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을지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을지로는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한 도로로, 과거 구리개, 일제강점기 황금정을 거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다. 현재는 인쇄, 금속, 전자제품, 방직 등 다양한 산업이 밀집된 지역으로, 특히 인쇄 골목은 전국 인쇄업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주요 경유지 및 부속도로가 다양하며, 서울 지하철 2호선, 3호선, 5호선이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을지문덕 - 살수 대첩
    살수 대첩은 612년 을지문덕 장군이 이끄는 고구려군이 고구려-수 전쟁 중 살수(청천강)에서 수나라 별동대를 섬멸하여 수나라를 멸망에 이르게 하고 고구려의 자주성을 지킨 결정적인 전투이다.
  • 을지문덕 - 을지로동
    을지로동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한 행정동으로, 1985년에 통합 신설되었으며, 을지로3가, 을지로4가, 을지로5가 등 법정동을 관할하고, 방산시장, 세운상가 등 상업 시설과 을지로3가역, 을지로4가역이 위치한다.
  • 서울 중구의 행정 구역 - 명동
    명동은 조선 시대 주택가에서 일제강점기 상업 지구를 거쳐 광복 후 서울의 대표적인 번화가이자 관광 명소로 발전했으며, 쇼핑, 문화, 상업 시설과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시설이 밀집해 있다.
  • 서울 중구의 행정 구역 - 충정로 (서울)
    충정로는 서울 서대문구 아현삼거리에서 서대문역을 잇는 도로로, 민영환의 시호에서 유래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다케조에마치로 불렸다가 1946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 1984년 도로 구간 단축, 2010년 2개 이상 자치구 도로 고시, 2014년 버스전용차로 개통 등의 변화를 거쳤다.
  • 대한민국의 광장 - 광화문광장
    광화문광장은 광화문 앞 사직로에서 시작하여 세종대로 사거리에서 끝나는 광장으로, 역사 회복, 육조거리 재현, 도시문화 공간 등의 역할을 하며, 주변에 주요 시설과 지하철역이 위치하고, 광장 사용과 관련한 논란과 대중문화 등장 등의 특징을 보인다.
  • 대한민국의 광장 - 송상현광장
    송상현광장은 부산진구에 위치한 광장으로, 송상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문화 행사와 휴식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3개의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을지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한글 표기을지로
한자 표기乙支路
로마자 표기Euljiro
일본어 표기黄金町 (황금정)
위치 정보
기점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
종점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
관할 행정동을지로3·4·5가 등
도로 정보
총 연장3,018 m

2. 역사

고구려의 장군 을지문덕에서 이름이 유래했다. 일제강점기에는 황금정(黃金町|고카네마치일본어)이라 불렸다.

1912년 12월 6일, 을지로에서 전차 운행이 시작되었다.[3]

1946년 일본식 동명(洞名) 정리 사업에 따라 을지문덕 장군의 성씨를 따서 '을지로'로 개정되었다. 이는 당시 화교의 성장을 의식한 것이라고 한다.[5]

한국전쟁으로 을지로는 큰 피해를 보았고, 전후 재건기에 많은 난민이 모여 살면서 판자촌이 형성되기도 하였다. 1966년부터 판자촌이 철거되면서 상업 중심지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2. 1. 구리개

현재의 을지로1가와 을지로2가 사이에 낮은 언덕이 있었다. 진흙으로 된 언덕이 구리빛을 띄어 구리개라고 불렀다.[5] 조선 시대 한성부 남서(南署) 관할로 광통방(廣通坊), 회현방(會賢坊), 훈도방(薰陶坊), 대평방(大平坊), 성명방(誠明坊), 낙선방(樂善坊), 명철방(明哲坊) 지역에 해당한다.

구리개에는 한의원과 한약방이 모여 있었다.[6] 개화기 세워진 서양식 의원인 제중원은 처음엔 재동에 있었지만 1887년 의원들이 밀집해 있던 구리개로 확장 이전하였다.[7]

임오군란 당시 조선에 출병한 청나라 군대가 구리개에 주둔하였다. 포도대장 이경하의 집에 위안스카이가 주둔한 뒤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이 채결되자 청나라 사람들이 이 일대에 살게 되었다. 이들은 최초의 한국 화교가 되었다.[5] 1909년 명동한국한성화교소학교가 개교하였고[8] 이후 지금까지 화교 커뮤니티가 이어지고 있다.

2. 2. 황금정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경성부 황금정


대한제국 말기부터 지금의 명동을 중심으로 일본인들이 거류하기 시작하였다. 일본인들은 구리개를 황금정(黃金町|고카네마치일본어)이라 불렀다. 1914년 일제강점기 일제에 의해 시행된 행정 구역 통폐합(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각 방(坊) 관할의 동을 병합하여 경성부 황금정 1정목(黃金町一丁目)~7정목(도로명은 황금정통, 黃金町通)으로 나뉘었다.[9]

일본은 1910년대에 "문명의 수준과 문화의 지표"로서 경성부의 도로 직선화를 추진하였다. 당시 황금정의 거류민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하여 황금정에서 명치정(명동)을 거쳐 용산으로 이어지는 도로를 희망하였으나 총독부는 동서 축의 도로 개설을 계획하고 있었다. 거류민들과 총독부의 절충안으로 만들어진 것이 황금정통으로 지금의 을지로 노선이 되었다. 총독부는 러시아가 개발한 다롄시를 참고 삼아 경성부의 주요 도로가 직선화 되도록 설계하였다.[10]

1912년 12월 6일, 을지로에서 전차 운행이 시작되었다.[3]

1925년 황금정7정목에 동대문운동장(당시 명칭 경성운동장)이 개장하였으며 2007년 12월 13일에 철거를 시작하였다.[11]

2. 3. 을지로 (광복 이후)

1946년 일본식 동명(洞名) 정리 사업에 따라 고구려 을지문덕 장군의 성씨인 을지(乙支)를 따서 '을지로'로 개정되었다. 을지문덕의 이름을 도로명으로 삼은 것은 당시 화교의 성장을 의식한 것이라고 한다.[5]

을지로는 한국전쟁으로 큰 피해를 보았고, 전후 재건기에 많은 난민이 모여 살면서 판자촌이 형성되기도 하였다. 1966년부터 판자촌이 철거되면서 상업 중심지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1968년 세운상가가 세워졌고, 각종 시장들도 확장되었다.[12]

2010년 5월 26일 도로명 주소가 고시되었다.

3. 산업

조선 시대부터 충무로와 을지로2가를 중심으로 인쇄 산업이 발달하였다. 박문국, 광인사와 같은 인쇄소가 설립되었고, 현재까지도 을지로 일대에는 전국 인쇄업체의 상당수가 밀집해 있다.[13]

순환광고인쇄


태광명판, 살림동 지역에 위치


살림동 지역을 중심으로 금속 가공업체들이 밀집해 있으며, 금속 도매, 절단, 주조, 조립, 예술품 제작 등 다양한 사업체가 있다.[1]

대림상가에는 전자제품, 오락실 게임기 부품, 가정용 조명, LED, 앰프, 프로 오디오 장비, CCTV 등을 취급하는 상점들이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경방을 비롯한 방직 산업도 을지로 일대에 자리 잡았다.[14]

3. 1. 인쇄 골목

조선 시대 지금의 충무로주자소가 있었고 1883년 지금의 을지로2가에 박문국이 세워졌다. 이듬해인 1884년 최초의 민간 인쇄소인 광인사가 창립하였다. 이후 충무로에서 을지로로 이어지는 길고 좁은 골목은 각종 인쇄업이 집중한 인쇄골목이 되었다. 2014년 통계청 통계에 따르면 전국 인쇄 관련 사업체 18,523개 중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업체가 5,492개로 전국의 29.6%이다. 인쇄 골목에 전국 인쇄업의 4분의 1 이상이 밀집하여 있는 셈이다.[13]

3. 2. 금속 산업

이 지역은 금속 가공업체가 고밀도로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공장들은 주로 살림동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금속 도매, 절단, 주조, 조립 및 예술품 제작 등의 사업체들이 있다.[1] -- --

3. 3. 전자제품

대림상가에는 전자제품, 오락실 게임기 부품 및 조립 관련 상점들이 밀집해 있다. 가정용 조명, LED, 앰프, 프로 오디오 장비, CCTV 등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판매점들이 있다.

3. 4. 방직 산업

일제강점기 황금정 시기 을지로 일대에는 방직 산업도 밀집되었다. 1919년 김성수가 창립한 경방은 1927년 황금정1정목(을지로1가)에 사옥을 마련하였다.[14]

4. 주요 경유지 및 노선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 을지로1가, 을지로2가, 을지로3가, 을지로4가, 을지로5가, 을지로6가, 을지로7가, 신당동을 경유한다.[1]

4. 1. 주요 경유지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 을지로1가, 을지로2가, 을지로3가, 을지로4가, 을지로5가, 을지로6가, 을지로7가, 신당동을 경유한다.

4. 2. 노선

소공로와 직결되며, 무교로, 남대문로, 삼일대로, 수표로, 충무로, 창경궁로, 동호로, 장충단로, 퇴계로 등과 교차한다. 교차로 및 접속 노선 정보는 다음과 같다.

교차로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소공로중구소공동교차로 이름 없음
시청무교로명동
을지로1가남대문로
을지로2가삼일대로
을지로3가역수표로을지로동
을지로3가충무로
을지로4가창경궁로
을지로5가동호로
을지로39길광희동교차로 이름 없음
동대문역사문화공원장충단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을지로45길
한양공고앞퇴계로신당동


4. 3. 부속도로

도로명기점종점총연장 (m)차량 통행 가능일방통행소재지
을지로1길을지로1가 50무교동 1349중구 명동
을지로3길을지로1가 87다동 33337중구 명동
을지로5길을지로2가 11수하동 39-3183중구 명동
을지로7길을지로2가 50수하동 4-3213중구 명동
을지로9길을지로2가 101-46수표동 47-6214중구 명동
을지로11길을지로3가 65-7수표동 11-1219중구 을지로동
을지로12길을지로3가 334-5저동2가 20-1194중구 을지로동
을지로13길을지로3가 65-2을지로3가 96-1120중구 을지로동
을지로14길을지로3가 315-5초동 19-5218중구 을지로동
을지로15길을지로3가 230-1입정동 138-2236중구 을지로동
을지로16길을지로3가 282-10초동 18-5234중구 을지로동
을지로17길을지로3가 241-8입정동 1-3231중구 을지로동
을지로18길을지로3가 255-1인현동1가 94-1258중구 을지로동
을지로19길을지로4가 9-6산림동 207-1232중구 을지로동
을지로20길을지로4가 310-68인현동2가 73-1250중구 광희동
을지로22길을지로4가 310-4인현동1가 1-11127중구 을지로동
을지로24길을지로4가 310-72인현동2가 134-19240중구 광희동
을지로27길을지로4가 127주교동 75-7265중구 을지로동
을지로27가길주교동 230주교동 317-11181중구 을지로동
을지로28길을지로4가 187-30을지로4가 169-40117중구 을지로동
을지로30길을지로4가 161-1오장동 69-11324중구 광희동
을지로32길을지로5가 269-1오장동 148-13255중구 을지로동
을지로33길을지로4가 157-1을지로4가 104-1237중구 을지로동
을지로35길을지로5가 2-1주교동 1-2334중구 을지로동
을지로36길을지로5가 273-9오장동 139-17251중구 광희동
을지로38길을지로5가 72-1쌍림동 34-3259중구 을지로동
을지로39길을지로6가 18-79을지로6가 17-44321중구 광희동
을지로40길을지로6가 53-4광희동1가 12-1205중구 광희동
을지로41길을지로6가 18-133을지로6가 18-79166중구 광희동
을지로42길을지로6가 30-5광희동1가 98191중구 광희동
을지로43길을지로6가 18-21을지로6가 18-79217중구 광희동
을지로44길을지로6가 21-31광희동1가 175-2191중구 광희동
을지로45길을지로7가 2-36신당동 204-9434중구 신당동


5. 주요 건물 및 시설

을지로에는 서울특별시청 을지로별관, 삼성화재, 하나은행, SK텔레콤, 중소기업은행 본점, 훈련원공원, 국립중앙의료원, 동대문디자인플라자, 한양공업고등학교·한양중학교, 세운상가 (대림상가·삼풍상가), 호텔 밀리오레 등 주요 건물 및 시설이 위치해 있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 을지로3가역, 을지로4가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서울 지하철 3호선 을지로3가역, 서울 지하철 5호선 을지로4가역이 을지로를 지난다. 1912년 12월 6일부터 을지로를 경유하는 전차가 운행되었다.[3]

5. 1. 주요 건물

건물명주소
서울특별시청 을지로별관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3
삼성화재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9
하나은행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35
SK텔레콤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65
중소기업은행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79
훈련원공원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27
국립중앙의료원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45
동대문디자인플라자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81
한양공업고등학교·한양중학교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99
세운상가(대림상가·삼풍상가)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157, 158
호텔 밀리오레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6가 18-212


5. 2. 교통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 을지로3가역, 을지로4가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이 있다. 서울 지하철 3호선 을지로3가역, 서울 지하철 5호선 을지로4가역도 지난다. 과거 을지로를 경유하는 전차가 1912년 12월 6일부터 운행되었다.[3]

참조

[1] 웹사이트 을지로 https://terms.naver.[...] 2019-06-10
[2] 웹사이트 주자소에서 인현동 인쇄골목까지... 서울 인쇄문화의 뿌리와 변화를 알아보는<서울역사박물관대학원> https://museum.seoul[...] Seoul Museum of History 2016-06-09
[3] 뉴스 今日の歴史(12月6日) http://japanese.yonh[...] 聨合ニュース 2008-12-06
[4] 일반
[5] 뉴스 ‘구리개’가 ‘황금정’ 되었다가 다시 ‘을지로’가 된 사연 - 유영호의 우리 동네 어슬렁 산책 https://www.seouland[...] 서울& 2019-10-31
[6] 뉴스 을지로 약방거리 구리개 https://www.doctorsn[...] 의협신문 2005-02-16
[7] 논문 구리개 제중원의 규모와 활동 대한의사학회 2001-12
[8] 웹사이트 漢城華僑小校 https://www.hanxiao.[...]
[9] 법령 조선총독부 경기도 고시 제7호 :s:조선총독부 경기도 고시 제7호 1914-04-01
[10] 서적 서울, 권력도시 산처럼
[11] 웹인용 [정윤수의 오프사이드] 사라진 동대문운동장이 남긴 교훈 https://www.khan.co.[...] 2021-04-01
[12] 뉴스 기술과 예술이 있어 을지로는 얼어붙지 않을 거야 http://news.cauon.ne[...] 중대신문 2021-11-02
[13] 웹사이트 주자소에서 인현동 인쇄골목까지... 서울 인쇄문화의 뿌리와 변화를 알아보는<서울역사박물관대학원> https://museum.seoul[...] 서울역사박물관
[14] 뉴스 경성방직, 근대기업의 한계를 넘어 한국산업의 상징이 되다 https://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2-07-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