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도는 어원적으로 간청을 의미하며, 인류 역사와 함께 다양한 종교에서 신과의 소통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종교에서 기도의 형태와 접근 방식이 나타나며, 불교의 염불, 기독교의 주기도문, 이슬람교의 살라, 유대교의 쉐마 이스라엘 등 각 종교마다 고유한 기도 양식을 가지고 있다. 기도는 개인의 신념과 경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행해지며, 치유와 건강 개선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그 효과에 대한 과학적 연구 결과는 일관되지 않다.

2. 어원

영어 단어 "prayer"는 중세 라틴어 청원, 기도/precariala-x-medieval에서 유래했다.[2] 불가타 라틴어로는 오라티오/oratiola인데, 이는 그리스어 프로슈케/προσευχήgrc를 번역한 것이다.[3] 이 단어는 다시 칠십인역이 구약 히브리어 테필라/תְּפִלָּהhe를 번역한 것이다.[4]

3. 역사

인류학적으로 기도의 개념은 굴복 및 간청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22] 중세 유럽에서 기도의 전통적인 자세는 무릎을 꿇거나 손을 모으고 엎드리는 것이었고, 고대에는 손을 들어 올리는 것이 더 일반적이었다.[23] 초기 기독교 기도의 자세는 서서 하늘을 바라보며 팔을 벌리고 머리를 드러내는 것이었는데,[23] 고대 언어에서는 "기도"와 "간청"이라는 단어가 동일하며 (''oratio'', προσευχή, תְּפִלָּה 등), 인간과 신에게 드리는 간청 사이에 용어상의 구별이 없다.[22]



케쉬 사원 찬가 (기원전 26세기)와 같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학 중 일부는 신들에게 드리는 예식이며, 따라서 기술적으로 "기도"이다.[25] 같은 시대의 이집트 피라미드 텍스트도 마찬가지로 신들에게 드리는 주술 또는 주문을 담고 있다.[25]

철기 시대의 다신교 종교, 특히 고대 그리스 종교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기록이 있으며, 이는 로마 종교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종교적 전통은 초기 청동기 시대 종교의 직접적인 발전이었다. 의식적인 기도는 매우 형식적이고 의례적이었다.[26][27]

고대 다신교에서 조상 숭배는 범신론적 숭배와 구별할 수 없다 (에우헤메리즘도 참조). 조상 숭배의 흔적은 오늘날 세계의 현대 종교 전통에서 크든 작든 지속되며, 특히 일본의 신토, 베트남 민간 종교, 중국 민간 종교에서 두드러진다.[30] 신토 기도에 관련된 관행은 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일본 불교 역시 신토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신토 기도는 긴 찬양이나 헌신보다는 ''가미''에게 구하거나 호의를 구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30]

에트루리아어의 기도는 에트루리아어가 사어가 된 후에도 오랫동안 로마 세계에서 점술가와 다른 신탁에 의해 사용되었다. 카르멘 아르발레와 카르멘 살리아레는 필사자들에게 이해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이는 부분적으로 보존된 기도의 두 가지 예이며, 그 언어는 고어와 어려운 구절로 가득 차 있다.[28] 로마의 기도와 제물은 신과 숭배자 사이의 법적 흥정으로 여겨졌다. 로마의 원칙은 ''do ut des''로 표현되었다. "내가 주면, 당신도 줄 것입니다."[29]

발키리 시그르드리파는 ''시그르드리파말''에서 이교 노르드 기도를 한다.
]]

켈트, 게르만 및 슬라브 종교는 고대 시대의 종교보다 훨씬 나중에, 훨씬 더 단편적으로 기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기 시대의 더 잘 알려진 종교와 실질적인 유사성을 보입니다. 게르만 종교의 경우 기도의 관행이 확실하게 증명되었지만, 초기 (로마 시대) 시대의 실제 예배는 기록되지 않았다.[30] 고대 노르드 기도는 스칼드 시에서 극화된 형태로 기록되어 있다.[30] 레리르 왕이 아이를 위해 기도하는 ''볼숭가 사가''의 2장에 오딘에게 드리는 기도가 언급되어 있다.[31] ''욤스비킹가 사가''의 21장에서 하콘 시구르드손은 히외룽가보그 전투의 흐름을 바꾸고 싶어 마침내 여신 토르게르드 홀가브루드와 이르파의 기도를 받는다.[32]

중세 시대의 민간 종교는 기독교 이전과 기독교 전통 사이의 혼합주의를 만들어 냈다.[33] 8세기의 베소브룬 기도는 이교도 ''볼루스파''와 비교하여 기독교화된 이교도 기도로 제안되었으며, 메르세부르크 주술은 9세기 또는 10세기에 기록되었지만 훨씬 더 오래된 전통적인 기원을 가지고 있다.[34][35]

호주 원주민 신화에서 "위대한 위트"에게 드리는 기도는 "영리한 남자"와 "영리한 여자", 또는 ''카지''에 의해 수행된다. 이 원주민 샤먼은 자신들에게 힘을 준다고 믿어지는 물질인 마반 또는 마바인을 사용한다.[36] 푸에블로 인디언은 제물로 깃털이 달린 막대기, 즉 기도 막대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피 인디언도 기도 막대기를 사용했지만, 그들은 그 안에 신성한 식사의 작은 가방을 부착했다.[37]

4. 접근 방식

기도에는 여러 형태가 있다. 신에게 직접 간청하여 소원을 들어주는 것이 그중 하나인데,[38] 어떤 사람들은 이것을 기도에 대한 사회적 접근이라고 칭한다.[39] 무신론자들은 주로 탄원기도에 대해 비판적인데, 다니엘 데닛은 탄원기도가 사람이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야 할 필요성을 덜어주는 바람직하지 않은 심리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40] 크리스천 사이언스의 극단적인 사례처럼, 치료 가능한 질병에 대해 의료 치료 대신 기도에 의존하다 사망하는 경우가 이러한 단점을 보여준다.[41] 크리스토퍼 히친스는 전지전능하고 모든 것을 아는 신에게 기도하는 것은 주제넘은 행동이라고 주장하며, 앰브로스 비어스의 기도는 "신이 모든 일을 잘못 처리했다고 생각하면서도, 신에게 그것들을 어떻게 바로잡아야 하는지 지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는 정의를 인용한다.[42]

기도는 기도하는 사람에게 특정한 태도를 심어주기 위한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71] 유대교에서는 랍비 바흐야 벤 아셰르, 예후다 하레비, 요세프 알보, 삼손 라파엘 힐쉬, 요세프 솔로베이치크가 이러한 접근 방식을 취했다.[71] 랍비 노손 셔먼은 아트스크롤 시두르의 개요(XIII쪽)에서 이를 표현했다. 기독교 신학자 E.M. 바운즈는 저서 《기도의 필요성》에서 기도의 교육적 목적을 설명했으며, 공동 기도문과 같은 기도서는 이러한 접근 방식의 결과이자 권고이다.[43]

마이모니데스[44]와 다른 중세 합리주의자들은 철학과 지적 성찰(명상)을 통해 신성에 집중하도록 훈련하는 것을 기도의 목표로 보았다.[45] 이 방식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 지식인 사회에서 인기를 얻었지만, 평신도들 사이에서 가장 대중적인 이해는 아니었다. 오늘날에도 이 세 종교에서 상당수가 이 접근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합리주의적 접근 방식에서 기도는 보낸 사람의 '로고스'(생각), 단어로서의 '레마타', 그 생각이 전달되는 곳(예: 하느님, 알라)으로의 '레마'와 '로고스'라는 세 가지 측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기도는 신성으로 향하는 일방향이다.[46] 아브라함 계통 종교 중 이슬람교, 정교회 기독교, 하시디즘 유대교가 이 개념을 따르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헬레니즘 철학,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영적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47] 힌두교에서도 다양한 신들은 하나의 하느님의 현현이며, 많은 힌두교도들은 하느님이 사두와 같은 하위 카스트의 사람들에게 나타날 수 있다고 믿는다.[48]

테오필 르바에르(Théophile Lybaert)의 ''늙은 여인의 기도''

테오필 르바에르(Théophile Lybaert)의 ''늙은 여인의 기도''


경험적 접근 방식에서 기도는 기도하는 사람이 기도의 대상을 직접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접근 방식은 기독교에서 중요하며 유대교에서도 널리 퍼져 있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헤시카즘이라고 부르며, 수피 이슬람과 일부 신비주의에서도 널리 퍼져 있다. 묵상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합리주의적 접근 방식과 유사하지만, 묵상은 일반적으로 합리적이거나 지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기독교와 로마 가톨릭 전통은 ''렉티오 디비나'' 수행 내에서 기도에 대한 경험적 접근 방식을 포함한다. 베네딕토회의 수행인 ''렉티오 디비나''는 짧은 성경 구절을 소리내어 읽고, 마음을 사용하여 묵상하며, 기도를 낭송하고, 관상으로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는 기도와 묵상이 생각, 상상력, 감정 및 욕망을 참여시키며, 그리스도의 신비를 묵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한다.[49]

기독교 신비주의 내에서의 하나님의 경험은 신비적 경험과 대조되는데, 이는 하나님의 알 수 없음과 형언할 수 없음을 식별하는 방식으로 신성에 대한 경험에 대해 글을 쓰는 저자들의 오랜 역사 때문이다.[50]

윌리엄 제임스는 저서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에서 "종교적 경험"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55] 18, 19, 20세기에 여러 역사적 인물들이 종교와 그 믿음이 경험 자체에 기반을 둘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칸트는 도덕적 경험이 종교적 믿음을 정당화한다고 주장했고, 존 웨슬리는 감리교 운동의 종교적 경험이 종교적 헌신의 기초라고 생각했다.[51] 가톨릭 신학에 따르면, 감리교인들은 하나님과의 직접적인 대화에서 개별적이고 도덕적인 형태의 예배에 의존한다.[52]

웨인 프라우드풋은 "종교적 경험" 개념의 뿌리를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로 추적한다. 슐라이어마허와 알버트 리칠은 종교를 과학적, 세속적 비판으로부터 방어하고 인간 경험이 종교적 믿음을 정당화한다는 견해를 옹호하는 데 "종교적 경험" 개념을 사용했다. 이러한 종교적 경험주의는 칼 바르트에 의해 비판받았지만,[53] 20세기에도 자유주의 신학적 견해를 가진 찰스 레이븐과 찰스 쿨슨 같은 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54]

"경험"이라는 개념은 비판을 받아왔는데,[56] 로버트 샤프는 "경험"이 전형적인 서구적 용어이며 서구의 영향을 통해 아시아 종교성에 스며들었다고 지적한다. "경험" 개념은 "경험하는 사람"과 "경험된 사람" 사이에 허위적 이중성을 도입하는 반면, 견성의 본질은 관찰자와 관찰된 자의 "비이원성"의 실현이다. "순수한 경험"은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경험은 지적 및 인지적 활동에 의해 매개된다. 특정 전통의 가르침과 수행은 어떤 "경험"을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이 "경험"이 가르침의 ''증명''이 아니라 ''결과''임을 의미한다. "지각의 문을 정화"하여 도달한 개념이 없는 순수한 의식은 일관성 없는 감각 입력의 압도적인 혼돈이 될 것이다.

히브리어에서 "기도(tefilah)"는 그 어근 "pelel" 또는 재귀형 "l'hitpallel"과 함께 자기 분석 또는 자기 평가의 행위를 의미한다.[70]

5. 종교별 기도의 양식

불교힌두교에서 만트라의 반복은 서양 종교의 반복적인 기도(묵주, 예수 기도)의 수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불교 신자들은 더 높은 신에게 기도하지 않는다.[111] 독경, 삼배 또는 백팔배, 염불, 합장, 만트라 등이 기도의 성격을 갖는 행동으로 볼 수 있다.[159][160]

왓 프라깨우에서 향을 피우며 기도하는 불교 신자, 태국

  • '''불교'''


불교에서 기도는 수행의 성공과 모든 존재를 돕기 위한 소망을 의례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며, 부차적인 역할만을 한다. 방편의 공덕 전이 (산스크리트어: ''pariṇāmanā'')는 환기와 기도이며, 무한한 부처는 깨어있는 영역(산스크리트어: ''buddha-kshetra'')에 거주하기 때문에 중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기도는 "내 수행의 공덕이 부처의 정토를 장엄하고, 위로부터의 사은에 보답하며, 아래의 삼도(三途)의 고통을 구제하기를 바랍니다. 모든 중생, 친구, 적, 그리고 업적 채권자들이 모두 보리심을 일으키고, 모두 극락정토에 다시 태어나기를 바랍니다."(願以此功德 莊嚴佛淨土 上報四重恩 下濟三途苦 普願諸眾生 冤親諸債主 悉發菩提心 同生極樂國)이다.[113]

생성 단계 (산스크리트어: ''utpatti-krama'')의 금강승은 기도 요소를 포함한다.[114] 티베트 불교 전통은 스승과의 지시적이고 헌신적인 관계를 강조하며, 구루 요가로 알려진 헌신적인 수행을 포함할 수 있다.

정토교는 신봉자들이 기도와 유사한 만트라를 암송하는 것을 강조하며, 이 수행은 종종 ''염불''이라고 불린다.[115] 신란에 따르면, "장기적으로 볼 때 염불만큼 효과적인 것은 없다."[115][117]

  • '''기독교'''


기독교에서 기도는 신앙 생활의 중심을 이루는 중요한 행위이다.[155] 찬미, 감사, 간구, 중보, 회개 등 다양한 형태의 기도가 존재하며,[155] 이러한 조합을 일반적으로 "기도"라고 한다. 개신교 여러 교회에서는 마리아 또는 성인에 대한 기도를 우상 숭배로 배제하고 있다.

예수께서 겟세마네에서 기도하시는 모습. 하인리히 호프만의 작품.


기도하는 기독교인들


일반적으로 "아멘"으로 기도를 끝맺는다.[82] 정교회와 천주교, 루터교, 성공회의 경우 기도를 또 다른 기도인 성호경으로 시작해서 성호경으로 끝내며, 기도문의 끝은 무조건 "아멘"으로 끝난다.

야고보서는 삶의 축복이 부족한 것은 기도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한다.[67] 바울은 데살로니가 교회에 "끊임없이 기도하라"고 썼다.[69]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가장 흔한 기도는 주님의 기도인데, 복음서의 기록(예: 마태복음 6:9–13)에 따르면 예수께서 그의 제자들에게 기도하는 방법을 가르치신 방법이다.[74]

  • '''이슬람교'''


이슬람교의 기도 행위는 성지 메카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엎드리는 형식이다.[161] 이슬람교도는 어디에 있든 매일 정해진 시간에 기도를 바치며, 이를 위한 전용 융단나침반 등의 도구를 사용한다.[161]

시리아 우마이야 모스크에서 엎드려 기도하는 무슬림들


아랍어로 기도를 뜻하는 단어는 ''살라''(ṣalāt)이다. 매일 의무적으로 드리는 기도는 이슬람교의 5대 의무 중 두 번째이며, 매일 세 번[98][99] 또는 다섯 번, 정해진 시간에 지켜진다. 기도를 드리는 사람은 메카의 카바를 향하여 기도한다. 기도는 "당신에게 평화가 깃들기를, 그리고 신의 자비가 함께 하기를"이라는 말로 끝을 맺는다. 기도가 끝나면 개인적인 소원이나 필요한 것을 신에게 간구하는 기도를 드릴 수 있으며, 이를 ''두아''(duʿāʾ)라고 한다.

  • '''유대교'''


유대교 신자들은 하루에 세 번, 샤하릿, 민하, 마아리브 기도를 드린다.[70][71] 시두르는 유대교 기도서로, 매일 기도하는 순서가 정해져 있다.[70][71]

랍비인 사무엘 카스 대위가 1945년 3월 18일 독일 클레베 근처에서 제1 캐나다군의 유대인 요원들이 독일 영토에서 처음으로 거행한 기도회를 이끌고 있다.


가장 중요한 유대교 기도는 쉐마 이스라엘("이스라엘아 들으라")과 아미다("서서 드리는 기도")이다.[70][71]

예루살렘의 통곡의 벽에서 기도하는 정통 유대교 남성


또한 유대인이 하루 동안 행하는 많은 다른 의례적인 기도가 있는데, 예를 들어 빵을 먹기 전에 손을 씻고, 아침에 잠에서 깬 후에 손을 씻고, 식사 후에 감사를 드리는 기도 등이 있다.[70][71]

  • '''힌두교'''


샥타 힌두교도들이 방글라데시 다카에서 ''Durga Puja'' 동안 여신에게 기도하고 있다. 2003년 10월.


힌두교는 불을 이용한 의식에서 철학적 사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기도(산스크리트어: ''prārthanā'')를 포함한다.[119] 일반적으로 힌두교도들은 ''프라남'' 자세로 손바닥을 모아 기도한다.[119] 이 손 제스처는 인기 있는 인도식 인사말인 ''나마스테''와 유사하다.

  • '''시크교'''


시크교의 성직자가 시크교 기도(아르다스)를 드리고 있다.


'''아르다스'''(펀자브어: ਅਰਦਾਸ)는 시크교에서 중요한 일을 시작하거나 마친 후, 매일의 ''바니스''(기도)를 암송한 후, 또는 ''파트''(성경 낭독/암송), ''키르탄''(찬송가) 프로그램이나 기타 종교 의식을 마친 후에 드리는 기도이다.[120][121] 아르다스는 구루가 완전히 쓰지 않은 시크교의 몇 안 되는 잘 알려진 기도 중 하나라는 점에서 독특하다.

  • '''신토'''


신토에서 신사는 그 자체가 기원의 대상이며, 마츠리·모시기·봉헌, 신전·(社)나 (碑)·(塚)의 건립 등 다양한 형태로 기도가 이루어진다.

조상 숭배에 한정되지 않고 사람이나 동물 등 생명을 잃은 것, 도구 등 인공물이 역할을 마친 후의 위령이나 감사 또한 신토 기도의 중요한 요소이다.

  • '''기타 종교'''


만다교의 일상 기도인 ''브라카''는 하루에 세 번 암송되는 일련의 기도문으로 구성된다.[102]

바하이 신앙에서 바하울라, 바브, 압두르 바하는 일반적인 사용을 위해 많은 기도를 썼으며, 특정한 경우를 위한 기도도 썼다.

조로아스터교인들은 원소가 순수하며 불은 신의 빛 또는 지혜를 나타낸다고 믿는다.[122]

많은 텔레마이트들이 동쪽에서 떠오르고, (북반구) 남쪽에서 승리하고, 서쪽에서 지고, 북쪽에서 "숨는" 항상 존재하는 태양의 방향을 향해 "Resh"(Liber Resh vel Helios, 또는 "Liber CC")를 암송합니다. 이미지는 계시의 비석의 클로즈업을 보여줍니다.


텔레마 (유신론자뿐만 아니라 무신론자 수행자도 포함)에서 추종자들은 개인 기도의 형태인 여러 관행을 공유한다. 이 의식은 태양에 대한 4가지 매일의 숭배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태양과 동일시되는 다양한 신성한 형태를 언급하며 말해진다.[128]

5. 1. 불교

불교에서 기도는 수행의 성공과 모든 존재를 돕기 위한 소망을 의례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며, 부차적인 역할만을 한다.[111] 독경, 삼배 또는 백팔배, 염불, 합장, 만트라 등이 기도의 성격을 갖는 행동으로 볼 수 있다.[159][160]

방편의 공덕 전이 (산스크리트어: ''pariṇāmanā'')는 환기와 기도이며, 무한한 부처는 깨어있는 영역(산스크리트어: ''buddha-kshetra'')에 거주하기 때문에 중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깨어있는 영역의 ''nirmānakāya''는 일반적으로 만다라로 알려져 있으며, 만다라의 시작과 닫힘은 적극적인 기도이다. 이는 마음챙김 활동이며, 마음챙김이 단지 길러지는 것이 아니라 ''존재하는'' 활동이다.[112] 일반적인 기도는 "내 수행의 공덕이 부처의 정토를 장엄하고, 위로부터의 사은에 보답하며, 아래의 삼도(三途)의 고통을 구제하기를 바랍니다. 모든 중생, 친구, 적, 그리고 업적 채권자들이 모두 보리심을 일으키고, 모두 극락정토에 다시 태어나기를 바랍니다."(願以此功德 莊嚴佛淨土 上報四重恩 下濟三途苦 普願諸眾生 冤親諸債主 悉發菩提心 同生極樂國)이다.[113]

생성 단계 (산스크리트어: ''utpatti-krama'')의 금강승은 기도 요소를 포함한다.[114] 티베트 불교 전통은 스승과의 지시적이고 헌신적인 관계를 강조하며, 구루 요가로 알려진 헌신적인 수행을 포함할 수 있다. 티베트 불교는 다양한 신의 존재를 가정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 전통의 최고 견해는 신 또는 ''yidam''이 수행자, 환경 및 활동의 연속성(산스크리트어: ''santana''; mindstream 참조)보다 더 존재하거나 현실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나 수행자가 ''yidam'' 또는 수호신과 관계하는가는 그들이 수행하는 수준 또는 ''야나''에 따라 달라진다.

정토교는 신봉자들이 기도와 유사한 만트라를 암송하는 것을 강조하며, 이 수행은 종종 ''염불''이라고 불린다.[115] 신란에 따르면, "장기적으로 볼 때 염불만큼 효과적인 것은 없다."[115][117] 한편으로는, 이 수행은 깨달음을 얻기 위한 명상의 한 형태이다.[118]

그러나 이러한 모든 수행 외에도 부처는 개인적인 수행과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신이나 신에게 간청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동아시아 국가의 많은 재가 신자들은 서구식 기도와 유사하게 부처에게 기도하며, 중재를 요청하고 헌신을 바친다.

5. 2. 기독교

기독교에서 기도는 신앙 생활의 중심을 이루는 중요한 행위이다.[155] 찬미, 감사, 간구, 중보, 회개 등 다양한 형태의 기도가 존재하며,[155] 이러한 조합을 일반적으로 "기도"라고 한다. 기도는 하나님께, 그리고 교파에 따라서는 마리아를 비롯한 성인에게 바쳐진다. 개신교 여러 교회에서는 마리아 또는 성인에 대한 기도를 우상 숭배로 배제하고 있다.

기독교에서의 기도는 하나님에 대한 찬미를 본래적인 형태로 한다. 기원·죄의 고백 등도, 궁극적으로는 그것에 의해 하나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것을 바라며, 현세 이익은 본래적인 기독교의 신앙이 추구하는 것은 아니다. 기도의 의의의 최대는, 영원하신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교류에 있다고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아멘"으로 기도를 끝맺는다.[82] 정교회와 천주교, 루터교, 성공회의 경우 기도를 또 다른 기도인 성호경으로 시작해서 성호경으로 끝내며, 기도문의 끝은 무조건 "아멘"으로 끝난다. 기독교인들은 기도를 "예수님의 이름으로, 아멘"으로 끝맺거나, 더 흔하게는 삼위일체 공식을 말하면서 십자 성호를 긋는 것이 관례이다.[82][83]

신약성서에서 기도는 긍정적인 명령으로 제시된다.[63] 하느님의 백성은 바쁜 결혼 생활[64] 속에서도 그리스도교의 기도를 일상생활에 포함시키도록 권고받는데, 이는 기도가 사람들을 하느님께 더 가까이 이끌기 때문이다. 예수는 제자들에게 은밀한 장소에서 주님의 기도를 사용하여 기도하라고 권고했다.[65] 복음 전도사 및 다른 기독교 종파에게 기도는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주시려는 것을 얻는 방법으로 제시된다.[66] 야고보서는 삶의 축복이 부족한 것은 기도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한다.[67] 예수는 기도를 통해 치유했고, 그의 추종자들도 그렇게 하기를 기대했다.[68] 사도 바울은 데살로니가 교회에 "끊임없이 기도하라"고 썼다.[69]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가장 흔한 기도는 주님의 기도인데, 복음서의 기록(예: 마태복음 6:9–13)에 따르면 예수께서 그의 제자들에게 기도하는 방법을 가르치신 방법이다.[74] 주님의 기도는 기독교에서 흠모, 고백, 탄원의 기도에 대한 모범이다.[74]

2세기의 ''사도전승''에서, 히폴리투스는 기독교인들에게 "일어날 때, 저녁 등불을 켤 때, 잠자리에 들 때, 자정"과 "그날의 셋째, 여섯째, 아홉째 시"에 정해진 기도 시간에 기도하라고 지시했다. 이 시간은 그리스도의 수난과 관련이 있다.[75][76]

기도는 신자의 의지적·능동적 행위인 한편, 신학적으로는 이미 하나님의 힘을 얻어 그 은총 아래 행해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바울 서신에는, 기도에 있어서 언어화되지 않은 마음을 하나님의 영이 탄식으로써 나타낸다는 생각이 표명되어 있다.[158]

기도의 주체에 주목하면, 집단에서의 공적인 예배 행위(공기도)와 사적인 개인 또는 집단에서의 기도(사기도)로 나뉜다. 기도의 내용에 주목하면, 정해진 기도문을 사용하는 것과, 개인의 자유롭고 자발적인 기도에 맡기는 것(자유기도)이 있다. 전통적인 교회는 정해진 기도문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개신교 교회에서는 자유 기도를 권장하는 경향이 있다.

공적인 예배를 전례, 예배 등으로 부른다. 이는 그리스어로는 레이투르기아라고 불리며, "사람들의 일"을 원의미로 한다.

다른 사람에게 하나님의 은총이 베풀어지기를 바라는 기도를 간구, 중보기도라고 한다. 전통적인 교회에서의 성인에 대한 기원은, 기본적으로, 성인에게 하나님께 대한 간구를 바라는 기도이다. 개신교는 일반적으로 성인에 대한 기도를 부정하고 있다.

5. 3. 이슬람교

이슬람교의 기도 행위는 성지 메카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엎드리는 형식이다.[161] 이는 이슬람교도에게 일종의 생활 습관으로 자리잡았다. 이슬람교도는 어디에 있든 매일 정해진 시간에 기도를 바치며, 이를 위한 전용 융단나침반 등의 도구를 사용한다.[161] 장거리 운행 비행기의 기내 정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현 위치를 기준으로 메카 위치를 제공하기도 한다.[161]

아랍어로 기도를 뜻하는 단어는 ''살라''(ṣalāt)이다. 매일 의무적으로 드리는 기도는 이슬람교의 5대 의무 중 두 번째이며, 매일 세 번[98][99] 또는 다섯 번, 정해진 시간에 지켜진다. 기도를 드리는 사람은 메카의 카바를 향하여 기도한다. 모든 신자들이 함께 기도할 것을 요청하는 "기도의 부름"(''아잔'')이 있으며, ''무에진''이 이 부름을 담당한다. 기도는 서 있는 상태에서 신을 찬양하고 칭송하는 행위, 코란의 장 낭송, 허리 굽혀 절 후 신을 찬양, 엎드려 절(''수주드'') 후 다시 신을 찬양하는 행위 등으로 구성된다. 기도는 "당신에게 평화가 깃들기를, 그리고 신의 자비가 함께 하기를"이라는 말로 끝을 맺는다. 기도가 끝나면 개인적인 소원이나 필요한 것을 신에게 간구하는 기도를 드릴 수 있으며, 이를 ''두아''(duʿāʾ)라고 한다.

이슬람교에서는 유대교나 기독교와 마찬가지로 우상 숭배가 엄격히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슬람교의 성지인 사우디 아라비아의 메카를 향한 정해진 방향으로 엎드려 행한다. 이슬람교에서 신도가 머리를 숙이는 대상은 이슬람교의 신인 알라뿐이며, 알라가 아닌 인간에게 머리를 숙여서는 안 된다고 여겨진다.

5. 4. 유대교

유대교 신자들은 하루에 세 번, 샤하릿, 민하, 마아리브 기도를 드린다.[70][71] 안식일과 유대교 명절에는 무사프토라 낭독을 포함한 더 긴 기도를 드린다.[70][71] 시두르는 유대교 기도서로, 매일 기도하는 순서가 정해져 있다.[70][71] 유대교 기도는 ''카바나''(의도)와 ''케바''(의례적이고 구조화된 요소)를 갖는 것으로 묘사된다.[70][71]

가장 중요한 유대교 기도는 쉐마 이스라엘("이스라엘아 들으라")과 아미다("서서 드리는 기도")이다.[70][71] 공동 기도는 개인 기도보다 선호되며, 열 명의 성인 남성(''미니안'')의 정족수는 정통 유대교에서 여러 공동 기도에 필요한 전제 조건으로 간주된다.[70][71]

또한 유대인이 하루 동안 행하는 많은 다른 의례적인 기도가 있는데, 예를 들어 빵을 먹기 전에 손을 씻고, 아침에 잠에서 깬 후에 손을 씻고, 식사 후에 감사를 드리는 기도 등이 있다.[70][71]

히브리 성경에서 기도는 하나님과 상호 작용하는 진화하는 수단이며, 가장 흔하게는 즉흥적이고 개별적이며 조직화되지 않은 형태의 청원 및/또는 감사의 표현을 통해 이루어진다. 신명기에서 시작하여 성경은 기본적인 전례 지침을 포함하여 조직화된 기도의 토대를 마련했으며, 성경의 후기 저작물에 이르러 기도는 더 표준화된 형태로 발전했지만, 현대 유대교도가 실천하는 형태와는 여전히 근본적으로 다르다.

개인 기도는 타나크에 두 가지 방식으로 묘사되어 있다. 첫 번째는 기도가 일어나 그 결과가 달성되었지만, 그 사람의 기도에 대한 더 이상의 정보는 주어지지 않는 경우이다. 이삭,[58] 모세,[59] 사무엘,[60] 그리고 욥[61]의 경우와 같이 기도는 상황을 더 나은 방향으로 바꾸는 방법이다. 두 번째 방식은 기도의 에피소드가 완전히 구체화된 경우로, 한 사람의 기도가 완전하게 묘사된다. 한나에서 히스기야에 이르기까지 많은 유명한 성경 인물들이 이러한 기도를 가지고 있다.[62]

기도의 궁극적인 목표는 철학과 지적 사색을 통해 사람이 신성에 집중하도록 훈련하는 것을 돕는 것이다. 히브리어 "tefilah"는 그 어근 "pelel" 또는 재귀형 "l'hitpallel"과 함께 자기 분석 또는 자기 평가의 행위를 의미한다.[70] 카발라는 기도가 신과의 대화에서 상승하는 경로를 지정하고, 유리하게 응답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일련의 ''의도''를 사용한다. 카발리스트들은 기도의 목적에 더 높은 의미를 부여하는데, 이는 현실 자체의 구조를 바꾸고, 실제로 우주를 재구성하고 복구하는 것과 다름없다. 모든 기도의 모든 단어, 심지어 모든 단어의 모든 글자조차도 정확한 의미와 정확한 영향을 지닌다. 따라서 기도는 문자 그대로 우주의 신비로운 힘에 영향을 미치고 창조의 구조를 복구한다.[72]

5. 5. 힌두교



힌두교는 불을 이용한 의식에서 철학적 사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기도(산스크리트어: ''prārthanā'')를 포함한다.[119] 암송은 정해진 시간에 맞춰 불변의 구절을 낭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면, ''dhyanam''은 선호하는 신/하나님에 대한 깊은 명상(짧든 길든)을 포함한다. 기도를 드리는 대상은 ''데브타스'', 삼위일체, 또는 ''데브타스''나 삼위일체의 화신 또는 고대 현자들이 수행한 단순한 무형의 명상으로 불리는 사람들일 수 있다. 이러한 기도는 개인적인 필요나 moksha을 충족시키기 위해, 그리고 다른 사람들을 위해 바쳐질 수 있다. 의례적인 인보케이션은 베다교의 일부였으며, 그들의 성서에 스며들었다. 실제로 힌두교의 가장 높은 성서인 베다는 방대한 만트라와 기도 의식의 모음집이다.[119] 고전 힌두교는 브라만이라는 단일 최고 힘을 찬양하는 데 집중하게 되었는데, 이는 힌두교 판테온의 익숙한 신들처럼 여러 낮은 형태로 나타난다. 인도의 힌두교도들은 수많은 신앙 운동을 가지고 있다. 힌두교도들은 최고 절대 신인 브라만에게 기도하거나, 더 일반적으로는 세 가지 화신인 창조 신 브라흐마, 보존 신 비슈누, 파괴 신(창조 주기가 새롭게 시작될 수 있도록) 시바에게 기도하고, 다음 단계에서는 비슈누의 화신(지상적 출현)인 라마와 크리슈나, 또는 다른 많은 남성 또는 여성 신들에게 기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힌두교도들은 ''프라남'' 자세로 손바닥을 모아 기도한다.[119] 이 손 제스처는 인기 있는 인도식 인사말인 ''나마스테''와 유사하다.

5. 6. 시크교



'''아르다스'''(펀자브어: ਅਰਦਾਸ)는 시크교에서 중요한 일을 시작하거나 마친 후, 매일의 ''바니스''(기도)를 암송한 후, 또는 ''파트''(성경 낭독/암송), ''키르탄''(찬송가) 프로그램이나 기타 종교 의식을 마친 후에 드리는 기도이다.[120][121] 식사 전후에도 이 기도를 드린다. 이 기도는 신에게 간구하여 신도가 하려는 일 또는 이미 한 일에 대해 지지하고 돕도록 하는 것이다.

아르다스는 보통 두 손을 모으고 서서 드린다. 아르다스의 시작은 열 번째 시크교 구루인 구루 고빈드 싱에 의해 엄격하게 정해졌다. 기도가 끝날 때쯤, 신도는 새로운 일을 시작할 때는 "와헤구루님, 제가 하려는 일에 축복을 내려주십시오."와 같은 말을 하거나, "아칼 푸라크, 찬송가를 다 불렀으니, 당신을 기억하고 항상 당신을 잊지 않도록 당신의 지속적인 축복을 구합니다." 등과 같은 말을 한다. "아르다스"라는 단어는 페르시아어 '아라즈다샤트'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요청, 간청, 기도, 탄원 또는 상위 권위자에게 하는 연설을 의미한다.

아르다스는 구루가 완전히 쓰지 않은 시크교의 몇 안 되는 잘 알려진 기도 중 하나라는 점에서 독특하다. 아르다스는 구루 그란트 사히브의 페이지에서 찾을 수 없는데, 이는 시대에 따라 진화하여 모든 세대의 시크교인들의 업적, 성과, 감정을 그 내용에 포함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신앙 텍스트이기 때문이다. 이 기도의 기본적인 목적은 와헤구루에게 그의 보호와 돌봄을 간청하는 것뿐만 아니라, 모든 인류의 복지와 번영을 위한 간청이며, 시크교인들이 와헤구루가 행한 모든 일에 대해 감사하는 수단이다.[120][121]

5. 7. 신토

신토에서 신사는 그 자체가 기원의 대상이며, 마츠리·모시기·봉헌, 신전·(社)나 (碑)·(塚)의 건립 등 다양한 형태로 기도가 이루어진다. 신사 신도에서의 기도는 무녀(칸나기)이며, 신나기(신을 진정시키고 화목하게 하는 기도)이기도 하지만, 고신도에서는 강신 없이 신직이 아닌 자라도 신나기(칸나기・신화기・신제・신나기라고도 표기)를 행한다.

신토의 기도는 자연에 대한 감사, 경외, 외경에서 비롯된다. 히모로기나 이와쿠라 신앙과 같이, 자연환경의 변곡점(경계)에 있는 특징적인 부분(바다, 산, 강, 숲, 거석, 거목)을 신이 깃드는 곳(의뢰)이나 신역으로 연결되는 장소로 생각하고, 풍요를 가져다주는 것으로서 기도하고 신앙했다. 경내의 신목이나 영석이나 진수이숲, 신사와 떨어진 장소에 있는 영봉 후지나 부부바위나 게곤 폭포 등도 기도의 대상이 된다. 한편으로 이러한 신역을 결계나 금족지로 하는 풍습도 있으며, 평소에는 차단하고 있지만 특정일에 신사나 제사로서 기도를 바치고, 결계를 풀어 신을 초대하는 행위도 한다.

조상 숭배에 한정되지 않고 사람이나 동물 등 생명을 잃은 것, 도구 등 인공물이 역할을 마친 후의 위령이나 감사 또한 신토 기도의 중요한 요소이다. 고대부터 유적 등에서 발굴되는 신전과 결합하여 신사신도의 사(社)로 변화하였으며, 기상 현상이나 음식으로 먹었던 생물이나, 황실 신도에 있는 "삼종신기" 등의 도구의 신체로서의 생각이 퍼져 인공물에 대해서도 기도하게 되었다. 등에 떨어진 번개(이나즈마)의 장소를 푸른 대나무와 시메나와로 둘러싸 오곡 풍년을 빌고, 고래잡이(포경)로 목숨을 잃은 고래를 제사나 고래 무덤이나 고래 묘를 통해 위령하고 감사의 기도를 바치는 것이 그 예이다. 칼 무덤이나 인형 무덤 등의 도구 무덤이나 바늘 공양 또는, 요괴라고도 불리는 쓰쿠모가미도 소중히 하면 행복을 가져다준다고 하여, 다양한 형태로 기도하고 있다.

생업으로서의 "근면함(이소시미)"에까지 신이 깃든다고 생각하여, 마타기나 벼농사 신앙 등의 농림수산업뿐만 아니라, 대장장이다타라(일본의 고식 제철)나 양조주조건축・토목에는 직업으로서의 신사가 있으며, 현재에도 신단을 갖추고 공정의 즈음에는 독자적인 작법이나 의식에 의해 기도를 바치고 있다.

헤이안 시대에는 도교의 음양오행 사상과 결합된 신직에 의한 음양사로서의 대두와 집정이 있었고, 에도 시대에는 서민의 자치가 더욱 현저해지면서 그 중심에 사찰이 있었기 때문에, 푸신(건축)으로서의 축제가 행해졌다.

5. 8. 기타 종교

만다교의 일상 기도인 ''브라카''는 하루에 세 번 암송되는 일련의 기도문으로 구성된다.[102] 만다교 신자들은 매일 기도를 암송할 때 북쪽을 향해 선다.[103] 만다교 사제들은 매일 세 번 라흐마 기도를 암송하며[104][105], 평신도들 또한 매일 ''루슈마'' (서명 기도)와 ''아수트 말키아'' ("왕들의 치유")를 암송한다.[102] 만다교의 세 번의 기도 시간은 새벽(일출), 정오("7번째 시간"), 저녁(일몰)이다.[106][104]

바하이 신앙에서 바하울라, 바브, 압두르 바하는 일반적인 사용을 위해 많은 기도를 썼으며, 특정한 경우를 위한 기도도 썼다. 바하이 신앙의 신자들은 또한 바하울라가 쓴 세 가지 의무 기도 중 하나를 매일 암송해야 하며, 의무 기도를 암송할 때 키블라를 향한다. 가장 긴 의무 기도는 하루 중 언제든지, 중간 길이의 기도는 아침, 정오, 저녁에 각각 한 번씩, 가장 짧은 기도는 정오부터 해질녘 사이에 암송할 수 있다. 바하이 신자들은 또한 매일 아침과 저녁에 성서를 읽고 묵상한다.[107]

조로아스터교인들은 원소가 순수하며 불은 신의 빛 또는 지혜를 나타낸다고 믿는다.[122] 조로아스터교의 예배 관습은 고대부터 현재까지 진화해 왔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불의 사원이라고도 불리는 사원에서 예배하는 개념을 발전시켰다.[123]

위카(Wicca)의 기도는 명상, 의식, 주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신과 여신과의 소통의 한 형태로 여겨진다. 이러한 소통에는 ''에스바트''와 ''사바트'' 축하, 저녁 식사, 새벽 시간, 자신이나 다른 사람의 안전을 위한 기도, 치유 또는 죽은 자를 위한 기도가 포함될 수 있다.[124]

라엘리안의 의식과 수행은 입문식부터 감각적인 명상까지 다양하다. 입문식은 일반적으로 라엘리안이 새로운 회원의 이마에 물을 묻히는 것을 포함하며, 라엘리안 달력의 특정 특별한 날에 열린다.[125] 감각적인 명상 기술에는 호흡 운동과 다양한 형태의 에로틱한 명상이 포함된다.[126]

에카앙카르에서 기도의 기본적인 형태 중 하나는 신성한 하나님의 이름인 "HU"("휴"로 발음)를 노래하는 것을 포함한다. 에크주의자들은 눈을 감거나 뜨고, 소리내어 또는 조용히 이 기도를 할 수 있으며, 신성한 ECK 또는 성령을 경험할 수 있다.[127]

신지학과 서양 밀교의 수행자들은 미리 승인된 기도와 하나님의 이름을 사용하고, 결합될 때 참여자가 영적으로 상승하고, 어떤 경우에는 신이나 다른 영적 존재를 깨달을 수 있는 트랜스를 유발하는 "마음에서 우러나온" 기도를 사용하는 의식의 형태를 실천할 수 있다. 헤르메스 카발라와 정통 카발라와 마찬가지로, 기도는 물리적 세계와 비물리적 세계 모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는다. 의례적인 기호와 이름의 사용은 잠재 의식이 내면의 신 또는 다른 영적 존재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 원형으로 여겨지며, "마음에서 우러나온 기도"는 참여자를 통해 말하는 영적인 힘으로 여겨진다.

텔레마 (유신론자뿐만 아니라 무신론자 수행자도 포함)에서 추종자들은 기본적인 요가 (아사나와 프라나야마), 다양한 형태의 의식 마법, 스스로 고안한 의식, Liber Resh vel Helios (일명 Liber 200)의 수행을 포함하여 개인 기도의 형태인 여러 관행을 공유한다. 이 의식은 태양에 대한 4가지 매일의 숭배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태양과 동일시되는 다양한 신성한 형태를 언급하며 말해진다.[128] 텔레마 내에는 "Resh"를 수행하기로 선택한 모든 개인 지원자의 목적을 표현하는 교리가 없지만, "Resh"의 수행은 태양을 향한 단순한 탄원이나 우리가 태양이라고 부르는 천체에 대한 "숭배"의 형태가 아니라, 지구상의 생명을 가능하게 하는 빛의 근원의 위치를 사용하고, 그러한 태양력의 신화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개인이 기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아마도 태양과의 자기 동일시를 촉진하여, "Liber Resh 숭배를 반복적으로 적용하면 그가 다른 관점을 취하도록 유도하고, 그에게 '태양의 관점에서 사물을 보도록' 유도하여 개인의 의식을 확장합니다[...]".[129]

6. 기도와 치유

기도는 질병 예방, 질병 치료, 건강 개선을 위한 신앙 치료의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한다.[139] 기도 효능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방법론적인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134][135][136][137][133][138]

1872년, 프랜시스 골턴은 기도가 외부 환경에 물리적 영향을 미치는지 판단하기 위해 통계 실험을 수행했다. 그는 기도가 효과가 있다면, 영국 왕족이 더 오래 살 것이라고 가설을 세웠으나, 왕족과 일반 인구의 수명에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했다.[134]

일부 연구에서는 기도가 심리적, 신체적 이점을 가져다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146] 센트라 주립 병원의 연구에 따르면, 기도는 스트레스와 불안을 줄이고, 더 긍정적인 전망을 장려하며, 삶에 대한 의지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46] 요가, 태극권, 명상과 같은 다른 활동들도 신체적 및 심리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만, 메이요 클리닉의 2001년 연구를 포함한 여러 연구에서 기도자와 비기도자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발견했다.[144] 2006년 ''미국 심장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대본 기도문을 읽는 기독교 중재 기도가 심장 수술 환자의 회복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133] 이 연구는 오히려 기도를 받는다는 것을 아는 환자가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합병증 발생률이 약간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132][133]

기도를 받는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기운을 북돋아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피험자-기대 효과)[146]

신경 과학을 통해 기도의 물리적 효과를 추적하려는 과학적 움직임도 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부교수인 앤드류 B. 뉴버그는 뇌 스캔을 통해 승려, 신부, 수녀 등의 뇌에서 집중된 주의력과 연민의 영역을 발견했다. 뉴버그는 종교적 소속이 없는 사람들도 형이상학적 관계와 연결함으로써 이점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147]

참조

[1]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Comparative Religion https://books.google[...] 1908
[2] 웹사이트 pray (v.) http://www.etymonlin[...] Online Etymology Dictionary 2014-12-30
[3] 기타 Biblical synonyms or alternatives for προσευχή https://www.bluelett[...]
[4] 기타 Strong's Concordance https://www.bluelett[...]
[5] 간행물 Sacred Movement: Dance as Prayer in the Pueblo Cultures of the American Southwest https://web.archive.[...] Barnard College Department of Dance 2011-10-11
[6] 간행물 How to Pray http://www.omkaranan[...] Omkarananda Ashram Himalayas null
[7] 웹사이트 Judaism: Jewish Rituals and Practices – Jewish Worship and Prayer http://www.religionf[...] ReligionFacts 2013-07-03
[8] 간행물 The Whirling Dervishes of Rumi – Sufism and Dervishes http://www.whirlingd[...]
[9] 웹사이트 Quaker Worship https://web.archive.[...] Quaker Information Center 2008-12-04
[10] 서적 Christian theology Baker Book House
[11] 서적 The New Encyclopedia of Islam
[12] 서적 Prayer: Our Deepest Longing https://books.google[...] Franciscan Media 2023-09-17
[13] 기타 Laudato si' https://www.vatican.[...] 2015-05-24
[14] 웹사이트 Prayer http://www.newadvent[...] Catholic
[15] 서적 Open Mind, Open Heart: The Contemplative Dimension of the Gospel https://books.google[...] A&C Black 2023-09-17
[16] 성경 James 5:14
[17] 웹사이트 The Angelus http://www.mariancat[...] The Marian Catechists 2008-10-06
[18] 웹사이트 Buddhist Art https://web.archive.[...] Pacific Asia Museum 2008-10-06
[19]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Islam https://archive.org/[...] Alpha Books
[20] 서적 Turning Towards the Lord: Orientation in Liturgical Prayer https://books.google[...] Ignatius Press 2023-09-17
[21] 논문 The Book of Common Prayer in Methodism: a Cherished Heritage or a Corrupting Influence? https://journals.ope[...]
[22] 기타 The arts and crafts of our Teutonic forefathers https://archive.org/[...]
[23] 학술지 Cultural Evolution of Behaviour
[24] 웹사이트 Animism Profile in Cambodia https://web.archive.[...] OMF 2008-04-09
[25] 서적 Prayer: A History Mariner Books
[26] 웹사이트 The Homeric Hymn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9-01-14
[27] 웹사이트 Religio Romana http://www.novaroma.[...] Nova Roma 2009-01-14
[28] 서적 Remnants of Early Latin Ginn & Heath
[29] 웹사이트 Indo-European Texts: Old Latin https://web.archive.[...] Linguistics Research Center at UT Austin 2014-05-13
[30] 웹사이트 The Poetic Edda: Sigrdrifumol http://www.sacred-te[...]
[31] 서적 The Concept of the Goddess Routledge
[32] 서적 The saga of the Jómsvíkings University of Texas Press
[33] 서적 Anglo-Saxon Poetry M. Dent & Sons
[34] 서적 Encyclopedia of Medieval Literature Greenwood Publishing Group
[35] 서적 German, a Linguistic History to 1945: A Linguistic History to 1945 Oxford University Press
[36] 서적 Aboriginal Men of High Degree: Initiation and Sorcery in the World's Oldest Tradition Inner Traditions – Bear & Company
[37] 간행물 Prayer stick
[38]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04-16
[39] 문서 Biblical Prose Prayer: As a Window to the Popular Religion of Ancient Israel http://ark.cdlib.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0] 서적 The Portable Atheist: Essential Readings for the Nonbeliever Da Capo Press
[41] 뉴스 In Child Deaths, a Test for Christian Science https://www.nytimes.[...] 1990-08-06
[42] 서적 Mortality Twelve
[43] 서적 The Necessity of Prayer AGES Software
[44] 문서 Guide to the Perplexed 3:51
[45] 문서 "''[[Sefer ha-Ikkarim]]'' 4:18"
[46] 웹사이트 No, Prayer Isn’t Really a Conversation https://www.christia[...] 2023-04-09
[47] 웹사이트 Islam & Christianity 2023-04-09
[48] 웹사이트 RELIGION IN INDIA: TOLERANCE AND SEGREGATION https://www.pewresea[...] 2023-04-09
[49] 서적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http://www.vatican.v[...] Vatican 2021-01-06
[50] 서적 The Darkness of God: Negativity in Christian Mystic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문서 Issues in Science and Religion Prentice-Hall
[52] 웹사이트 Gestures of Worship: Relearning Our Ritual Language https://www.catholic[...] 2023-04-09
[53] 문서 Issues in Science and Religion Prentice-Hall
[54] 문서 Issues in Science and Religion Prentice-Hall
[55] 간행물 The rhetoric of experience and the study of religion 2000
[56] 간행물 Buddhist Modernism and the Rhetoric of Meditative Experience https://brill.com/vi[...] 2022-03-28
[57] 웹사이트 A Point Of View: The doors of perception https://www.bbc.com/[...] 2022-03-28
[58] 웹사이트 Gen. 25: 21 http://www.biblegate[...] Biblegateway.com 2012-08-26
[59] 웹사이트 Num. 11:2 http://www.biblegate[...] Biblegateway.com 2012-08-26
[60] 웹사이트 1 Samuel 8:6 http://www.biblegate[...] Biblegateway.com 2012-08-26
[61] 웹사이트 Job. 42:10 http://www.biblegate[...] Biblegateway.com 2012-08-26
[62] 웹사이트 Prayer http://www.jewishenc[...]
[63] 문서 Colossians 4:2; 1 Thessalonians 5:17
[64] 문서 1 Corinthians 7:5
[65] 문서 Matthew 6:6
[66] 문서 Matthew 7:7–11; Matthew 9:24–29; Luke 11:13
[67] 문서 James 4:2
[68] 문서 Mark 16:17–18; Matthew 10:8
[69] 문서 1 Thessalonians 5:17
[70] 영상 Why Tefilah Doesn't Mean Prayer: Redefining our Relationship with G-d http://www.ou.org/to[...] Orthodox Union 2010-09-14
[71] 웹사이트 Jewish Practice " Mitzvahs & Traditions " Prayer " Insights – Talking With G‑d http://www.chabad.or[...] Chabad.org null
[72] 웹사이트 The Kabbalah of Prayer http://www.chabad.or[...]
[73] Bible
[74] 서적 Examining Religions: Christianity Foundation Edition 1999
[75] 서적 The Early Church Penguin 1993
[76] 서적 The Early Church: History and Memory A&C Black 2010-02-17
[77] 웹사이트 '"Seven Times a Day I Praise You" – The Shehimo Prayers' http://www.ds-wa.org[...] Malankara Orthodox Diocese of Southwest America 2020-08-02
[78] 서적 A Sketch of Egyptian History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Methuen 1906
[79] 간행물 Middle English Recipes: Genre Characteristics, Text Type Features and Underlying Traditions of Writing
[80] 서적 Understanding Prayer for the Dead: Its Foundation in History and Logic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6-08-04
[81] 서적 Understanding Prayer for the Dead: Its Foundation in History and Logic The Lutterworth Press 2017
[82] 서적 Presence-Centered Youth Ministry: Guiding Students Into Spiritual Formation InterVarsity Press 2006-08-29
[83] Bible
[84]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1999
[85] 웹사이트 Reparation
[86]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1989
[87] 웹사이트 Library – Religion – Christianity – Pentecostalism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mpany
[88] Bible
[89] Bible
[90] 서적 Speaking with Tongues Historically and Psychologically Considered Yale University Press 1927
[91] 서적 Speaking in Tongues: A Cross-Cultural Study in Glossolali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2
[92] 간행물 'Pentecostal Glossolalia toward a Functional Interpretation.' 1969
[93] 서적 Tongues of Men and Angels: The Religious Language of Pentecostalism Macmillan, New York 1972
[94] 간행물 'Pentecostal Glossolalia toward a Functional Interpretation.' 1969
[95] 간행물 Glossolalia: 'A test of the 'trance' and psychopathology hypotheses.' 1979
[96] 서적 Prayer Trustees Under the Will of Mary Baker Eddy, Boston 1934
[97] 웹사이트 Is there no intercessory prayer? http://www.christian[...] 2007-10-13
[98] 서적 Islam and the Secular Stat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06-30
[99] 서적 Muslims in America: A Short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10-01
[100] 웹사이트 Muslim cultures today: a reference guide https://books.google[...]
[101] 웹사이트 Why do we the Shia pray at three times while the Quran tells us to pray at five times? http://www.islamques[...] 2018-10-19
[102] 서적 The great stem of souls: reconstructing Mandaean history Gorgias Press 2010
[103] 서적 The Mandaeans: ancient texts and modern peop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04] 서적 The Canonical Prayerbook of the Mandaeans E. J. Brill
[105] 서적 Mandäische Liturgien Abhandlungen der Königlichen Gesellschaft der Wissenschaften zu Göttingen, phil.-hist. Klasse, NF 17.1. Berlin 1920
[106] 서적 The Mandaeans of Iraq and Iran Oxford At The Clarendon Press 1937
[107] 서적 A Concise Encyclopedia of the Bahá'í Faith https://archive.org/[...] Oneworld Publications
[108] 간행물 Tertullian’s Treatises: Concerning Prayer, Concerning Baptism https://www.logos.co[...] SPCK; Macmillan Co 2023-04-09
[109] 웹사이트 How Does Islam View Baptism? https://aboutislam.n[...] 2023-04-09
[110] 서적 The Aitareya and Kauṣītaki Brāhmaṇas of the Rigveda Harvard University Press 1920
[111] 서적 Selfless Person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2] 서적 A Survey of Buddhism Windhorse Publications
[113] 웹사이트 Buddhist Prayers http://www.sutrasman[...]
[114] 서적 A Dictionary of Buddh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15] 서적 Buddhism: A concise introduction https://www.google.c[...] HarperSanFrancisco
[116] 문서 Smith and Novak (2003) state that "Pure Land Buddhism has entered America almost exclusively from Japan, and the church Shinran founded is the largest Pure Land presence on this continent" (p. 193).
[117] 문서 This quotation is Smith and Novak's paraphrase of Shinran's teaching.
[118] 문서 All About Importance of Prayers in Religion 2016
[119] 서적 Hinduism Today: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0-06-24
[120] 웹사이트 Ardas http://www.sgpc.net/[...] Shiromani Gurdwara Parbandhak Committee
[121] 웹사이트 Learn and recite the Holy Ardas http://new.sgpc.net/[...] Shiromani Gurdwara Parbandhak Committee
[122] 웹사이트 BBC - Religions - Zoroastrian: Worship https://www.bbc.co.u[...] 2021-01-02
[123] 웹사이트 Zoroastrian Worship, Eternal Flame, Prayer http://www.heritagei[...] 2021-01-02
[124] 서적 The Wiccan Prayer Book: Daily 2006
[125] 서적 Aliens Adored Rutgers University Press 2004
[126] 서적 Sensual Meditation Tagman Press 2002
[127] 서적 Eckankar: Ancient Wisdom for Today 1995
[128] 서적 The Magick of Aleister Crowley: A Handbook of the Rituals of Thelema Weiser 2003
[129] 웹사이트 The Point of View of the Sun http://www.erwinhess[...] Erwin Hessle 2019-04-09
[130] 논문 Are there demonstrable effects of distant intercessory prayer? A meta-analytic review. "1" 2006-08
[131] 간행물 A Systematic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on Intercessory Prayer http://www.sagepub.c[...] 2007-03
[132] 뉴스 The Deity in the Data: What the latest prayer study tells us about God http://www.slate.com[...] 2006-04
[133] 논문 Study of the Therapeutic Effects of Intercessory Prayer (STEP) in cardiac bypass patients: a multicenter randomized trial of uncertainty and certainty of receiving intercessory prayer 2006-04
[134] 논문 Statistical Inquiries into the Efficacy of Prayer
[135] 논문 Positive therapeutic effects of intercessory prayer in a coronary care unit population http://www.godandsci[...]
[136] 논문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s of remote, intercessory prayer on outcomes in patients admitted to the coronary care unit.
[137] 논문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distant, intercessory prayer on self-esteem, anxiety, and depression
[138] 간행물 God in the CCU? A critique of the San Francisco hospital study on intercessory prayer and healing http://www.infidels.[...] 1990-03
[139] 뉴스 Pell adamant prayer cures cancer http://www.theage.co[...] 2009-12-21
[140] 논문 Are Prayer-Based Interventions Effective Pain Management Option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22-12-03
[141] blog Skeptico – Prayer still useless http://skeptico.blog[...] 2005-07-20
[142] 간행물 Efficacy of Prayer: A Critical Examination of Claims 2000-03
[143] 학술지 Effects of remote, retroactive intercessory prayer on outcomes in patients with bloodstream infecti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144] 학술지 Intercessory prayer and cardiovascular disease progression in a coronary care unit popul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145] 학술지 Music, imagery, touch, and prayer as adjuncts to interventional cardiac care: the Monitoring and Actualisation of Noetic Trainings (MANTRA) II randomised study
[146] 웹사이트 Mind and Spirit http://www.centrasta[...] CentraState Healthcare System 2006-05-18
[147] 웹사이트 Prayer May Re-Shape Your Brain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09-05-20
[148] 서적 Bioenergy economy: a methodological study on bioenergy-based therapies Xlibris Corporation LLC
[149] 학술지 Does prayer influence the success of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Report of a masked, randomized trial.
[150] 잡지 The Columbia University Study flawed and fraud https://skepticalinq[...] 2004-09
[151] 웹사이트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in the United States https://web.archive.[...] 2004-06-18
[152] 문서 三省堂例解新国語辞典「祈る」の項1
[153] 문서 三省堂例解新国語辞典「祈願」および「祈祷」の項
[154] 서적 日本人の信仰 扶桑社新書
[155] 서적 祈り
[156] 서적 世界の宗教と経典 自由国民社
[157] 성경 新約聖書ローマ人への手紙12章12節など
[158] 성경 新約聖書ローマ人への手紙8章26~27節
[159] 문서 三省堂例解新国語辞典「加持」の項
[160] 문서 三省堂例解新国語辞典「願掛け」の項
[161] 문서 버진 애틀랜틱 항공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