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카리알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카리알라는 핀란드와 러시아 사이에 위치한 역사적 지역으로,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공화국 간의 분쟁 지역이었다. 13세기부터 스웨덴, 러시아 제국, 핀란드 대공국, 소비에트 연방의 지배를 거치며 국경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핀란드의 카렐리야는 겨울 전쟁과 계속 전쟁의 결과로 소련에 할양되었고, 현재 북카리알라와 남카리알라 지역으로 나뉘어 있다. 이 지역은 핀란드 카렐리안인들의 문화적 중심지였으며, 칼레발라와 핀란드 아르 누보 등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역사적 지역 - 올란드 제도
올란드 제도는 발트해 보트니아만 입구에 있는 핀란드의 스웨덴어 사용 자치령이자 비무장 지대로, 국제 연맹 결정에 따라 핀란드에 속하게 되었으며 독자적인 의회와 정부를 구성하고 해운, 관광, 무역, 면세 판매 등의 산업을 통해 자치권을 누리고 있다. - 핀란드의 역사적 지역 - 우시마
우시마는 핀란드 남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스웨덴 지배와 러시아 제국 할양을 거쳐 핀란드 대공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행정구역 개편 후 현재의 우시마 지역과 퀴멘락소 지역으로 재편되었고, 문장은 지역의 역사와 지리적 특징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 카렐리야의 역사 - 겨울 전쟁
겨울 전쟁은 1939년 11월부터 1940년 3월까지 소련이 레닌그라드 안보 확보와 영토 확장을 위해 핀란드를 침공했으나, 핀란드의 저항에 부딪혀 결국 핀란드가 영토를 할양하고 끝난 전쟁이다. - 카렐리야의 역사 -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소련이 핀란드 영토를 기반으로 카렐리야 지역에 수립한 공화국이며, 핀란드 공산주의자들이 설립 기반을 마련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핀란드에 점령당했다가 재점령되어 러시아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서카리알라 | |
---|---|
지도 | |
일반 정보 | |
언어 | 핀란드어 스웨덴어 |
해당 언어 표기 | 핀란드어: Karjala 스웨덴어: Karelen |
역사 | |
설립 | 알 수 없음 |
폐지 | 알 수 없음 |
위치 | 현재의 핀란드 남동부 지역 |
설명 | 카렐리야는 역사적으로 핀란드의 한 지역이었다. 현재는 핀란드와 러시아로 나뉘어 있다. |
상징 | |
![]() |
2. 역사
13세기 카렐리야는 아직 분할되지 않은 상태였으며,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공화국 사이에 쟁탈전이 벌어지고 있었다. 러시아의 연대기에 따르면, 카렐리야 지역은 12세기 무렵까지 노브고로드 공국의 영토였다고 한다. 1293년부터 1295년까지 토르길스 크누트손 원수가 이끈 제3차 스웨덴 십자군이 주둔했고, 그 결과 카렐리야 서부는 스웨덴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이와 동시에 비보르 성이 건설되었다.
1300년 스웨덴군이 네바강 하구에 공격을 개시했으며 현재의 상트페테르부르크 근처에 요새를 건설하는 등 교전이 계속되고 있었다. 이 요새는 나중에 노브고로드 공화국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그 이후에도 교전이 자주 일어나는 등 불안정한 시대가 계속되었다. 1331년부터 1332년까지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공화국 사이에 협상이 진행되었으며 양국 간의 절충안을 담은 뇌테보리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국경을 최초로 확정한 조약이 되었다. 스웨덴은 비푸리 인근과 카렐리야 지협 서부, 남카렐리아를 획득했으며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카렐리야 지협 동부, 잉그리아, 라도가 카렐리야, 북카렐리아를 획득했다.
1617년 스웨덴이 러시아 차르국의 지배하에 있던 카렐리야 지협 동부와 라도가 카렐리야, 북카렐리야를 정복했다. 1634년 스웨덴의 지배하에 있던 핀란드에서 새로운 행정 구역이 신설되었는데 스웨덴령 카렐리야 지역과 사보 지역에 신설된 행정 구역은 카르야라 주(스웨덴어: Karelen län)와 케크스홀름 주(스웨덴어: Kexholms län)였다. 1721년 뉘스타드 조약에 따라 켁스홀름 주 동부와 비프리·사본린나 주(스웨덴어: Viborgs och Nyslotts län)가 러시아 제국에 할양되었으며 스웨덴령으로 남은 지역에는 사본린나·퀴멘고르드 주(스웨덴어: Kymmenegårds och Nyslotts län)가 신설되었다. 1743년 오보 조약에 따라 사보락스·퀴멘고르드 주(퀴멘카르타노·사보 주) 남동부가 러시아 제국에 넘어갔다.
1809년 스웨덴이 핀란드를 러시아 제국에 할양했으며 그 자리에는 핀란드 대공국이 수립되었다. 1812년 러시아 제국이 비푸리 주를 핀란드 대공국에 할양했다. 1940년 겨울 전쟁 이후에 핀란드가 카렐리야 거의 대부분을 소비에트 연방에 할양했는데 이 국경은 1721년 당시의 국경과 유사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일어난 계속 전쟁 당시에 핀란드가 카렐리야를 일시적으로 탈환했지만 1944년 소비에트 연방에 다시 점령되고 만다. 이 전쟁의 결과로 핀란드령으로 남아 있던 카렐리야 거의 대부분이 소비에트 연방에 넘어갔으며 북카렐리아 현(핀란드령 카렐리야 북부)에는 쿠오피오 주, 남카렐리아 현(핀란드령 카렐리야 남부)에는 퀴미 주가 신설되었다.
2. 1. 초기 역사
13세기 카렐리야는 아직 분할되지 않은 상태였으며,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공화국 사이에 쟁탈전이 벌어지고 있었다. 러시아의 연대기에 따르면, 카렐리야 지역은 12세기 무렵까지 노브고로드 공국의 영토였다고 한다. 1293년부터 1295년까지 제3차 스웨덴 십자군이 토르켈 크누트손 원수의 지휘하에 주둔했다. 그 결과로 카렐리야 서부는 스웨덴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이와 동시에 비보리 성이 건설되었다.1300년 스웨덴군이 네바강 하구에 공격을 개시했으며 현재의 상트페테르부르크 근처에 요새를 건설하는 등 교전이 계속되고 있었다. 이 요새는 나중에 노브고로드 공화국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그 이후에도 교전이 자주 일어나는 등 불안정한 시대가 계속되었다. 1331년부터 1332년까지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공화국 사이에 협상이 진행되었으며 양국 간의 절충안을 담은 뇌테보리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공국의 국경을 최초로 확정한 조약이 되었다. 스웨덴은 비푸리 인근과 카렐리야 지협 서부, 남카렐리아를 획득했으며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카렐리야 지협 동부, 잉그리아, 라도가 카렐리야, 북카렐리아를 획득했다.
1617년 스웨덴이 러시아 차르국의 지배하에 있던 카렐리야 지협 동부와 라도가 카렐리야, 북카렐리야를 정복했다. 1634년 스웨덴의 지배하에 있던 핀란드에서 새로운 행정 구역이 신설되었는데 스웨덴령 카렐리야 지역과 사보 지역에 신설된 행정 구역은 카르야라 주(스웨덴어: Karelen län), 케크스홀름 주(스웨덴어: Kexholms län)였다. 1721년 뉘스타드 조약에 따라 켁스홀름 주 동부와 비프리·사본린나 주(스웨덴어: Viborgs och Nyslotts län)가 러시아 제국에 할양되었으며 스웨덴령으로 남은 지역에는 사본린나·퀴멘고르드 주(스웨덴어: Kymmenegårds och Nyslotts län)가 신설되었다. 1743년 오보 조약에 따라 사보락스·퀴멘고르드 주(퀴멘카르타노·사보 주) 남동부가 러시아 제국에 넘어갔다.
1809년 스웨덴이 핀란드를 러시아 제국에 할양했으며 그 자리에는 핀란드 대공국이 수립되었다. 1812년 러시아 제국이 비푸리 주를 핀란드 대공국에 할양했다. 1940년 겨울 전쟁 이후에 핀란드가 카렐리야 거의 대부분을 소비에트 연방에 할양했는데 이 국경은 1721년 당시의 국경과 유사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일어난 계속 전쟁 당시에 핀란드가 카렐리야를 일시적으로 탈환했지만 1944년 소비에트 연방에 다시 점령되고 만다.
2. 2. 스웨덴 지배 시기
13세기 카렐리야는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공화국 사이의 분쟁 지역이었다. 러시아의 연대기에 따르면, 카렐리야는 12세기 무렵까지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영토였다. 1293년부터 1295년까지 토르길스 크누트손 원수가 이끈 제3차 스웨덴 십자군 원정 결과, 카렐리야 서부는 스웨덴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비보르 성이 건설되었다.1300년 스웨덴군이 네바강 하구를 공격하고 현재의 상트페테르부르크 근처에 요새를 건설하면서 교전이 계속되었다. 이 요새는 노브고로드 공화국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이후에도 교전이 자주 일어났다. 1331년부터 1332년까지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공화국 사이에 협상이 진행되어 뇌테보리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으로 스웨덴은 비푸리 인근과 카렐리야 지협 서부, 남카렐리야를,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카렐리야 지협 동부, 잉그리아, 라도가 카렐리야, 북카렐리야를 획득했다.
1617년 스웨덴은 러시아 차르국의 지배하에 있던 카렐리야 지협 동부와 라도가 카렐리야, 북카렐리야를 정복했다. 1634년 스웨덴령 핀란드에 새로운 행정 구역이 신설되었는데, 스웨덴령 카렐리야 지역과 사보 지역에는 비보리 뉘슬로트 주와 켁스홀름 주가 설치되었다. 1721년 뉘스타드 조약에 따라 켁스홀름 주 동부와 비보리 뉘슬로트 주가 러시아 제국에 할양되었으며, 스웨덴령으로 남은 지역에는 큄메네고르드 뉘슬로트 주가 신설되었다. 1743년 오보 조약에 따라 큄메네고르드 뉘슬로트 주 남동부가 러시아 제국에 넘어갔다.
1809년 스웨덴이 핀란드를 러시아 제국에 할양하면서 핀란드 대공국이 수립되었다. 1812년 러시아 제국은 비푸리 주를 핀란드 대공국에 할양했다. 1940년 겨울 전쟁 이후 핀란드는 카렐리야 대부분을 소비에트 연방에 할양했는데, 이는 1721년 당시의 국경과 유사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계속 전쟁 동안 핀란드가 카렐리야를 일시 탈환했지만, 1944년 소비에트 연방에 다시 점령되었다. 전쟁 결과, 핀란드령으로 남아 있던 카렐리야 북부에는 쿠오피오 주, 남부에는 퀴미 주가 신설되었다.
1893년 테오도르 슈빈트는 캐키살미에서 발굴한 카렐리아 철기 시대 검 손잡이 그림을 제작했다.
2. 3. 러시아 지배와 핀란드 대공국 시기
13세기 카렐리야는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공화국 사이에 쟁탈전이 벌어지고 있었다.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카렐리야는 12세기 무렵까지 노브고로드 공화국과 동맹 관계에 있었다.[1] 1293년부터 1295년까지 토르길스 크누트손 원수가 이끄는 제3차 스웨덴 십자군이 주둔했다. 그 결과로 카렐리야 서부는 스웨덴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이와 동시에 비보르 성이 건설되었다.1300년 스웨덴군이 네바강 하구에 공격을 개시했으며 현재의 상트페테르부르크 근처에 요새를 건설하는 등 교전이 계속되고 있었다. 이 요새는 나중에 노브고로드 공화국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그 이후에도 교전이 자주 일어나는 등 불안정한 시대가 계속되었다. 1331년부터 1332년까지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공화국 사이에 협상이 진행되었으며 양국 간의 절충안을 담은 뇌테보리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국경을 최초로 확정한 조약이 되었다. 스웨덴은 비푸리 인근과 카렐리야 지협 서부, 남카렐리아를 획득했으며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카렐리야 지협 동부, 잉그리아, 라도가 카렐리아, 북카렐리아를 획득했다.
1617년 스웨덴이 러시아 차르국의 지배하에 있던 카렐리야 지협 동부와 라도가 카렐리야, 북카렐리야를 정복했다. 1634년 스웨덴의 지배하에 있던 핀란드에서 새로운 행정 구역이 신설되었는데 스웨덴령 카렐리야 지역과 사보 지역에 신설된 행정 구역은 비보리 뉘슬로트 주와 켁스홀름 주였다. 1721년 뉘스타드 조약에 따라 켁스홀름 주 동부와 비보리 뉘슬로트 주가 러시아 제국에 할양되었으며 스웨덴령으로 남은 지역에는 큄메네고르드 뉘슬로트 주가 신설되었다. 1743년 오보 조약에 따라 큄메네고르드 뉘슬로트 주 남동부가 러시아 제국에 넘어갔다.
1809년 스웨덴이 핀란드를 러시아 제국에 할양했으며 그 자리에는 핀란드 대공국이 수립되었다. 1812년 러시아 제국이 비푸리 주를 핀란드 대공국에 할양했다. 1940년 겨울 전쟁 이후에 핀란드가 카렐리야 거의 대부분을 소비에트 연방에 할양했는데 이 국경은 1721년 당시의 국경과 유사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일어난 계속 전쟁 당시에 핀란드가 카렐리야를 일시적으로 탈환했지만 1944년 소비에트 연방에 다시 점령되고 만다. 이 전쟁의 결과로 핀란드령으로 남아 있던 카렐리야 거의 대부분이 소비에트 연방에 넘어갔으며 북카리알라(핀란드령 카렐리야 북부)에는 쿠오피오 주, 남카리알라(핀란드령 카렐리야 남부)에는 퀴미 주가 신설되었다.[9]
2. 4. 겨울 전쟁과 계속 전쟁
13세기 카렐리야는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공화국 사이에 쟁탈전이 벌어지고 있었다.[1] 1293년부터 1295년까지 토르길스 크누트손 원수가 이끄는 제3차 스웨덴 십자군이 주둔한 결과, 카렐리야 서부는 스웨덴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비보르 성이 건설되었다.[5]1300년 스웨덴군이 네바강 하구에 공격을 개시했으며 현재의 상트페테르부르크 근처에 요새를 건설하면서 교전이 계속되었다.[6] 이 요새는 나중에 노브고로드 공화국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그 이후에도 교전이 자주 일어나는 등 불안정한 시대가 계속되었다. 1331년부터 1332년까지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공화국 사이에 협상이 진행되었으며 뇌테보리 조약이 체결되었다.[6] 이 조약은 양국 간의 국경을 최초로 확정한 조약이 되었다. 스웨덴은 비푸리 인근과 카렐리야 지협 서부, 남카렐리아를 획득했으며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카렐리야 지협 동부, 잉그리아, 라도가 카렐리야, 북카렐리아를 획득했다.
1617년 스웨덴이 러시아 차르국의 지배하에 있던 카렐리야 지협 동부와 라도가 카렐리야, 북카렐리야를 정복했다.[6] 1634년 스웨덴의 지배하에 있던 핀란드에서 새로운 행정 구역이 신설되었는데 스웨덴령 카렐리야 지역과 사보 지역에 신설된 행정 구역은 비보리 뉘슬로트 주와 켁스홀름 주였다. 1721년 뉘스타드 조약에 따라 켁스홀름 주 동부와 비보리 뉘슬로트 주가 러시아 제국에 할양되었으며 스웨덴령으로 남은 지역에는 큄메네고르드 뉘슬로트 주가 신설되었다. 1743년 오보 조약에 따라 큄메네고르드 뉘슬로트 주 남동부가 러시아 제국에 넘어갔다.
1809년 스웨덴이 핀란드를 러시아 제국에 할양했으며 그 자리에는 핀란드 대공국이 수립되었다. 1812년 러시아 제국이 비푸리 주를 핀란드 대공국에 할양했다. 1940년 겨울 전쟁 이후에 핀란드가 카렐리야 거의 대부분을 소비에트 연방에 할양했는데 이 국경은 1721년 당시의 국경과 유사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일어난 계속 전쟁 당시에 핀란드가 카렐리야를 일시적으로 탈환했지만 1944년 소비에트 연방에 다시 점령되고 만다.[9] 이 전쟁의 결과로 핀란드령으로 남아 있던 카렐리야 거의 대부분이 소비에트 연방에 넘어갔으며 북카리알라(핀란드령 카렐리야 북부)에는 쿠오피오 주, 남카리알라(핀란드령 카렐리야 남부)에는 퀴미 주가 신설되었다.
left
2. 5. 현대
13세기 카렐리야는 아직 분할되지 않은 상태였으며,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공화국 사이에 쟁탈전이 벌어지고 있었다.[1] 러시아의 연대기에 따르면, 카렐리야 지역은 12세기 무렵까지 노브고로드 공국의 영토였다고 한다. 1293년부터 1295년까지 제3차 스웨덴 십자군이 주둔했고, 그 결과 카렐리야 서부는 스웨덴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비보리 성이 건설되었다.[4][5]1300년 스웨덴군이 네바강 하구에 공격을 개시했으며 현재의 상트페테르부르크 근처에 요새를 건설하는 등 교전이 계속되었다. 이 요새는 나중에 노브고로드 공화국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그 이후에도 교전이 자주 일어나는 등 불안정한 시대가 계속되었다. 1331년부터 1332년까지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공화국 사이에 협상이 진행되었으며 양국 간의 절충안을 담은 뇌테보리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국경을 최초로 확정한 조약이 되었다. 스웨덴은 비푸리 인근과 카렐리야 지협 서부, 남카렐리야를 획득했으며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카렐리야 지협 동부, 잉그리아, 라도가 카렐리야, 북카렐리야를 획득했다.
1617년 스웨덴이 러시아 차르국의 지배하에 있던 카렐리야 지협 동부와 라도가 카렐리야, 북카렐리야를 정복했다. 1634년 스웨덴의 지배하에 있던 핀란드에서 새로운 행정 구역이 신설되었는데 스웨덴령 카렐리야 지역과 사보 지역에 신설된 행정 구역은 비보리 뉘슬로트 주와 켁스홀름 주였다. 1721년 뉘스타드 조약에 따라 켁스홀름 주 동부와 비보리 뉘슬로트 주가 러시아 제국에 할양되었으며 스웨덴령으로 남은 지역에는 큄메네고르드 뉘슬로트 주가 신설되었다. 1743년 오보 조약에 따라 큄메네고르드 뉘슬로트 주 남동부가 러시아 제국에 넘어갔다.
1809년 스웨덴이 핀란드를 러시아 제국에 할양했으며 그 자리에는 핀란드 대공국이 수립되었다. 1812년 러시아 제국이 비푸리 주를 핀란드 대공국에 할양했다. 1940년 겨울 전쟁 이후에 핀란드가 카렐리야 거의 대부분을 소비에트 연방에 할양했는데 이 국경은 1721년 당시의 국경과 유사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일어난 계속 전쟁 당시에 핀란드가 카렐리야를 일시적으로 탈환했지만 1944년 소비에트 연방에 다시 점령되고 만다. 이 전쟁의 결과로 핀란드령으로 남아 있던 카렐리야 거의 대부분이 소비에트 연방에 넘어갔으며 북카렐리아 현(핀란드령 카렐리야 북부)에는 쿠오피오 주, 남카렐리아 현(핀란드령 카렐리야 남부)에는 퀴미 주가 신설되었다.
{{둘러보기 상자
|이름 = 핀란드의 역사적 지역
|제목 = 핀란드의 역사적 지역
|내용속성 = hlist
|내용1=
- 남서수오미
- 카리알라
- 라피
- 포흐얀마
- 사타쿤타
- 사보
- 해메
- 우시마
- 올란드
}}
3. 행정 구역
1997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북카리알라는 동핀란드 주에 속하게 되었다.[9] 2010년 1월 1일을 기해 핀란드의 주가 폐지된 이후부터는 북카리알라 지역에 속해 있으며 북카리알라의 일부 지역은 북사보 지역에 속해 있다.[9]
3. 1. 북카리알라 지역
1997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북카리알라는 동핀란드 주에 속하게 되었다.[9] 2010년 1월 1일 핀란드의 주가 폐지된 후[9] 북카리알라 지역에 속하며, 일부 지역은 북사보 지역에 속해 있다.[9]핀란드 카렐리아 지역은 13세기 동안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공국 사이의 분쟁 지역이었다. 12세기 무렵까지는 노브고로드 공국의 영토였다고 러시아 연대기에 기록되어 있다. 제3차 스웨덴 십자군이 1293년부터 1295년 사이에 주둔하면서 카렐리아 서부가 스웨덴 통치하에 들어가고 비보리 성이 세워졌다. 1300년 스웨덴군이 네바 강 하구를 공격하여 상트페테르부르크 근처에 요새를 건설하기도 했으나, 이 요새는 노브고로드 공국에 의해 파괴되었다. 잦은 교전 끝에 1331년부터 1332년까지 교섭이 이루어져 노테보리 조약이 체결되면서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공국 간의 국경이 처음으로 정해졌다.
1617년 스웨덴은 러시아 차르국으로부터 카렐리아 지협 동부, 라도가 카렐리아, 북카렐리아를 정복했다. 1634년 스웨덴 통치 하의 핀란드에 새로운 지방 행정 구획이 도입되면서 카르야라 주와 케크스홀름 주가 설치되었다. 대북방 전쟁 결과 1721년 니스타트 조약으로 케크스홀름 주 동부와 비프리·사본린나 주 동남부가 러시아 제국에 할양되었다. 모자 전쟁 결과, 사본린나·퀴멘고르드 주 동남부가 러시아 제국에 할양되면서 카르야라 지역은 북부를 제외하고 거의 러시아 제국령이 되었다.
1809년 핀란드는 러시아 제국에 할양되어 핀란드 대공국이 건국되었고, 1812년 비보리 주가 핀란드 대공국으로 할양되면서 카르야라 지역이 핀란드령으로 복귀했다. 그러나 1939년 겨울 전쟁으로 1940년 카르야라 대부분은 소비에트 연방에 할양되었다. 계속 전쟁으로 핀란드가 일시적으로 탈환하기도 했지만, 1944년 다시 소비에트 연방에 점령되면서 현재 핀란드령에 남은 카르야라 지역 외에는 소비에트 연방에 할양되었다.
3. 2. 남카리알라 지역
1997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북카리알라는 동핀란드 주, 남카리알라는 남핀란드 주에 속했다.[9] 2010년 1월 1일 핀란드의 주가 폐지되면서[9] 북카리알라 지역과 남카리알라 지역으로 나뉘었다.[9] 북카리알라의 일부는 북사보 지역에, 남카리알라의 일부는 남사보 지역과 퀴멘락소 지역에 속한다.[9]4. 문화
핀란드에 역사적으로 속했던 카렐리야 지역의 주민들은 카렐리안인으로 알려져 있다.[10] 혼란스럽게도, 이와 같은 이름은 1944년 핀란드가 소련에 할양한 일부 지역뿐만 아니라, 주로 동카렐리야에 거주하는 가깝지만 별개의 민족 집단에도 사용된다.[10]
겨울 전쟁 이전의 국경에 따라 "라도가-카렐리야", 즉 핀란드 카렐리야의 전통 문화는 동카렐리야, 즉 러시아 카렐리야와 대체로 유사했다. 스탈린주의와 대숙청 이전에도 카렐리안인들은 핀란드의 동쪽 광대한 지역(위 지도에는 표시되지 않은 동카렐리야)에서도 살았으며, 19세기 동안 민속, 언어 및 건축은 핀란드인의 관심사였다. (카렐리안주의 참조). 이는 수천 년 동안 게르만족 및 스칸디나비아 문화와 더 많이 접촉(또는 "오염")되어 온 남부 및 서부 핀란드의 문화보다 "더 순수한" 핀란드 문화를 대표한다. 이 문화의 표현으로는 칼레발라와 핀란드 아르 누보가 있다.
4. 1. 카렐리야인
핀란드에 역사적으로 속했던 카렐리야 지역의 주민들은 카렐리안인으로 알려져 있다.[10] 혼란스럽게도, 이와 같은 이름은 1944년 핀란드가 소련에 할양한 일부 지역뿐만 아니라, 주로 동카렐리야에 거주하는 가깝지만 별개의 민족 집단에도 사용된다.[10]겨울 전쟁 이전의 국경에 따라 "라도가-카렐리야", 즉 핀란드 카렐리야의 전통 문화는 동카렐리야, 즉 러시아 카렐리야와 대체로 유사했다. 스탈린주의와 대숙청 이전에도 카렐리안인들은 핀란드의 동쪽 광대한 지역(위 지도에는 표시되지 않은 동카렐리야)에서도 살았으며, 19세기 동안 민속, 언어 및 건축은 핀란드인의 관심사였다. (카렐리안주의 참조). 이는 수천 년 동안 게르만족 및 스칸디나비아 문화와 더 많이 접촉(또는 "오염")되어 온 남부 및 서부 핀란드의 문화보다 "더 순수한" 핀란드 문화를 대표한다. 이 문화의 표현으로는 칼레발라와 핀란드 아르 누보가 있다.
역사적으로 전통적인 칼랼라의 주민들은 카렐리안으로 알려져 있었다. 다만, 동명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이쪽의 카렐리안은 동카렐리아에 다수가 거주하는 카렐리안과는 가까운 관계에 있지만, 별개의 민족 그룹이다. 핀란드 카렐리안에는 현재, 북카렐리아 주, 남카렐리아 주의 주민과, 소비에트 연방으로의 할양으로부터 피난해 온 사람들이 포함된다. 현재, 칼랼라 지역에는 약 35만 명의 주민이 있다. 또한, 소비에트 연방으로의 할양 시에 피난해 온 핀란드 카렐리안은 40만 명에 달하며, 핀란드 각지에 거주하고 있다 (이 피난민은 1939년부터 1944년의 겨울 전쟁 및 계속 전쟁의 결과에 의한 것이며, 핀란드의 공식 통계에 따르면 피난민은 합계 41만 5000명에 달한다. 또한, 할양 시에 피난하지 않고 소비에트 연방 측에 남은 핀란드 카렐리안의 수는 5000명이다.)[10]
이 핀란드 카렐리안은 핀란드인의 지역적, 문화적 하위 그룹으로 여겨진다. 그들은 핀란드어의 동부, 혹은 남동부의 방언을 사용한다. 핀란드 카렐리안 중에는 동카렐리아에 뿌리를 둔 사람도 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그들은 언어적으로도 문화적으로도 핀란드인과 가까운 관계가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지역에서는 동카렐리아에 뿌리를 둔 핀란드 카렐리안이 많으며, 특히 북카렐리아 주에서 현저하다. 핀란드 카렐리안 사이에서는 주로 루터교 사람들이 주류이다.
4. 2. 문화적 특징
핀란드에 역사적으로 속했던 카렐리야 지역의 주민들은 카렐리안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동카렐리야에 주로 거주하는 가깝지만 별개의 민족 집단과 구별된다.[10]
겨울 전쟁 이전의 국경에 따라 "라도가-카렐리야", 즉 핀란드 카렐리야의 전통 문화는 동카렐리야, 즉 러시아 카렐리야와 대체로 유사했다.[10] 스탈린주의와 대숙청 이전에도 카렐리안인들은 핀란드의 동쪽 광대한 지역(위 지도에는 표시되지 않은 동카렐리야)에서도 살았으며, 19세기 동안 민속, 언어 및 건축은 핀란드인의 관심사였다.( 카렐리안주의 참조).[10] 이는 수천 년 동안 게르만족 및 스칸디나비아 문화와 더 많이 접촉(또는 "오염")되어 온 남부 및 서부 핀란드의 문화보다 "더 순수한" 핀란드 문화를 대표한다.[10] 이 문화의 표현으로는 칼레발라와 핀란드 아르 누보가 있다.
핀란드 카렐리안에는 현재, 북카렐리아 주, 남카렐리아 주의 주민과, 소비에트 연방으로의 할양으로부터 피난해 온 사람들이 포함된다.[10] 현재, 칼랼라 지역에는 약 35만 명의 주민이 있다.[10] 또한, 1939년부터 1944년의 겨울 전쟁 및 계속 전쟁의 결과로 소비에트 연방으로의 할양 시에 피난해 온 핀란드 카렐리안은 40만 명에 달하며, 핀란드 각지에 거주하고 있다.[10] 핀란드의 공식 통계에 따르면 피난민은 합계 41만 5000명에 달한다.[10] 할양 시에 피난하지 않고 소비에트 연방 측에 남은 핀란드 카렐리안의 수는 5000명이다.[10]
이 핀란드 카렐리안은 핀란드인의 지역적, 문화적 하위 그룹으로 여겨진다.[10] 그들은 핀란드어의 동부, 혹은 남동부의 방언을 사용한다.[10] 핀란드 카렐리안 중에는 동카렐리아에 뿌리를 둔 사람도 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그들은 언어적으로도 문화적으로도 핀란드인과 가까운 관계가 되었다.[10] 그러나, 일반적인 지역에서는 동카렐리아에 뿌리를 둔 핀란드 카렐리안이 많으며, 특히 북카렐리아 주에서 현저하다.[10] 핀란드 카렐리안 사이에서는 주로 루터교 사람들이 주류이다.[10]
5. 저명한 카렐리야인
- 마르티 아티사리
- 안나 이스텐
- 시모 해위해, 겨울 전쟁 중의 저격수.
- 안사 이코넨
- 아르네 유틸라이넨
- 에이노 루카넨
- 베이요 메리
- 마사 니에미
- 아로 파야리
- 라우리 퇼니, 비푸리 출생. 퇼니는 계속 전쟁 동안 군인이자 만네르헤임 십자 훈장 수상자였으며, 이후 독일군과 미군에서 복무했다.
- 리타 우오수카이넨
- 타투 반하넨
- 요한네스 비롤라이넨
- 토마스 홀로파이넨
- 타르야 투루넨
- 요우니 퓌뤼넨
카렐리안 목록
참조
[1]
서적
Ancient Karelia
Suomen muinaismuistoyhdistyksen aikakausikirja 104
[2]
서적
Rajamaa - Etelä Karjalan Historia I
Otavan Kirjapaino Oy
2018
[3]
서적
Rajamaa - Etelä Karjalan Historia I
Otavan Kirjapaino Oy
2018
[4]
서적
Ancient Karelia
Suomen muinaismuistoyhdistyksen aikakausikirja 104
[5]
서적
Ancient Karelia
Suomen muinaismuistoyhdistyksen aikakausikirja 104
[6]
서적
Ancient Karelia
Suomen muinaismuistoyhdistykse aikakausikirja 104
[7]
서적
Ancient Karelia
Suomen muinaismuistoyhdistyksen aikakausikirja 104
[8]
서적
Ancient Karelia
Suomen muinaismuistoyhdistyksen aikakausikirja 104
[9]
웹사이트
New regional administration model abolishes provinces in 2010
http://www.hs.fi/eng[...]
HELSINGIN SANOMAT
2012-07-15
[10]
서적
Population Resettlement in International Conflicts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