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경신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경신학은 성경의 가르침을 성경 역사를 통해 점진적으로 드러나는 계시로 연구하는 신학 분야이다. 성경신학은 성경 연구의 방법론이나 강조점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독자적인 내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구약신학과 신약신학으로 나뉘며, 17세기 개신교 교리신학에서 시작되어 18세기 요한 필립 가블러의 강연을 통해 현대 성경신학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19세기에는 역사비평적 방법이 발전하며, 20세기 초 성경신학 운동이 일어났다. 복음주의 신학에서는 성경 계시의 점진적인 성격을 강조하며, 한국에서는 게할더스 보스의 저술 등이 번역되어 소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약성경 - 나실인
    나실인은 구약성경 시대에 하나님께 헌신하기로 서약한 사람들을 뜻하며, 포도주를 멀리하고 머리카락을 자르지 않는 등의 규정을 지켰고, 삼손과 사무엘이 대표적인 예이며 현대의 영적인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 구약성경 - 레닌그라드 사본
    레닌그라드 사본은 러시아 국립도서관 소장 히브리어 성경 사본으로, 티베리아식 모음과 마소라 주석을 포함하며, 1937년 비블리아 헤브라이카 기본 본문 채택 이후 국제적으로 알려졌고, 중세 유대 예술의 사례로 평가받으며, 현대 히브리어 성경 판본의 기초가 되었다.
  • 조직신학 - 성경 영감설
    성경 영감설은 성경 기록 과정에 대한 하나님의 개입 정도와 성경의 권위 및 무오류성에 대한 다양한 신학적 견해를 다루는 주제로, 여러 신학적 전통에서 영감의 방식과 성경 해석의 차이점을 논하며, 완전한 영감, 역동적 영감, 부분적 영감 등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고, 여러 비판적 시각에 직면하며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서 논의된다.
  • 조직신학 - 종말론
    종말론은 죽음, 심판, 인류와 우주의 궁극적 운명을 다루는 신학 및 철학 분야로, 다양한 종교와 사상에서 독특한 종말관을 제시하며, 종교적 경전 해석, 과학기술 발전, 역사의 법칙성 논의 등과 연관되어 복잡한 해석을 갖는다.
  • 신약성경 - 사도행전
    사도행전은 신약성경의 다섯 번째 책이자 누가복음과 함께 누가-사도행전으로 불리는 작품의 후반부로, 예수의 승천 이후 사도들의 활동과 초기 교회의 성장, 특히 베드로와 바울의 활동을 중심으로 예루살렘에서 로마까지 복음이 전파되는 과정을 기록하고 있다.
  • 신약성경 - 에페소인들에게 보낸 편지
    에베소인들에게 보낸 편지는 그리스도의 희생을 통한 구원과 성도들의 연합 및 순결을 강조하며, 하나님의 사랑을 본받아 서로 사랑하고 하나됨을 유지하며 거룩한 삶을 살 것을 권면하는 신약성서의 서신이다.
성경신학
개요
유형신학의 한 분야
정의성경 전체를 연구하는 신학
주요 특징
강조점성경의 통일성과 발전적 계시
방법론역사적, 문맥적 분석을 통한 성경 본문 이해
역사적 발전
기원개신교 종교 개혁 이후
주요 학자요한 필리프 가블러
헤르만 바빙크
게할더스 보스
관련 분야
연관 분야조직신학
역사신학
실천신학

2. 학문 분야

그레이스 신학 대학원에 글을 기고한 마크 보왈드는 신학의 "네 가지 중점 분야"로 "성경신학, 역사신학, 조직신학(또는 교의신학), 실천신학을 포함한다"고 말했다.[2]

성경신학은 성경의 가르침을 성경 역사를 통해 유기적으로 발전하는 과정, 즉 점차적으로 드러나는 계시로 연구하며, 후기 성경에서는 명확성과 정의가 증가하고, 초기 성경에서는 초기적이고 불분명한 형태로 나타난다.[3] 대부분의 사람들은 성경신학을 성경 연구 내의 특정 방법론이나 강조점으로 이야기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 용어를 고유한 내용과 관련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해에서 성경신학은 조직신학이 강조하는 텍스트 간의 논리적 분석과 변증법적 상관 관계 없이 성경적 자료를 수집하고 재진술하는 데 국한된다.[4]

일부 학자들은 구약성경 또는 히브리 성경에 초점을 맞추며, 이는 구약신학 분야에 속한다.[5] 이 분야는 기독교적 노력으로 시작되어 초기 계시에 대한 객관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20세기에는 페미니스트 학자 및 유대인 학자들의 목소리를 포함한 다른 목소리와 관점에 의해 영향을 받아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고 초기 작업이 저자의 관점에 의해 묶여 있었던 방식을 보여주었다. 주요 학자로는 발터 아이히로트, 게르하르트 폰 라트, 필리스 트리블, 게르하르두스 보스, 존 레벤슨 등이 있다.[5]

다른 학자들은 신약성경(NT)에 초점을 맞추며, 신약신학 분야 또한 이러한 문서와 그 역사적 맥락의 범위 내에서 이해를 추구한다.[6] 주요 학자로는 루돌프 불트만, 헨드리쿠스 보어스, N. T. 라이트 등이 있다.[6]

2. 1. 구약신학

그레이스 신학 대학원에 글을 기고한 마크 보왈드는 신학의 "네 가지 중점 분야"로 "성경신학, 역사신학, 조직신학(또는 교의신학), 실천신학을 포함한다"고 말했다.[2]

성경신학은 성경의 가르침을 성경 역사를 통해 유기적으로 발전하는 과정, 즉 점차적으로 드러나는 계시로 연구하며, 후기 성경에서는 명확성과 정의가 증가하고, 초기 성경에서는 초기적이고 불분명한 형태로 나타난다.[3]

일부 학자들은 구약성경 또는 히브리 성경에 초점을 맞추며, 이는 구약신학 분야에 속한다.[5] 이 분야는 기독교적 노력으로 시작되어 초기 계시에 대한 객관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20세기에는 페미니스트 학자 및 유대인 학자들의 목소리를 포함한 다른 목소리와 관점에 의해 영향을 받아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고 초기 작업이 저자의 관점에 의해 묶여 있었던 방식을 보여주었다.[5] 주요 학자로는 발터 아이히로트, 게르하르트 폰 라트, 필리스 트리블, 게르하르두스 보스, 존 레벤슨 등이 있다.[5]

2. 2. 신약신학

그레이스 신학 대학원에 글을 기고한 마크 보왈드는 신학의 "네 가지 중점 분야"로 "성경신학, 역사신학, 조직신학(또는 교의신학), 실천신학을 포함한다"고 말했다.[2] 성경신학은 성경의 가르침을 성경 역사를 통해 유기적으로 발전하는 과정, 즉 점차적으로 드러나는 계시로 연구한다.[3] 대부분의 사람들은 성경신학을 성경 연구 내의 특정 방법론이나 강조점으로 이야기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 용어를 고유한 내용과 관련하여 사용하기도 한다.[4]

다른 학자들은 신약성경(NT)에 초점을 맞추며, 신약신학 분야 또한 이러한 문서와 그 역사적 맥락의 범위 내에서 이해를 추구한다.[6] 주요 학자로는 루돌프 불트만, 헨드리쿠스 보어스, N. T. 라이트 등이 있다.[6]

2. 3. 복음주의 신학에서의 성경신학

복음주의에서 성경신학은 성경 계시의 점진적 본성을 강조하는 신학 분야이다.[7] 그레이엄 골즈워디는 성경신학과 조직신학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성경신학은 정적이 아니라 역동적이며, 성경에서 하나님의 계시의 움직임과 과정을 따른다. 조직신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강조점에 차이가 있다. 성경신학은 기독교 신앙의 내용을 구성하는 최종 교리를 진술하는 데 관심을 두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계시가 펼쳐지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목적에 대한 하나님의 최종 계시라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을 설명하는 데 관심이 있다.[7] 성경신학은 성경에 기록된 하나님의 계시 활동의 다양한 시대들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려고 한다.[7] 조직신학자는 주로 완성된 기사, 즉 기독교 교리의 진술에 관심이 있는 반면에, 성경신학자는 진리의 점진적인 전개에 더 관심을 둔다.[7] 조직신학자가 ''기독교'' 교리를 공식화할 수 있는 자료의 일부로 성경의 오순절 이전 본문을 활용하는 것은 성경신학에 근거한다.[7]

그레고리 빌, 케빈 반후이저, 게르하르두스 보스 (''성경신학: 구약과 신약''), 헤르만 니콜라스 리더보스 (''왕국의 도래''), 메러디스 클라인 (''왕국 서문''), 그레이엄 골즈워디 (''계획대로'', ''복음과 왕국''), 본 로버츠 (''하나님의 큰 그림''), 제임스 해밀턴 (''심판을 통한 구원 안에서 하나님의 영광''), 피터 젠트리와 스티븐 웰럼 (''언약을 통한 왕국: 언약에 대한 성경신학적 이해'')[8]의 저술은 성경에 대한 이러한 접근 방식을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9] 특히 이 연구 분야를 고백적 전통으로 가져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은 구 프린스턴 신학자 게르하르두스 보스 (''성경신학: 구약과 신약'')였다.[10] 그들은 성경의 메시지를 "하나님의 통치와 축복 아래 하나님의 백성이 하나님의 처소에 있는 것"으로 요약한다.[7]

3. 역사

17세기에는 개신교 교리신학이 성경에 기초하고 있음을 증명하려는 시도를 "성경신학"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초기 저작들은 조직신학에서 사용되는 표준 개요에 따라 성경 텍스트를 설명했다. 1770년대에 요한 살로모 셈러는 성경신학이 교리신학에서 분리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요한 필립 가블러의 1787년 강연 "성경신학과 교리신학의 적절한 구별에 대하여"는 현대 성경신학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가블러는 성경이 "기독교 종교에 대한 모든 진정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하고 명확한 근원"이라고 믿었다. 가블러에게 교리신학은 "순수하고 외래적인 요소가 섞이지 않은" 성경신학에 기초해야 했다. 가블러는 성경신학의 두 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첫 번째 과제는 성경에서 발견되는 사상에 대한 정확한 역사적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는 성경 텍스트의 해석이 관련 역사적 시대의 언어와 관습에 의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요한 점은 가블러가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이 믿음에서 통일성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가블러의 두 번째 과제는 성경적 사상들을 서로 비교하여 교리신학의 기초가 될 보편적인 성경적 진리를 발견하는 것이었다.

가블러의 첫 번째 과제를 이어받아, 게오르크 로렌츠 바우어는 구약성경(1796)과 신약성경(1800–1802)에 대한 별도의 성경신학을 저술했다. 이는 구약신학과 신약신학이 독립적인 학문 분야로 시작되었음을 의미했다. 그러나 가블러의 두 번째 과제는 잊혀졌다. 성경 학자 프랭크 마테라에 따르면, "성경신학은 교리신학의 종이 되는 대신 곧 경쟁자가 되었다."

3. 1. 중세

중세 시대에는 우화적인 해석이 중심이었고, 성경에 대한 연구는 교회의 교리에 종속되어야 했기 때문에 성서신학은 발전하지 못했다.

3. 2. 종교개혁

종교 개혁자들은 중세 교회의 교리가 반드시 성경에 근거하지 않는다는 점을 비판했다. 성경을 원어로 연구해야 하며, 역사적, 문법적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3. 3. 18세기: 성경신학의 태동

17세기에는 개신교 교리신학이 성경에 기초하고 있음을 증명하려는 시도를 "성경신학"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초기 저작들은 조직신학에서 사용되는 표준 개요에 따라 성경 텍스트를 설명했다. 1770년대에 요한 살로모 셈러는 성경신학이 교리신학에서 분리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요한 필립 가블러의 1787년 강연 "성경신학과 교리신학의 적절한 구별에 대하여"는 현대 성경신학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가블러는 성경이 "기독교 종교에 대한 모든 진정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하고 명확한 근원"이라고 믿었다. 가블러에게 교리신학은 "순수하고 외래적인 요소가 섞이지 않은" 성경신학에 기초해야 했다. 가블러는 성경신학의 두 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첫 번째 과제는 성경에서 발견되는 사상에 대한 정확한 역사적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는 성경 텍스트의 해석이 관련 역사적 시대의 언어와 관습에 의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요한 점은 가블러가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이 믿음에서 통일성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가블러의 두 번째 과제는 성경적 사상들을 서로 비교하여 교리신학의 기초가 될 보편적인 성경적 진리를 발견하는 것이었다.

가블러의 첫 번째 과제를 이어받아, 게오르크 로렌츠 바우어는 구약성경(1796)과 신약성경(1800–1802)에 대한 별도의 성경신학을 저술했다. 이는 구약신학과 신약신학이 독립적인 학문 분야로 시작되었음을 의미했다. 그러나 가블러의 두 번째 과제는 잊혀졌다. 성경 학자 프랭크 마테라에 따르면, "성경신학은 교리신학의 종이 되는 대신 곧 경쟁자가 되었다."

18세기에 들어서자 유럽에서는 계몽주의와 합리주의가 일어나, 그 영향으로 성서는 객관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성서를 다른 역사적 문서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전제하에 연구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3. 4. 19세기: 역사비평적 방법의 발전

17세기에 개신교 교리신학이 성경에 기초하고 있음을 증명하려는 시도를 "성경신학"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초기 저작들은 조직신학에서 사용되는 표준 개요에 따라 성경 텍스트를 설명했다. 1770년대에 요한 살로모 셈러는 성경신학이 교리신학에서 분리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요한 필립 가블러의 1787년 강연 "성경신학과 교리신학의 적절한 구별에 대하여"는 현대 성경신학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가블러는 성경이 "기독교 종교에 대한 모든 진정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하고 명확한 근원"이라고 믿었다. 가블러에게 교리신학은 "순수하고 외래적인 요소가 섞이지 않은" 성경신학에 기초해야 했다. 가블러는 성경신학의 두 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첫 번째 과제는 성경에서 발견되는 사상에 대한 정확한 역사적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는 성경 텍스트의 해석이 관련 역사적 시대의 언어와 관습에 의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요한 점은 가블러가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이 믿음에서 통일성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가블러의 두 번째 과제는 성경적 사상들을 서로 비교하여 교리신학의 기초가 될 보편적인 성경적 진리를 발견하는 것이었다.

가블러의 첫 번째 과제를 이어받아, 게오르크 로렌츠 바우어는 구약성경(1796)과 신약성경(1800–1802)에 대한 별도의 성경신학을 저술했다. 이는 구약신학과 신약신학이 독립적인 학문 분야로 시작되었음을 의미했다. 그러나 가블러의 두 번째 과제는 잊혀졌다. 성경 학자 프랭크 마테라에 따르면, "성경신학은 교리신학의 종이 되는 대신 곧 경쟁자가 되었다."

19세기에 들어서면서 가블러의 사상이 '역사적·비평적' 연구 방법으로 구체화되었다. 이 방법은 보다 객관적이며 종교적 편견을 피할 수 있다고 여겨졌다. 그 결과, 정경으로서의 구약성서와 신약성서의 통일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고, 성서가 인간의 저작과 마찬가지로 간주되게 되었다.

3. 5. 20세기 초: 성경신학 운동과 비평

17세기에 개신교 교리신학이 성경에 기초하고 있음을 증명하려는 시도를 "성경신학"이라고 불렀다. 1770년대에 요한 살로모 셈러는 성경신학이 교리신학에서 분리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요한 필립 가블러의 1787년 강연 "성경신학과 교리신학의 적절한 구별에 대하여"는 현대 성경신학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가블러는 성경이 "기독교 종교에 대한 모든 진정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하고 명확한 근원"이라고 믿었고, 교리신학은 "순수하고 외래적인 요소가 섞이지 않은" 성경신학에 기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블러는 성경신학의 두 가지 과제를 제시했는데 첫 번째는 성경에서 발견되는 사상에 대한 정확한 역사적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는 성경 텍스트의 해석이 관련 역사적 시대의 언어와 관습에 의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블러는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이 믿음에서 통일성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지 않았다. 가블러의 두 번째 과제는 성경적 사상들을 서로 비교하여 교리신학의 기초가 될 보편적인 성경적 진리를 발견하는 것이었다.

가블러의 첫 번째 과제를 이어받아, 게오르크 로렌츠 바우어는 구약성경(1796)과 신약성경(1800–1802)에 대한 별도의 성경신학을 저술했다. 이는 구약신학과 신약신학이 독립적인 학문 분야로 시작되었음을 의미했다. 그러나 가블러의 두 번째 과제는 잊혀졌다. 성경 학자 프랭크 마테라에 따르면, "성경신학은 교리신학의 종이 되는 대신 곧 경쟁자가 되었다."

20세기 초, 부세트는 1913년에 『호기심 많은 그리스도』를 저술하여 예수를 유대교적 묵시 문학에서의 초월적인 인간의 아들로 간주하는 팔레스타인 초기 교회의 신앙과 예수를 헬레니즘적 종교에서의 신적 인물로 여겼던 바울의 헬레니즘적 교회의 신앙을 구분했다. A. 슈바이처는 1906년에 저술한 『라이마르스에서 브레데까지』에서 그 이전의 역사적 예수 연구사를 연구했지만, 예수의 실상은 거의 알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1920년대에 성서 신학 재검토 운동이 일어났다. 1921년, R. 키텔은 역사적, 비평적 방법의 결점을 인정하고, 신학으로서의 구약 연구를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22년, E. 쾨니히는 벨하우젠에 반대하여 이스라엘 역사에 대한 진화론적 방법론의 사용을 부정했다. 1926년에는 O. 아이스펠트가 구약 성서 연구에서는 역사적 방법과 신학적 방법이 병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30년대, W. 아이히로트가 『구약 신학』을 저술하여 역사 연구는 순수하게 객관적이며, 그전의 역사적 방법을 비판했다. 역사적 봉사와 신학적 방법의 통일이 가능하다는 점을 주장했다.

3. 6. 20세기 후반: 성경신학 운동의 확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성경신학에 관한 많은 저작이 나타났다. 독일에서는 루돌프 불트만, E. 퀘제만, 스위스에서는 O. 쿨만, 영국에서는 H. H. 로우리, A. 리차드먼, 미국은 G. E. 라이트, J. 브라이트 등이 그 대표이다. 이러한 일련의 움직임을 성경신학 운동이라고 부른다.

또한, 복음주의 학자들의 성경신학 저작도 많이 발표되었다. G. 보스 『성경신학』, 에드워드 영 『오늘날의 구약신학 연구』, G. E. 래드 『신약성서신학』 등이 있다. 이들은 역사적·비평적 입장의 학자들과는 선을 긋고 있다.

4. 한국의 성경신학

게할더스 보스의 ''성경신학''은 원광연이 번역하여 크리스챤다이제스트에서 출판되었다. 게르하르트 F. 하젤의 ''현대 구약신학의 동향''은 이군호가 번역하여 대한기독교서회에서 출판되었다.

4. 1. 해방 이전

4. 2. 해방 이후

4. 3. 현대 한국의 성경신학

게할더스 보스의 ''성경신학''은 원광연이 번역하여 크리스챤다이제스트에서 출판되었다. 게르하르트 F. 하젤의 ''현대 구약신학의 동향''은 이군호가 번역하여 대한기독교서회에서 출판되었다.

참조

[1] 서적 Systematic Theology and Biblical Theology InterVarsity
[2] 웹사이트 What are the Four Types of Theology? Answers from a Theology School https://seminary.gra[...] 2020-12-16
[3] 서적 Biblical Theology: Old and New Testaments Banner of Truth Trust
[4] 서적 Systematic Theology and Biblical Theology InterVarsity
[5] 서적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 testimony, dispute, advocacy Fortress Press 1997
[6] 서적 What is New Testament theology? Fortress Press 2002
[7] 서적 The Goldsworthy Trilogy
[8] 서적 Kingdom through Covenant: A Biblical-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Covenants Crossway 2018
[9] 서적 Introduction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 Co
[10] 서적 Biblical Theology: Old and New Testaments Banner of Truth 1975
[11] 웹사이트 Biblical Theology Movement http://www.thearda.c[...] Association of Religion Data Archives 2019-03-06
[12] 간행물 Redefining Confessionalism: American Presbyterians in the Twentieth Century Presbyterian Historical Society 2001-Spring
[13] 웹인용 성경신학(Biblische Theologie)이란 무엇인가? http://kcm.kr/dic_vi[...] 2018-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