간 비고 헌릉로 내곡 나들목 ~ 염곡사거리: 서울시 어린이병원, aT센터, 양재시민의숲, 염곡지하차도 강남대로 염곡사거리 ~ 한남대교 남단: 양재역, 강남역, 신논현역, 논현역, 신사역, 중앙버스전용차로 한남대로 한남대교 북단 ~ 버티고개삼거리: 한남오거리, 한남2고가차도 장충단로 및 동호로 버티고개삼거리 ~ 종로5가: 국립극장, 남산2호터널, 동국대학교, 장충체육관, 동대입구역 대학로 및 창경궁로 종로5가 ~ 한성대입구역(삼선교): 대학로, 창경궁, 종로5가역, 이화사거리, 혜화역 동소문로 한성대입구역(삼선교) ~ 길음역: 성북구청, 성신여대입구역, 미아리고개 삼양로 길음역 ~ 도선사 입구: 서울미아초등학교, 삼양동사거리, 국립4·19민주묘지, 덕성여자대학교 3. 1. 헌릉로 구간
내곡 나들목에서 시작하여 염곡사거리에 이르는 구간으로, 청계산과 인접해 있다. 서울시 어린이병원, aT센터, 양재시민의숲 등 주요 시설이 이 구간에 위치하며, 염곡지하차도가 포함되어 있다.[4]
명칭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내곡 나들목 | 서울특별시도 제51호선 (분당내곡로) | 서울특별시 서초구 | |
서울시 어린이병원 | | | ||
염곡 나들목 | 양재대로12길 (신원지하차도) | ||
청계산입구 교차로 | 청계산로 | ||
염곡사거리 | 국도 제47호선 (양재대로) | 염곡지하차도 구간 |
3. 2. 강남대로 구간
염곡사거리에서 한남대교 남단에 이르는 구간으로, 서울특별시 강남 지역의 핵심 상업 및 업무 지구를 관통한다. 이 구간에는 양재역, 강남역, 신논현역, 논현역, 신사역 등 주요 지하철역이 위치한다. 또한, 뱅뱅사거리, 우성아파트앞 사거리, 교보타워사거리 등 주요 교차로가 있다. 이 구간은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되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4]주요 교차로 및 시설 | 위치 | 접속 노선 |
---|---|---|
염곡사거리 | 서초구 | 국도 제47호선 (양재대로) |
aT센터 교차로 | 서초구 | 동산로 |
시민의숲 교차로 (양재시민의숲역) | 서초구 | 매헌로 |
영동1교 교차로 | 서초구 | 마방로 |
교육개발원입구 교차로 | 서초구 | 바우뫼로 |
양재역 교차로 | 서:서초구 동:강남구 | 서울특별시도 제92호선 (남부순환로) |
뱅뱅사거리 | 서:서초구 동:강남구 | 효령로, 도곡로 |
우성아파트앞 사거리 | 서:서초구 동:강남구 | 사임당로, 역삼로 |
강남역 교차로 | 서:서초구 동:강남구 | 서울특별시도 제90호선 (서초대로, 테헤란로) |
교보타워사거리 (신논현역) | 서:서초구 동:강남구 | 사평대로, 봉은사로 |
논현역 교차로 | 서:서초구 동:강남구 | 신반포로, 학동로 |
신사역 교차로 | 서:서초구 동:강남구 | 나루터로, 도산대로 |
한남대교 남단 | 강남구 | 경부고속도로, 잠원로, 압구정로, 올림픽대로 (서울특별시도 제88호선) |
3. 3. 한남대로 구간
한남대교 북단에서 버티고개삼거리까지 이어지는 구간이다. 한남대교를 통해 강남과 강북을 연결하며, 한남오거리에는 한남2고가차도가 있다.[1]명칭 | 한글 명칭 | 연결 도로 | 위치 | 비고 |
---|---|---|---|---|
한남대교 북단 IC | 한남대교북단 나들목 | 국도 제4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강변북로) (서울특별시도 제70호선) | 용산구 | |
한남 교차로 | 한남오거리 | 독서당로 대사관로 | 한남2고가차도 구간 | |
(한남1고가차도 입구) | (한남1고가차도 입구) | 삼일대로 | ||
북한남 교차로 | 북한남삼거리 | 이태원로 | ||
이름 없음 | (이름 없음) | 소월로 | ||
(버티고개 교차로) | (버티고개삼거리) | 다산로 |
3. 4. 장충단로 및 동호로 구간
버티고개삼거리에서 장충체육관을 거쳐 종로5가에 이르는 구간이다. 국립극장, 남산2호터널, 동국대학교, 장충체육관 등 주요 시설이 위치하고 있다.[4] 동대입구역, 퇴계로5가 교차로, 오장동사거리, 을지로5가 교차로, 청계5가 교차로를 지난다.[4]도로명 | 명칭 | 접속 노선 | 소재지 |
---|---|---|---|
장충단로 | 국립극장 교차로 | 남산공원길 | 중구 |
남산2호터널입구 교차로 | 녹사평대로58길 (남산2호터널) | ||
동국대학교앞 교차로 | |||
장충체육관 교차로 (동대입구역) | 동호로 장충단로 | ||
동호로 | |||
퇴계로5가 교차로 | 퇴계로 | ||
오장동사거리 | 마른내로 | ||
을지로5가 교차로 | 서울특별시도 제60호선 (을지로) | ||
청계5가 교차로 | 청계천로 | ||
종로구 |
3. 5. 대학로 및 창경궁로 구간
종로5가에서 혜화동 로터리를 거쳐 한성대입구역(삼선교)에 이르는 구간이다.종로5가역, 이화사거리, 혜화역 등 주요 지하철역과 대학로, 창경궁 등의 문화 시설이 위치한다.
종로5가 사거리에서 이화사거리 구간은 과거 일방통행 구간이었으나 현재는 해제되었다. 현재는 청계5가 방향이 1차로, 혜화동 방향이 3차로로 이루어져 있다.[4] 그러나 종로5가 사거리에서는 혜화동에서 청계5가 방향으로 직진이 불가능하여, 이화사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원남동사거리에서 좌회전한 다음, 종로4가 사거리에서 다시 한번 좌회전하고 종로5가 사거리에서 우회전을 해야 한다.[4]
명칭 | 연결 도로 | 위치 | 비고 |
---|---|---|---|
종로5가 교차로 (종로5가역) | 국도 제6호선 (종로) | 종로구 | |
(이름 없음) | 김상옥로 | 종로구 | |
이화 교차로 | 서울특별시도 제50호선 (율곡로) | 종로구 | |
혜화역 | 종로구 | ||
혜화동 로터리 | 창경궁로 혜화로 | 종로구 | |
한성대입구역 교차로 (삼선교) | 성북로 삼선교로 | 성북구 |
3. 6. 동소문로 구간
한성대입구역(삼선교)에서 길음역에 이르는 구간으로, 성북구청, 성신여대입구역, 미아리고개 등 주요 시설이 있다. 이 구간에는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