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무 천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이무 천황은 《일본서기》와 《고사기》에 기록된 일본의 제13대 천황으로, 4세기 전반에 야마토에서 통치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그는 게이코 천황의 아들로, 지방 행정 구역을 정비하고 지방 장관을 임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역사적 자료 부족으로 인해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그의 존재를 인정하는 입장과 부정하는 입장이 존재한다. 세이무 천황의 능은 나라현에 있는 사키노 타타나미노 미사사기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4년 출생 - 다케우치노 스쿠네
다케우치노 스쿠네는 일본 게이코 천황부터 닌토쿠 천황까지 5대에 걸쳐 활약한 인물로, 대신으로서 진구 황후의 섭정을 보좌하고 신라와의 관계에 관여했으며, 여러 씨족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충신이지만 실존 여부에 대한 비판도 있다. - 2세기 일본의 군주 - 게이코 천황
게이코 천황은 일본의 제12대 천황으로, 《일본서기》와 《고사기》에 기록되어 있으며 아들 야마토타케루의 활약으로 유명하지만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2세기 일본의 군주 - 히미코
히미코는 3세기경 야마타이국을 다스린 여왕으로, 《삼국지》 위지 왜인전에 기록되어 있으며 주술로 백성을 다스렸다고 전해지지만 실존 여부와 야마타이국의 위치에 대해서는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 - 190년 사망 - 위자 (삼국지)
위자는 후한 말 장막의 부장으로, 조조를 알아보고 동탁 토벌을 지원했으며, 서영과의 전투에서 전사했다. - 190년 사망 - 후한 소제 (13대)
후한 소제는 후한 영제의 아들로 189년에 황위에 올랐지만 동탁에 의해 폐위되어 홍농왕으로 강등되었고, 결국 독살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세이무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 와카타라시히코 (稚足彦尊) |
별칭 | 와카타라시히코노미코토 (稚足彦尊) 와카타라시히코노스메라미코토 (若帯日子天皇) |
출생 | 게이코 천황 14년 (신화의 영역) |
사망 | 세이무 천황 60년, 107세 (신화의 영역) |
능묘 | 사키노타타나미노이케시리 능 (狭城盾列池後陵) |
신상 정보 | |
출생 연도 | 84년 |
사망 연도 | 190년 |
정치 | |
직위 | 일본 천황 |
대수 | 제13대 |
재위 기간 (전통적인 연도) | 131년 - 190년 |
재위 기간 | 세이무 천황 원년 1월 5일 - 세이무 천황 60년 6월 11일 |
이전 | 게이코 천황 |
다음 | 주아이 천황 |
가족 관계 | |
아버지 | 게이코 천황 |
어머니 | 야사카이리히메노미코토(스진 천황 황손) |
배우자 | 오토타카라노 이라쓰메 기비노 이라쓰메 |
자녀 | 와카누케 왕 |
칭호 | |
한풍 시호 | 세이무 천황 (成務天皇) |
화풍 시호 | 와카타라시히코노스메라미코토 (稚足彦天皇) |
기타 | |
수도 | (전승의 시대) |
궁궐 | 시가 다카아나호노미야 |
2. 명칭
- 稚足彦天皇|와카타라시히코노스메라미코토일본어 - 《일본서기》에 따른 일본식 시호[3][4]
- 稚足彦尊|와카타라시히코노미코토일본어 - 《일본서기》에 따름
- 若帯日子天皇|와카타라시히코노스메라미코토일본어 - 《고지키》에 따름
한풍 시호인 "세이무 천황"은 후대에 오미노 미후네가 헌상한 것이다.
3. 생애 및 업적
일본인들은 전통적으로 세이무 천황의 역사적 존재를 인정해 왔으며, 현재 세이무 천황의 능(미사사기)이 관리되고 있다. 위서인 《고지키》와 《일본서기》에 따르면, 세이무 천황은 서기 84년경 八坂入媛命|야사카이리히메일본어에게서 태어났으며, 稚足彦尊|와카타라시히코일본어라는 이름을 받았다.[3][4] 와카타라시히코는 서기 131년에 왕위에 올랐다.
세이무 천황은 지방 정부를 조직하기 위해 최초의 지방 장관과 구역 관리자를 임명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9][10] 당시 황족들은 'wake'로 지정되어 지방의 중요한 지역으로 파견되었으며, 이는 황족의 분가임을 나타냈다.[10] 브링크리와 키쿠치는 이러한 지방 장관 임명이 "궁정의 위신"을 확장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았다. 자격이 있는 사람들은 "공로가 있는 사람들", 황족 또는 원주 부족의 추장들이었다.[10]
기록에 따르면 세이무 천황은 Oho-takara|弟財郎女|오호-타카라일본어라는 아내를 두었는데, 그녀는 'Take-oshiyama-tari-ne'의 딸이었다.[2] 오호-타카라는 황제에게 Prince Wakanuke|和訶奴気王|와카누케 왕일본어이라는 아들 하나를 낳았다. 세이무 천황의 유일한 아들은 어린 나이에 사망한 것으로 보이며, 세이무 천황은 야마토타케루의 아들을 황태자로 임명했다.[5][9] 그의 조카 'Tarashinakatsuhiko'는 나중에 주아이 천황으로 즉위했다.[4] 세이무 천황의 죽음은 전설적인 진무 천황으로부터의 직계 혈통의 종말을 의미하며, 나중에 이어진 다른 분가의 첫 번째 갈래가 되었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세이무 천황의 주요 행적은 다음과 같다.[23]
연도 | 사건 |
---|---|
세이무 천황 4년 | 2월, 국군에 수장을 임명하는 조서를 내림 |
세이무 천황 60년 | 6월, 붕어, 향년 107세 (『고지키』에서는 95세) |
3. 1. 출생과 즉위
게이코 천황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미노국 출신의 야사카이리히메노미코토(스진 천황의 증손)이다.[18] 게이코 천황 46년에 24세로 태자가 되었고, 부황이 붕어한 다음 해에 즉위했다.『일본서기』에 따르면 출생과 즉위 과정은 다음과 같다.[23]
연도 | 사건 |
---|---|
게이코 천황 14년 | 탄생 |
게이코 천황 51년 | 8월 4일, 37세에 황태자에 책봉됨 |
게이코 천황 58년 | 2월, 게이코 천황이 오미국으로 행차. 시가 높은 구멍 보금자리에 체재한 지 3년 |
게이코 천황 60년 | 11월, 게이코 천황 붕어 |
세이무 천황 원년 | 1월, 시가 높은 구멍 보금자리에서 즉위 |
3. 2. 통치 및 지방 행정 정비
세이무 천황 즉위 3년, 다케우치노 스쿠네를 대신으로 임명했다.[18]즉위 5년 9월, 여러 나라에 명령하여 행정 구획으로 국군(くにこおり)・현읍(あがた むら)을 정하고, 각각에 국조(くにのみやつこ)・이나기 등을 임명하여 지방 행정 기구를 정비했다.[18] 산과 강을 경계로 국현을 나누고, 천맥(남북 동서의 길)에 따라 읍리(むら)를 정했다. 이로써 백성들은 편안하게 살았으며, 천하가 태평했다고 한다.
이러한 내용은 『고사기』에도 대체로 비슷하게 나타나 있는데, "다케우치노 스쿠네를 대신으로 삼아 대국・소국의 국조를 정했으며, 또한 나라들의 경계, 또한 대현 소현의 현주를 정하셨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3. 3. 황태자 책봉과 사망
세이무 천황은 즉위 48년에 형인 야마토타케루의 둘째 아들인 조카 아시나카히코노 미코토(후의 주아이 천황)를 황태자로 세웠다.[23]즉위 60년 6월에 붕어하였다.[23] 향년 107세였다. (《고사기》에서는 95세).[23]
4. 가족 관계
- 아버지 : 게이코 천황
- 어머니 : 야사카이리비메노미코토
- 비 : 오토타카라노이라쓰메(弟財郎女) (호즈미 씨의 시조인 타케오시야마타리네의 딸)[2]
- * 장남 : 와카누케노미코[2]
- 비 : 키비노이라쓰메(吉備郎姫) (와카야마토네코노미코의 딸, 천황의 조카)
《일본서기》에는 후비 및 황자녀에 대한 기재가 없다.
5. 무덤과 기념 시설
세이무 천황의 실제 묘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나라에 있는 기념 신토 신사(''미사사기'')에서 세이무 천황을 숭배한다.[6][15] 궁내청은 이 장소를 세이무 천황의 능으로 지정했으며, 공식적으로 '사키노 타타나미노 미사사기'라고 불린다.[6][15]
능(미사사기)의 명칭은 '''사키 타테나미노이케지리 능'''(さきのたたなみのいけじりのみささぎ)이다. 궁내청에 의해 나라현나라시 산릉정(山陵町)에 있는 유적명 "사키이시즈카야마 고분"으로 지정되어 있다. 분구 길이 218m의 전방후원분이다. 궁내청상의 형식은 전방후원이다.
『일본서기』에는 "협성순열릉(狭城盾列陵)", 『고사기』에는 "사기지다다나미(沙紀之多他那美)", 『부상략기』에는 "지후산릉(池後山陵)", 『백련초』에는 "순열산릉(盾列山陵)"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연희식』제릉료에는 "조역(兆域) 동서 일정(町), 남북 삼정, 수호(守戶) 5연(烟)"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부상략기』에 따르면, 강평 6년(1063년) 3월 흥복사(興福寺)의 승려 정범 등이 산릉을 발굴하여 보기를 영득했고, 5월 산릉사가 파견되어 보기는 반납되었으며, 사건에 관련된 17명은 이즈국 등으로 유배되었다. 이 외에도 곡옥 등이 도굴되는 피해를 입었다.
헤이안 시대 초기의 조화(承和) 무렵에는 이미 진구 황후릉으로 여겨졌다. 이는 능호 중 뒤의 문자를 시리(シリ)라고 읽는 것을 꺼리고, 가미(カミ)라고 하여, 진구 황후릉릉호와 혼동된 것 때문이라고 한다(와다 에이쇼). 후에 능의 소재를 잃었지만, 겐로쿠 이후 많은 설이 세이무릉으로 현재의 땅을 추정했고, 막말의 수릉 때 크게 수리가 가해졌으며, 준공에 즈음하여 게이오 원년, 히로하시 우에몬노카미가 파견되어 봉폐가 행해졌다.
또한 황거에서는, 황령전(궁중삼전 중 하나)에서 다른 역대 천황·황족과 함께 천황의 영이 모셔져 있다.
6. 궁
도읍은 시가 고아나호노미야 (현재의 시가현오쓰시아나오)이다. 『일본서기』에는 도읍에 대한 기재는 없지만, 선대인 게이코 천황의 행궁이 그대로 궁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지키』에는 "와카타라시히코 천황, 가까운 아와우미의 시가노 고아나호노미야에 앉아 천하를 다스리셨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와카타라베"가 미노국에 있었던 것이 다이호 2년(702년)의 호적에 나타난다.[19] 세이무 천황을 허구로 보는 입장에서는 덴지 천황의 오미궁의 모델을 과거에 투영한 창작으로 본다.
7. 역사적 실존 논쟁
일본인들은 전통적으로 세이무 천황의 역사적 존재를 인정해 왔으며, 현재 나라에 있는 세이무 천황의 능(미사사기)이 관리되고 있다. 궁내청은 이 장소를 ''사키노 타타나미노 미사사기''라고 공식 명칭을 부여했다.[6][15] 그러나 세이무 천황은 추가적인 검증 및 연구에 필요한 자료가 부족하여 역사가들 사이에서 "전설적인 천황"으로 여겨지며, 그의 존재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11]
만약 세이무가 실제로 존재했다면, 그의 재위 기간 동안 "천황"이라는 칭호가 사용되었다는 증거는 없다. 그는 족장이나 지역 씨족 지도자였을 가능성이 훨씬 더 높으며, 그가 통치했던 정치체는 오늘날 일본의 작은 부분만을 포함했을 것이다.[12] 세이무라는 이름은 후대 사람들이 그에게 사후에 붙였을 가능성이 높다.[13] 그의 이름은 세이무의 생애로 여겨지는 시기보다 수 세기 후에 정형화되었을 수 있는데, 아마도 오늘날 ''고지키''로 알려진 황실의 기원에 대한 전설이 편찬되었을 때일 것이다.[12]
세이무 천황 관련 정보는 위서인 《고지키》와 《일본서기》에서 가져온 것으로, 이들은 통틀어 '일본 연대기'로 알려져 있다. 이 연대기에는 전설과 신화,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과장 및/또는 왜곡되었을 수 있는 잠재적인 역사적 사실들이 포함되어 있다. 기록에 따르면 세이무 천황은 서기 84년경 八坂入媛命|야사카이리히메일본어에게서 태어났으며, 稚足彦尊|와카타라시히코일본어라는 이름을 받았다.[3][4]
세이무 천황은 최초의 지방 장관과 구역 관리자를 임명하여 지방 정부를 조직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9][10] 당시 황족들은 지방의 중요한 지역으로 파견되었으며, 이들은 'wake'로 지정되어 황족의 분가임을 나타냈다.[10]
7. 1. 비실존설
세이무 천황은 실존 여부에 대해 학자들 사이에서 의견이 갈리는 인물로, 통설에서는 실존성이 낮은 천황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24] 고고학적으로도 그의 실존을 뒷받침할 만한 증거는 없다.[25]- 업적 부족: 세이무 천황의 재위 기간은 60년으로 알려져 있으나, 즉위 6년부터 60년까지 기록된 업적은 주아이 천황을 황태자로 임명한 것과 지방 행정 구역을 고쿠조(국조)와 아게누시(현주)의 2단계로 정리한 것 두 가지뿐이다. 이는 그의 업적이 매우 적다는 것을 보여준다.
- 조카 주아이 천황 관련 기록: 조카인 주아이 천황을 황태자로 세운 기록은 주아이 천황, 그의 아버지 일본무존, 그의 아내 진구 황후를 실존 인물로 만들기 위해 후대에 추가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한, 이 기록은 게이코 천황부터 오진 천황 이후의 황실 계보를 확립하기 위한 의도였을 수도 있다.
- '타라시히코' 칭호: 세이무 천황의 이름은 '와카타라시히코'인데, '타라시히코'라는 칭호는 12대 게이코, 13대 세이무, 14대 주아이 천황 3명의 천황과 7세기 전반에 재위했던 34대 조메이 천황, 35대 사이메이 천황(37대 사이메이)도 가지고 있다. 이는 '타라시히코' 칭호가 7세기 전반의 것이며, 12대 게이코, 13대 세이무, 14대 주아이는 후대에 만들어진 인물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 고쿠조 제도: 세이무 천황이 행정 구역을 정비하고 고쿠조(국조)를 조직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당시에는 고쿠조 제도가 존재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 시가 다카아나호노미야: 세이무 천황이 즉위했다고 알려진 시가 다카아나호노미야에서는 고고학적 유구가 전혀 발견되지 않아 세이무 천황의 실존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7. 2. 실존설
여러 호족의 계보에서 세이무 천황 시대에 활동했거나 국조로 임명된 인물들의 이름이 나타난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29] 왜국조, 가쓰라기 국조, 이무베 씨, 오토모 씨, 나카토미 씨, 모노노베 씨, 미와 씨, 미카미 씨, 하지 씨, 아소 씨, 카네사시 씨, 무사시 국조 등 여러 호족의 계보에서 세이무 천황 시대 활동 인물이나 국조 임명자의 이름이 확인된다.[29] 이러한 여러 씨족의 계통 및 세대 관계를 고려할 때, 세이무 천황의 실존을 부정하기는 어렵다.[29]'타라시히코'라는 칭호가 7세기 천황과 같다는 이유만으로 세이무 천황의 존재를 부정할 수는 없다.[30] '와카타베' 등의 존재가 확인되었고, '타라시'가 오래된 역사를 가진 칭호일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천황 칭호가 후대에 조작되었다고 단정할 수 없다.[30]
세이무 천황이 최초로 지방 장관과 구역 관리자를 임명하여 지방 정부를 조직한 것은[9][10] 중앙집권화의 초기 단계로 볼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Genealogy of the Emperors of Japan
http://www.kunaicho.[...]
2019-07-31
[2]
서적
Transactions of the Asiatic Society of Japan, Volumes 9-10
https://books.google[...]
Asiatic Society of Japan
2019-08-01
[3]
서적
Memoirs of the Research Department of the Tōyō Bunko (the Oriental Library), Issues 32-34
https://books.google[...]
Tōyō Bunko
2019-08-01
[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Japan to 1945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5]
서적
Himiko and Japan's Elusive Chiefdom of Yamatai: Archaeology, History, and Myth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9-08-01
[6]
웹사이트
成務天皇 (13)
http://www.kunaicho.[...]
2019-07-31
[7]
서적
Nihon Ōdai Ichiran
https://books.google[...]
Royal Asiatic Society, Oriental Translation Fund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8]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https://books.google[...]
Ponsonby Memorial Society
[9]
서적
"The Chrysanthemum Throne: A History of the Emperors of Jap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9-07-31
[10]
서적
A History of the Japanese Peopl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the Meiji Era
https://archive.org/[...]
Encyclopaedia Britannica Company
2019-08-01
[11]
웹사이트
Kofun Culture
http://www.t-net.ne.[...]
2019-07-31
[12]
서적
Nihongi: Chronicles of Japan from the Earliest Times to A.D. 697, Volume 2
https://books.google[...]
The Japan Society London
1896
[13]
서적
"A History of the Japanese Peopl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the Meiji Era"
https://archive.org/[...]
Encyclopaedia Britannica Company
[14]
서적
Kojiki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08-01
[15]
서적
"Studies in Shinto and Shrines"
Ponsonby-Fane Society Publications
[16]
서적
A Translation and Study of the Gukanshō, an Interpretative History of Japan Written in 1219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
서적
"Japanese Politics: Fixed and Floating Worlds"
https://books.google[...]
Prentice Hall
[18]
문서
直木(1979)p.125
[19]
문서
直木(1979)p.125
[20]
웹사이트
天皇陵
https://www.kunaicho[...]
宮内庁
[21]
간행물
陵墓要覧
宮内省諸陵寮編
[22]
서적
陵墓地形図集成 縮小版
学生社
[23]
서적
日本書紀(二)
岩波書店
[24]
서적
日本の歴史1
中公文庫
[25]
서적
近江・大津になぜ都は営まれたのか?
大津市歴史博物館
[26]
서적
国史大辞典8
吉川弘文堂
[27]
서적
日本の歴史〈1〉神話から歴史へ (中公文庫)
[28]
서적
古事記日本書紀を知る事典
東京堂出版
[29]
논문
第一章 戦後の神武天皇
青垣出版
[30]
논문
第一章 戦後の神武天皇
青垣出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