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실리아 페인가포슈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실리아 페인가포슈킨은 1900년 영국에서 태어난 미국의 천문학자이다. 그녀는 1925년 래드클리프 대학교에서 천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별의 스펙트럼과 온도의 관계를 밝히고, 수소와 헬륨이 우주에서 가장 풍부한 원소임을 밝혀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페인가포슈킨은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력을 쌓으며, 여성 최초로 정교수 및 학과장을 역임했고, 변광성 연구와 항성 진화 연구에도 기여했다. 그녀는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고, 러시아 출신 천체물리학자와 결혼했으며, 여러 저서와 학술 논문을 발표했다. 페인가포슈킨은 미국 천문학회 헨리 노리스 러셀 강연상 등을 수상했으며, 그녀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소행성과 화산, 학술상 등에 그녀의 이름이 붙여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여자 과학자 - 메리 리키
영국의 고고학자이자 고인류학자인 메리 리키는 올두바이 협곡과 라에톨리에서의 발굴, 특히 360만 년 전 라에톨리 발자국 화석 발견을 통해 인류 진화 연구에 크게 기여했으며, 남편 루이스 리키와 함께 아프리카에서 다양한 유적지를 탐사하며 많은 유물과 화석을 발견하고 새로운 동물 종을 발견하는 등 고인류학 분야에 공헌하여 널리 인정받았다. - 영국의 여자 과학자 - 헬렌 샤먼
헬렌 샤먼은 1991년 주노 계획으로 미르 우주 정거장에서 과학 실험을 수행하며 영국 최초의 우주 비행사가 된 영국의 화학자이자 우주 비행사이다. - 천체물리학자 - 스티븐 호킹
스티븐 호킹은 루게릭병을 앓으면서도 특이점 정리, 호킹 복사 등의 획기적인 개념을 제시하고 《시간의 역사》와 같은 대중 과학 서적을 통해 과학 대중화에 기여한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자 우주론자이다. - 천체물리학자 - 로저 펜로즈
로저 펜로즈는 수학, 물리학 분야에서 일반 상대성이론, 우주론, 양자 중력 이론 연구에 기여하고 펜로즈 타일링을 발견했으며, 등각순환우주론을 제안하고 의식의 양자적 해석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펼치며 다수의 상을 수상한 학자이다. - 여자 천문학자 - 베아트리스 틴슬리
베아트리스 틴슬리는 은하 진화와 우주론 연구에 기여한 뉴질랜드 출신 천문학자로, 여성 과학자로서 어려움을 극복하고 예일 대학교 최초 여성 천문학 교수가 되었으며, 가속 팽창 우주 연구 등의 업적과 함께 여성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주는 인물이다. - 여자 천문학자 - 애니 점프 캐넌
애니 점프 캐넌은 미국의 천문학자로, 하버드 천문대에서 별의 스펙트럼을 분류하고 하버드 분류 체계 개발에 기여했으며, 헨리 드레이퍼 목록 완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수많은 변광성과 신성을 발견하여 천문학 발전에 큰 업적을 남겼다.
| 세실리아 페인가포슈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출생 이름 | 세실리아 헬레나 페인 |
| 출생일 | 1900년 5월 10일 |
| 출생지 | 영국 버킹엄셔 주 |
| 사망일 | 1979년 12월 7일 |
| 사망지 | 미국 매사추세츠 주 케임브리지 |
| 국적 | 영국, 미국 (1931년부터) |
| 자녀 | 3명 |
| 학력 | |
| 모교 | 케임브리지 대학교 뉴넘 칼리지; 하버드 대학교 |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항성 대기: 항성 반전층에서의 고온 관측 연구에 대한 기여 |
| 박사 학위 논문 URL | 항성 대기: 항성 반전층에서의 고온 관측 연구에 대한 기여 |
| 박사 학위 논문 연도 | 1925년 |
| 지도 교수 | 할로우 섀플리 |
| 지도 학생 | 헬렌 소여 호그, 조지프 애시브룩, , 프랭크 드레이크, |
| 경력 | |
| 근무 기관 |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 하버드 대학교 |
| 분야 | 천문학, 천체물리학 |
| 주요 업적 | 항성 스펙트럼 및 태양 구성 설명, 3,000,000건 이상의 변광성 관측 |
| 수상 | |
| 수상 내역 | 애니 점프 캐넌 천문학상 (1934년), 리튼하우스 메달 (1961년), 래드클리프 칼리지 공로상 (1952년), 헨리 노리스 러셀 강사직 (1976년) |
| 기타 정보 | |
![]() | |
| 명예 접미사 | FRAS |
2. 어린 시절 및 교육
세실리아는 세인트 폴 여자 학교에 다녔다. 어머니는 남자 형제들에게만 대학 교육비를 지원하고 세실리아에게는 지원하지 않았다.[10] 1919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뉴넘 칼리지에서 장학금을 받아 대학에 입학한 후 식물학, 물리학, 화학을 공부했다.[10] 아서 에딩턴이 1919년 5월 29일 일식 관측을 통해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을 증명했다는 강연은 그녀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13] 케임브리지는 1948년까지 여성에게 학위를 수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페인가포슈킨은 모든 과정을 수료했으나 학위는 받지 못했다.[14]
페인가포슈킨은 영국에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은 교사가 되는 것뿐임을 알고, 미국으로 가기로 했다.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 대장 할로 섀플리를 만난 그녀는 1923년 영국을 떠났다.[4]
2. 1. 영국에서의 유년기 (1900-1919)
세실리아 헬레나 페인은 1900년 5월 10일 잉글랜드 버킹엄셔주 웬도버에서 태어났다.[59] 아버지 에드워드 페인은 옥스퍼드 대학교 연구원이자, 런던 변호사, 역사학자, 음악가였다.[10][59] 어머니 엠마 레오노라 헬레나(결혼 전 성은 페르츠)는 화가였다.[59] 세실리아는 장녀였고, 2년 뒤 남동생 험프리과 1904년 여동생 레오노라가 태어났다.[61] 그녀의 어머니는 프로이센 가문 출신으로, 역사학자 게오르크 하인리히 페르츠와 스웨덴보리주의 작가 제임스 존 가스 윌킨슨이라는 두 명의 저명한 삼촌을 두었다.[11] 세실리아가 네 살 때 아버지가 돌아가셔서 어머니가 혼자서 가족을 부양하게 되었다.[59]세실리아는 어린 시절부터 호기심이 많았다.[62] 5살 때 어머니와 이동하던 중 유성을 본 것을 계기로 천문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60][63][64] 한편, 천문학 외에도 식물학에도 관심을 가졌는데, 이는 고모할머니 도로시아의 영향이었다.[64][65] 근처 언덕에서 희귀한 식물을 찾아 목록을 만들거나, 식물의 다양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에 대해 생각했다.[65] 8살 무렵에는 웬도버에서 희귀한 꽃을 발견하고, 어머니에게 들었던 이야기로 벌개미취라고 판단하여 보고했는데, 이 경험을 통해 과학자의 꿈을 키웠다.[66]
6살부터 약 6년간 엘리자베스 에드워즈가 운영하는 사립학교에 다녔다.[67] 여기에서 프랑스어, 독일어, 기초적인 라틴어, 수학 등을 배웠다.[68]
12살 무렵, 가족은 런던으로 이사했다. 세실리아의 남동생 험프리에게 좋은 교육을 받게 하기 위해서였다.[64][69] 세실리아는 가톨릭 학교인 세인트 메리즈 칼리지에 입학했지만, 낯선 곳에서 친구를 사귀지 못하고 학교에도 적응하지 못했다.[70] 학교는 종교 교육에 힘썼지만, 과학에는 힘쓰지 않았기 때문에, 세실리아는 집에서 혼자 책을 읽으며 지식을 쌓아갔다.[64][71]
세실리아는 어릴 적부터 연구자가 되기를 희망했고, 자신이 어른이 되기 전에 연구할 것이 없어질지도 모른다고 걱정할 정도였다.[64][75] 장래를 위해 고도의 수학과 독일어를 배우고 싶었지만, 학교에 그것을 요구해도, 학교 측은 대응할 수 있는 교사를 마련할 수 없었다.[76] 17번째 생일 며칠 전, 세실리아는 학교 측으로부터 더 이상 해줄 수 있는 일이 없으니 학교를 그만두어야 한다는 통보를 받았다.[77][78]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싶었지만, 집에 케임브리지에서 공부할 자금이 없었다.[77] 그래서 세실리아는 대학교 장학금을 받으려고 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장학금 시험에 합격할 수 있을 정도의 과학 지식을 습득할 필요가 있었다.[64] 그리하여 1918년에 세인트 폴 여자 학교에 입학했다.[79]
세인트 폴 여자 학교의 설립자인 프랜시스 랠프 그레이는 세실리아의 능력을 인정하고 과학을 배우는 것을 장려했다.[80] 세실리아는 세인트 폴에서 보낸 경험이 중세에서 현대에 온 것 같다고 느꼈다. 그리고 "나는 더 이상 외롭지 않다. 이제 과학에 대해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다.[81][82]
세인트 폴에서 세실리아는 시험 준비를 위해 물리학과 화학을 거의 처음부터 배웠다.[82] 물리학은 교사 아이비 펜들베리에게 배우면서 흥미를 느끼게 되었다.[83] 또한 과학 강연을 하고 토론을 하기도 했다.[84] 또한 당시 세인트 폴에는 작곡가 구스타브 홀스트가 교사로 재직하고 있었다. 홀스트는 세실리아를 가르치는 동시에, 음악에 관심이 있던 세실리아에게 음악가가 되도록 권하기도 했다.[85]
입학한 지 1년 후인 1919년, 세실리아는 자연 과학 분야의 메리 에와트 장학금을 받아 케임브리지 대학교 뉴넘 칼리지 시험에 합격했다.[86][87]
2. 2. 케임브리지 대학교 시절 (1919-1923)
1919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뉴넘 칼리지에 장학금을 받고 입학하여 식물학, 물리학, 화학을 공부했다.[10] 아서 에딩턴이 1919년 5월 29일 일식 관측을 통해 일반 상대성 이론을 증명했다는 강연은 그녀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13]페인가포슈킨은 이 강연에 대해 "그 결과는 내 세계관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 내 세계는 너무 흔들려서 신경 쇠약과 비슷한 것을 경험했다."라고 회고했다.[97]
닐스 보어와 어니스트 러더퍼드 등 저명한 물리학자들의 강의를 들었으며,[99] 에드워드 아서 밀른 등 천문학자들과 교류하며 연구 경험을 쌓았다.[106] 그러나 당시 영국에서 여성 과학자가 할 수 있는 일은 교사뿐이라는 사실에 좌절하고 미국 유학을 결심했다.[108] 레슬리 콤리는 그녀의 사정과 능력을 고려하여 미국의 천문학자 할로 섀플리에게 그녀를 소개했다.[109]
1923년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103][111] 하버드 대학교의 장학금을 받아 미국으로 떠났다.[111][112]
3. 학문적 경력
페인가포슈킨은 1925년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하버드에서 학문적 경력을 쌓았다. 초기에는 하버드에서 여성이 교수가 되는 것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덜 명망 있고 급여가 낮은 연구직에서 여러 해를 보냈다. 초기 연구는 은하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고광도 별에 집중했다. 이후 10등급보다 밝은 모든 별을 조사했고, 변광성 연구로 전환하여 조수들과 함께 125만 회 이상의 관측을 수행했다. 이 연구는 마젤란 은하로 확장되어 200만 회 이상의 변광성 관측이 추가되었다. 이 데이터는 별의 진화 경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1930년 두 번째 저서 《고광도 별》에서 자신의 결론을 발표했다.[26]
1933년 유럽 여행 중 독일에서 러시아 출신 천체물리학자 세르게이 가포슈킨을 만났고, 그의 미국 비자 취득을 도운 후 1934년 3월에 결혼했다.[4] 가포슈킨 부부의 변광성 관측 및 분석은 후속 연구의 기초가 되었다.[27]
페인가포슈킨의 연구는 《고광도 별》(1930), 《변광성》(1938), 《변광성과 은하 구조》(1954) 등 여러 저서로 출판되었다. 1938년 섀플리(하버드 대학교 천문대장)의 노력으로 "천문학자" 직함을 받았고, 페인의 요청에 따라 "필립스 천문학자"로 변경되었다. 1954년 도널드 멘젤이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장이 되면서 임명 개선을 시도, 1956년 하버드 문리과대학 최초의 여성 정교수가 되었다.[13] 이후 천문학과 학과장이 되면서 하버드 최초의 여성 학과장이 되었다.[14]
조셉 애쉬브룩, 프랭크 드레이크, 할란 스미스, 폴 W. 호지 등이 페인가포슈킨의 제자로, 모두 천문학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31] 헬렌 소여 호그, 프랭크 카메니[32], 오웬 진저리치도 지도했다.[33]
1966년 현직 교수직에서 은퇴하고 명예 교수가 되었으며, 스미소니언 천체물리 천문대에서 연구를 계속하며 10년 동안 하버드 천문대 출판물 편집을 맡았다.[34]
3. 1. 박사 과정과 초기 연구 (1923-1930)
래드클리프 대학교에서 메그나드 사하의 이온화 이론을 적용하여 항성의 분광형과 온도를 정확하게 연결 짓는 연구를 수행했다.[201] 항성의 흡수선 차이는 원소 양의 차이가 아니라 온도에 따른 이온화 정도의 차이 때문임을 밝혀냈다. 규소, 탄소, 산소 등 금속 원소의 상대적 양은 스펙트럼선의 강도에 비례하지만, 헬륨과 수소는 훨씬 더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수소와 헬륨이 우주에서 가장 풍부한 원소이며, 항성 질량의 대부분(98% 이상)을 차지한다는 혁명적인 결론이었다.[202] 당시 학계에서는 항성과 지구의 구성 성분이 비슷하다고 생각했기에, 이는 통념을 뒤흔드는 내용이었다.

헨리 노리스 러셀은 태양 구성 성분이 지구와 다르다는 결론을 보류하도록 설득했고, 페인가포슈킨은 '미심쩍다'라는 문구를 삽입해야 했다.[203] 그러나 4년 후 다른 연구를 통해 같은 결과가 나오자 러셀은 생각을 바꾸었다. 페인가포슈킨이 옳았음이 밝혀졌지만, 그 공로가 러셀에게 돌아가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러셀은 자신의 저술에서 페인의 공로를 분명히 인정했다.[203] 오토 스트루베는 훗날 페인가포슈킨의 박사 논문을 "천문학 사상 가장 뛰어난 박사 논문"이라고 평가했다.[201]
1925년 박사 학위 취득 후, 페인가포슈킨은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 대장 섀플리의 조교로 일하며 변광성 연구를 시작했다.
3. 2. 하버드 대학교에서의 연구 활동 (1930-1966)
페인가포슈킨은 박사 과정을 마친 후 우리 은하 구조를 밝히기 위해 광도가 높은 항성을 연구했다. 이후 변광성 연구로 전환하여 조교들과 함께 125만 회 이상의 관측을 수행했다. 이 작업은 마젤란 은하까지 확장되어 200만 회 이상의 변광성 관측이 이루어졌다. 이 데이터들은 항성 진화 과정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변광성에 관한 그녀의 관측과 분석은 모든 파생 연구의 기본이 되었다.[207]1933년 유럽 여행 중 독일에서 러시아 출신 천체물리학자 세르게이 가포슈킨을 만났다. 그녀는 가포슈킨의 미국 이주를 도왔고, 1934년 3월에 결혼했다.[4] 가포슈킨 부부는 함께 변광성 연구를 계속하며, 125만 회 이상의 관측을 수행하고 마젤란 은하의 변광성 연구로 확장했다.[27]
페인가포슈킨은 평생 하버드 대학교에서 활동했다. 초기에는 공식 직위 없이 1927년부터 1938년까지 섀플리의 조교로 일하며 낮은 임금과 열악한 처우를 받았다. 한때 하버드를 떠날 생각도 했으나, 섀플리의 노력으로 1938년 "천문학자" 직함을 받았고, 1943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다.[208] 1954년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장 도널드 멘젤은 페인가포슈킨의 처우 개선에 힘썼고, 1956년 그녀는 하버드 대학교 문리과 최초의 여성 정교수가 되었다. 1958년에는 천문학과 학과장이 되어 하버드 대학교 역사상 최초의 여성 학과장이 되었다.[14]
페인가포슈킨이 지도한 학생으로는 헬렌 소여 호그, 조지프 애시브루크, 프랭크 드레이크, 폴 W. 호지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천문학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209] 또한 게이 인권 운동가 프랭크 카메니의 지도교수이기도 했다.[210]
페인가포슈킨은 1966년 은퇴 후 명예교수가 되었고, 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 관측소에서 연구를 계속했다.
3. 3. 은퇴 이후 (1966-1979)
1966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은퇴하여 명예 교수가 되었으며[165], 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 관측소에서 연구를 계속했다. 1976년에는 미국 천문학회에서 여성 최초로 헨리 노리스 러셀 강사직을 받았다.[158][166]1979년 남편 세르게이와 세계 일주 여행을 하던 중 건강이 나빠져 병원에서 폐암 진단을 받았다.[167][168] 같은 해 12월 7일 사망했다.[169]
4. 주요 연구 업적
세실리아 페인가포슈킨은 항성 대기와 변광성 연구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메그나드 사하의 이온화 이론을 바탕으로 항성의 분광형과 실제 온도의 관계를 정확히 규명하고, 항성의 주성분이 수소와 헬륨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당시 학계의 통념을 깨는 혁명적인 발견이었다.[202] 오토 스트루베는 페인가포슈킨의 박사 논문을 "천문학 역사상 가장 뛰어난 박사 논문"이라고 극찬했다.[201]
또한, 우리 은하와 마젤란 은하의 변광성을 관측하고 분석하여 항성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했다.[207]
4. 1. 항성 대기 연구와 수소-헬륨 조성 발견
메그나드 사하의 이온화 이론을 적용하여 항성의 분광형과 실제 온도를 정확하게 연결시켰다. 항성의 흡수선이 다른 이유는 원소의 양이 달라서가 아니라 온도가 달라 이온화 정도가 다르기 때문임을 밝혀냈다.[202] 규소, 탄소, 산소 같은 금속 원소는 스펙트럼 선의 강도에 비례하는 양이 존재하지만, 헬륨과 수소는 그보다 훨씬 많은 양이 존재함을 알아냈다. 이는 항성이 대부분 수소와 헬륨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의미이며, 당시 학계의 통념을 뒤집는 혁명적인 발견이었다.[202]페인가포슈킨의 논문 심사 과정에서 헨리 노리스 러셀은 태양의 구성 성분이 지구와 다르다는 결론을 유보할 것을 제안했다. 당시 상식으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내용이었기 때문이다. 페인가포슈킨은 '미심쩍다'라는 문구를 논문에 삽입해야 했다.[203] 그러나 4년 후, 다른 연구를 통해 같은 결과가 나오면서 페인가포슈킨의 주장이 옳았음이 증명되었다. 러셀은 자신의 저술에서 페인의 공로를 인정했다.[203]
오토 스트루베는 페인가포슈킨의 논문을 "천문학 사상 가장 뛰어난 박사 논문"이라고 평가했다.[201] 오늘날 은하수에서 측정되는 수소와 헬륨의 비율(수소 ~74%, 헬륨 ~24%)은 페인-가포슈킨의 1925년 계산 결과와 일치한다.[25]
페인은 사하의 이온화 공식을 천체의 실제 온도와 스펙트럼의 관계에 적용하여 항성의 대부분이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항성은 다양한 파장의 빛을 방출하며, 그 스펙트럼은 별에 따라 다르다. 스펙트럼 분류는 이러한 스펙트럼을 바탕으로 항성을 분류하는 방법이다.
윌리엄 플레밍, 안토니아 모리, 애니 점프 캐넌 등은 에드워드 피커링의 지도하에 스펙트럼 분류를 발전시켰다. 특히 캐넌의 O, B, A, F, G, K, M 분류는 널리 사용되었으나,[170] 스펙트럼 차이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171]
사하의 이온화 공식은 온도에 따라 원자가 전자를 잃는 이온화 비율이 달라진다는 것을 설명한다.[172] 페인가포슈킨은 이 공식을 실제 항성의 스펙트럼에 적용하여, 실리콘 등 다양한 원소의 스펙트럼을 분석했다.[174]
연구 결과, 캐넌의 항성 분류(O, B, A, F, G, K, M)가 표면 온도 순서이며, O형 별이 가장 뜨겁고 M형 별이 가장 차갑다는 것을 확인했다.[175] 또한, 항성에는 지구보다 훨씬 많은 헬륨과 수소가 존재하며, 특히 수소는 금속 원자의 100만 배나 된다는 것을 계산했다.[128] 고온의 별에서는 수소가 대부분 이온화되지만, 스펙트럼에는 이온화되지 않은 수소의 선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은 수소의 총량이 매우 많기 때문이었다.[176]
이러한 발견은 당시 천문학계에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웠고, 페인가포슈킨 자신도 박사 논문에서 적극적으로 주장하지 못했다. 그러나 알브레히트 웅젤트 등의 후속 연구를 통해 페인가포슈킨의 결론이 옳았음이 입증되었다.[177]
4. 2. 변광성 연구와 항성 진화 이해
페인가포슈킨은 박사 과정을 마친 후 우리 은하의 구조를 밝히기 위해 광도가 높은 항성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후 변광성 연구에 집중하여 조교들과 함께 125만여 회의 관측을 수행했다. 이 작업은 마젤란 은하까지 확장되어 200만여 회의 변광성 관측이 추가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관측 데이터는 항성 진화 과정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었으며, 변광성에 관한 페인가포슈킨의 관측 및 분석은 모든 관련 연구의 기초가 되었다.[207]5. 개인사
1931년 미국 시민이 되었다.[204] 1934년 러시아 출신 천체물리학자 세르게이 가포슈킨과 결혼하여 에드워드, 캐서린, 피터 세 자녀를 두었다.[205] 페인가포슈킨 부부는 매사추세스주 렉싱턴에 정착했다.
페인가포슈킨의 남동생 험프리 페인은 영화평론가 다일리스 포웰과 결혼했으며, 영국 아테네 고고학회 회장을 지냈다.[44]
학생 시절 페인가포슈킨은 기도의 효용성을 검증하는 실험을 해 보았고, 그 결과 불가지론자가 되었다.[204] 렉싱턴 최초의 유니테리언 교회에 다녔고, 주일 학교에서 가르쳤다.[205] 또한 퀘이커와도 활발한 관계를 가졌다.[206]
6. 여성 과학에 대한 영향
페인의 경력은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할로 섀플리와 E. J. 셰리던[211] 등의 지도 아래, 하버드 천문대는 이미 다른 기관에 비해 여성에게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었다. 윌리어미나 플레밍, 안토니아 마우리, 애니 점프 캐넌, 헨리에타 리비트 등은 이전 세대에 중요한 천문학적 발견을 이루었다.[37] 그러나 페인이 박사 학위를 받으면서 여성 과학자들이 주류 과학계에 진입하는 새로운 출발점이 되었다.
남성 중심의 과학계에서 페인이 이룬 독보적인 업적은 많은 여성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특히, 천체물리학자 조앤 파인만(리처드 파인만의 여동생)의 롤모델로 알려져 있다. 파인만 집안의 어머니와 할머니는 조앤이 과학을 공부하는 것을 반대했지만,[214][212][213] 천문학 교과서에서 페인의 업적을 확인한 조앤은 과학을 공부할 수 있다는 확신을 얻게 되었다.[214]
7. 수상 및 서훈
Cecilia Payne-Gaposchkin영어은 여러 상과 훈장을 받았다.
| 연도 | 수상 및 서훈 내역 |
|---|---|
| 1923년 | 왕립 천문학회 회원 선출 |
| 1927년 | 미국 과학자 명부 제4판에 250명의 과학자 중 한 명으로 선정 |
| 1934년 | 애니 J. 캐넌 천문학상 최초 수상 |
| 1936년 | 미국 철학 학회 회원 |
| 1943년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
| 1952년 | 래드클리프 칼리지 공로상 |
| 1961년 | 프랭클린 연구소 리튼하우스 천문학회 리튼하우스 메달 |
| 1967년 | 하버드 대학교 명예 교수 |
| 1976년 | 미국 천문학회 헨리 노리스 러셀 강연상 |
| 2008년 | 물리학 연구소에서 세실리아 페인-가포슈킨 메달 및 상 제정 |
| 2018년 | 미국 물리학회의 천체물리학 박사 학위 논문상이 세실리아 페인-가포슈킨 천체물리학 박사 학위 논문상으로 이름 변경 |
| 해당 없음 | 소행성 2039 페인-가포슈킨이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 해당 없음 |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배치된 ASAS-SN 망원경 중 하나가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 해당 없음 | 금성의 화산인 페인-가포슈킨 파테라가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 해당 없음 | 럿거스 대학교, 윌슨 칼리지, 스미스 칼리지, 웨스턴 여성 칼리지, 콜비 칼리지, 펜실베이니아 여성 의과대학에서 명예 학위 수여 |
8. 저서
참조
[1]
웹사이트
Cecilia Payne and the Composition of the Stars
https://www.amnh.org[...]
2000
[2]
뉴스
Dr. Cecilia H. Payne-Gaposchkin Dies
https://www.washingt[...]
1979-12-09
[3]
웹사이트
Cecilia Helena Payne-Gaposchkin
http://science.howst[...]
2009-04-23
[4]
웹사이트
The Highest of All Ceilings: Astronomer Cecilia Payne
https://www.lostwome[...]
2024-11-23
[5]
웹사이트
Cecilia Helena
https://ras.ac.uk/ob[...]
1900-05-10
[6]
웹사이트
Annie Jump Cannon Award in Astronomy
https://aas.org/gran[...]
2024-11-23
[7]
간행물
Sawyer Hogg, Helen Battles
https://link.springe[...]
Springer
2007
[8]
웹사이트
January 1, 1925: Cecilia Payne-Gaposchkin and the Day the Universe Changed
https://www.aps.org/[...]
2024-11-23
[9]
논문
Cecilia Payne-Gaposchkin
[10]
웹사이트
Cecilia Helena Payne-Gaposchkin
http://www-groups.dc[...]
University of St. Andrews
2017-11
[11]
서적
La scultura arcaica in marmo dell'Acropoli. La storiografia della scultura greca del VI sec. A. C.
L'Erma Di Bretschneider
[12]
웹사이트
Cecilia Payne
https://wendovernews[...]
2020-07-28
[13]
논문
Cecilia Payne-Gaposchkin: astronomer extraordinaire
2002-02-01
[14]
서적
Women at Cambrid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09-24
[15]
웹사이트
Cecilia Payne-Gaposchkin
https://www.aip.org/[...]
2021-09-24
[16]
논문
An Astronomical Rescue
1995-09-01
[17]
서적
The Glass Universe: How the Ladies of the Harvard Observatory Took the Measure of the Stars
Viking
[18]
논문
Stellar Atmospheres; a Contribution to the Observational Study of High Temperature in the Reversing Layers of Stars
https://articles.ads[...]
[19]
웹사이트
Cecilia Payne and the Composition of the Stars
https://www.amnh.org[...]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000
[20]
논문
The Solar Spectrum and the Earth's Crust
1914-05-29
[21]
서적
We Need to Talk About Kelvin
Faber and Faber
[22]
논문
On the Composition of the Sun's Atmosphere
https://articles.ads[...]
1929-07
[23]
웹사이트
Cecilia Payne-Gaposchkin {{!}} Women in science
https://web.archive.[...]
2015-03-07
[24]
웹사이트
January 1, 1925: Cecilia Payne-Gaposchkin and the Day the Universe Changed
https://www.aps.org/[...]
2015-01
[25]
웹사이트
This Month in Physics History
http://www.aps.org/p[...]
[26]
웹사이트
Cecilia Payne-Gaposchkin
https://www.britanni[...]
2023-05-06
[27]
논문
Cecilia Helena Payne-Gaposchkin
http://cwp.library.u[...]
2001-03-16
[28]
서적
American Women of Science Since 1900
ABC-CLIO
[29]
서적
The Glass Universe: How the Ladies of the Harvard Observatory Took the Measure of the Stars
Penguin Publishing Group
[30]
웹사이트
Member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 Sciences: 1780–2012; Payne-Gaposchkin, Cecilia Helena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31]
서적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32]
웹사이트
Astronomy Alumni
http://astronomy.fas[...]
Harvard University, Department of Astronomy
[33]
웹사이트
Owen Gingerich
https://www.aip.org/[...]
2015-02-06
[34]
웹사이트
Cecilia Helena Payne-Gaposchkin
http://science.howst[...]
2009-04-23
[35]
논문
Astronomy: Evolution of Stars and Galaxies. Walter Baade. Cecilia Payne-Gaposchkin, Ed.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ss., 1963. xiii + 321 pp. Illus. $6.75.
https://www.science.[...]
1963-05-10
[36]
서적
Cecilia Payne-Gaposchkin: an autobiography and other recollec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서적
Women of science: righting the record
Indiana University Press
1990
[38]
서적
Feynman
First Second
[39]
서적
No Ordinary Genius: The Illustrated Richard Feynman
W. W. Norton & Company
[40]
웹사이트
My Mother, the Scientist
http://www.popsci.co[...]
2002-04-18
[41]
간행물
Henry Norris Russell Prize Lecture of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 Fifty years of novae
[42]
서적
Energy and the Unexpecte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3]
서적
The Biographical Dictionary of Women in Science
https://archive.org/[...]
Routledge
[44]
웹사이트
Humfry Payne {{!}} British archaeologist
https://www.britanni[...]
2016-09-10
[45]
웹사이트
Cecilia Payne-Gaposchkin: Astronomer and Astrophysicist
http://www.harvardsq[...]
Harvard Square Library
[46]
웹사이트
Cecelia Payne-Gaposchkin: Astronomer and pioneer
http://www.uuworld.o[...]
2003
[47]
웹사이트
Cecilia Payne-Gaposchkin, Professor of History
https://faculty-dire[...]
Trustees of Dartmouth College
2013-04-02
[48]
간행물
On the stature of Cecilia Payne-Gaposchkin
[49]
웹사이트
Rittenhouse Medal Awards
http://www.rittenhou[...]
Rittenhouse Astronomical Society
2010
[50]
웹사이트
(2039) Payne-Gaposchkin = 1974 CA
http://www.minorplan[...]
2016-09-10
[51]
웹사이트
Cecilia Payne-Gaposchkin Medal and Prize
http://www.iop.org/a[...]
Institute of Physics
[52]
웹사이트
Cecilia Payne-Gaposchkin Doctoral Dissertation Award in Astrophysics: Foundation supports re-named astrophysics dissertation honor.
https://www.aps.org/[...]
American Physical Society
2018-12-15
[53]
문서
Payne-Gaposchkin Patera
https://planetarynam[...]
[54]
서적
The Stars of High Luminosity
published for the Harvard Observatory by McGraw Hill
1930
[55]
서적
Variable Stars
Harvard Observatory
1938
[56]
서적
Variable Stars & Galactic Structure
University of London; Athlone Press
1954
[57]
서적
Introduction to Astronomy
Prentice-Hall
1954
[58]
서적
The Galactic Novae
North-Holland; Interscience Publishers
1957
[59]
문서
ナゼ(2021)
[60]
문서
チャップマン(2022)
[61]
문서
Moore(2020)
[62]
문서
Moore(2020)
[63]
문서
ナゼ(2021)
[64]
문서
ナゼ(2021)
[65]
문서
チャップマン(2022)
[66]
문서
Moore(2020)
[67]
문서
Payne-Gaposchkin(1996)
[68]
문서
Payne-Gaposchkin(1996)
[69]
문서
Moore(2020)
[70]
문서
Moore(2020)
[71]
서적
Moore(2020)
[72]
서적
Moore(2020)
[73]
서적
Moore(2020)
[74]
서적
Moore(2020)
[75]
서적
チャップマン(2022)
[76]
서적
Moore(2020)
[77]
서적
Moore(2020)
[78]
서적
Payne-Gaposchkin(1996)
[79]
서적
ナゼ(2021)
[80]
서적
Moore(2020)
[81]
서적
Moore(2020)
[82]
서적
Payne-Gaposchkin(1996)
[83]
서적
Moore(2020)
[84]
서적
Moore(2020)
[85]
서적
Moore(2020)
[86]
서적
Moore(2020)
[87]
서적
ナゼ(2021)
[88]
서적
Moore(2020)
[89]
서적
Moore(2020)
[90]
서적
Moore(2020)
[91]
서적
Moore(2020)
[92]
서적
Moore(2020)
[93]
서적
Moore(2020)
[94]
서적
Moore(2020)
[95]
서적
ナゼ(2021)
[96]
서적
ナゼ(2021)
[97]
서적
チャップマン(2022)
[98]
서적
Moore(2020)
[99]
서적
Moore(2020)
[100]
서적
Payne-Gaposchkin(1996)
[101]
서적
Moore(2020)
[102]
서적
Moore(2020)
[103]
서적
ナゼ(2021)
[104]
서적
Moore(2020)
[105]
서적
Payne-Gaposchkin(1996)
[106]
서적
Moore(2020)
[107]
서적
Moore(2020)
[108]
서적
Moore(2020)
[109]
서적
Moore(2020)
[110]
서적
Moore(2020)
[111]
서적
Moore(2020)
[112]
서적
ナゼ(2021)
[113]
서적
Moore(2020)
[114]
서적
Moore(2020)
[115]
서적
Moore(2020)
[116]
서적
ジョンソン(2007)
[117]
서적
Payne-Gaposchkin(1996)
[118]
서적
Moore(2020)
[119]
서적
ナゼ(2021)
[120]
서적
Moore(2020)
[121]
서적
ナゼ(2021)
[122]
서적
Moore(2020)
[123]
서적
ナゼ(2021)
[124]
서적
Moore(2020)
[125]
서적
Payne-Gaposchkin(1996)
[126]
서적
ナゼ(2021)
[127]
서적
Moore(2020)
[128]
서적
チャップマン(2022)
[129]
서적
Moore(2020)
[130]
서적
ナゼ(2021)
[131]
서적
Moore(2020)
[132]
서적
ナゼ(2021)
[133]
서적
Moore(2020)
[134]
서적
Moore(2020)
[135]
서적
Moore(2020)
[136]
서적
Moore(2020)
[137]
서적
ホワイトハウス(2022)
[138]
서적
Moore(2020)
[139]
서적
Moore(2020)
[140]
서적
Moore(2020)
[141]
서적
Moore(2020) pp.207-208
[142]
서적
Moore(2020) p.209
[143]
서적
Greenstein(1993) p.441
[144]
서적
ナゼ(2021) pp.123-124
[145]
서적
ナゼ(2021) p.124
[146]
서적
Moore(2020) pp.212,216
[147]
서적
Moore(2020) p.216
[148]
서적
Moore(2020) p.217
[149]
서적
Moore(2020) p.218
[150]
서적
Moore(2020) p.219
[151]
서적
ナゼ(2021) pp.124-125
[152]
서적
Moore(2020) p.223
[153]
서적
ナゼ(2021) p.125
[154]
서적
Moore(2020) p.225
[155]
서적
Moore(2020) pp.225,230
[156]
서적
Moore(2020) p.226
[157]
서적
Moore(2020) p.230
[158]
서적
ナゼ(2021) p.126
[159]
서적
Moore(2020) pp.233-235
[160]
서적
Payne-Gaposchkin(1996) p.205
[161]
서적
Moore(2020) p.241
[162]
서적
Payne-Gaposchkin(1996) p.211
[163]
서적
ナゼ(2021) p.126
[164]
서적
Moore(2020) p.242
[165]
서적
Payne-Gaposchkin(1996) pp.257-258
[166]
서적
Payne-Gaposchkin(1996) p.xii
[167]
서적
Moore(2020) p.242
[168]
서적
Payne-Gaposchkin(1996) p.65
[169]
서적
Moore(2020) p.246
[170]
서적
チャップマン(2022) pp.50-51
[171]
서적
チャップマン(2022) p.51
[172]
서적
ホワイトハウス(2022) p.169
[173]
서적
ナゼ(2021) p.118
[174]
서적
Moore(2020) pp.164-165
[175]
서적
ナゼ(2021) pp.120-121
[176]
문서
Moore(2020)
[177]
문서
ホワイトハウス(2022)
[178]
문서
ナゼ(2021)
[179]
문서
Payne-Gaposchkin(1996)
[180]
문서
Payne-Gaposchkin(1996)
[181]
문서
Payne-Gaposchkin(1996)
[182]
문서
Moore(2020)
[183]
문서
Payne-Gaposchkin(1996)
[184]
문서
Moore(2020)
[185]
문서
Moore(2020)
[186]
문서
Moore(2020)
[187]
문서
Moore(2020)
[188]
문서
Moore(2020)
[189]
문서
Moore(2020)
[190]
문서
Greenstein(1993)
[191]
문서
チャップマン(2022)
[192]
문서
Payne-Gaposchkin(1996)
[193]
문서
Payne-Gaposchkin(1996)
[194]
문서
Payne-Gaposchkin(1996)
[195]
웹사이트
(2039) Payne-Gaposchkin = 1974 CA
https://minorplanetc[...]
MPC
2023-04-01
[196]
서적
The Stars of High Luminosity
published for the Harvard Observatory by McGraw Hill
1930
[197]
서적
Variable Stars
Harvard Observatory
1938
[198]
서적
Variable Stars & Galactic Structure
University of London; Athlone Press
1954
[199]
서적
Introduction to Astronomy
Prentice-Hall
1954
[200]
서적
The Galactic Novae
North-Holland; Interscience Publishers
1957
[201]
저널
Stellar Atmospheres; A Contribution to the Observational Study of High Temperature in the Reversing Layers of Stars
래드클리프 대학교
[202]
서적
탄소 교향곡
[203]
웹인용
Cecilia Payne-Gaposchkin (1900–1979)
http://www.newn.cam.[...]
Newnham College
2010-03-05
[204]
서적
Energy and the Unexpecte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5]
웹인용
Cecilia Payne-Gaposchkin: Astronomer and Astrophysicist
http://www.harvardsq[...]
Harvard Square Library
2013-12-17
[206]
서적
The Biographical Dictionary of Women in Science
https://archive.org/[...]
Routledge
[207]
웹인용
Cecilia Helena Payne-Gaposchkin
http://cwp.library.u[...]
UCLA
2012-10-10
[208]
웹인용
Member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 Sciences: 1780–2012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4-07-29
[209]
서적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http://books.google.[...]
Springer
[210]
웹인용
Astronomy Alumni
http://astronomy.fas[...]
하버드 대학교, Department of Astronomy
2014-08-07
[211]
서적
The Dyer's Hand: An Autobiography
Privately printed
[212]
서적
Feynman
https://archive.org/[...]
First Second
[213]
서적
No Ordinary Genius: The Illustrated Richard Feynman
W. W. Norton & Co
[214]
웹인용
My Mother, the Scientist
http://www.popsci.co[...]
2002-04-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