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르브계 보스니아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브계 보스니아인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거주하는 세르비아인 민족 집단이다. 슬라브족의 발칸 반도 정착 이후 세르비아인들은 보스니아 지역에 정착하여 역사를 시작했으며, 9세기에는 세르비아 공작 블라스티미르가 보스니아를 점령하기도 했다. 오스만 제국 통치 시기에는 이슬람교로의 개종 압력과 차별을 겪었으며, 19세기 민족주의 운동의 강화와 함께 세르비아와의 통일을 추구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왕국에 편입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집단 학살의 피해를 입기도 했다.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보스니아 전쟁을 겪었으며, 데이턴 협정으로 스릅스카 공화국이 설립되었다. 주요 정당으로는 무소속 사회민주동맹과 세르비아 민주당 등이 있으며, 세르비아 정교회를 믿고 세르비아어를 사용한다. 문화적으로 세르비아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으며, 건축, 예술, 문학,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르비아의 영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릅스카 공화국 - 스릅스카 공화국의 기
    스릅스카 공화국의 기는 세르비아 삼색기의 영향을 받아 스릅스카 공화국을 상징하며 고위 관료들이 사용하는 역사적, 문화적 상징물이다.
  • 스릅스카 공화국 - 스릅스카 공화국의 대통령
    스릅스카 공화국 대통령은 국가를 대표하고 단결을 표명하는 직책이지만 권한은 제한적이며, 총리 후보 지명, 법률 공포, 사면 시행 등의 권한을 가진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민족 - 알바니아인
    알바니아인은 발칸반도 서부에 주로 거주하며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고대 일리리아인의 후예로 여겨지며 오스만 제국 지배를 거쳐 1912년 독립을 쟁취했으나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은 세르비아의 지배를 받았고, 다양한 종교를 믿으며 서구 국가에 디아스포라를 형성하고 있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민족 - 유고슬라브인
    유고슬라브인(Yugoslavs)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건국 이념에 따라 남슬라브족의 통일을 목표로 다양한 민족과 종교를 포괄하기 위해 만들어진 민족 범주이다.
  • 슬라브족 - 루신인
    카르파티아 산맥에 거주하는 동슬라브계 민족인 루신인은 역사적으로 루테니아인, 카르파토-러시아인 등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키예프 루스에서 유래한 "루신"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우크라이나 자카르파티아주를 포함한 카르파티아 루테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슬로바키아, 폴란드 등지에 거주하며, 우크라이나인과의 관계 및 루신어의 언어적 지위 등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 슬라브족 - 벨라루스인
    벨라루스에 주로 거주하는 동슬라브계 민족인 벨라루스인은 역사적으로 백러시아인 등으로 불렸으며, 러시아, 우크라이나, 폴란드 등 인접 국가와 미국, 캐나다 등지에 거주하고, 벨라루스어와 러시아어를 사용하며, 키예프 대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 등을 거치며 형성된 역사를 가지고, 슬라브 문화의 영향을 받은 문화를 가지고 있다.
세르브계 보스니아인
기본 정보
레푸블리카 스릅스카의 국기
레푸블리카 스릅스카의 국기
언어세르비아어
종교세르비아 정교회
인구 통계
총 인구 (2013년)1,086,733명
레푸블리카 스릅스카1,001,299명 (92.13%)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56,550명 (5.20%)
브르치코 행정구28,884명 (34.58%)
문화
전통 의상 (출처)글라모치
헤르체고비나
보산스카 크라이나
가츠코
서부 보스니아
셈베리야

2. 역사

슬라브족은 7세기에 발칸 반도에 정착했다. 7세기 2분기에 세르비아인들은 반도에 정착하여 이전 슬라브 정착민을 지배하게 된 주요 슬라브 부족 중 하나였다. 세르비아 정착은 처음에는 오늘날의 세르비아 남서부에 있었다.[2] "라스키아"(라슈카) 지역은 세르비아 정착의 중심지였으며, 세르비아 부족은 특히 오늘날의 헤르체고비나몬테네그로를 포함하여 아드리아 해안 근처의 일부 지역을 점령한 것으로 생각된다.[3]

차슬라프, 세르비아 공작


9세기, 공작 블라스티미르 (재위 830–850)는 인근 세르비아 부족을 통합했으며, 진격하는 불가르족과의 승리 후 서쪽으로 확장하여 보스니아와 자후믈레 (헤르체고비나)를 점령했다. 그 후, 공작 페타르 (재위 892–917)는 보스니아의 티셰미르 공작을 격파하고 보스나 계곡을 합병했다. 세르비아 공작의 영토는 "보소나, 카테라, 데스니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보스니아의 세르비아 의존성을 보여주었지만, 포함된 지역은 오늘날의 보스니아보다 작았다. 차슬라프 공작은 세르비아를 확장하여 트라부니아와 보스니아 일부를 병합하여 10세기까지 보스니아를 효과적으로 통치하다가 960년에 사망했다.

11세기에 걸쳐 보스니아는 부분적으로 크로아티아 통치와 부분적으로 세르비아 통치 사이를 오갔다. 12세기 대부분 동안 보스니아는 헝가리와 비잔틴 제국 사이의 힘겨루기 상태에 있었는데, 헝가리는 1137년에 보스니아를 합병했지만 1167년 비잔틴 제국에 빼앗겼고, 1180년에 다시 되찾았다. 1180년 이후 반 쿨린 보스니아의 통치자는 독립을 주장하기 시작했고 헝가리의 통제는 명목상에 불과했다.

콘스탄티누스 7세 포르피로게니투스의 저서 《제국 통치론》의 32장 제목은 "세르비아인과 그들이 사는 땅에 관하여"이다. 이 장에서는 세르비아인들이 거주하는 영토에 관해 언급하며, 특히 보스니아를 언급하고, 코토르와 데스니크라는 두 개의 거주 도시를 언급하는데, 둘 다 정확한 지리적 위치는 불분명하다. 12세기 후반 스테판 네마냐가 이끄는 네마니치 왕조가 세르비아를 통일하고, 동방 정교회의 영향력이 커졌다. 13세기 후반부터 코트로마니치 가문이 보스니아를 통치했다. 14세기 스테판 2세는 헤르체고비나를 포함한 영토를 획득하여 보스니아 국가의 영역을 확장했다. 같은 세기 트브르트코 1세보스니아 왕국을 세우고 "세르비아와 보스니아의 왕"으로 즉위했다. 15세기 스테판 토마셰비치는 세르비아의 데스포트이자 보스니아의 왕이었으나, 오스만 제국에 의해 멸망했다.

오스만 제국의 보스니아 정복은 행정, 경제, 사회, 문화적 변화를 가져왔다.[8] 보스니아는 오스만 제국의 일부가 되었지만, 고유의 정체성과 영토는 보전되었다.[8] 밀레트 제도 하에서 기독교인들은 자치권을 누렸지만, 이슬람교로의 개종 압력과 차별을 받았다. 비무슬림은 추가 세금을 납부해야 했고, 토지나 재산을 소유하거나 오스만 국가 기구에서 직책을 가질 수 없었다.

메흐메드 파샤 소콜로비치 다리, 유네스코 세계유산, 드리나강 위에 위치


이슬람화는 15세기와 16세기에 시작되었으며, 정교회는 세르비아 민족 의식 확산에 기여했다. 오스만 제국은 동부 발칸반도에서 온 블라흐족을 포함하여 상당수의 정교회 기독교 인구를 보스니아로 이주시켰고, 보스니아 교회 신자들의 개종 또한 정교회 확산에 영향을 주었다. 1515년 북서부 지역에서 정교회 수도원과 교회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1532년에는 보스니아 정교회에 자체 수도 대주교가 생겼다.

헤르체고비나에서 온 ''난민'', 우로시 프레디치의 그림


장기 전쟁 (1593–1606)과 대 투르크 전쟁 (1683–1699) 동안 주요 세르비아 봉기가 발생했다. 1593년에서 1606년 사이에는 바나트의 세르비아인과 헤르체고비나 클랜 족장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봉기의 지도자 및 영웅들, 세르비아 달력 오라오(1876)의 삽화


19세기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함께 민족주의 운동이 강화되었고, 여러 차례의 반 오스만 봉기가 발생했다. 보스니아 세르비아인들은 세르비아 공국과의 통일을 추구했다. 1831년에는 후세인 그라다슈체비치가 이끄는 보스니아 귀족들의 반란이 일어났고,[9] 1875년에는 기독교 인구의 헤르체고비나 봉기가 발생했다.[10][11] 이 봉기는 러시아-튀르크 전쟁으로 이어졌고,[10][11] 1878년 베를린 회의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위임 통치되었다.[10]

세르비아 혁명의 반란 지도자(보이보데)의 약 4분의 1이 현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신이거나 이 지역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12]

1878년 베를린 회의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점령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몬테네그로 공국세르비아 공국.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는 물론 보스니아 세르비아인들도 세르비아인이 다수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대한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점령을 허용한 회의 결정에 불만을 품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통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시민들 사이에 분열을 초래했다. 기술적으로 그들은 오스만 제국의 신민이었지만 땅은 오스트리아-헝가리에 속했기 때문이다.[13] 오스트리아-헝가리 행정부는 다원적이고 다종교적인 보스니아 국가라는 이상을 옹호했다. 보스니아의 공동 제국 재무부 장관이자 빈에 기반을 둔 행정관인 베니 캘러이는 보스니아 사람들에게 "그들이 위대하고 강력한 국가에 속한다는 느낌"을 불어넣기 위해 "보스니아 시민권" 형태의 보스니아 민족주의를 장려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인들은 보스니아인들을 "보스니아어를 사용하고 동등한 권리를 가진 세 종교로 나뉜 사람들"로 여겼다. 한편으로 이러한 정책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정교회 세르비아, 가톨릭 크로아티아, 무슬림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격리하고 보스니아의 정교회 및 가톨릭 공동체 사이에서 이미 유포되던 세르비아 및 크로아티아 민족주의 사상을 무력화시키려는 시도였다. 다른 한편, 합스부르크 행정관들은 민족주의에 대한 기존의 생각(특히 보스니아 민속과 상징)을 정확하게 사용하여 합스부르크 국가에 대한 충성도를 정렬하는 자체 버전의 "보슈냐크" 애국심을 장려했다. 따라서 합스부르크 정책은 반민족적인 것이 아니라 자체적인 스타일의 친제국 민족주의를 육성한 것으로 가장 잘 묘사된다. 이러한 정책은 또한 민족 및 종교적 경계를 따라 분열을 심화시켰다. 보스니아 세르비아인들은 로마 가톨릭교를 선호한 오스트리아-헝가리인들에게 억압받는다고 느꼈다.[13] 캘러이의 사망 후, 이 정책은 폐기되었다.

1905년까지 민족주의는 보스니아 정치의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당국은 세르비아에서 인쇄된 교과서와 민족주의적 내용이 담긴 것으로 간주되는 다수의 세르비아어 서적을 금지했다.[14] 20세기 초에 다수의 보스니아 세르비아 문화 및 민족 단체가 결성되었으며, 그 중 하나가 Prosvjeta였다.[15] 190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합병했다.[13]

보스니아 의회 의원을 선출하기 위한 최초의 의회 선거는 1910년에 개최되었다. 인구는 민족-종교적 지위에 따라 분류되었으며 각 그룹은 인구에 따라 의석을 분배받았다. 다수인 세르비아는 세르비아 국민 조직이 31석을 얻어 대표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보스니아의 세르비아인들은 전쟁 발발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암살의 책임자로 자주 지목되어 오스트리아-헝가리 당국의 박해를 받았다. 여기에는 수용소 수감, 사업체 약탈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는 민족 폭력을 선동하는 사람들에 의해 자행되었다.[16] 전쟁 초기에 오스트리아-헝가리 당국은 보스니아 세르비아인에 대한 박해를 가했는데, 수천 명을 수용소에 수감하고, 지식인들을 군사 재판에 회부하여 사형을 선고했으며, 슈츠코르프스에 의한 대량 학살, 재산 약탈 및 강제 추방 등이 있었다.

보스니아 및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인들은 범 세르비아주의 대의에 대한 충성심을 느껴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 군대에 대거 복무했다. 보스니아 세르비아인들은 오스트리아군에서도 복무했으며, 이탈리아 전선에서는 오스트리아-헝가리에 충성을 다했지만, 러시아 전선이나 세르비아 전선으로 파견되었을 때는 종종 탈영하여 반대편으로 돌아섰다.[17] 1914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군대가 헤르체고비나에 진입하여 사라예보 근처까지 진격했을 때, 많은 세르비아인들은 이를 지지했다. 이는 몬테네그로 국왕 니콜라 1세 페트로비치-네고쉬가 19세기 헤르체고비나 봉기 당시의 범 세르비아주의 및 세르비아 민족주의적 견해와 지원 때문에 보스니아 및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인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1914년 6월 28일,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 가브릴로 프린치프사라예보에서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과 그의 부인 조피를 암살했다.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을 촉발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패배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유고슬라비아 왕국 편입으로 이어졌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1918년 10월부터 12월 사이에 존재했던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국가의 일부가 되었다.[18][19] 1918년 12월, 이 국가는 세르비아 왕국과 연합하여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이 되었으며, 1929년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20] 이 국가의 세르비아 지도부는 무슬림 대표 메흐메드 스파호의 요구를 수용하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전쟁 전 영토 보전을 존중하기로 결정하여 보스니아의 내부 행정 구역 경계를 변경하지 않았다.[21]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들은 세르비아와의 통일을 대체로 지지했는데, 이는 모든 세르비아인과 하나의 국가로 통합되는 공통의 꿈이 실현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스니아계 세르비아 인구의 일부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세르비아 사이에 공식적인 관계가 수립되지 않았다는 사실에 불만을 품었다. 보스니아계 무슬림들은 새로운 배치를 식민 통치의 한 형태로 보고, 구성원의 자치권을 갖는 분산형 단일 국가를 주장했다. 한편 보스니아계 크로아티아인들은 유고슬라비아를 6개의 단위로 연방화하는 것을 지지했는데, 그 중 하나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였다. 1921년 헌법은 보스니아의 지속적인 영토 존재를 확인하고 무슬림을 위한 보호를 보장했다. 이는 알렉산다르 1세 국왕이 1월 6일에 독재를 선포한 1929년까지 지속되었다. 왕국은 유고슬라비아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자연 경계에 주로 기반한 바노비나라고 불리는 새로운 영토 단위로 분할되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4개의 바노비나로 분할되었으며, 세르비아인이 그 중 3개에서 다수를 차지했다. 알렉산다르 국왕은 1934년에 사망했고, 이로 인해 독재가 종식되었다.[22]

1939년, 살인, 부패 스캔들, 폭력, 중앙 집권 정책의 실패에 직면한 세르비아 지도부는 크로아티아인과의 타협에 동의했다. 바노비나는 이후 1939년에 공동 국가를 세 부분 또는 3개의 바노비나, 즉 슬로베니아 바노비나, 크로아티아 바노비나, 세르비아 바노비나로 분할하려는 최종 제안으로 발전했으며, 각 바노비나는 각 민족 집단의 민족 공간의 대부분을 포함했다. 현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대부분의 영토는 바노비나 세르비아의 일부가 될 예정이었는데, 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대부분의 영토가 세르비아인이 다수 거주했고, 세르비아인이 전반적으로 상대적 다수를 구성했기 때문이다.

지도는 세르비아 바노비나, 크로아티아 바노비나, 슬로베니아 바노비나 (1939–1941)의 창설 제안을 보여준다. 보스니아의 대부분은 세르비아의 일부가 될 예정이었는데, 이는 세르비아인이 보스니아 인구의 상대적 다수였고, 대부분의 영토에서 절대 다수였기 때문이다.


1939년 8월 26일, 크로아티아 농민당의 의장 블라드코 마체크와 드라기샤 츠베트코비치는 협정(''츠베트코비치-마체크 협정'')을 체결하여 크로아티아 바노비나가 창설되었으며, 여기에는 사바와 연안 바노비나, 그리고 남부 달마티아, 스렘, 북서부 보스니아의 여러 구역이 포함되었다.[23] 크로아티아 바노비나의 약 20%는 세르비아인이 거주했으며,[23] 그 수는 약 80만 명이었다.[24] 이러한 양보는 일부 크로아티아인에게는 불만족스러웠고, 세르비아인들 또한 불만을 품고 자신들만의 바노비나를 요구했다. 한편 보스니아계 무슬림들은 분할 계획에 대해 의견을 묻지 않았고, 다른 대안도 제시받지 못했다.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 사이의 경쟁 이데올로기와 그것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미치는 영향, 더 넓게는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국가와 그 통치에서 민족 간 관계에 대한 합의 부족은 영구적인 불안정을 초래했다. 그러나 유고슬라비아는 1941년 4월 나치 독일의 침공 이후에야 붕괴되었고, 이로 인해 국가는 세 개의 점령 구역으로 분할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침공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크로아티아 독립국 (NDH)에 편입되었고,[25] 크로아티아 파시스트 우스타샤 정권과 그 지도자 안테 파벨리치가 이탈리아와 독일이 세운 괴뢰 정권의 권력을 잡았다.[25] 우스타샤 정권 아래에서 로마인, 유대인과 함께 세르비아인들은 조직적인 집단학살의 대상이 되었으며, 세르비아인은 인구가 많아 주요 표적이 되었다.[25]

1941년 유고슬라비아를 점령한 추축국에 대한 반란. 반란은 주로 세르비아인이 거주하는 지역, 특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발생했다.


시골 마을의 세르비아인들은 다양한 도구로 끔찍하게 살해당하거나, 산 채로 구덩이나 계곡에 던져지거나, 어떤 경우에는 교회에 갇혀 불태워졌다.[26] 폭력의 규모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거주하는 세르비아인 중 약 6명 중 1명이 학살의 희생자였고, 거의 모든 세르비아인이 전쟁에서 가족을 잃었는데, 대부분이 우스타샤에 의해 살해되었다는 것을 의미했다.[27] 다른 사람들은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다.[28] 크루슈치차 강제 수용소는 우스타샤가 세운 강제 수용소 중 하나로, 1941년 4월 세르비아인과 유대인 여성, 어린이들을 위해 설립되었다.[29][30] 미국 홀로코스트 기념관에 따르면, 우스타샤 정권 아래에서 320,000~340,000명의 세르비아인이 살해되었다.[31] 전쟁 중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영토에서 약 209,000명의 세르비아인, 즉 보스니아 인구의 16.9%가 살해되었다.[32] 바키르 이제트베고비치는 2015년 11월 4일 인터뷰에서 크로아티아 독립국에서의 세르비아인 박해를 집단학살로 확인했다.[33]

추축국에 대항하는 다민족 저항 운동이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형태로 나타났다. 동시에, 처음에는 저항 운동이었지만 점차 협력주의가 된 드라자 미하일로비치가 이끄는 체트니크의 세르비아 민족주의 및 왕당파 게릴라가 결성되었다.[34] 동부 보스니아의 세르비아인들은 이 지역에서 군사적 성공을 거둔 파르티잔에 더 많이 합류했다.

NDH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우스타샤의 정책은 세르비아 인구 사이에서 반란을 일으켰다.[35] 1941년 6월, 세르비아인 학살 이후 동부 헤르체고비나의 세르비아인들은 NDH 당국에 맞서 무장 반란을 일으켰지만, 2주 만에 진압되었다. 세르비아인에 대한 박해는 보스니아 일부를 포함한 세르비아인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저항 운동의 확산을 초래했다. 파르티잔이 이끄는 또 다른 반란은 1941년 7월 27일에 시작되었다.[35] 전쟁 초기 단계에서 세르비아인은 NDH에서 활동하는 파르티잔 부대의 약 90%를 차지했다. 대부분의 반파시스트 전투는 네레트바 전투, 수체스카 전투, 드바르 작전 및 코자라 공세와 같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세르비아인 거주 지역에서 벌어졌다. 유고슬라비아의 제2차 세계 대전 전체 기간 동안, 파르티잔 연금 수령자의 기록에 따르면, 모든 보스니아 파르티잔의 64.1%가 세르비아인이었다.[36][37][38] 파르티잔은 1945년 4월 6일 사라예보를 해방시켰고, 보스니아는 몇 주 후에 완전한 통제 하에 들어갔다. 1946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은 공식적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6개 구성 공화국 중 하나로 만들었다.[39]

2. 1. 초기 중세 시대 (7세기 ~ 12세기)

슬라브족은 7세기에 발칸 반도에 정착했다. 7세기 2분기에 세르비아인들은 반도에 정착하여 이전 슬라브 정착민을 지배하게 된 주요 슬라브 부족 중 하나였다. 세르비아 정착은 처음에는 오늘날의 세르비아 남서부에 있었다.[2] "라스키아"(라슈카) 지역은 세르비아 정착의 중심지였으며, 세르비아 부족은 특히 오늘날의 헤르체고비나몬테네그로를 포함하여 아드리아 해안 근처의 일부 지역을 점령한 것으로 생각된다.[3]

9세기, 공작 블라스티미르 (재위 830–850)는 인근 세르비아 부족을 통합했으며, 진격하는 불가르족과의 승리 후 서쪽으로 확장하여 보스니아와 자후믈레 (헤르체고비나)를 점령했다. 그 후, 공작 페타르 (재위 892–917)는 보스니아의 티셰미르 공작을 격파하고 보스나 계곡을 합병했다. 세르비아 공작의 영토는 "보소나, 카테라, 데스니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보스니아의 세르비아 의존성을 보여주었지만, 포함된 지역은 오늘날의 보스니아보다 작았다. 차슬라프 공작은 세르비아를 확장하여 트라부니아와 보스니아 일부를 병합하여 10세기까지 보스니아를 효과적으로 통치하다가 960년에 사망했다.

11세기에 걸쳐 보스니아는 부분적으로 크로아티아 통치와 부분적으로 세르비아 통치 사이를 오갔다. 12세기 대부분 동안 보스니아는 헝가리와 비잔틴 제국 사이의 힘겨루기 상태에 있었는데, 헝가리는 1137년에 보스니아를 합병했지만 1167년 비잔틴 제국에 빼앗겼고, 1180년에 다시 되찾았다. 1180년 이후 반 쿨린 보스니아의 통치자는 독립을 주장하기 시작했고 헝가리의 통제는 명목상에 불과했다.

2. 2. 중세 보스니아 왕국 (12세기 ~ 15세기)

콘스탄티누스 7세 포르피로게니투스의 저서 《제국 통치론》의 32장 제목은 "세르비아인과 그들이 사는 땅에 관하여"이다. 이 장에서는 세르비아인들이 거주하는 영토에 관해 언급하며, 특히 보스니아를 언급하고, 코토르와 데스니크라는 두 개의 거주 도시를 언급하는데, 둘 다 정확한 지리적 위치는 불분명하다. 12세기 후반 스테판 네마냐가 이끄는 네마니치 왕조가 세르비아를 통일하고, 동방 정교회의 영향력이 커졌다. 13세기 후반부터 코트로마니치 가문이 보스니아를 통치했다. 14세기 스테판 2세는 헤르체고비나를 포함한 영토를 획득하여 보스니아 국가의 영역을 확장했다. 같은 세기 트브르트코 1세보스니아 왕국을 세우고 "세르비아와 보스니아의 왕"으로 즉위했다. 15세기 스테판 토마셰비치는 세르비아의 데스포트이자 보스니아의 왕이었으나, 오스만 제국에 의해 멸망했다.

2. 3. 오스만 제국 통치 시기 (15세기 ~ 19세기)

오스만 제국의 보스니아 정복은 행정, 경제, 사회, 문화적 변화를 가져왔다.[8] 보스니아는 오스만 제국의 일부가 되었지만, 고유의 정체성과 영토는 보전되었다.[8] 밀레트 제도 하에서 기독교인들은 자치권을 누렸지만, 이슬람교로의 개종 압력과 차별을 받았다. 비무슬림은 추가 세금을 납부해야 했고, 토지나 재산을 소유하거나 오스만 국가 기구에서 직책을 가질 수 없었다.

이슬람화는 15세기와 16세기에 시작되었으며, 정교회는 세르비아 민족 의식 확산에 기여했다. 오스만 제국은 동부 발칸반도에서 온 블라흐족을 포함하여 상당수의 정교회 기독교 인구를 보스니아로 이주시켰고, 보스니아 교회 신자들의 개종 또한 정교회 확산에 영향을 주었다. 1515년 북서부 지역에서 정교회 수도원과 교회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1532년에는 보스니아 정교회에 자체 수도 대주교가 생겼다.

장기 전쟁 (1593–1606)과 대 투르크 전쟁 (1683–1699) 동안 주요 세르비아 봉기가 발생했다. 1593년에서 1606년 사이에는 바나트의 세르비아인과 헤르체고비나 클랜 족장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19세기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함께 민족주의 운동이 강화되었고, 여러 차례의 반 오스만 봉기가 발생했다. 보스니아 세르비아인들은 세르비아 공국과의 통일을 추구했다. 1831년에는 후세인 그라다슈체비치가 이끄는 보스니아 귀족들의 반란이 일어났고,[9] 1875년에는 기독교 인구의 헤르체고비나 봉기가 발생했다.[10][11] 이 봉기는 러시아-튀르크 전쟁으로 이어졌고,[10][11] 1878년 베를린 회의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위임 통치되었다.[10]

세르비아 혁명의 반란 지도자(보이보데)의 약 4분의 1이 현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신이거나 이 지역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12]

2. 4.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통치 시기 (1878년 ~ 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통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시민들 사이에 분열을 초래했다. 기술적으로 그들은 오스만 제국의 신민이었지만 땅은 오스트리아-헝가리에 속했기 때문이다.[13] 오스트리아-헝가리 행정부는 다원적이고 다종교적인 보스니아 국가라는 이상을 옹호했다. 보스니아의 공동 제국 재무부 장관이자 빈에 기반을 둔 행정관인 베니 캘러이는 보스니아 사람들에게 "그들이 위대하고 강력한 국가에 속한다는 느낌"을 불어넣기 위해 "보스니아 시민권" 형태의 보스니아 민족주의를 장려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인들은 보스니아인들을 "보스니아어를 사용하고 동등한 권리를 가진 세 종교로 나뉜 사람들"로 여겼다. 한편으로 이러한 정책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정교회 세르비아, 가톨릭 크로아티아, 무슬림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격리하고 보스니아의 정교회 및 가톨릭 공동체 사이에서 이미 유포되던 세르비아 및 크로아티아 민족주의 사상을 무력화시키려는 시도였다. 다른 한편, 합스부르크 행정관들은 민족주의에 대한 기존의 생각(특히 보스니아 민속과 상징)을 정확하게 사용하여 합스부르크 국가에 대한 충성도를 정렬하는 자체 버전의 "보슈냐크" 애국심을 장려했다. 따라서 합스부르크 정책은 반민족적인 것이 아니라 자체적인 스타일의 친제국 민족주의를 육성한 것으로 가장 잘 묘사된다. 이러한 정책은 또한 민족 및 종교적 경계를 따라 분열을 심화시켰다. 보스니아 세르비아인들은 로마 가톨릭교를 선호한 오스트리아-헝가리인들에게 억압받는다고 느꼈다.[13] 캘러이의 사망 후, 이 정책은 폐기되었다.

1905년까지 민족주의는 보스니아 정치의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당국은 세르비아에서 인쇄된 교과서와 민족주의적 내용이 담긴 것으로 간주되는 다수의 세르비아어 서적을 금지했다.[14] 20세기 초에 다수의 보스니아 세르비아 문화 및 민족 단체가 결성되었으며, 그 중 하나가 Prosvjeta였다.[15] 190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합병했다.[13]

보스니아 의회 의원을 선출하기 위한 최초의 의회 선거는 1910년에 개최되었다. 인구는 민족-종교적 지위에 따라 분류되었으며 각 그룹은 인구에 따라 의석을 분배받았다. 다수인 세르비아는 세르비아 국민 조직이 31석을 얻어 대표했다.

====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 ~ 1918년) ====

제1차 세계 대전 중, 보스니아의 세르비아인들은 전쟁 발발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암살의 책임자로 자주 지목되어 오스트리아-헝가리 당국의 박해를 받았다. 여기에는 수용소 수감, 사업체 약탈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는 민족 폭력을 선동하는 사람들에 의해 자행되었다.[16] 전쟁 초기에 오스트리아-헝가리 당국은 보스니아 세르비아인에 대한 박해를 가했는데, 수천 명을 수용소에 수감하고, 지식인들을 군사 재판에 회부하여 사형을 선고했으며, 슈츠코르프스에 의한 대량 학살, 재산 약탈 및 강제 추방 등이 있었다.

보스니아 및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인들은 범 세르비아주의 대의에 대한 충성심을 느껴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 군대에 대거 복무했다. 보스니아 세르비아인들은 오스트리아군에서도 복무했으며, 이탈리아 전선에서는 오스트리아-헝가리에 충성을 다했지만, 러시아 전선이나 세르비아 전선으로 파견되었을 때는 종종 탈영하여 반대편으로 돌아섰다.[17] 1914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군대가 헤르체고비나에 진입하여 사라예보 근처까지 진격했을 때, 많은 세르비아인들은 이를 지지했다. 이는 몬테네그로 국왕 니콜라 1세 페트로비치-네고쉬가 19세기 헤르체고비나 봉기 당시의 범 세르비아주의 및 세르비아 민족주의적 견해와 지원 때문에 보스니아 및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인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1914년 6월 28일,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 가브릴로 프린치프사라예보에서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과 그의 부인 조피를 암살했다.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을 촉발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패배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유고슬라비아 왕국 편입으로 이어졌다.

2. 4. 1.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 ~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중, 보스니아의 세르비아인들은 전쟁 발발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암살의 책임자로 자주 지목되어 오스트리아-헝가리 당국의 박해를 받았다. 여기에는 수용소 수감, 사업체 약탈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는 민족 폭력을 선동하는 사람들에 의해 자행되었다.[16] 전쟁 초기에 오스트리아-헝가리 당국은 보스니아 세르비아인에 대한 박해를 가했는데, 수천 명을 수용소에 수감하고, 지식인들을 군사 재판에 회부하여 사형을 선고했으며, 슈츠코르프스에 의한 대량 학살, 재산 약탈 및 강제 추방 등이 있었다.

보스니아 및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인들은 범 세르비아주의 대의에 대한 충성심을 느껴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 군대에 대거 복무했다. 보스니아 세르비아인들은 오스트리아군에서도 복무했으며, 이탈리아 전선에서는 오스트리아-헝가리에 충성을 다했지만, 러시아 전선이나 세르비아 전선으로 파견되었을 때는 종종 탈영하여 반대편으로 돌아섰다.[17] 1914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군대가 헤르체고비나에 진입하여 사라예보 근처까지 진격했을 때, 많은 세르비아인들은 이를 지지했다. 이는 몬테네그로 국왕 니콜라 1세 페트로비치-네고쉬가 19세기 헤르체고비나 봉기 당시의 범 세르비아주의 및 세르비아 민족주의적 견해와 지원 때문에 보스니아 및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인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2. 5.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기 (1918년 ~ 1941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1918년 10월부터 12월 사이에 존재했던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국가의 일부가 되었다.[18][19] 1918년 12월, 이 국가는 세르비아 왕국과 연합하여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이 되었으며, 1929년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20] 이 국가의 세르비아 지도부는 무슬림 대표 메흐메드 스파호의 요구를 수용하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전쟁 전 영토 보전을 존중하기로 결정하여 보스니아의 내부 행정 구역 경계를 변경하지 않았다.[21]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들은 세르비아와의 통일을 대체로 지지했는데, 이는 모든 세르비아인과 하나의 국가로 통합되는 공통의 꿈이 실현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스니아계 세르비아 인구의 일부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세르비아 사이에 공식적인 관계가 수립되지 않았다는 사실에 불만을 품었다. 보스니아계 무슬림들은 새로운 배치를 식민 통치의 한 형태로 보고, 구성원의 자치권을 갖는 분산형 단일 국가를 주장했다. 한편 보스니아계 크로아티아인들은 유고슬라비아를 6개의 단위로 연방화하는 것을 지지했는데, 그 중 하나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였다. 1921년 헌법은 보스니아의 지속적인 영토 존재를 확인하고 무슬림을 위한 보호를 보장했다. 이는 알렉산다르 1세 국왕이 1월 6일에 독재를 선포한 1929년까지 지속되었다. 왕국은 유고슬라비아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자연 경계에 주로 기반한 바노비나라고 불리는 새로운 영토 단위로 분할되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4개의 바노비나로 분할되었으며, 세르비아인이 그 중 3개에서 다수를 차지했다. 알렉산다르 국왕은 1934년에 사망했고, 이로 인해 독재가 종식되었다.[22]

1939년, 살인, 부패 스캔들, 폭력, 중앙 집권 정책의 실패에 직면한 세르비아 지도부는 크로아티아인과의 타협에 동의했다. 바노비나는 이후 1939년에 공동 국가를 세 부분 또는 3개의 바노비나, 즉 슬로베니아 바노비나, 크로아티아 바노비나, 세르비아 바노비나로 분할하려는 최종 제안으로 발전했으며, 각 바노비나는 각 민족 집단의 민족 공간의 대부분을 포함했다. 현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대부분의 영토는 바노비나 세르비아의 일부가 될 예정이었는데, 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대부분의 영토가 세르비아인이 다수 거주했고, 세르비아인이 전반적으로 상대적 다수를 구성했기 때문이다.

1939년 8월 26일, 크로아티아 농민당의 의장 블라드코 마체크와 드라기샤 츠베트코비치는 협정(''츠베트코비치-마체크 협정'')을 체결하여 크로아티아 바노비나가 창설되었으며, 여기에는 사바와 연안 바노비나, 그리고 남부 달마티아, 스렘, 북서부 보스니아의 여러 구역이 포함되었다.[23] 크로아티아 바노비나의 약 20%는 세르비아인이 거주했으며,[23] 그 수는 약 80만 명이었다.[24] 이러한 양보는 일부 크로아티아인에게는 불만족스러웠고, 세르비아인들 또한 불만을 품고 자신들만의 바노비나를 요구했다. 한편 보스니아계 무슬림들은 분할 계획에 대해 의견을 묻지 않았고, 다른 대안도 제시받지 못했다.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 사이의 경쟁 이데올로기와 그것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미치는 영향, 더 넓게는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국가와 그 통치에서 민족 간 관계에 대한 합의 부족은 영구적인 불안정을 초래했다. 그러나 유고슬라비아는 1941년 4월 나치 독일의 침공 이후에야 붕괴되었고, 이로 인해 국가는 세 개의 점령 구역으로 분할되었다.

2. 6.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 1945년)

유고슬라비아 침공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크로아티아 독립국 (NDH)에 편입되었고,[25] 크로아티아 파시스트 우스타샤 정권과 그 지도자 안테 파벨리치가 이탈리아와 독일이 세운 괴뢰 정권의 권력을 잡았다.[25] 우스타샤 정권 아래에서 로마인, 유대인과 함께 세르비아인들은 조직적인 집단학살의 대상이 되었으며, 세르비아인은 인구가 많아 주요 표적이 되었다.[25]

시골 마을의 세르비아인들은 다양한 도구로 끔찍하게 살해당하거나, 산 채로 구덩이나 계곡에 던져지거나, 어떤 경우에는 교회에 갇혀 불태워졌다.[26] 폭력의 규모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거주하는 세르비아인 중 약 6명 중 1명이 학살의 희생자였고, 거의 모든 세르비아인이 전쟁에서 가족을 잃었는데, 대부분이 우스타샤에 의해 살해되었다는 것을 의미했다.[27] 다른 사람들은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다.[28] 크루슈치차 강제 수용소는 우스타샤가 세운 강제 수용소 중 하나로, 1941년 4월 세르비아인과 유대인 여성, 어린이들을 위해 설립되었다.[29][30] 미국 홀로코스트 기념관에 따르면, 우스타샤 정권 아래에서 320,000~340,000명의 세르비아인이 살해되었다.[31] 전쟁 중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영토에서 약 209,000명의 세르비아인, 즉 보스니아 인구의 16.9%가 살해되었다.[32] 바키르 이제트베고비치는 2015년 11월 4일 인터뷰에서 크로아티아 독립국에서의 세르비아인 박해를 집단학살로 확인했다.[33]

추축국에 대항하는 다민족 저항 운동이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형태로 나타났다. 동시에, 처음에는 저항 운동이었지만 점차 협력주의가 된 드라자 미하일로비치가 이끄는 체트니크의 세르비아 민족주의 및 왕당파 게릴라가 결성되었다.[34] 동부 보스니아의 세르비아인들은 이 지역에서 군사적 성공을 거둔 파르티잔에 더 많이 합류했다.

NDH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우스타샤의 정책은 세르비아 인구 사이에서 반란을 일으켰다.[35] 1941년 6월, 세르비아인 학살 이후 동부 헤르체고비나의 세르비아인들은 NDH 당국에 맞서 무장 반란을 일으켰지만, 2주 만에 진압되었다. 세르비아인에 대한 박해는 보스니아 일부를 포함한 세르비아인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저항 운동의 확산을 초래했다. 파르티잔이 이끄는 또 다른 반란은 1941년 7월 27일에 시작되었다.[35] 전쟁 초기 단계에서 세르비아인은 NDH에서 활동하는 파르티잔 부대의 약 90%를 차지했다. 대부분의 반파시스트 전투는 네레트바 전투, 수체스카 전투, 드바르 작전 및 코자라 공세와 같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세르비아인 거주 지역에서 벌어졌다. 유고슬라비아의 제2차 세계 대전 전체 기간 동안, 파르티잔 연금 수령자의 기록에 따르면, 모든 보스니아 파르티잔의 64.1%가 세르비아인이었다.[36][37][38] 파르티잔은 1945년 4월 6일 사라예보를 해방시켰고, 보스니아는 몇 주 후에 완전한 통제 하에 들어갔다. 1946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은 공식적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6개 구성 공화국 중 하나로 만들었다.[39]

2. 7.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기 (1945년 ~ 1992년)

2. 8. 보스니아 전쟁 (1992년 ~ 1995년)

1991년 6월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가 독립을 선언한 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유고 연방에 남을 것인지, 아니면 자체 독립을 추구할 것인지에 대한 딜레마에 직면했다. 독립은 대부분의 보스니아인과 크로아티아인들이 지지했지만, 대부분의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들은 반대했다.[40] 1991년 10월 15일, 사라예보에 있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의회는 '주권에 관한 각서'를 통과시켰고, 이로 인해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 대표들이 의회를 떠났다.[40] 1991년 10월 24일, 세르비아 민주당(SDS)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인 의회를 결성하여 세르비아인들이 유고슬라비아에 남기를 원한다고 선언했다. 1992년 1월 9일,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들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인 공화국"을 선포했다. 1992년 2월 29일부터 3월 1일까지, 유럽 연합의 지원을 받은 보스니아 국민 투표가 실시되었으며, 99.7%가 독립에 찬성했다. 투표율은 63.4%에 불과했는데, 이는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들이 보이콧했기 때문이다.[40] 보스니아의 독립 선언 이후, 폭력적인 충돌이 발생하여 1992년 4월 6일까지 전면전으로 번졌다.

이 전쟁은 나토의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 진지 폭격 이후 종식되었으며, 이로 인해 평화 회담이 열리고 1995년 12월 데이턴 협정이 서명되었다. 이 협정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의 실체로서 보스니아계 세르비아 공화국(스릅스카 공화국)을 설립했다.[41]

3. 인구

1996년에 있었던 UNHCR 인구 조사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세르브인들은 148만 4,530명(37.9%)를 차지했다. 대부분이 스릅스카 공화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서보스니아주와 우나사나주에 거주한다. 보스니아 세르브인들은 지역적으로 널리 퍼져 살고 있다. 대부분은 세르비아 정교회를 믿지만, 일부는 무신론자이다. 대부분은 세르비아어의 이예카비아 방언을 사용한다.

201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는 1,086,733명의 세르비아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인구의 30.78%를 차지한다. 이들 중 대다수인 1,001,299명이 스릅스카 공화국에 거주하며 전체 세르비아인 인구의 92.13%를 차지했다. 스릅스카 공화국 자체에서 세르비아인은 전체 인구의 81.51%를 차지하는 절대 다수를 구성한다. 반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에는 56,550명의 세르비아인이 거주하며, 이는 전체 세르비아인 인구의 5.20%를 차지한다. 세르비아인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인구의 2.55%를 차지했다. 또한, 브르치코 구에는 28,884명이 거주하며, 이는 전체 세르비아인 인구의 2.66%를 차지한다. 이들은 브르치코 구 전체 인구의 34.58%를 차지했다.

1879년부터 2013년까지의 인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 세르비아인 인구와 비율은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

연도세르비아인 인구비율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체 인구
1879496,48542.881,158,440
1885571,25042.761,336,091
1895673,24642.941,568,092
1910825,41843.491,898,044
1921829,29043.871,890,440
19311,028,13944.252,323,555
19481,136,11644.292,565,277
19531,261,40544.402,847,459
19611,406,05742.893,277,935
19711,393,14837.193,746,111
19811,320,64432.024,124,008
19911,369,25831.214,364,649
20131,086,73330.783,551,159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민족 분포, 196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민족 분포, 2013


일부 세르비아인은 일부 인구 조사에서 유고슬라비아인으로 자신을 পরিচয়했다.

3. 1. 인구 변화 추이 (1879년 ~ 2013년)

1879년부터 2013년까지의 인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 세르비아인 인구와 비율은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

연도세르비아인 인구비율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체 인구
1879496,48542.881,158,440
1885571,25042.761,336,091
1895673,24642.941,568,092
1910825,41843.491,898,044
1921829,29043.871,890,440
19311,028,13944.252,323,555
19481,136,11644.292,565,277
19531,261,40544.402,847,459
19611,406,05742.893,277,935
19711,393,14837.193,746,111
19811,320,64432.024,124,008
19911,369,25831.214,364,649
20131,086,73330.783,551,159



일부 세르비아인은 일부 인구 조사에서 유고슬라비아인으로 자신을 পরিচয়했다. 1996년 UNHCR 인구 조사에서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세르브인들이 148만 4,530명(37.9%)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대부분 스릅스카 공화국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서보스니아 주와 우나사나주에 거주하며, 지역적으로 널리 퍼져있다. 대부분 세르비아 정교회를 믿지만, 일부는 무신론자이며, 세르비아어의 이예카비아 방언을 사용한다.

4. 정치

4. 1. 국가 수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의회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대표자 평의회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민족 평의회의 양원제 의회이다. 대표자 평의회는 유권자가 직접 선출하는 42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이 중 28명은 연방에서, 14명은 스릅스카 공화국에서 선출된다.[51] 민족 평의회는 15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보스니아인 5명, 크로아티아인 5명, 세르비아인 5명으로 각각 4년 임기로 선출된다.[52] 민족 평의회의 보스니아인 및 크로아티아인 의원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의회에서 선출되고, 세르비아인 의원 5명은 스릅스카 공화국 국민 의회에서 선출된다.[52]

대통령궁,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대통령의 공식 거처, 사라예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대통령은 보스니아인 1명, 크로아티아인 1명, 세르비아인 1명, 총 3명으로 구성되며 외교, 외교 및 군사 문제, 그리고 국가 수준 기관의 예산을 담당한다.[51] 보스니아인과 크로아티아인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에서 선출되고, 세르비아인은 스릅스카 공화국에서 선출된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각료회의 의장은 대통령이 지명하고 대표자 평의회가 승인하며, 이 직책은 8개월마다 크로아티아인, 보스니아인, 세르비아인 대표로 교체된다.[51][52] 현재 대통령의 세르비아계 구성원은 SNSD 소속의 젤카 츠비야노비치이다.

4. 2. 스릅스카 공화국

스릅스카 공화국은 83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자체 스릅스카 공화국 인민 의회를 가지고 있다.[51] 스릅스카 공화국은 자체적인 의료, 교육, 농업, 문화, 참전용사 문제, 노동, 경찰 및 내정에 대한 관할권을 갖는다.[51] 스릅스카 공화국 헌법은 자체 대통령을 명시하고 "헌법적, 입법적, 행정적, 사법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규정한다. 여기에는 경찰, 대법원 및 하급 법원, 세관 서비스(국가 차원의 세관 서비스에 속함), 우편 서비스 등이 포함된다.[53][54] 스릅스카 공화국은 총리와 16개의 부처를 두고 있으며,[51] 자체 문장, 기(문장 없는 세르비아 국기 변형) 및 실체 국가와 같은 자체 상징을 가지고 있다.

공화국 궁전은 스릅스카 공화국 대통령의 공식 거처이다.


사라예보가 헌법상 스릅스카 공화국의 수도이지만,[53] 북서부 도시 바냐 루카는 의회를 포함한 대부분의 정부 기관의 본부이며, "사실상" 수도이다. 전쟁 이후 스릅스카 공화국은 군대를 유지했지만, 2005년 8월 의회는 스릅스카 공화국군의 통제를 국가 차원의 부처로 이전하고 2006년 1월 1일까지 국방부와 군대를 폐지하는 데 동의했다. 이러한 개혁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평화를 위한 파트너십 프로그램에 가입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NATO에 의해 요구되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2006년 12월에 이 프로그램에 참여했다.[55]

4. 3. 정당

세르브계 보스니아인의 주요 정당으로는 무소속 사회민주동맹(SNSD)과 세르비아 민주당(SDS) 등이 있다.

5. 문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세르비아인은 세르비아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종교, 언어, 예술, 건축, 음악, 민속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르비아의 영향을 받았다. 문화 및 교육 단체인 '''프로스비예타'''는 1902년 사라예보에서 설립되어 민족 세르비아 시민들을 모으는 가장 중요한 단체가 되었다. 1903년에는 '''가이레트, 세르비아계 무슬림''' 문화 협회가 설립되었다. '''스릅스카 공화국 과학 예술 아카데미'''는 1996년부터 활동하고 있다.

5. 1. 문화 단체

5. 2. 건축 및 예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수많은 세르비아 정교회와 수도원이 있어 세르비아 건축이 풍부하다. 19세기 후반에 시작된 현대 세르보-비잔틴 부흥 건축 양식은 성당 및 민간 건축물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보스니아의 지형은 세르비아 국가 및 정교 세르비아 원칙과 연결된다.[57] 교회와 수도원은 16세기와 17세기에 건설된 정교회와 수도원의 예술적 표현인 프레스코화와 이코노스타시스로 장식되었다.[58][59] 사라예보 구 정교회 박물관은 여러 세기에 걸쳐 제작된 풍부한 이콘 및 기타 유물을 소장하고 있어 세계 5대 박물관 중 하나이다.[60]

유고슬라비아 우표에 실린 요반 비옐리치의 작품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은 현대 세르비아 회화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 주목할 만한 화가로는 유고슬라비아 최초의 추상 화가로 여겨지는 밀로시 바이치, 보스니아 풍경을 활용한 저명한 표현주의 화가인 요반 비옐리치, 보요 디미트리예비치, 네델코 그보즈데노비치, 코스타 하크만, 브란코 쇼트라, 미차 토도로비치 등이 있다.[64] 1907년 페로 포포비치, 브란코 라둘로비치 및 토도르 슈브라키치는 그 해에 두 차례 열린 전시회 중 하나에 작품을 전시했는데, 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현대 회화 전통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었다.[65]

주목할 만한 조각가로는 스레텐 스토야노비치가 있다.

5. 3. 언어 및 문학

세르브계 보스니아인세르비아어의 동 헤르체고비나 방언을 사용하며, 이는 이에카비아 발음이 특징이다.[66][67]

이 지역에서 세르비아어의 흔적은 매우 오래되었으며, 가장 오래된 스테차크인 그르데샤의 묘비와 같은 오래된 비문에서 찾아볼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세르비아어 필사본 중 하나인 미로슬라프 복음서는 세르비아 대공 훔 공작 미로슬라프를 위해 작성되었다. 세르비아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쓰여진 여러 중세 복음서로 풍부하며, 이들은 세밀화로 장식되어 있다. 세르비아의 중세 경험은 세르비아 종교 문학의 발전과 언어의 세련을 통해 중세 보스니아에서 번성했다.[68]

16세기 초 보지다르 고라즈다닌은 고라즈데 인쇄소를 설립했다. 이는 세르비아인 중 가장 초기의 인쇄소 중 하나였으며,[69] 현재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영토에서는 최초였다.[70][71] 그곳에서 인쇄된 고라즈데 시편은 초기 세르비아 인쇄업자들의 뛰어난 업적 중 하나로 꼽힌다.

보산스카 빌라, 문학 잡지


고라즈데 시편


19세기 초부터 사라예보의 ''보산스카 빌라''와 모스타르의 ''조라''는 정치 및 문화적 문제의 최전선에 있는 중요한 문학 잡지였다.[72]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은 세르비아 서사시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서사시의 유명한 시인으로는 필립 비슈니치와 테샨 포드루고비치가 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신 세르비아 작가들의 작품은 전체 세르비아 문학에 매우 중요하다. 주목할 만한 작가로는 알렉사 샨티치, 요반 두치치, 페타르 코치치, 시마 밀루티노비치 사라일리야, 스베토자르 초로비치 등이 있다.

5. 4. 음악

필리프 비쉬니치가 구슬에 맞춰 노래를 부르는 모습의 삽화에서 볼 수 있듯이, 구슬, 플루라, 가이데, 탐부리차와 같은 전통 악기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세르비아인들이 음악 공연에 사용한다.[73]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첫 번째 세르비아 노래 협회는 포차(1885), 투즐라(1886), 프리예도르(1887), 그리고 모스타르와 사라예보(1888)를 비롯하여 전국 각지에 세워졌다.[73]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열린 첫 번째 콘서트는 1881년 바냐 루카에서 열렸다.[74]

세르비아 음악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인의 민요가 풍부하며, 많은 노래는 오이카니에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창법으로 불린다. 라데 요바노비치, 요비차 페트코비치, 드라기샤 네도비치 등 세르비아의 가수와 작곡가들은 세브달린카라는 특별한 유형의 노래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 알렉사 샨티치의 시 에미나는 가장 유명한 세브달린카 중 하나가 되었다. 주목할 만한 민속 음악 공연자로는 부카 셰호비치, 나다 마물라, 나다 오브리치, 마린코 로크비치가 있다.

|thumb|right|130px|즈드라브코 촐리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인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국가가 해체될 때까지 활발했던 유고슬라비아 팝 록 장면에 크게 참여했다. 세르비아 음악가들은 암바사도리, 비옐로 두그메, 봄바제 슈탐파, 인덱시, 플라비 오르케스타르, 프로아르테, 레지나, 바트레니 폴루바크, 자브라니예노 푸셰네와 같은 인기 밴드의 멤버였거나 종종 리더였다. 즈드라브코 촐리치는 유고슬라비아와 세르비아의 가장 큰 음악 스타 중 한 명이다. 야드란카 스토야코비치와 르잔 마르야노비치는 싱어송라이터로서 중요한 경력을 쌓았다.

유고슬라비아 이후의 대중 음악 가수로는 젤코 사마르지치, 로마나, 네델코 바이지 바야, 사샤와 데얀 마티치가 있다. 보스니아 세르비아인 두샨 세스티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국가를 작곡했다.[75]

5. 5. 연극 및 영화

19세기 중반부터 세르비아인 스테보 페트라노비치가 테샤니에서, 세르비아인 데스피치 가문이 사라예보의 데스피치 가문 집에서 연극 공연을 조직했다.[76]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첫 장편 영화는 브란코 코피치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니콜라 포포비치가 감독한 ''메이저 바우크''이다.[77]

스릅스카 공화국 국립 극장


주요 영화 감독으로는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2회 수상한 에미르 쿠스투리차와 즈드라브코 쇼트라, 프레드라그 골루보비치, 보로 드라슈코비치 등이 있다. 저명한 시나리오 작가로는 고르단 미히치, 스르잔 콜예비치 등이 있으며, 유고슬라비아 및 세르비아 영화에서 성공을 거둔 배우로는 프레드라그 타소바츠, 브란코 플레샤, 마르코 토도로비치, 티호미르 스타니치, 니콜라 페야코비치, 네보이샤 글로고바츠, 다보르 두이모비치, 나타샤 닌코비치, 다니나 예프티치 등이 있다.

5. 6. 민속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세르비아인들은 세르비아 민속에 상당한 기여를 했으며, 여기에는 민속 의상, 음악, 전통 노래 및 악기, 서사시, 공예, 춤 등이 포함된다. 보스니아의 의상은 디나르식과 판노니아식으로 나뉜다. 동부 헤르체고비나에서는 민속 의상이 구 헤르체고비나의 의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전국 문화 예술 단체는 민속 전통을 실천한다. 즈미야네 자수는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5. 7. 교육

보스니아 최초의 교육 기관은 종교 시설이었으며, 세르브계 보스니아인의 경우 수도원에서 사제가 교사 역할을 했다.[78] 187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점령 첫 해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는 56개의 정교회 학교가 있었으며, 대부분 오스만 제국 통치 말기에 설립되었다. 1910년까지 그 수는 107개로 증가했지만,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오스트리아-헝가리 당국에 의해 폐쇄되었고 다시 부활하지 못했다. 최초의 여자 학교는 1858년 스타카 스켄데로바에 의해 사라예보에 설립되었다.

공산주의 시대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교육 시스템은 민족의 혼합과 세르비아 정체성의 억압을 기반으로 했으며, 티토는 국가의 사회적 측면을 구축하는 데 집중했다. 보스니아 전쟁 중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공화국의 설립과 함께, 보스니아계 세르비아 학교의 교육 과정은 세르비아에 더 적응하도록 변화를 겪었다. 전쟁 종식과 데이턴 협정을 통한 스릅스카 공화국의 설립 이후, 스릅스카 공화국의 교육 관할권은 RS 정부에 주어졌고, 연방에서는 교육 관할권이 칸톤에 주어졌다. 사라예보 대학교는 두 개로 분리되었으며, 세르비아계는 동사라예보 대학교로 이름을 변경했으며, 세르비아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했다. 바냐루카 대학교는 스릅스카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세르비아인이 다수 또는 상당수인 지방 자치 단체와 세르비아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하는 학교도 존재한다.

5. 8. 종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세르비아인은 주로 세르비아 정교회에 속하는 동방 정교회 기독교인이다.[79] 중앙정보국(CIA)의 월드 팩트북에 따르면, 정교회 기독교인은 이 나라 인구의 30.7%를 차지한다.[79]

보스니아 내 세르비아 정교회의 관할 구역은 한 개의 관구와 네 개의 교구로 구성된다. 1220년, 성 사바 대주교는 보스니아까지 뻗어 있던 중세 다바르 교구를 설립했다. 1557년 페치 세르비아 총대주교청이 복원된 후, 다바르와 보스니아 교구가 되었고, 결국 관구의 지위를 얻었다. 1611년, 훔 정교회 교구는 두 지역으로 분할된 후 다음 세기에 자훔르예 헤르체고비나 교구로 통합되었다. 1532년경, 정교회 주교구가 즈보르니크에 설립되었고 1852년 투즐라로 이전되어 즈보르니크 투즐라 교구가 되었다. 바냐 루카 교구는 1900년에 형성되었고, 원래 1925년에 형성되었지만 1934년에 폐지된 비하치 페트로바츠 교구는 1990년에 재설립되었다.

오스트로그의 성 바실 정교 신학부와 다바르-보스니아의 성 베드로 정교 신학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있는 두 개의 정교 고등 교육 기관이며, 둘 다 포차에 위치해 있다.[80] 이 두 기관은 모두 1882년에 보스니아 최초의 세르비아 고등학교로 설립된 사라예보-렐레보 신학교와 역사적 연속성을 가지고 있다.[80][8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는 다양한 시기에 걸쳐 세워진 많은 세르비아 교회와 수도원이 있다.

5. 9. 스포츠

세르브계 보스니아인들은 축구, 농구, 핸드볼, 배구 등 다양한 스포츠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82] 19세기 말, 크로아티아계 세르비아인인 스테반 자쿨라를 비롯한 지식인들에 의해 세르비아 소콜 협회가 설립되었다.[82] 자쿨라는 모스타르에 세르비아 체조 협회 "오빌리치"와 투즐라에 스포츠 및 체조 협회 "세르비아 소코"를 설립했다.[82]

축구는 보스니아 세르비아인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83] 슬라비야 이스토치노 사라예보는 1908년에 설립된 가장 오래된 세르비아인 중심의 클럽이며, 보라츠 바냐 루카는 유고슬라비아 컵 (1988)과 미트로파 컵 (1992)에서 우승한 인기 클럽이다.[83][84] 주목할 만한 축구 선수로는 밀란 갈리치, 네벤 수보티치 등이 있다. 류프코 페트로비치는 1991년 챔피언스 리그에서 츠르베나 즈베즈다를 우승으로 이끌었다.

농구는 보스니아 세르비아인들에게 두 번째로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알렉산다르 니콜리치는 ''유고슬라비아 농구의 아버지''로 불리며,[85] 보리슬라프 스탄코비치는 FIBA 전 사무총장 및 IOC 위원이다.[86] KK 이고케아는 현재 지역 ABA 리그에서 활약하고 있다.

핸드볼 클럽 보라츠 바냐 루카는 1976년 EHF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했으며, 1975년에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스베틀라나 키티치는 국제 핸드볼 연맹에 의해 역대 최고의 여성 핸드볼 선수로 선정되었다.[87]

트레비네 출신의 그르비치 가문은 유명한 배구 가문이다. 아버지 밀로시는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유고슬라비아의 첫 메달을 획득한 팀의 주장이었고, 아들 반야와 니콜라는 세르비아 팀에서 올림픽 챔피언이 되었다. 티야나 보스코비치 역시 세르비아를 대표하는 배구 선수이다.

이외에도 복싱의 슬로보단과 타디야 카차르, 유도의 라도미르 코바체비치, 카누의 밀렌코 조리치, 수영의 벨리미르 스테파노비치, 사격의 안드레아 아르소비치 등 다양한 개인 스포츠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6. 주요 인물

마카리예 소콜로비치는 세르비아 정교회 총대주교였다. 오스트로그의 바실리는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메흐메드-파샤 소콜로비치는 오스만 제국의 대재상을 지냈다. 사바 블라디슬라비치는 외교관이자 백작이었다. 필리프 비슈니치는 서사시 시인이었다. 시마 밀루티노비치 사라옐리야는 시인이자 작가였다. 페타르 포포비치 페치야와 미초 류비브라티치는 반란 지도자였다. 디미트리예 미트리노비치는 철학자이자 작가였다. 알렉사 산티치는 시인이었다. 페타르 코치치는 작가이자 정치인이었다. 가브릴로 프린치프는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암살자였다. 블라디미르 초로비치는 역사학자였다. 페타르 지몬지치는 성인이자 순교자였다. 요반 두치치는 시인이자 외교관이었다. 스레텐 스토야노비치는 조각가였다. 브란코 초피치는 작가였다. 칼 말덴은 배우였다. 에미르 쿠스타리차는 영화 감독이었다. 즈드라브코 촐리치는 가수였다. 조란 진지치는 세르비아 총리를 역임했다. 밀로라드 도디크는 스릅스카 공화국 대통령이다. 나타샤 닌코비치는 배우이다. 사보 밀로셰비치는 축구 선수였다. 블라디미르 라드마노비치와 오그넨 쿠즈미치는 농구 선수였고, 네벤 수보티치는 축구 선수였다. 티야나 보스코비치는 배구 선수이다.

메흐메드-파샤 소콜로비치


요반 두치치


사보 밀로셰비치


네벤 수보티치


참조

[1] 서적 Sarajevo, juni 2016. CENZ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BOSNIA AND HERZEGOVINA, 2013 FINAL RESULTS http://www.popis2013[...] BHAS 2016-06-30
[2] 서적 Bosnian Post-Refugee Transnationalism: After the Dayton Peace Agreem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0
[3] 서적 Byzantium and the Avars, 6th-9th Century AD: Political, Diplomatic and Cultural Relations https://books.google[...] BRILL 2018
[4] 서적 Managing a Global Workforc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Internat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06
[5] 서적 A Legal Geography of Yugoslavia's Disintegr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6] 서적 Dynasti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7] 서적 The Realm of St Stephen: A History of Medieval Hungary, 895-1526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1
[8] 서적 World War I: The Definitive Encyclopedia and Document Collection [5 volumes]: The Definitive Encyclopedia and Document Collec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
[9] 서적 Ottoman Bosnia: A History in Peril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04
[10] 서적 Conflict and Conquest in the Islamic World: A Historical Encyclopedia, Volume 1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
[11] 서적 The War in Bosnia-Herzegovina: Ethnic Conflict and International Intervention https://books.google[...] M.E. Sharpe 1999
[12] 서적 Zlatna nit postojanja Catena Mundi
[13] 서적 Citizenship in Bosnia and Herzegovina, Macedonia and Montenegro: Effects of Statehood and Identity Challen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14] 서적 Grounded Nationalism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
[15] 서적 The Balkans: From Constantinople to Communism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2
[16] 서적 Yugoslavia's Bloody Collapse: Causes, Course and Consequences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1997
[17] 서적 Balkans into Southeastern Europe, 1914-2014: A Century of War and Transition https://books.google[...]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2014
[18] 서적 State Collapse in South-Eastern Europe: New Perspectives on Yugoslavia's Disintegration https://books.google[...] Purdue University Press 2008
[19] 서적 Monarchies and the Great War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8
[20] 서적 European Union: Issues of Serbia, Kosovo and Bosnia and Herzegovina. Objectives of Entering the European Union, Current Possibilities and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Infinito Edizioni 2015
[21] 웹사이트 Političko predstavljanje BiH u Kraljevini Srba, Hrvata i Slovenaca / Kraljevini Jugoslaviji (1918.–1941.) https://www.parlamen[...] 2017-12-09
[22] 서적 Yugoslavia in the Shadow of War: Veterans and the Limits of State Building, 1903–1945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23] 서적 Education and Yugoslav Nationhood in Education and Yugoslav Nationhood in Interwar Yugoslavia https://biblio.ugent[...] Ghent University 2012
[24] 서적 Yugoslavia: A Concise Histor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3
[25] 서적 Picturing Genocide in the Independent State of Croatia: Atrocity Images and the Contested Memory of the Second World War in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0
[26] 서적 Visions of Annihilation: The Ustasha Regime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Fascism, 1941-194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012
[27] 서적 The Fragmentation of Yugoslavia: Nationalism in a Multinational State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6
[28] 서적 Religion and Violence: An Encyclopedia of Faith and Conflict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29] 서적 Genocid u Jugoslaviji u svetlosti međunarodnog prava https://books.google[...] Politika
[30] 서적 American Jewry and the Holocaust: The American Jewish Joint Distribution Committee, 1939-1945 https://books.google[...]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31] 웹사이트 Jasenovac http://www.ushmm.org[...] US Holocaust Museum 2013-02-20
[32] 서적 The Breakup of Yugoslavia and the War in Bosn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8
[33] 웹사이트 Bio sam razočaran što Vučić ne prihvata sudske presude http://ba.n1info.com[...] N1 (TV channel)|N1 2019-07-29
[34] 서적 At War on the Gothic Line: Fighting in Italy, 1944-45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16
[35] 서적 War and Revolution in Yugoslavia, 1941-1945: Occupation and Collaboration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1
[36] 웹사이트 The Great Serbian threat, ZAVNOBiH and Muslim Bosniak entry into the People's Liberation Movement https://publications[...] Posebna izdanja ANUBiH 2020-12-21
[37] 서적 Political Cohesion In A Fragile Mosaic: The Yugoslav Experience Avalon Publishing, the University of Michigan 1983
[38] 간행물 "Whose is the partisan movement? Serbs, Croats and the legacy of a shared resistance" https://www.research[...] The Journal of Slavic Military Studies. Informa UK Limited 2002
[39] 서적 Encyclopedi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ume 33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82
[40] 서적 Politics of the European Union in Bosnia-Herzegovina: Between Conflict and Democracy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2
[41] 서적 Central and Southeast European Politics since 198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42] 문서 De Administrando Imperio Dumbarton Oaks Center for Byzantine Studies, Washington D. C. 1993
[43] 웹사이트 Serbs, Bosnia and national identity http://cafehome.trip[...] 2017-12-09
[44]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Bosnia and Herzegovina http://www.newadvent[...] 2017-12-09
[45] 웹사이트 Independent State of Croatia http://www.yadvashem[...] Yad Vashem World Holocaust and Research Documentation Center 2013-03-20
[46] 서적 War in a Twilight World: Partisan and Anti-Partisan Warfare in Eastern Europe, 1939-45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0
[47] 서적 The Serbian Question in the Balkans University of Belgrade 1995
[48] 서적 Islam and Nationhood in Bosnia-Herzegovina: Surviving Empir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7
[49] 서적 Post-War Bosnia: Ethnicity, Inequality and Public Sector Governanc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5
[50] 서적 Ethnic Minorities and Politics in Post-Socialist South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51] 뉴스 Bosnia and Herzegovina: the world's most complicated system of government? https://www.theguard[...] 2014-10-08
[52] 서적 Central and South-Eastern Europe 2004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3
[53]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Republika Srpska https://www.legislat[...] 2021-10-05
[54] 서적 Remigration to Post-Socialist Europe: Hopes and Realities of Return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18
[55] 웹사이트 NATO - Topic: Signatures of Partnership for Peace Framework Document (country, name & date) http://www.nato.int/[...]
[56] 서적 The Political System of Bosnia and Herzegovina: Institutions – Actors – Process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0
[57] 서적 Heritage Under Pressure – Threats and Solution: Studies of Agency and Soft Power in the Historic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Oxbow Books 2019
[58] 서적 Serbian Icons from Bosnia-Herzegovina: Sixteenth to Eighteenth Century A. Pankovich Publishers 2000
[59] 서적 Eastern Europe: An Introduction to the People, Lands, and Culture, Volume 1 https://books.google[...] ABC-CLIO 2006
[60] 웹사이트 Muzej Stare pravoslavne crkve u Sarajevu rangiran među prvih pet u svetu http://www.magacinpo[...] 2016-08-08
[61] 간행물 Miloš Bajić 1971
[62] 웹사이트 Jovan Bijelić Short Biography http://www.arte.rs/e[...] 2023-02-07
[63]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Expressionism in a Transnational Contex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
[64] 서적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 Architecture: Three-Volume Se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65] 웹사이트 The Austro-Hungarian Period in Bosnia-Herzegovina: Cultural Politics in Bosnia and Herzegovina and the creation of the Western type of art http://www.kakanien-[...] 2006-05-26
[66] 서적 Language and Identity in the Balkans: Serbo-Croatian and Its Disintegr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67] 서적 Bosnian, Croatian, Serbian, a Grammar: With Sociolinguistic Commenta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06
[68] 서적 Rex Germanorum, Populos Sclavorum: An Inquiry Into the Origin & Early History of the Serbs/Slavs of Sarmatia, Germania & Illyria : with Maps, Illustrations, Tombstone Inscriptions, Indo-Iranian/Serb-Slav Glossary, and Extended Bibliography (over 2000 Entries) University Center Press 2001
[69] 서적 Publishing in Yugoslavia's Successor States https://books.google[...] Haworth Information Press
[70] 서적 Pisana riječ u Bosni i Hercegovini: od najstarijih vremena do 1918. godine https://books.google[...] Oslobođenje; Banja Luka: Glas
[71] 서적 Bosnia and Herzegovina https://books.google[...] Svjetlost
[72] 서적 Empires and Nations from the Eighteenth to the Twentieth Century: Volume 1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4
[73] 웹사이트 Muzički život Srba u Bosni i Hercegovini (1881—1914) http://www.riznicasr[...] 2017-10-09
[74] 웹사이트 O kulturnom i društvenom životu stare Banje Luke (5) https://www.glassrps[...] 2018-01-04
[75] 서적 Music in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BRILL 2023-02-07
[76] 웹사이트 The Legacy of the Despić Family http://sarajevo.trav[...] 2017-10-09
[77] 서적 Partisans in Yugoslavia: Literature, Film and Visual Culture https://books.google[...] Transcript Verlag 2023-02-07
[78] 서적 Political and Social Influences on the Education of Children: Research from Bosnia and Herzegovin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3-02-07
[79] 웹사이트 World Factbook: Bosnia and Herzegovin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1-11-29
[80] 간행물 Between Cooperation a Antagonism – The Dynamics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in Sensitive Political Contexts, Case: Bosnia and Herzegovina https://www.research[...] Nansen Dialogue Centre Sarajevo and Scanteam Oslo 2015
[81] 웹사이트 University of East Sarajevo https://kultor.org/o[...] Rethinking the Culture of Tolerance 2016 2021-12-06
[82] 웹사이트 Savez Soko Srbije http://www.savezsoko[...]
[83] 서적 Football in Southeastern Europe: From Ethnic Homogenization to Reconcili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84] 서적 Bosnia, l’Europa di mezzo: Viaggio tra guerra e pace, tra Oriente e Occidente https://books.google[...] Infinito Edizioni 2015
[85] 서적 The Sports Hall of Fame Encyclopedia: Baseball, Basketball, Football, Hockey, Soccer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1
[86] 뉴스 Boris Stankovic, Who Paved Way for N.B.A.’s ‘Dream Team,’ Dies at 94 https://www.nytimes.[...] 2020-03-23
[87] 웹사이트 Svetlana Kitic voted best female player ever https://archive.ihf.[...] International Handball Federation
[88] 서적 Housing and Property Rights in Bosnia and Herzegovina, Croatia and Serbia, and Montenegro https://books.google[...] United Nations Centre for Human Settlements 2021-10-26
[89] 서적 European Integration and the Nationalities Ques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10-26
[90] 서적 Bosnia Remade: Ethnic Cleansing and Its Reversal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0-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