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르브계 루마니아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브계 루마니아인은 루마니아에 거주하는 세르비아인을 지칭하며, 역사적으로 슬라브족의 이주와 오스만 제국의 영향으로 형성되었다. 중세 시대부터 왈라키아와 몰다비아에 거주했으며, 근대에 이르러 바나트 봉기, 세르비아의 대이동 등을 거치며 인구 분포에 변화가 있었다.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약 18,000명이 루마니아에 거주하며, 주로 아라드, 티미슈, 카라시-세베린, 메헤딘치 지역에 분포한다. 이들은 대부분 세르비아 정교회 신자이며, 티미쇼아라를 중심으로 문화 유산을 보존하고 있다. 크라쇼바니인은 세르비아어의 방언을 사용하며 가톨릭을 믿는 특징을 보인다. 요반 네나드, 도시테이 오브라도비치 등 여러 유명 인사가 세르브계 루마니아인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계 루마니아인 - 라비니아 밀로쇼비치
    라비니아 밀로쇼비치는 1990년대 루마니아 여자 체조를 이끌며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개인 종합 동메달, 도마와 마루운동 금메달,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단체전 동메달과 개인 종합 동메달을 획득한 체조 선수이다.
  • 세르비아계 루마니아인 - 이오시프 이바노비치
    이오시프 이바노비치는 왈츠 "도나우 강의 잔물결"로 유명한 루마니아 작곡가로, 그의 대표작은 19세기 유럽에서 유행했으며 영화 《타이타닉》에도 삽입되어 전 세계적으로 알려졌다.
  • 루마니아의 민족 - 루마니아인
    루마니아인은 동유럽에 거주하며 루마니아어를 사용하고 루마니아의 주된 민족이며, 다키아인과 로마인의 혼혈에서 기원하여 루마니아 정교회를 믿는 것이 특징이다.
  • 루마니아의 민족 - 튀르키예인
    튀르키예인은 튀르키예 공화국을 중심으로 거주하며 튀르키예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 민족으로, 중앙아시아 유목민족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지역의 인구와 혼혈을 이루며 아나톨리아에 정착, 튀르키예 공화국 건국을 통해 정체성이 강화되었으나, 비튀르크계 민족과의 관계는 민족 문제로 남아있다.
  • 슬라브족 - 루신인
    카르파티아 산맥에 거주하는 동슬라브계 민족인 루신인은 역사적으로 루테니아인, 카르파토-러시아인 등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키예프 루스에서 유래한 "루신"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우크라이나 자카르파티아주를 포함한 카르파티아 루테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슬로바키아, 폴란드 등지에 거주하며, 우크라이나인과의 관계 및 루신어의 언어적 지위 등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 슬라브족 - 벨라루스인
    벨라루스에 주로 거주하는 동슬라브계 민족인 벨라루스인은 역사적으로 백러시아인 등으로 불렸으며, 러시아, 우크라이나, 폴란드 등 인접 국가와 미국, 캐나다 등지에 거주하고, 벨라루스어와 러시아어를 사용하며, 키예프 대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 등을 거치며 형성된 역사를 가지고, 슬라브 문화의 영향을 받은 문화를 가지고 있다.
세르브계 루마니아인
기본 정보
세르비아 국기
세르비아 국기
루마니아 국기
루마니아 국기
거주 지역바나트
사용 언어세르비아어, 루마니아어
종교세르비아 정교회
관련 민족루마니아의 불가리아인, 루마니아의 크로아티아인, 루마니아의 마케도니아인
인구 통계
총 인구 (2011년)18,076명

2. 역사

중세 초부터 루마니아에서 초기 슬라브족의 존재가 확인된다. 아바르 카간국은 567년경부터 803년까지 카르파티아 분지의 지배 세력이었다.[3] 중세 시대부터 기록된 슬라브어 기원의 지명들은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인구의 초기 존재를 보여준다.[5]

15세기 오스만 제국의 확장으로 세르비아인들은 판노니아로 대규모 이주를 시작했다.[1] 이 시기부터 요반 브란코비치가 지은 쿠시치와 센주라지, 야크시치 가문이 지은 베즈딘과 호도스-보드로그 수도원 등 세르비아 정교회 수도원들이 이 지역에 건립되기 시작했다. 테메슈바르 에얄레트 행정 구역에는 약 30개의 세르비아 정교회 수도원이 건설되었다.[1]

1594년 바나트 봉기가 테메슈바르 에얄레트에서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일어났고, 봉기 진압 후 많은 세르비아인들이 테오도르 주교의 지도 아래 트란실바니아로 이주했다.[1]

포모리셰 출신 국경 수비대, 18세기 전반기.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 결과, 북부 포모리셰(현재 남부 크리샤나)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양도되었고, 1702년에서 1751년 사이에는 합스부르크 군사 국경의 티사-무레슈(포티시예-포모리셰) 구역의 일부였다. 1720년 기준 포모리셰 지역의 주요 도시인 아라드의 인구는 루마니아인 177가구, 세르비아인 162가구, 헝가리인 35가구였다.

세르비아의 대이동 (1690, 1737–39)으로 세르비아인들의 추가 정착이 이루어졌다.

19세기 왈라키아남슬라브족은 서로 구별하기 어려웠는데, '세르비아인'이라는 용어가 출신에 상관없이 모든 남부 슬라브족에게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악화된 유고슬라비아-소련 관계와 루마니아 공산 정권이 바러간 추방(1951–56)을 실시하면서, 유고슬라비아와 인접한 바나트 지역의 소수 민족(세르비아인 포함)은 루마니아 남동부로 추방되었다.

2. 1. 중세 시대

중세 초부터 루마니아에서 초기 슬라브족의 존재가 확인된다. 아바르 카간국은 567년경부터 803년까지 카르파티아 분지의 지배 세력이었다.[3]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슬라브족과 불가르족이 아바르족의 잔재, 그리고 아마도 블라흐족과 함께 카간국의 멸망 이후 바나트 지역에 거주했다고 본다.[4] 중세 시대부터 기록된 슬라브어 기원의 지명들은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인구의 초기 존재를 보여준다.[5]

오스만 제국의 압력으로 남슬라브 공동체의 일원들이 왈라키아 지방으로 망명했다. 이들은 초기 왈라키아인들과 구분하기 힘들었는데, "세르비아인"이라는 말이 모든 남부 슬라브인에게도 사용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 용어의 정의는 19세기가 되어서야 수정되었다.

2. 2. 근대 초기

15세기 오스만 제국의 확장으로 세르비아인들은 판노니아로 대규모 이주를 시작했다.[1] 이 시기부터 요반 브란코비치가 지은 쿠시치와 센주라지, 야크시치 가문이 지은 베즈딘과 호도스-보드로그 수도원 등 세르비아 정교회 수도원들이 이 지역에 건립되기 시작했다.[1] 테메슈바르 에얄레트 행정 구역에는 약 30개의 세르비아 정교회 수도원이 건설되었다.[1]

1594년 바나트 봉기가 테메슈바르 에얄레트에서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일어났고, 봉기 진압 후 많은 세르비아인들이 테오도르 주교의 지도 아래 트란실바니아로 이주했다.[1] 이들은 이네우와 테이우슈 지역에 정착하여 교회와 학교를 설립하는 등 세르비아인 공동체를 형성했다.[1]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 결과, 북부 포모리셰(현재 남부 크리샤나)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양도되었고, 1702년에서 1751년 사이에는 합스부르크 군사 국경의 티사-무레슈(포티시예-포모리셰) 구역의 일부였다. 1720년 기준 포모리셰 지역의 주요 도시인 아라드의 인구는 루마니아인 177가구, 세르비아인 162가구, 헝가리인 35가구였다. 포모리셰의 다른 주요 도시로는 리포바, 페치카, 나들락, 머코, 세게드 등이 있었다.

세르비아의 대이동 (1690, 1737–39)으로 세르비아인들의 추가 정착이 이루어졌다.

2. 3. 근대

19세기 왈라키아남슬라브족은 서로 구별하기 어려웠는데, '세르비아인'이라는 용어가 출신에 상관없이 모든 남부 슬라브족에게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1830년 공식 통계에서 "플로이에슈티 마을에 거주하는 세르비아인의 인구 조사, 모두 불가리아인"이었다는 내용에서 이러한 경향이 명확히 드러난다.

악화된 유고슬라비아-소련 관계와 루마니아 공산 정권이 바러간 추방(1951–56)을 실시하면서, 유고슬라비아와 인접한 바나트 지역의 소수 민족(세르비아인 포함)은 루마니아 남동부로 추방되었다. 루마니아 공산 정권은 이들을 "이 지역에 그들의 존재로 인해 위험을 제시하는 요소"로 인식했다.[6]

3. 인구 분포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루마니아 내 세르비아계 소수 민족은 18,076명으로 집계되었으며,[1] 이는 2002년의 22,561명에서 감소한 수치이다. 지난 80년 동안 세르비아인의 수는 절반으로 줄었으며, 1924년에는 44,078명이었다.[7]

오늘날 루마니아에 거주하는 세르비아인 대다수는 루마니아 서부 및 남서부 지역의 약 60여 개 지역 사회에 거주한다. 이들은 북쪽으로는 무레슈 강을 따라 페치카의 투르누 마을, 너들락, 아라드를 시작으로, 세르비아 국경을 따라 도나우 강에 위치한 스비니차 코뮌에 이르기까지 분포한다. 세르비아인은 주로 아라드 주, 티미슈 주, 카라시-세베린 주, 메헤딘치 주에 거주한다.[7]

카라시-세베린 주에서 세르비아인은 포제제나 코뮌에서 절대 다수(52.09%)를 차지하며,[8][15] 소콜 코뮌에서는 다수(49.54%)를 차지한다.[9][16] 또한 메헤딘치 주의 스비니차 시에서 절대 다수(87.27%)를 차지한다.[10][17] 이 세 코뮌이 위치한 지역은 루마니아어로 ''클리수라 두너리이'', 세르비아어로 ''바나츠카 클리수라''(Банатска Клисура)로 알려져 있다.

4. 종교

루마니아의 세르브계 주민 대부분은 동방 정교회 신자이며, 세르비아 정교회를 믿는다.[18] 이들은 티미쇼아라의 세르비아 정교회 교구에 속해 있다.

세르비아인들은 특히 바나트와 역사적으로 포모리셰라고 불리는 남부 크리샤나에 정교회 교회와 수도원을 포함한 풍부한 유산을 남겼다.

Ineu 출신 Branković 가문에서 세 명의 유명한 정교회 성직자들이 나왔다. 리포바와 이에노폴레의 사바 1세(17세기 초), 이에노폴레의 롱긴(1628년~1645년 이후)과 트란실바니아 Alba Iulia의 사바 2세 대주교(1656-1683)이다. 그들은 세르비아 및 루마니아 정교회 신자들의 지도자 역할을 맡았고 가톨릭과 복음주의자들로부터 그들을 보호했으며, 가톨릭과 칼뱅주의자들의 박해를 견뎌냈다. Đorđe Branković 데스포트는 그의 칭호와 영토를 포기하고 막심이라는 이름으로 수도사 서품을 받은 후, 통치자의 부름을 받아 왈라키아로 이주하여 대주교가 되었다. Târgovişte에서 세르비아 수도사 Makarije가 일했던 루마니아 최초의 인쇄소를 열었고, 나중에 Dimitrije Ljubavić도 있었다. Sava II와 Maksim 대주교는 루마니아 및 세르비아 정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Partoș의 성 Iosif/Josif는 1643년, 1648-1656년에 티미쇼아라의 대주교였다. 그는 Dubrovnik에서 태어나 나중에 바나트 Partoș Monastery로 이주했다. 그가 죽은 직후 그는 성인으로 선포되었다. 그는 루마니아 및 세르비아 정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그의 유해는 Timișoara 정교회 대성당에서 발견된다.[7]

다음은 루마니아에 있는 세르비아 정교회 수도원과 교회 목록이다.

'''세르비아 정교회 수도원:'''

수도원 이름세르비아어 표기설립 시기비고
스베티 조르자 수도원Манастир светог Ђорђа / Manastir svetog Đorđa1485년요반 브란코비치 설립 (전설), 18세기 재건
솀류그 수도원Манастир Шемљуг / Manastir Šemljug15세기
스베티 시메온 수도원Манастир светог Симеона / Manastir svetog Simeona
바자시 수도원Манастир Базјаш / Manastir Bazjaš1225년
베즈딘 수도원Манастир Бездин / Manastir Bezdin
즐라티차 수도원Манастир Златица / Manastir Zlatica
쿠시치 수도원Манастир Кусић / Manastir Kusić
스베티 주라지 수도원Манастир свети Ђурађ / Manastir sveti Đurađ



바자시 수도원


스베티 주라지 수도원


'''세르비아 정교회 교회:'''

교회 이름세르비아어 표기
티미쇼아라Темишвар/Temišvar
아라드Арад (2개)
레시차Решица/Rešica
루고지Лугош/Lugoš
IneuЈенопоље/Jenopolje
BuziaşБузјаш/Buziaš
Sânnicolau MareВелики Семиклуш/Veliki Semikluš
PecicaПечка/Pečka
NădlacNađlak/Нађлак
CiacovaЧаково/Čakovo
JimboliaЖомбољ/Žombolj
OrşovaОршава/Orșava
Moldova NouăНова Молдава or Бошњак/Nova Moldova or Bošnjak
DetaДета
OravițaОравица/Oravica
CenadНађчанад/Nađčanad
VariașВарјаш/Varjaš
FelnacФенлак/Fenlak
TurnuTorno/Торња
MoravițaМоравица/Moravica
BrestovățБрестовац/Brestovac
Sânpetru MareВелики Семпетар/Veliki Sempetar
Peciu NouУлбеч/Ulbeč
CeneiЧенеј/Čenej
SvinițaСвињица/Svinjica
SecusigiuСекусић/Sekusić
Moldova VecheСтара Молдава/Stara Moldova
DentaДента
SaravaleСаравола/Saravola
FoeniФењ/Fenj
SocolСокол/Sokol
BaziașБазјаш/Bazjaš
ZlatițaЗлатица/Zlatica
PojejenaПожежена/Požežena
BelobreșcaБелобрешка/Belobreшка
DiviciДивић/Divić
RadimnaРадимна/Radimna
ȘușacШушка
BerzascaБерзаска
DejanДејан/Dejan
Sânmartinu MaghiarМађарски Семартон/Mađarski Semarton
1698-1702년에 아라드에 세워진 "성 베드로와 바울" 세르비아 교회(초기 바로크 건축)


5. 크라쇼바니인

크라쇼바니인은 세르비아어의 방언인 토를라키아어를 사용하며, 카라슈세베린 주의 카라쇼바 (84.60%)와 루파크 (93.38%)에 거주한다.

크라쇼바니인의 기원은 14세기바나트에서 이주해 온 세르비아 동부 티모크 강 동쪽 지역에서 찾을 수 있다. 크라쇼바니인은 세르비아인들이 대부분 세르비아 정교회를 믿는 것과는 달리 가톨릭을 믿으며, 대부분 크로아티아인으로 간주된다.

6. 유명인

스테반 알렉시치


미오드라그 벨로데디치

  • 요반 네나드 (?-1527): 스렘, 북부 바나트, 바치카의 통치자. 리포바 출생.[11]
  • 조르제 브란코비치 (1645–1711): 트란실바니아 백작. 이네우 출생.
  • 요반 테켈리야 (1660년대 — 1721년 또는 1722년): 귀족, 군 장교. 아라드 출생.
  • 페테르 테켈리야 (1720–1792): 러시아 육군 대장. 아라드 출생.
  • 드미트리에 유스타티에비치 (1730 - 1796): 오스트리아 제국 언어학자, 학자, 교육자. 그리드 출생.
  • 도시테이 오브라도비치 (1742-1811): 세르비아 작가, 번역가. 치아코바 출생.[11]
  • 사바 테켈리야 (1761-1842): 정치인. 아라드 출생.[11]
  • 콘스탄틴 다니엘 (1798-1873): 세르비아 화가, 루고지 출생.
  • 이반 타바코비치 (1898-1977): 화가. 아라드 출생.[11]
  • 밀란 타바코비치: 건축가. 아라드 출생.
  • 알렉사 얀코비치 (1806-1869): 세르비아 총리, 티미쇼아라 출생.
  • 다닐로 스테파노비치 (1815-1886): 세르비아 총리, 티미쇼아라 출생.
  • 이온 이바노비치 (1845–1902): 루마니아 군악대 지휘자, 작곡가.
  • 알렉산드루 마체돈스키 (1854–1920): 루마니아 시인, 소설가, 문학 평론가, 부계 세르비아 출신.[11]
  • 스테반 알렉시치 (1876–1923): 세르비아 화가. 아라드 출생.
  • 요반 하지 (1884-1972): 동물학자, 티미쇼아라 출생.
  • 에밀 페트로비치 (1899–1968): 루마니아 언어학자, 세르비아 출생.
  • 미오드라그 벨로데디치 (1964-): 축구 선수. 소콜 출생.[12]
  • 슬라보미르 그보즈데노비치 (1953년 출생): 작가, 루마니아 세르비아인 연합 창립자.
  • 슬라볼리우브 아드나기 (1965년 출생): 하원의 세르비아 출신 의원.
  • 안드레이 이바노비치 (1968년 출생): 국제적인 클래식 피아니스트.
  • 라비니아 밀로쇼비치 (1976년 출생): 루마니아 체조 선수, 루고지 출생.[13]
  • 스르잔 루친 (1986년 출생): 루마니아 축구 선수.
  • 이아스민 라토블레비치 (1986년 출생): 루마니아 축구 선수.
  • 데이안 볼도르 (1995년 출생): 루마니아 축구 선수.
  • 왈라키아의 밀리카 데스피나 (1485년경 ~ 1554년): 왈라키아 공주 배우자, 왈라키아 섭정.

참조

[1] 웹사이트 Rezultatele finale ale Recensământului din 2011 - Tab8. Populaţia stabilă după etnie – judeţe, municipii, oraşe, comune https://web.archive.[...]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Romania) 2013-07-05
[2] 웹사이트 https://adevarul.ro/[...]
[3] 서적 The Realm of St Stephen: A History of Medieval Hungary, 895–1526 I.B. Tauris Publishers
[4] 서적 The Mortuary Archaeology of Medieval Banat Brill
[5] 서적 Az Árpád-kori Magyarország történeti földrajza, III: Heves, Hont, Hunyad, Keve, Kolozs, Komárom, Krassó, Kraszna, Küküllő megye és Kunság Akadémiai Kiadó
[6] 서적 Communist Terror in Romania: Gheorghiu-Dej and the Police State, 1948-1965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1999-01
[7] 웹사이트 https://savezsrba.ro[...]
[8] 웹사이트 Structura Etno-demografică a României http://www.edrc.ro/r[...] 2017-10-02
[9] 웹사이트 Structura Etno-demografică a României http://www.edrc.ro/r[...] 2017-10-02
[10] 웹사이트 Structura Etno-demografică a României http://www.edrc.ro/r[...] 2017-10-02
[11] 서적 Istoria literaturii române: de la origini pînă în prezent https://books.google[...] Editura Vlad & Vlad
[12] 웹사이트 Tempo magazine #1257, pg. 11 Tempo magazine 1990-03-28
[13] 뉴스 Romanian Coach Keeps Up the Fight https://query.nytime[...] New York Times 1995-07-13
[14] 웹사이트 Recensamant Romania 2002 http://www.clubaface[...]
[15] 웹사이트 Structura Etno-demografică a României http://www.edrc.ro/r[...]
[16] 웹사이트 Structura Etno-demografică a României http://www.edrc.ro/r[...]
[17] 웹사이트 Structura Etno-demografică a României http://www.edrc.ro/r[...]
[18] 웹사이트 http://www.edrc.r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