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르비아 철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비아 철도는 세르비아의 국영 철도 시스템이다. 1854년 오라비차-바지야시 철도 개통으로 시작되었으며, 1881년 세르비아 국유 철도 성립 이후 베오그라드-니시 노선 운행을 시작하며 본격적으로 운영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철도 시대를 거쳐, 2011년 민영화되어 4개의 자회사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현재는 여객, 화물 운송, 인프라 관리 사업을 수행하며, 국내선 및 국제선을 운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브랜드 - 에어 세르비아
    에어 세르비아는 2013년 에티하드 항공의 지분 참여로 설립되었으며, 1927년 아에로풋을 기원으로 JAT 유고슬라비아 항공을 거쳐 현재의 사명을 사용하며, 베오그라드를 허브 공항으로 35개국 78개 목적지에 취항하는 세르비아의 국적 항공사이다.
세르비아 철도 - [회사]에 관한 문서
개요
베오그라드에 위치한
베오그라드에 위치한 "세르비아 철도" 본사
공식 명칭세르비아 철도 (Železnice Srbije / ŽS)
종류국영 기업
산업 분야공학
기술 컨설팅
설립일2005년 5월 17일 (현재 형태) / 1881년 (최초 설립)
소재지세르비아 베오그라드 네마니나 6
서비스 제공 지역세르비아
주요 인물고란 아지치 (Goran Adžić, 총괄 이사)
웹사이트세르비아 철도 공식 웹사이트
사업자 등록 번호20038284
납세자 번호103859991
재무 정보 (2022년)
매출액 3,276만 (증가)
순이익 -1,019만 (적자)
자산 2억 480만 (감소)
자기자본 -4억 4,109만 (적자)
소유 구조
소유주세르비아 정부 (56.43%)
세르비아 개발 펀드 (43.57%)
직원 수1,441명 (2022년)
철도 네트워크
운영 국가세르비아
개업 년도1881년
궤간표준궤
전철화25 kV AC, 50 Hz 가공 전차선
총 연장3,739 km (2,323 마일)
세르비아 및 코소보 철도 노선도
세르비아 철도 노선도
자회사

2. 역사



1888년 오리엔트 특급을 보여주는 역사적 광고


세르비아 최초의 마차 철도는 1854년 8월 20일에 개통한 오라비차-바지야시 철도로,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지배 하의 바나트 지방, 브르샤츠(Vršac) 근처의 오라비차(Oraviţa / Oravica) - 야세노보(Jasenovo) - 벨라 츠르크바(Bela Crkva) - 바지야시(Baziaş / Bazijaš) 간에 제국 왕립 오스트리아 국철(Imperial Royal Austrian State Railways)에 의해 사업이 시작되었다(오라비차와 바지야시는 현재 루마니아 영토이다).[17] 증기 기관에 의한 첫 운행은 1856년부터 시작되었다.

세르비아 철도는 1881년 밀란 1세의 포고령에 의한 세르비아 국유 철도 성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최초의 왕실 열차가 운행된 것은 1884년 8월 23일로 베오그라드에서 니시로 향하는 것이었고,[17] 이 해에 공식적으로 세르비아 철도가 발족한 해로 여겨진다. 1920년대부터 유고슬라비아 소멸까지는 유고슬라비아 철도 아래에서 철도가 운영되었다. 연방 붕괴 후에는 NATO군의 공습과 유엔 제재 등으로 철도의 쇠퇴가 진행되었으나, 이후 개량 공사도 이루어져 점차 회복 추세에 있다.

세르비아 철도 최초의 전철화는 1970년에 베오그라드 - 시드(Šid) 간에 이루어졌다.[17]

2010년 이후, 니시 - 디미트로브그라드 간(체코 수출 은행 융자)[18], 마라크르스나 - 벨리카 플라나 간(러시아 정부 융자)[19] 등을 포함하는 연장 112km 구간에서, 최고 속도 120km/h로의 향상, 비전철 구간의 전철화 등 근대화 공사를 추진하고 있다.[19] 근대화 구간은 범유럽 회랑의 제10 회랑을 구성한다.[19]

국영 기업이었으나, 2011년 5월에 민영화되어, 전액 정부 출자 주식회사인 지주 회사가 4개의 사업 자회사(인프라·자산 관리·여객 운송·화물 운송)를 총괄하는 체제로 이행했다.[20]

2. 1. 초기 역사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

세르비아의 철도 교통 역사는 19세기 중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오스만 제국이 대부분의 영토를 지배하던 시기에 시작되었다.[6] 현재 세르비아 영토에 최초로 개통된 철도 노선은 1854년 8월 20일 리사바-오라비차-바지야쉬 사이를 운행했으며, 처음에는 말의 힘으로 운행되다가 1856년에 증기 기관차로 대체되었다.[6] 이 노선은 벨라 크르크바를 통과하는 일부 구간이 세르비아에, 나머지는 루마니아에 위치한다. 이후 건설된 노선들은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부였던 부다페스트를 향해 건설되었다.[6] 오스만 제국 지배하의 영토에서는 1874년에 스코페-코소브스카 미트로비차 노선이 개통되었다.[6]

베를린 회의 이후 세르비아 공국이 독립하면서 19세기 후반에 철도 확장이 본격화되었다.[6] 1881년 밀란 1세 공이 세르비아 국립 철도 설립을 선언하면서 세르비아 철도가 기업으로서 시작되었다.[17] 1884년 8월 23일 베오그라드에서 니시로 출발하는 첫 열차가 운행되었으며, 세르비아 철도는 이 날을 회사의 공식적인 창립일로 간주한다.[17]

하지만 당시 세르비아 왕국 영토에서 운영된 최초의 철도는 1882년에 개통된 산업용 철도로, 마이단페크 구리 가공 공장에서 벨리케 리바데까지 12km 길이의 광궤 철도였다.[7] 이 철도는 세르비아 구리 & 철강 회사가 건설했으며, 주로 산업용으로 사용되었지만 때때로 여객 수송에도 이용되었다.[7] 1888년에는 동부 세르비아에 또 다른 철도가 건설되었는데, 이 철도는 80km 길이의 산업 및 여객 수송 겸용 철도로, 다뉴브 강의 라두예바츠 항구로 연결되었다.[8][9]

192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철도를 담당하는 유고슬라비아 철도라는 이름으로 운영되었다. 최초의 전철화 노선은 1970년 베오그라드와 시드 사이에 개통되었다.[17] 1976년에는 세르비아와 남 아드리아 해를 연결하는 노선(베오그라드-바르)이 개통되었다.

2. 2. 유고슬라비아 시대 (1920년대 ~ 1990년대)

1920년대부터 유고슬라비아 소멸 시까지는 유고슬라비아 철도 아래에서 철도가 운영되었다.[17] 연방 붕괴 후에는 NATO군의 공습과 유엔 제재 등으로 철도의 쇠퇴가 진행되었으나, 이후 개량 공사도 이루어져 점차 회복 추세에 있다.[17] 열차 내에서의 식사 서비스 등의 부문은 KSR(Kola za Spavanje i Ručavanje)이 담당하고 있다. 세르비아 철도 최초의 전철화는 1970년에 베오그라드 - 시드(Šid) 간에 이루어졌다.[17]

2. 3.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1990년대 ~ 2015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해체 이후, 1990년대 세르비아 철도는 인프라 유지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특히 화물 운송량을 중심으로 교통량이 급격히 감소했다.[10] 2000년 기준으로 세르비아 철도는 총 32,832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부정적인 추세는 2000년대에도 지속되었다. 2010년대 초, 인프라와 철도 차량 모두의 현대화 프로그램이 시작되면서 철도에 더 나은 날들이 시작되었다.[10]

2013년, 세르비아 철도는 노후된 인프라 현대화를 목표로, 주요 철도 노선의 주요 구간 개선에 초점을 맞춘 RZD 인터내셔널(RZD International)과 $8억 4천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베오그라드-시드 노선의 루마와 골루빈치 사이 구간은 2014년에 재건되었으며,[10] 베오그라드-니시-프레셰보 노선의 다섯 개 구간(소포트-코스마이스키 코바체바츠, 말라 크르스나-벨리카 플라나, 비나르체-조르제보, 브란스카 바냐-리스토바츠, 부야노바츠-부카레바츠)은 2015년과 2016년에 현대화 및 재활성화되었다.[10] 베오그라드판체보 사이의 베오그라드-브르샤츠 노선 구간은 궤도가 복선화되고 재건되었다.[10]

2010년 이후, 니시 - 디미트로브그라드 간(체코 수출 은행 융자)[18], 마라크르스나 - 벨리카 플라나 간(러시아 정부 융자)[19] 등을 포함하는 연장 112km 구간에서, 최고 속도 120km/h로의 향상, 비전철 구간의 전철화 등 근대화 공사를 추진하고 있다.[19] 근대화 구간은 범유럽 회랑의 제10 회랑을 구성한다.[19]

국영 기업이었으나, 2011년 5월에 민영화되어, 전액 정부 출자 주식회사인 지주 회사가 4개의 사업 자회사(인프라·자산 관리·여객 운송·화물 운송)를 총괄하는 체제로 이행했다.[20]

2. 4. 구조 개편 및 현대화 (2015년 ~ 현재)

2015년 3월, 세르비아 정부는 세르비아 철도를 분할하여 세 개의 새로운 철도 회사를 설립할 계획을 발표했다.[11] 이 회사들은 여객 운송을 담당하는 Srbijavoz, 화물 운송을 담당하는 Srbija Kargo, 인프라 관리를 담당하는 세르비아 철도 인프라이다.[11] 이 세 회사는 2015년 8월 10일에 세르비아 철도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독립되었으며, 사업 재건 및 최적화를 위해 설립되었다.[12]

이 과정에서 약 6,000명의 직원이 퇴직금과 함께 회사를 떠났으며, 이는 2017년 말까지 3,900만 유로에 달했다.[13] 이에 따라 전체 직원 수는 2016년 17,635명에서 2018년에는 네 개의 철도 관련 회사를 합하여 약 11,500명으로 감소했다.[13]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세 번째 해고를 통해 1,500명의 직원이 추가로 회사를 떠날 예정이며, 2020년까지 전체 직원 수는 약 10,000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14] 이는 2016년보다 7,635명(43.29%) 적고, 2000년보다 22,800명(69.51%) 적은 수치이다.[14]

2010년 이후, 니시 - 디미트로브그라드 간(체코 수출 은행 융자)[18], 마라크르스나 - 벨리카 플라나 간(러시아 정부 융자)[19] 등을 포함하는 연장 112km 구간에서, 최고 속도 120km/h로의 향상, 비전철 구간의 전철화 등 근대화 공사를 추진하고 있다.[19] 근대화 구간은 범유럽 회랑의 제10 회랑을 구성한다.[19]

3. 여객 운송

스르비야보즈가 운행하는 여객 열차 노선도


이 회사는 2015년까지 여객 운송을 담당했다.

세르비아 철도 시스템은 총 3,739 km의 철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295 km는 복선(전체 노선의 7.9%)이다. 약 1,279 km의 선로(전체 노선의 33.6%)가 전철화되어 있다.[15] 세르비아는 알바니아를 제외한 모든 인접 국가와 철도로 연결되어 있다.

세르비아 철도는 관광, 국내 수송, 국제 수송을 담당한다. 국제 열차는 세르비아에서 남쪽으로 베오그라드-바르 철도를 경유하여 몬테네그로로 가는 노선과, 베네치아, 뮌헨, 테살로니키, 부다페스트, 키예프, 모스크바 등 다른 유럽 도시로 향하는 노선이 있다.

베오그라드 수도권에서는 통근 철도망 "베오보즈(Beovoz)"와 도시 철도 "BG Voz"를 운행한다.

=== 국내 철도망 ===

세르비아 철도는 "간선", "지선", "지방선", "조작선"으로 분류된다. 다음은 세르비아의 간선 철도 목록이다.[16]

번호노선길이 (km)선로전철화비고
1베오그라드루마시드 근처 크로아티아 국경1202베오그라드와 스타라 파조바 사이에서는 4번 철도 노선과 선로를 공유한다.
2베오그라드니시프레셰보 근처 북마케도니아 국경3981/2벨리카 플라나와 스타라츠 사이, 그리고 주니스와 니시 사이에 복선이 있다. 2023년에 베오그라드와 니시 사이를 최고 시속 200 km로 현대화 및 재건 공사가 시작될 예정이다.
3베오그라드 – 말라 크르스나 – 벨리카 플라나1021
4베오그라드노비사드수보티차 근처 헝가리 국경18322022년 3월 19일부터 베오그라드와 노비사드 사이에 고속(200 km/h) 철도가 개통되었다. 현재 노비사드에서 수보티차(헝가리 국경)까지 복선화 및 시속 200 km/h로 고속화하는 공사가 진행 중이다.
5니시피로트 – 디미트로브그라드 근처 불가리아 국경1041아니요2023년 11월에 재건, 전철화 및 현대화 공사가 시작되었으며, 최고 시속 120 km/h를 목표로 향후 3년 반 동안 진행될 예정이다.
6베오그라드판체보 – 브르사츠 근처 루마니아 국경1021/2부분적으로베오그라드와 판체보 사이에는 전철화된 2개의 선로가 있다.
7베오그라드발레보우지체 – 프리예폴레 근처 몬테네그로 국경2991
8라포보 – 크라구예바츠크랄레보 – 루드니차 근처 코소보 & 메토히야 행정 경계선1531아니요
9수보티차솜보르 – 보고예보 근처 크로아티아 국경871아니요



=== 국제 철도망 ===

세르비아 철도는 국제 철도 수송도 담당한다. 국제 열차는 베오그라드-바르 철도를 경유하여 몬테네그로로 가는 노선과, 베네치아, 뮌헨, 테살로니키, 부다페스트, 키예프, 모스크바 등 다른 유럽 도시로 향하는 노선으로 나뉜다.

=== 수도권 철도 ===

베오그라드 수도권에서는 통근 철도망 "베오보즈"와 도시 철도 "BG Voz"를 운행한다.

3. 1. 국내 철도망

세르비아 철도는 "간선", "지선", "지방선", "조작선"으로 분류된다. 다음은 세르비아의 간선 철도 목록이다.[16]

번호노선길이 (km)선로전철화비고
1베오그라드루마시드 근처 크로아티아 국경1202베오그라드와 스타라 파조바 사이에서는 4번 철도 노선과 선로를 공유한다.
2베오그라드니시프레셰보 근처 북마케도니아 국경3981/2벨리카 플라나와 스타라츠 사이, 그리고 주니스와 니시 사이에 복선이 있다. 2023년에 베오그라드와 니시 사이를 최고 시속 200 km로 현대화 및 재건 공사가 시작될 예정이다.
3베오그라드 – 말라 크르스나 – 벨리카 플라나1021
4베오그라드노비사드수보티차 근처 헝가리 국경18322022년 3월 19일부터 베오그라드와 노비사드 사이에 고속(200 km/h) 철도가 개통되었다. 현재 노비사드에서 수보티차(헝가리 국경)까지 복선화 및 시속 200 km/h로 고속화하는 공사가 진행 중이다.
5니시피로트 – 디미트로브그라드 근처 불가리아 국경1041아니요2023년 11월에 재건, 전철화 및 현대화 공사가 시작되었으며, 최고 시속 120 km/h를 목표로 향후 3년 반 동안 진행될 예정이다.
6베오그라드판체보 – 브르사츠 근처 루마니아 국경1021/2부분적으로베오그라드와 판체보 사이에는 전철화된 2개의 선로가 있다.
7베오그라드발레보우지체 – 프리예폴레 근처 몬테네그로 국경2991
8라포보 – 크라구예바츠크랄레보 – 루드니차 근처 코소보 & 메토히야 행정 경계선1531아니요
9수보티차솜보르 – 보고예보 근처 크로아티아 국경871아니요



세르비아 철도는 관광 철도 및 국내 수송에서 국제 수송까지 폭넓은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국제 열차는 세르비아에서 남쪽 방향으로 베오그라드-바르 철도를 경유하여 몬테네그로로 향하는 계통과, 다른 유럽 도시인 베네치아, 뮌헨, 테살로니키, 부다페스트, 키예프, 모스크바 등으로 향하는 것으로 나뉜다.

또한, 베오그라드 수도권에서는 통근 철도망 "베오보즈(Beovoz)"와 도시 철도 "BG Voz"의 운행도 담당한다.

3. 2. 국제 철도망

세르비아 철도는 국내 수송뿐만 아니라 국제 철도 수송도 담당하고 있다. 국제 열차는 세르비아에서 남쪽 방향으로 베오그라드-바르 철도를 경유하여 몬테네그로로 가는 노선과, 베네치아, 뮌헨, 테살로니키, 부다페스트, 키예프, 모스크바 등 다른 유럽 도시로 향하는 노선으로 나뉜다.

3. 3. 수도권 철도

베오그라드 수도권에서는 통근 철도망 "베오보즈"를 운행하고 있으며, 도시 철도 "BG Voz"의 운행도 담당한다.

4. 차량


  • '''전기 기관차'''
  • ŽS 441 총 44량 (운행 중 '''29'''량)
  • ŽS 444 총 30량 (운행 중 '''23'''량)
  • ŽS 461 총 51량 (운행 중 '''35'''량)
  • ŽS 193 총 16량 (운행 중 '''16'''량)
  • '''디젤 기관차'''
  • ŽS 621 총 17량 (운행 중 '''N/A''')
  • ŽS 622 총 4량 (운행 중 '''4'''량)
  • ŽS 641 총 37량 (운행 중 '''11'''량)
  • ŽS 644 총 6량 (운행 중 '''2'''량)
  • ŽS 661 총 42량 (운행 중 '''23'''량)
  • ŽS 664 총 '''6'''량, 슬로베니아 철도에서 임대
  • ŽS 666 총 4량 (운행 중 '''2'''량)
  • '''전동차'''
  • ŽS 412 총 20량 (운행 중 '''14'''량)
  • ŽS 413 총 21량 (운행 중 '''21'''량) 및 추가 주문 18량
  • ŽS 410 총 3량 (운행 중 '''3'''량)
  • 5량의 새로운 CRRC 고속 열차가 향후 운행을 위해 주문되었다.
  • '''디젤 동차'''
  • ŽS 711 총 39량 (운행 중 '''39'''량)
  • '''객차'''
  • ''여객 차량'' - "개방형" 또는 "객실형" 총 364량
  • ''침대차'' 총 52량
  • ''쿠셋'' 총 63량
  • ''식당차'' 총 15량


; 전기 기관차

스웨덴 ASEA사의 라이센스를 얻어 Mašinska Industrija Niš(MIN)사 및 KONČAR 그룹의 협업으로 1969년부터 제작된 441계·444계 전기 기관차가 주력이다. 444계는 441계의 갱신 차량이다. 마찬가지로 ASEA사의 라이센스에 기반하여 루마니아의 Electroputere사에서 제작된 461계 전기 기관차도 사용되고 있으나, 정격 속도의 관계로 주로 화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 디젤 기관차

GM제 645계·661계·664계·666계, MIN사제 741계·742계·734계, Macosa사제 644계, Đuro Đaković Company사제 662계·643계·642계 디젤 기관차가 사용되고 있다.

; 전동차

리가 차량 제작 공장제 412계 전동차가 주력이다. 2013년에는 노후화된 기존 차량을 대체할 신형 차량으로 스위스제 FLIRT3의 도입 계약이 체결되었다. 413계로 2014년-2015년 중에 납입이 예정되어 있으며, 첫 편성은 2014년 9월에 도착했다.

; 디젤 동차

로컬선용으로 710계·712계·812계 등 디젤 동차가 사용되고 있다. 2012년에는 최고 속도 120km/h의 운전 성능을 가진 러시아 Metrovagonmash사제 711계가 도입되어 베오그라드 - 브르샤츠 (Vršac)간 운행을 시작했다.

4. 1. 전기 기관차

스웨덴 ASEA사의 라이센스를 얻어 Mašinska Industrija Niš(MIN)사 및 KONČAR 그룹의 협업으로 1969년부터 제작된 441계·444계 전기 기관차가 주력이다. 444계는 441계의 갱신 차량이다. 마찬가지로 ASEA사의 라이센스에 기반하여 루마니아의 Electroputere사에서 제작된 461계 전기 기관차도 사용되고 있으나, 정격 속도의 관계로 주로 화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4. 2. 디젤 기관차

GM제 645계·661계·664계·666계, MIN사제 741계·742계·734계, Macosa사제 644계, Đuro Đaković Company사제 662계·643계·642계 디젤 기관차가 사용되고 있다.

4. 3. 전동차

리가 차량 제작 공장제 412계 전동차가 주력이다. 2013년에는 노후화된 기존 차량을 대체할 신형 차량으로 스위스제 FLIRT3의 도입 계약이 체결되었다. 413계로 2014년-2015년 중에 납입이 예정되어 있으며, 첫 편성은 2014년 9월에 도착했다.

4. 4. 디젤 동차

로컬선용으로 710계·712계·812계 등 디젤 동차가 사용되고 있다. 2012년에는 최고 속도 120km/h의 운전 성능을 가진 러시아 Metrovagonmash사제 711계가 도입되어 베오그라드 - 브르샤츠 (Vršac)간 운행을 시작했다.

4. 5. 객차

세르비아 철도에는 스웨덴 ASEA사의 라이센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전기 기관차와 디젤 기관차, 전동차, 디젤 동차 등이 운용되고 있다. 전기 기관차는 Mašinska Industrija Niš (MIN)사와 KONČAR 그룹이 협업하여 1969년부터 제작한 441계·444계가 주력이며, 루마니아 Electroputere사에서 제작된 461계도 사용되지만 주로 화물용으로 사용된다. 디젤 기관차는 일렉트로-모티브 디젤(GM)제, MIN사제, Macosa사제, Đuro Đaković Company사제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전동차는 리가 차량 제작 공장제 412계가 주력이며, 2013년에는 스위스 FLIRT3 도입 계약이 체결되어 2014년부터 2015년 사이에 413계가 납입될 예정이다. 로컬선용으로는 710계·712계·812계 등 디젤 동차가 사용되고 있으며, 2012년에는 러시아 Metrovagonmash사제 711계가 도입되어 베오그라드-브르샤츠 간 운행을 시작했다.

참조

[1] 웹사이트 КОНСОЛИДОВАНИ БИЛАНС УСПЕХА (2022) – Serbian Railways http://pretraga3.apr[...] 2023-11-16
[2] 웹사이트 КОНСОЛИДОВАНИ БИЛАНС УСПЕХА (2018) – Serbian Railways http://pretraga3.apr[...] 2019-08-29
[3] 웹사이트 КОНСОЛИДОВАНИ БИЛАНС СТАЊА (2022) – Serbian Railways http://pretraga3.apr[...] 2023-11-16
[4] 웹사이트 Основни подаци о привредном друштву http://pretraga2.apr[...] Serbian Business Registers Agency 2018-02-28
[5] PDF http://www.parlament[...] 2022-03
[6] webarchive History http://www.zeleznice[...] 2012-11-22
[7] 웹사이트 Reference in Serbian http://www.astronomi[...]
[8] 웹사이트 Reference in Serbian http://www.timockapr[...]
[9] 웹사이트 Reference in Serbian with a French introduction and abstract http://www.timockapr[...]
[10] 웹사이트 Ekonomski pregled RS http://www.ekapija.c[...]
[11] 뉴스 Železnice će imati četiri preduzeća od 1. jula https://www.blic.rs/[...] Blic 2018-01-12
[12] 웹사이트 General Information http://serbianrailwa[...] Serbian Railways 2019-10-14
[13] 뉴스 Šta čeka 2.000 ljudi kojima se sprema otkaz u "Železnicama Srbije" https://www.blic.rs/[...] 2018-01-12
[14] 뉴스 "Železnice" otpuštaju 2.500 ljudi DO KRAJA GODINE https://www.blic.rs/[...] 2018-01-12
[15] PDF http://www.parlament[...] 2022-03
[16] 웹사이트 Railway Niš - Dimitrovgrad Modernisation for Speeds of up to 120 km/H https://europa.rs/ra[...] 2024-03-28
[17] 웹사이트 Čuvari logora u zimskom periodu http://www.blic.rs/r[...] Blic 2009-09-
[18] 간행물 鉄道ジャーナル 鉄道ジャーナル社 2010-10
[19] 간행물 鉄道ジャーナル 鉄道ジャーナル社 2016-03
[20] 간행물 鉄道ジャーナル 鉄道ジャーナル社 201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