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헤란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헤란로는 이란의 수도 테헤란에서 명칭이 유래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와 서초구에 위치한 간선 도로이다. 1972년 삼릉로로 시작하여, 1977년 테헤란 시장의 서울 방문을 기념하여 테헤란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80년대부터 오피스 빌딩가가 형성되었으며, 1990년대에는 주요 기업과 금융기관들이 이전하면서 한국의 주요 비즈니스 및 금융 중심지로 발전했다.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벤처기업들이 유입되었으며, 2000년대 이후에는 뷰티 및 브랜드 관련 산업과 IT 및 게임 개발 업체들이 자리 잡았다. 현재는 강남역과 삼성역을 중심으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과 이란의 우호 관계를 상징하는 도로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이란 관계 - 대한민국–이란 축구 라이벌전
대한민국-이란 축구 라이벌전은 대한민국과 이란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간의 역사적인 라이벌 관계를 의미하며, 2022년 3월 24일 기준으로 대한민국이 10승, 이란이 13승, 그리고 10번의 무승부를 기록했다. - 대한민국-이란 관계 - 주한 이란 대사관
주한 이란 대사관은 1975년 8월 대한민국에 설치된 이란 이슬람 공화국 대사관으로, 양국 외교 관계 증진과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을 도모한다. - 서울 강남구의 교통 - 도선여객
도선여객은 1973년 삼영교통으로 설립되어 서울여객을 인수하며 확장, 2004년 체계개편 후 간선 및 지선버스를 운영하며 개포동을 기점으로 현대자동차 버스를 운행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운송업체이다. - 서울 강남구의 교통 -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47호선은 경기도 안산시부터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까지 약 100km에 걸쳐 이어지는 국도로, 1981년 신설 이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경기도, 서울특별시, 강원특별자치도의 여러 지역과 주요 시설을 연결하며, 서울 구간은 강남대로, 테헤란로와 인접하고, 2019년 남양주시 일부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도로 - 녹사평대로
녹사평대로는 반포대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남산3호터널을 지나 소공로와 연결되며, 이태원 관광특구 등 상권과 남산으로의 접근성을 가지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도로이다. - 서울특별시의 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테헤란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한글 | 테헤란로 |
한자 | 테헤란路 |
로마자 표기 | Teheran-ro |
매큔-라이샤워 표기 | T'eheranno |
도로 종류 | 서울특별시도 |
노선 번호 | 서울특별시도 제90호선 일부 (안내용) |
노선 번호 (관리용) | 서울특별시도 제44호선 일부 |
총 연장 | 3.7 km |
개통 년도 | 1972년 11월 26일 (삼릉로) |
기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강남역사거리 |
주요 경유지 | 강남역사거리 국기원사거리 역삼역 르네상스서울호텔 선릉역 포스코사거리 삼성역 삼성교 |
종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삼성교 |
주요 교차 도로 | 강남대로 논현로 언주로 선릉로 삼성로 영동대로 |
이미지 | |
![]() | |
기타 | |
영어 이름 | Teheran-ro |
페르시아어 이름 | خیابان تهران |
관련 지역 | 역삼동, 삼성동 |
2. 역사
1969년 제3한강교와 경부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당시 정부는 현재의 강남구와 서초구 일대에 폭 50미터의 간선도로망을 여러 개 건설하였다. 서울특별시는 1972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 공고 제268호로 이 도로들 중 서초동~삼성동 구간에 '''삼릉로'''(三陵路)라는 명칭을 부여하였다.[4] 이 이름은 도로 근처에 있는 선정릉에 세 개의 봉분이 있는 것에서 착안한 것이다.[5]
2. 1. 명칭의 유래
1977년 6월 27일 서울특별시와 이란의 수도 테헤란시 간의 자매결연을 기념하여, 당시 테헤란 시장이었던 골람레자 닉페이(Gholamreza Nikpey)가 서울을 방문했다. 구자춘 서울시장은 닉페이 시장에게 양국 수도의 이름을 딴 도로명을 부여할 것을 제안했고, 이에 따라 삼릉로가 테헤란로로 개칭되었다.[7][8]
원래 삼릉로는 1972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 공고 제268호에 의해 서초동에서 삼성동 구간에 부여된 명칭이었다.[4] 이 이름은 도로 근처 선정릉에 세 개의 봉분이 있는 것에서 유래했다.[5]
같은 날, 삼릉로 현장에서는 도로명 교환을 기념하는 표지석 제막식이 열렸다. 표지석에는 도로명이 한국어와 페르시아어로 새겨졌고, 도로명 교환 사실을 알리는 석판이 표지석 기단부 앞뒤에 설치되었다. 석판의 한국어판 문구는 다음과 같다.
이후 1977년 7월 1일, 서울특별시는 공고를 통해 기존 여의교 북단 구간의 테헤란로 명칭을 삭제하고, 삼릉로 구간(약 3200 미터)을 테헤란로로 지정하였다.[9] 이에 대한 화답으로, 같은 해 11월 28일 이란 테헤란에도 서울로가 설치되었다.[10]
2. 2. 1980년대~1990년대: 성장과 발전
1980년대 초반까지 테헤란로 주변은 인근 지역에 비해 개발이 더뎠다. 이는 당시 높은 토지 가격과 남북 방향으로 발달한 강남대로 때문에 상권 형성이 어려웠기 때문이다.[13][11]1984년 하반기, 테헤란로 일대가 중심 상업 및 업무 지역으로 지정되면서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었다.[12] 1987년 도로 동쪽 끝에 한국종합무역센터 등 대형 건물이 들어서면서 오피스 빌딩가로 발전하기 시작했다.[13] 당시 경기 호황과 맞물려 1990년대 중반까지 테헤란로에는 오피스 건물 준공 열기가 이어졌다.[14] 이 시기 대한민국 주요 대기업과 금융기관이 테헤란로로 본점을 이전하거나 신축했다.[15] 마포구에 있던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가 테헤란로로 이전하면서 소프트웨어 업체들의 이전도 활발해졌다.[16] 1997년 초부터 정보통신 관련 기관들이 입주하면서 당시 업계에서는 테헤란로를 '희망의 거리'로 부르기도 했다.[17] 이 지역이 급속하게 발전한 원인은 격자형으로 정비된 도로망과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으로 교통이 편리해졌고, 기업과 금융기관이 몰리면서 집적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발생했기 때문이다.[18]
1997년 12월, 대한민국은 외환위기를 겪었고, 김대중 정부는 대대적인 금융기관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이 조치는 '테헤란로의 대학살'로 불리기도 했는데,[22] 금융 종사자들이 떠난 자리에 청년 기업가들을 중심으로 벤처기업 입주가 활발해졌다.[19] 또한 구제금융 이후 외국계 기업의 입주도 활발했는데, 이는 외환위기 이후 서울시 중심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임대료가 크게 하락했고 기반 시설이 우수했기 때문이다.[20]
2. 3. IMF 외환위기와 벤처 붐
1997년 12월 대한민국은 외환위기를 맞았고 김대중 정부는 대대적인 금융기관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이 조치는 '테헤란로의 대학살'로 불리기도 했는데,[22] 금융 종사자들이 떠난 뒤 청년 기업가들을 중심으로 테헤란로에 벤처기업 입주가 활발해졌다.[19] 구제금융 이후 외국계 기업의 입주도 활발했는데, 외환위기 이후 서울시 중심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임대료가 크게 하락했으며 기반시설이 우수한 점이 매력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20]IT 산업의 호황세가 끝나면서 2000년 말~2001년 초부터 벤처 붐은 가라앉기 시작했다.[21]
2. 4. 2000년대 이후: 변화와 현재
IT 산업의 호황기가 끝나면서 2000년 말~2001년 초부터 벤처 붐은 가라앉기 시작했다.[21] 2003년을 즈음하여 벤처 열기는 식었고, 이후 성형외과, 탈모·비만 클리닉들이 입주하여 '뷰티 밸리'로 불렸으며, 한국 및 기타 국적 대기업들이 대거 입주하면서 '브랜드 밸리'라는 명칭으로도 불렸다.[22] 2000년대 후반~2010년대 초반, 테헤란로에 있던 IT 및 게임개발 업체들 중 사세를 키운 곳들은 신도시로 이전했다. 그 이유는 지하철 2호선 외 다른 노선들이 추가 개통되어 기업이 입주할 건물의 선택지가 다양해졌고, 다른 지역의 기반 시설 수준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신도시 상업지역이 더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는 등 테헤란로에 계속 있을 유인이 약해졌기 때문이다.[5]2015년경, 테헤란로는 양쪽 끝부분(강남역, 삼성역)으로 발전 중심이 옮겨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강남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과 가깝고 광역버스 정류장과 9호선 연장으로 교통이 편리하며, 삼성역은 현대 글로벌비즈니스센터 완공 시 이 지역이 혜택을 볼 것이라는 전망 때문에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일부 IT 업계가 떠났지만, 새로운 스타트업·벤처기업이 꾸준히 유입되고 있으며, 정부와 민간 차원에서 벤처기업 지원을 위한 정책 집행 및 기관 설립이 이루어지고 있다.[5][23]
3. 경제
테헤란로는 한국 비즈니스 및 금융의 중심지 중 하나이다. 1990년대 후반부터 IT 벤처기업들이 모여들면서 미국의 실리콘밸리에 빗대어 "테헤란밸리" 또는 "벤처밸리"라고 불리기도 한다. 서울시 정부는 한국 벤처캐피탈의 절반 이상인 약 2조원(약 2억달러)이 테헤란밸리에 투자되었다고 추정하고 있다.[3]
이 지역에는 다음, 네이버, 구글 등 국내 주요 인터넷 포털의 본사가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이곳에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포스코, 스탠다드차타드은행, 씨티은행 등 여러 한국 및 국제 금융, 비즈니스 기관들도 이곳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국내 최대 음악 회사 중 하나였던 카카오엠(현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본사도 테헤란로에 있었다.
3. 1. 지속가능성 관련 연구
건축가이자 연구원인 리선영은 한국어로 된 저서 《붐 오어 버스트?: 강남 건물 붐 이후 테헤란로의 미래》(Boom or Bust?: The future of Teheran-ro after the Gangnam Building Boom)에서 테헤란로의 폭발적인 성장에 대해 논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특히 에너지 규제와 관련하여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도시 계획의 여러 측면을 분석한다.[2]4. 교통
테헤란로는 강남역에서 삼성역을 거쳐 삼성교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다. 강남역 사거리에서는 강남대로와 교차하며, 서초대로와 직결된다. 삼성교에서는 올림픽로와 직결된다.
4. 1. 노선
강남역 - 국기원 - 역삼역 - 르네상스서울호텔 - 선릉역 - 포스코사거리 - 삼성역 - 서울강남소방서, 서울강남경찰서 - 삼성교4. 2. 연결 도로
강남역 사거리에서는 강남대로와 교차하며, 서초대로가 직결된다. 테헤란로의 끝인 삼성교에서는 올림픽로와 직결된다.5. 대중문화
6. 사건·사고
1984년 5월 15일 역삼동 건물 신축공사장에서 도로와의 경계벽이 무너져 이와 인접한 테헤란로 4차선 중 3개 차선과 인도 약 75m 구간이 내려앉는 사고가 발생하였다.[28]
6. 1. 도로명 개칭 논란
외래어 명칭이라는 점 때문에 테헤란로를 한국식으로 고쳐달라는 민원이 종종 제기되었다. 설치 초기인 1980년대에 이 도로명을 한국식 이름으로 고쳐 달라는 요청이 신문에 게재된 적이 있으며,[24] 1990년대 초 서초구 지방의회 의원이 한국식 이름으로 개칭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25] 1997년 강남구가 도로명주소 체계를 시범 도입했을 때에도 명칭을 바꾸자는 의견이 나왔는데,[26] 여기에 주한 이란 대사관 관계자가 테헤란로는 한국-이란 친선 외교에 있어 중요한 상징이므로 개명에 반대한다는 반박 투고를 내기도 했다.[27]참조
[1]
웹사이트
Teheran Valley
http://english.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
웹사이트
Boom or Bust?: The Future of Teheran-ro after the Gangnam Building Boom (강남 빌딩 붐 이후 테헤란로의 미래)
https://product.kyob[...]
2023-08-09
[3]
웹사이트
Teheran Valle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ttp://english.seoul[...]
2021-11-29
[4]
간행물
대한민국 관보 제6315호, 서울특별시가로명제정(서울특별시공고 제268호)
http://theme.archive[...]
대한민국정부 총무처
2016-11-26
[5]
뉴스
커버스토리: 테헤란로의 새 주인은 누구인가
http://gangnam.joins[...]
중앙일보 강남통신
2016-03-30
[6]
간행물
서울특별시공고제36호(가로명 지정공고)
서울특별시
2016-11-27
[7]
뉴스
국기원-삼성교 길이 3200 미터 테헤란로 명명식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7-06-28
[8]
웹인용
한국에 '테헤란路' 이란에 '서울路' 생긴 까닭은?
http://news.chosun.c[...]
2016-11-12
[9]
간행물
서울특별시공고제131호(가로명칭개정공고)
서울특별시
1977-07-01
[10]
뉴스
구 시장 테헤란 서울街 명명식에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7-11-29
[11]
뉴스
테헤란로 주변 볼썽사납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4-08-15
[12]
뉴스
테헤란로, 영동의 핵으로 본격개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8-06
[13]
뉴스
테헤란로 오피스빌딩가 부상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7-08-28
[14]
뉴스
서울 테헤란로 오피스빌딩 준공 러시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94-06-19
[15]
뉴스
강남 테헤란로 비즈니스 신 메카 부상, 대기업 사옥 속속 이전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95-07-09
[16]
뉴스
테헤란로 소프트웨어 밸리 급부상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96-12-23
[17]
뉴스
테헤란로 신대방동 정보통신 메카 부상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01-28
[18]
뉴스
테헤란로, 한국의 월가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5-12-01
[19]
뉴스
밤잊은 모험의 땅 테헤란 벨리...제2 빌게이츠들의 요람 테헤란로 24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9-10-18
[20]
뉴스
외국기업 테헤란로 입주 붐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99-09-15
[21]
뉴스
‘신경제중심가’ 테헤란로
http://weekly1.chosu[...]
위클리조선
2003-03-24
[22]
뉴스
만물상: 테헤란로 30년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7-07-10
[23]
뉴스
테헤란로는 新스타트업 밸리로 변신중…강남 역삼역 주변 활기
http://estate.mk.co.[...]
매일경제
2016-11-10
[24]
뉴스
테헤란로 이름 바꾸자...88 오륜 때 올 외국인에 쑥스러워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2-04-29
[25]
뉴스
테헤란로 우리말로 이름 공방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2-05-17
[26]
뉴스
서울 강남 테헤란로 이름 지역특성 맞게 바꿨으면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6-05-06
[27]
뉴스
서울-이란 선린우호 상징...개명 안될말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08-09
[28]
뉴스
공사장의 벽 무너져 테헤란로 가라앉아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4-05-16
[29]
웹사이트
서울특별시청 도로현황 (2022년)
https://news.seoul.g[...]
[30]
웹사이트
서울특별시 도로안내 노선번호 개선
http://lib.seoul.go.[...]
[31]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