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인트 패트릭 대성당 (더블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은 더블린에 위치한 국립 대성당으로, 아일랜드 성공회의 12개 교구에서 성직자를 불러들인다. 1191년 대학교회로 승격되었으며, 1300년 크라이스트 처치 대성당과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협정(Pacis Compositio)을 체결했다. 1713년부터 1745년까지 조나단 스위프트가 교구장을 역임했으며, 1871년 아일랜드 교회 분리 이후 국립 대성당으로 지정되었다. 현재 아일랜드의 현충일 행사와 캐롤 서비스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며, 500명 이상의 인물이 대성당 내에 매장되어 있다. 대성당은 4,000개 이상의 파이프를 가진 오르간과 아일랜드에서 가장 무거운 체인지 링잉 종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더블린의 대성당 - 성 마리아 임시 대성당
성 마리아 임시 대성당은 1815년 더블린에 세워진 아일랜드 가톨릭교회의 건축물로, 종교 개혁 이후 대성당을 갖지 못했던 아일랜드 가톨릭 신자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국가 의례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팔레스트리나 성가대 활동, 오르간 설치, 존 토마스 트로이 등의 안장 등의 역사를 가진 임시 대성당이다. - 아일랜드의 성공회 대성당 -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 (더블린)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은 1028년경에 설립되어 아일랜드 성공회 남부 관구의 대성당이며,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가장 큰 지하 묘지와 20개의 종을 갖추고 있다.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 (더블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공식 명칭 |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 |
다른 이름 | 아일랜드 국립 대성당 |
위치 | 패트릭 스트리트, 더블린 8 |
좌표 | 53 |
상세 정보 | |
국가 | 아일랜드 |
교단 | 아일랜드 교회 |
교파 | 광교회 |
이전 교단 | 로마 가톨릭교회(1191–1540) |
웹사이트 | https://www.stpatrickscathedral.ie/ |
언어 | 영어 |
봉헌 | 성 파트리치오 |
건축 양식 | 고딕 건축 |
설립 연도 | 1191년 |
설립자 | 존 코민 |
완공 연도 | 1191년 |
길이 (내부) | 87 미터 |
길이 (외부) | 91.4 미터 |
너비 (트랜셉트) | 48.8 미터 |
네이브 너비 | 20.7 미터 |
첨탑 수 | 1개 |
첨탑 높이 | 68.6 미터 |
바닥 면적 | 1979 제곱미터 |
교구 | |
교구 | 더블린 및 글렌달로 |
관구 | 더블린 |
주요 인물 | |
관련 인물 | 조너선 스위프트 |
담당자 | |
학장 | W. W. Morton |
찬트레 | P. R. Campion |
총장 | N. J. Sloane |
재무 | D. A. Pierpoint |
교구 관리인 | L. Parminter |
경영 관리자 | G. Woods |
오르간 연주자 및 합창단 지휘자 | S. Nicholson |
오르간 연주자 | D. Leigh |
2. 역사적 배경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은 더블린 성공회 대주교의 좌가 크라이스트 처치 대성당에 있어 주교좌가 아니다. 1870년 이후, 아일랜드 성공회는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을 아일랜드 전체를 위한 국립 대성당으로 지정하고, 12개 교구에서 성직자를 불러들였다. 1219년부터 주임 사제 직위가 존재해 왔으며, 가장 유명한 주임 사제는 조나단 스위프트였다.
1300년, 두 대성당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체결된 "팍스 콤포시티오(Pacis Compositio)" 협약은 1870년까지 법적 효력을 유지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항 | 내용 |
---|---|
1 | 더블린 대주교 서임 및 임명식은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에서 거행한다. (단, 기록에 따르면 반드시 지켜지지는 않았다.) |
2 |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은 교구의 본산이자 상위 대성당으로서 형식적인 우선 순위를 갖는다. |
3 |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은 사망한 각 더블린 대주교의 십자가, 미트라, 반지를 소장한다. |
4 | 사망한 더블린 대주교의 유해는 본인의 의사가 없는 한 두 대성당에 교대로 매장한다. |
5 | 교구에 보내는 성유 축성은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에서 거행한다. |
6 | 두 대성당은 하나로 행동하고 특권도 동등하게 분배한다. |
2. 1. 초기 역사 (1191년 ~ 1270년)

1192년, 최초의 앵글로-노르만계 더블린 대주교인 존 코민은 더블린에 있는 4개의 켈트족 교구 교회 중 하나를 대학교회(Collegiate Church)로 승격시켰다. 이 교회는 성 파트리치오의 우물 옆, 포들 강의 두 지류 사이에 있는 섬에 위치해 있었다.[5] 새로운 대학교회는 도시 경계 밖에 있었으며, 이로 인해 대주교의 세속적 관할 하에 있는 곳을 포함하여 두 개의 새로운 시민 구역이 생겨났다. 교회는 1191년 3월 17일에 "하느님, 복되신 성모 마리아와 성 패트릭"에게 봉헌되었다.[5]
코민의 1191년 또는 1192년 헌장에서는 세 명의 특별한 지위(재무, 선창자, 재무)를 가진 13명의 수도 참사회원으로 구성된 교회를 허용했으며, 이는 1년 이내에 교황 칙서(교황 첼레스티노 3세)에 의해 확인되었다. 13명의 수도 참사회원에게는 대주교 영지가 제공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대성당 인근에는 대주교의 자리인 세인트 세풀처 궁전을 포함한 건물 단지가 세워졌고, 법적 관할권은 대성당 주변의 학장 관할 구역과 인접한 대주교의 더 큰 관할 구역으로 나뉘었다.
기존의 대성당이 있는 도시에서 교회가 어떻게 대성당으로 승격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이는 아마도 1192년 이후였을 것이다. 코민의 후임자인 헨리 드 런드레스 대주교는 1212년 크라이스트 처치 대성당과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의 참사회에 의해 선출되었으며, 이러한 선출은 교황 인노첸시오 3세에 의해 인정되었다. 헨리는 1218년과 1220년 사이에 대성당과 참사회에 여러 개의 헌장을 더 수여했으며, 1220년 헌장 중 하나는 대성당을 이끌 학장의 직책을 만들었고,[6] 선출 권한은 참사회의 캐논에게만 할당되었다.
현재 건물의 기초는 아일랜드에서 가장 큰 교회로, 1191년에서 1270년 사이에 건설되었지만, 세례당 외에는 초기 작업의 흔적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이 작업의 상당 부분은 잉글랜드 국왕의 친구이자 마그나 카르타 서명자였으며 더블린 시 성벽과 더블린 성 건설에도 참여했던 런던의 헨리가 감독했다.
헨리 3세 국왕의 1225년 칙령에 따라 4년 동안 섬 전역에서 재건을 위한 기부를 받을 수 있었고, 초기 영국 고딕 양식으로 된 이 작업은 1254년 재봉헌까지 계속되었다. 성모 예배당은 1270년경에 추가되었다.[7]
2. 2. 두 대성당 문제와 Pacis Compositio (1300년)

더블린에 두 개의 대성당이 존재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47]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은 수도회 밖(종교적인 규칙, 즉 수도회나 규칙의 일원이 아닌 교구 성직자)의 성직자에 의해 (수도원 규칙에 의해 관리되는)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을 대체하기 위해 설립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 설립 이후 수십 년 동안 두 대성당 사이에 상당한 긴장과 대립이 지속되었다. 1300년,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6가지 조항으로 구성된 "팍스 콤포시티오(Pacis Compositio)" 협약이 체결되었다. 이 협약은 1870년까지 법적 효력을 유지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항 | 내용 |
---|---|
1 | 더블린 대주교의 서임 및 임명식은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에서 거행한다. (단, 기록에 따르면 반드시 지켜지지는 않았다. 많은 대주교 임명에서 양쪽에서 거행되었으며, 적어도 2건은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에서만 거행되었다.) |
2 |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은 교구의 본산이자 상위 대성당으로서 형식적인 우선 순위를 갖는다. |
3 |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은 사망한 각 더블린 대주교의 십자가, 미트라, 및 반지를 소장한다. |
4 | 사망한 더블린 대주교의 유해는 본인의 의사가 없는 한 두 대성당에 교대로 매장한다. (즉,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에 1명이 매장되면 다음 대주교는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에 매장된다.) |
5 | 교구에 보내는 성유 축성은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에서 거행한다. |
6 | 두 대성당은 하나로 행동하고 특권도 동등하게 분배한다. |
이후 수세기 동안, 아일랜드 국교회가 폐지될 때까지 두 대성당은 교구 내에서 함께 기능했다. 현재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은 더블린 및 글렌덜로흐 교구의 대성당으로,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은 국립 대성당으로 지정되었다.
2. 3. 중세 후기 (14세기 ~ 16세기)
1300년대 중반부터 500년 동안, 건물의 북쪽 익랑은 성 니콜라스 외부의 교구 교회로 사용되었다.[42] 화재 이후, 탑(마이노트의 탑)과 서쪽 본당은 1362년부터 1370년 사이에 재건되었다.매우 초창기부터 이 교회는 포들 강 지류로 인한 침수 문제에 시달렸고, 몇몇 홍수, 특히 18세기 후반에는 심각한 홍수가 발생했다.[43] 20세기에도 지하수면이 바닥에서 약 2.29m 이내에 있었고, 이 대성당에는 지하 묘지나 지하실은 존재할 수 없었다.[44]
2. 4. 종교 개혁과 그 이후 (16세기 ~ 17세기)
영국 종교 개혁(1536년 ~ 1564년) 이후,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은 성공회 (아일랜드 교회) 소속이 되었다.[11] 1530년대 토마스 크롬웰 휘하의 병사들이 성당 내 조각상들을 훼손했고, 방치로 인해 1544년 본당이 붕괴되었다.에드워드 6세 치하에서 대성당은 공식적으로 폐지되고 교구 교회로 강등되었다. 건물 일부는 법원으로 사용되었고, 성당 문법 학교는 당시 목사관에 설립되었으며, 대주교의 궁전이 아일랜드 총독에게 이전된 후 학장은 대주교에게 주어졌다. 1549년에는 벽을 다시 칠하고 성경 구절을 새기도록 명령했다.
1555년, 필리프 2세와 메리 1세의 헌장으로 대성당의 특권이 회복되고[11] 복원이 시작되었다. 1560년, 더블린 최초의 공공 시계 중 하나가 "성 패트릭 첨탑"에 세워졌다.
17세기 초, 레이디 채플은 폐허가 되었고, 성가대 동쪽 끝의 아치는 널빤지와 석고 파티션 벽으로 막혔다. 올리버 크롬웰의 아일랜드 정복 기간 동안, 영국 연방의 호국경은 대성당 본당에 말을 묶어두었다. 이는 크롬웰이 가톨릭교 및 정치적 왕당파와 연관시킨 성공회 종교에 대한 그의 불경함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
1660년 왕정 복고 이후, 건물 수리가 시작되었다. 1666년, 대성당 참사회는 프랑스 위그노들에게 레이디 채플 사용을 제안했고, 1816년까지 'L'Eglise Française de St Patrick'으로 사용되었다. 1668년 ~ 1680년대, 지붕 교체, 부벽 설치, 서쪽 창문 교체, 성가대 개혁 등 대대적인 보수 공사가 진행되었다.
1688년 ~ 1690년 윌리엄 전쟁 동안 제임스 2세와 가톨릭교도들이 잠시 대성당을 재점유했으나, 보인 전투에서 제임스가 패배하고 윌리엄파가 승리하면서 대성당은 다시 성공회 소유가 되었다.
2. 5. 18세기와 조나단 스위프트
대성당은 오랜 역사 동안 아일랜드의 삶에 많은 기여를 해왔으며, 이와 관련된 중요한 측면 중 하나는 작가이자 풍자가인 조나단 스위프트와 관련이 있다. 걸리버 여행기의 작가인 그는 1713년부터 1745년까지 대성당의 교구장이었다. 그의 유명한 설교와 드레이피어의 편지를 포함한 "아일랜드 팜플렛" 중 다수가 교구장 재임 기간 동안 행해졌다.[13]그의 묘와 묘비명은 친구 스텔라(에스터 존슨)와 함께 대성당에서 볼 수 있다. 스위프트는 건물, 예배, 음악, 그리고 현재 사회 복지라고 불리는 것에 큰 관심을 기울여 가난한 여성을 위한 자선 시설과 성 패트릭 병원을 후원했다.
1432년에 설립된 성가대 학교는 1742년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의 메시아 초연에 참여할 많은 단원을 제공했다.
1749년, 조지 셈플에 의해 대성당 첨탑이 추가되었으며, 이는 더블린의 랜드마크 중 하나로 남아있다.
1792년, 남쪽 벽의 상태가 좋지 않아 예배가 잠시 중단되었다. 당시 남쪽 벽은 수직에서 60cm 벗어나 있었고, 지붕의 일부도 좋지 않았다.
1783년부터 1871년까지 대성당은 성 패트릭 훈장의 예배당으로 사용되었으며, 그 회원들은 성 패트릭 기사단이었다. 1871년 아일랜드 교회의 해체로 인해, 임명식은 더블린 성 성 패트릭 홀로 옮겨졌다. 변경 당시 기사단의 문장 배너는 오늘날까지 성가대석 위에 걸려 있다.
2. 6. 19세기와 대규모 복원
1805년까지 북쪽 익랑은 폐허가 되었고, 남쪽 익랑은 상태가 좋지 않았다. 뼈대 지지대로 지탱된 본당 지붕에 긴급한 작업이 수행되었다.[14] 1846년, 성 패트릭 대성당의 학장 직위는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의 학장 직위와 통합되었으며, 이 상황은 1872년까지 법적으로 지속되었다.파켄햄 학장(1843–1864)의 지휘 아래 주요 복원 시도가 시작되었지만, 열악한 경제 상황으로 인해 제한되었다. 레이디 예배당이 복원되었고, 바닥(당시에는 몇 미터 높이로 올라갔음)은 원래 수준으로 낮아졌으며, 다른 긴급한 문제들도 최소한 부분적으로 해결되었다.
19세기 중반, 켈트 십자가가 대성당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이것은 보존되었으며, 이전 성스러운 우물의 위치를 표시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1860–65년 벤자민 기네스가 자금을 댄 주요 재건축은 대성당이 붕괴될 위험에 처했다는 두려움에서 영감을 받아, 현재 건물과 장식의 상당 부분이 빅토리아 시대에서 유래되었음을 의미한다. 다른 조치들과 함께 중세 시대의 찬트리가 제거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작업 기록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재건축으로 대성당의 생존이 보장되었지만, 재건축 규모에 대한 기록 보존 실패로 인해 현재 건물의 어느 부분이 진정으로 중세 시대의 것이고, 얼마나 많은 부분이 빅토리아 시대의 모방인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JH 폴리 경의 동상은 남쪽 문 밖에 있다. 그의 아들 아서 기네스 (역시 양조업자)는 '레베카'가 우물가에 있는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을 기증했을 때 유머러스하지만 부드러운 비판을 받았다. 그의 좌우명은 '나는 목마르니 너희가 마실 것을 주었느니라'였다. 1901년 그의 아들 에드워드 세실 기네스는 낡은 주택 지역에서 인접한 "세인트 패트릭 공원"을 만들었고 대성당에 새로운 종을 기증했다.
대성당에 대한 또 다른 큰 변화는 1871년에 발생했다. 아일랜드 교회의 분리 이후, 새로 독립한 교회는 일반 종교 회의에서 마침내 "두 대성당" 문제를 해결하여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을 더블린 교구의 유일하고 논쟁의 여지가 없는 대성당으로 만들고 성 패트릭 대성당을 국립 대성당으로 만들었다.
3. 현대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은 여러 공공 국가 행사를 개최하는 장소이다. 매년 11월에는 영국 왕립 재향 군인회가 주최하고 아일랜드 대통령이 참석하는 아일랜드의 현충일 행사가 열린다.[15] 또한, 매년 12월 24일을 포함하여 12월에 두 번 9개의 일과 성가(en) 봉사가 열리는데, 이는 더블린 생활의 다채로운 볼거리이다.
더글러스 하이드와 어스킨 차일더스 두 아일랜드 대통령의 장례식은 각각 1949년[17]과 1974년에 이곳에서 거행되었다. 하이드 대통령의 장례식 당시, 노엘 브라운을 제외한 아일랜드 정부와 야당 인사들은 모두 교회 로비 밖에서 대기했고, 차일더스 역시 제외되었다. 이는 당시 교황청이 가톨릭 신자가 다른 기독교 교회에 들어가는 것을 금지했기 때문이다. 차일더스 대통령은 재임 중 사망했기 때문에 그의 국장은 성대하게 치러졌다. 벨기에 국왕 보두앵 1세, 미국 부통령 스피로 애그뉴(리처드 닉슨 대통령 대리), 루이스 마운트배튼 백작(엘리자베스 2세 대리), 영국 총리 해럴드 윌슨과 전 총리 에드워드 히스 등이 참석했다.
2006년에는 망명자 보호를 요구하는 18명의 아프간 난민 단체가 대성당을 며칠 동안 점거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들은 문제없이 떠나는 것으로 설득되었다.[19]
4. 관리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은 더블린 성공회 대주교의 좌가 크라이스트 처치 대성당에 있기 때문에 주교좌 성당이 아니다. 1870년, 아일랜드 성공회는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을 아일랜드 전체를 위한 국립 대성당으로 지정하고, 12개 교구에서 성직자를 불러들였다. 주임 사제는 대성당의 관할권자이며, 1219년부터 이 직위가 존재해왔다. 가장 유명한 주임 사제는 조나단 스위프트였다.[38]
1192년, 최초의 더블린 대주교였던 존 코민은 4개의 켈트계 교구 교회 중 하나를 성 파트리치오에게 헌정된 칼리지 스쿨(collegiate church, 성당 참사회가 관리하는 교회)로 승격시켰다. 이 교회는 포들 강(en)의 두 지류 사이에 위치해 있었고, 성 파트리치오의 성스러운 우물 옆에 있었다.[39] 이로 인해 교회는 성직자들과 함께 학문과 숭배에 힘쓰게 되었다. 새로운 칼리지 스쿨은 기존 더블린 시 경계를 넘어섰고, 이로 인해 새로운 두 개의 도시 영역이 생겨났다. 1192년 3월 17일, 교회는 헌정 대상을 "신, 우리의 복되신 성모 마리아와 성 파트리치오"로 정했다.[39]
1191년 또는 1192년에 발행된 코민의 설립 인가장은 13명의 정규직 성직자와 세 명의 특별 고위 성직자(재상(Chancellor), 선창자(Precentor), 재무(Treasurer))를 인정했으며, 켈레스티누스 3세에 의해 승인되었다. 13명의 수품 성직자는 대주교의 토지에서 제공된 교회를 부여받았다.[40]
시간이 흐르면서, 건물 전체는 대성당에 가까워졌고, 법적 관할권은 대성당 일대의 수석 사제와 그에 인접한 더 큰 대주교의 관할권으로 분할되었다.
교회가 대성당으로 승격된 정확한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1192년 이후에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코민의 후임 대주교인 런던의 헨리는 1212년에 크라이스트처치와 성 파트리치오 두 성당 참사회에 의해 선출되었고, 인노켄티우스 3세에 의해 승인되었다. 1218년부터 1220년 사이, 헨리는 성 파트리치오 대성당과 그 성당 참사회에 추가적인 설립 인가장을 부여했으며, 그 중 하나인 1220년의 것은 대성당을 이끌기 위한 수석 사제의 직책을 설치하는 것이었고,[40] 선출 권한은 성당 참사회의 카논에게만 할당되었다.
현재 교회의 뿌리가 되는 건축물은 1191년부터 1270년 사이에 건축되었지만, 세례당을 제외하고는 그보다 더 오래된 건축물의 유구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런던의 헨리는 마그나 카르타의 서명인이었고, 더블린 시 벽과 더블린 성 건설에도 참여했다.
1225년 헨리 3세의 명령으로 개축을 위해 4년 동안 섬을 넘어 기부금이 인정되었으며, 초기 잉글랜드 고딕 양식의 건설은 적어도 1254년의 재헌당까지 이어졌다. 1270년경에는 레이디 채플이 추가되었다.[41]
1300년, 더블린 대주교 펠링스는 두 개의 대성당을 통합하기 위한 협정(Pacis Compostio)을 체결했다. 이는 양쪽 모두 주교좌 성당으로 인정받는 두 개의 대성당이 분유하는 형태가 된 권한을 적응시키기 위한 조치였다[42](자세한 내용은 #두 개의 대성당 문제 참조).
thumb의 기념물]]
1300년대 중반부터 500년 동안, 건물의 북쪽 익랑은 성 니콜라스 외부의 교구 교회로 사용되었다. 화재 이후, 탑(마이노트의 탑)과 서쪽 본당은 1362년부터 1370년 사이에 재건되었다.
초창기부터 이 교회는 침수 문제에 시달렸고, 특히 18세기 후반에는 주변의 포들 강 지류에 의해 야기된 홍수가 주목할 만하다. 20세기에도 지하수면이 바닥에서 2m 이내에 있었고,[43] 이 대성당에는 지하 성당이나 지하실은 확실히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것을 말해준다.[44]
잉글랜드의 종교 개혁(1536년부터 1564년까지) 이후, 성 파트리치오는 성공회인 아일랜드 국교회의 대성당이 되었지만, 페일 주변 사람들의 대부분은 로마 가톨릭 신자로 남았다. 징발 기간 동안, 대성당에 보관되어 있던 몇몇 조각상은 토마스 크롬웰이 이끄는 병사들에 의해 훼손되었고, 이후에도 충분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1544년 본당이 붕괴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에드워드 6세 치세 동안, 성 파트리치오 대성당은 공식적으로 억압되었고, 건축물은 교구 교회의 지위로 격하되었다. 은, 보석 및 장식품은 크라이스트처치 수석 사제 및 성당 참사회로 이전되었다. 왕은 건물의 일부를 법원으로 사용하도록 지정했고, 카테드랄 그래머 스쿨(the Cathedral Grammar School)은 당시 교구 목사의 저택에 설립되었으며, 수석 사제의 저택은 대주교에게 주어졌고, 대주교 저택은 아일랜드 총독에게 이전되었다. 1549년에는 벽을 다시 칠하고 거기에 성경의 구절을 새기도록 명했다.
1555년, 펠리페 2세와 메리 1세의 선언으로 대성당의 특권이 회복되었고[45] 복구가 시작되었다. 1558년 4월 27일에 발효된 메리 1세 통치 후기의 공문서는 성 파트리치오의 새로운 수석 사제인 토마스 레베로스와 성당 참사회에, 대성당에 속하는 그리고 크라이스트처치 수석 사제와 성당 참사회가 보유했던 "도구, 가재, 악기 등등"의 반환 또는 수령을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1560년, 더블린 최초의 공공 시계 중 하나가 "성 파트리치오의 첨탑"에 세워졌다.
대성당은 수석사제(Dean)에 의해 이끌어지며, 성당 참사회 전체에 의해 통치된다. 성당 참사회의 기초 및 규칙은 1191년에 만들어져 1192년 교황 첼레스티노 3세에 의해 승인된 설립 인가장에 기인한다. 성당 참사회의 멤버는 아일랜드 성공회 전체를 어느 정도 나타내며, 몇몇은 4명의 특별 고위 성직자 혹은 24명의 성당 참사회원(임기제 22명, 타 교파 2명)의 일부이다. 성당 참사회원 의자 중 하나는 더블린 대주교에게 할당되어 있지만, 수석사제의 선출에 대해서만 적극적으로 사용된다.
4. 1. 학장과 참사회
대성당은 학장이 이끌고, 전체 참사회가 운영한다. 참사회는 1191년 헌장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현재 최대 28명으로 구성된다. 1192년 교황 첼레스티노 3세는 이 헌장을 승인하였다.[20]참사회 구성원은 아일랜드 성공회 전체를 어느 정도 대표하며, 4명의 고위 성직자 혹은 24명의 성당 참사회원 (임기제 22명, 타 교파 2명) 중 한 명이다. 성당 참사회원 의자 중 하나는 더블린 대주교에게 할당되어 있지만, 학장 선출 시에만 사용된다.
13명의 원래 참사회원 중 일부는 나중에 재분배되었고, 새로운 참사회원이 만들어져 대체되었다. 이후 추가적인 참사회원이 임명되었다. 오랫동안 성당 참사회는 4명의 고위 성직자, 더블린 및 글렌달로크 부대주교와 24명의 참사회원으로 구성되었지만, 부대주교는 19세기 후반에 참사회 구성원에서 제외되었다.
참사회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직책 | 설명 | 2008년 12월 기준 |
---|---|---|
수석 사제 (Dean) | 1220년부터 2007년까지 클론달킨 (en)의 성당 참사 회원이었다. 1228년에 탈라 (en)의 교회가 수석 사제직에 배정되었다. | 로버트 B. 매카시 |
선창자 (Precentor) | 1191년에 러스크(Lusk)의 일부 참사 회원을 부여받았지만, 1218년에 아르드레이(Ardree)의 교회와 더블린의 성 안드레 교회도 부여받았다. 이후 러스크의 일부는 제거되었다. | R. C. 리드 |
상서 (Chancellor) | 1218년부터 2007년까지 핑글라스의 성당 참사 회원이었다. | W. D. 시나몬 (타니 소교구 (en)의 교회 소유 목사) |
회계 (Treasurer) | 발리모어-유스타스 (:en:Ballymore-Eustace)는 클롱켄과 러스크의 일부, 즉 성 오두엔 교회를 대체했다. | 휴버트 세실 밀스 (킬리니 성 삼위일체 소교구의 교회 소유 목사) |
타니 (:en:Taney Parish) | 1191년 설립 인가부터 시작되었다. 1883년에 독립했다. | R. 워렌 (트랄리 (아드퍼트 (en) 주교구)의 교회 소유 목사) |
더블린 주 뉴캐슬 | 1227년부터 성당 참사 회원이었다. | I. E. 엘리스 (다운 주 뉴캐슬(구 드로모어 주교구)의 교회 소유 목사) |
킬맥탈웨이 (Kilmactalway) | 1366년경에 성당 참사 회원이 되었다. | M. S. 라이언 (투암(Tuam 주교구)의 교회 소유 목사) |
소즈 (Swords) | 1191년 설립 인가 이후의 성당 참사 회원이다. | G. J. O. 던스턴 (벨파스트의 성 마태 (코너 주교구)의 교회 소유 목사) |
야고 (Yagoe) | 1191년 이후의 것으로, 600년 이상 동안 아일랜드 귀족 펨브로크 백작 (시작은 윌리엄 마셜) 가문의 추천권을 보유했다. | M. C. 케네디 (아마 주교구 리스나딜(Lisnadill) 및 킬다르톤(Kildarton)의 교회 소유 목사) |
성 오두엔 (St. Audoen) | 200년 이상 회계에 부속되었지만, 1467년에 독립하였다. | J. P. O. 배리 (다운 주교구 콤버(Comber)의 교회 소유 목사) |
클론메신 (Clonmethan) | 1191년 설립 이후의 참사 회원이다. | J. O. 만 (코너 주교구 말론의 교회 소유 목사) |
위클로 | 1300년대부터 1467년까지 글렌덜로크 부대주교에 부속되었지만, 그 이후 독립하였다. | K. J. 스미스 (다운 주교구 뉴터너스의 교회 소유 목사) |
타이모잔 (Tymothan) | 1247년부터 대주교에 부속되었다. 그 후 독립했지만, 국교 폐지까지 종종 공석이 되기도 했다. | D. 윌리엄스 (코크 주교구 킨세일(Kinsale)의 교회 소유 목사) |
멀허더트 (Mulhuddart) | 1230년에는 존재했다. | J. M. 캐터럴 (아마 주교구 모스트림(Mostrim)의 교회 소유 목사) |
캐슬노크 (Castleknock) | 1230년에는 존재했다. | J. N. 배티 (다운 주교구 크리거 (:en:Cregagh)의 교회 소유 목사) |
티퍼 (Tipper) | 1227년부터의 성당 참사 회원이다. | R. S. J. 버크 (미스 주교구 킹스코트(Kingscourt)의 교회 소유 목사) |
타사가드 (Tassagard) | 1227년부터의 성당 참사 회원이다. | L. D. A. 포레스트 (페른스 주교구 성 이든 대성당의 수석 사제) |
던라빈 (:en:Dunlavin) | 1227년에는 성당 참사 회원이 되었다. | A. H. N. 매킨레이 (더블린 주교구 화이트처치(Whitechurch)의 교회 소유 목사) |
메이누스 (:en:Maynooth) | 1248년 이래의 참사 회원이나 추천권은 오랫동안 평신도(모리스 피츠제럴드와 그 후예)가 쥐고 있었다. | V. G. 스테이시 (더블린 주교구 던 레어리(Dun Laoghaire)의 교회 소유 목사) |
호스 (:en:Howth) | 설립 당시의 참사 회원 중 하나였다. | M. S. 하트 (데리 주교구의 레포 부주교이며 돈파나히(Dunfanaghy)의 교회 소유 목사) |
라스마이클 (:en:Rathmichael) | 1227년 이래의 참사 회원이다. | T. R. 윌리엄스 (코너 주교구 성 삼위일체 및 성 실라스와 이마누엘(Holy Trinity and St. Silas with Immanuel)의 교회 소유 목사) |
몬모에노크 (Monmohenock) | 1227년경에는 일반적인 참사 회원이 되었다. | P. H. A. 로렌스 (미스 주교구 줄리안스타운(Julianstown)의 교회 소유 목사) |
티퍼케빈 (Tipperkevin) | 1643년에 한 명으로 구성되기로 결정되었다. | J. W. R. 크로퍼드 (더블린 주교구 성 패트릭 대성당 교구 연합(the St. Patrick's Cathedral Group of Parishes)의 교구 사제(Vicar)) |
도나모어 (Donaghmore) | 1267년부터의 참사 회원이다. | R. T. 길리언 (클로거 주교구 아갈러처(Aghalurcher)의 교회 소유 목사) |
스타고닐 (Stagonil) | 교황 켈레스티누스 3세에 의해 참사 회원으로 임명되었다. | W. 베어레 (리스모어 주교구의 칼테르지 대성당의 수석 사제) |
Cualaun | 참사회에서 더블린 대주교(주교)의 자리이며 수석 사제 선출에만 사용되었다. | 존 네일 (J.R.W. Neill) (대주교) |
클론달킨 (Clondalkin) | 2007년에 수석 사제에서 이관되었으며, 타 교파 성직자 몫(에큐메니즘적인 카논)으로 할당되었다. | 엔다 맥도너 (로마 가톨릭 교회의 성직자이자 연구자) |
핑글라스 (Finglas) | 2007년에 상서에서 이관되었으며, 타 교파 성직자 몫으로 할당되었다. | 케네스 뉴웰 (장로회파 성직자(Minister)) |
4. 2. 교구 그룹 (1970년 ~ 2012년)
1970년부터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 교구 그룹은 더블린 시내 교구 재편의 일환으로 여러 교구를 포함했다.[21] 로버트 맥카시 학장이 2012년 1월 25일 은퇴하면서 이 그룹은 해체되었다.[22]아일랜드 교회 총회 결의에 따라 세인트 캐서린 및 세인트 제임스 교구(세인트 오두언 포함)가 새롭게 만들어졌다. 이 새로운 교구는 세인트 피터, 세인트 매티어스 및 세인트 오두언, 세인트 캐서린 및 세인트 제임스, 그리고 세인트 루크와 세인트 케빈의 각 교구로 구성되어 있다. 담임 사제는 메이누스 부사제인 M. D. 가드너 목사이다.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 교구 연합은 도노어 가에 있는 성 제임스 및 성 캐서린 교회(이전에는 성 빅터 교회)를 운영 교회로 두고 있으며, 이곳이 교구 활동의 중심이다.
4. 3. 현재 직책
직책 | 이름 | 비고 |
---|---|---|
학장 | 윌리엄 모튼 신부 | 데리의 세인트 콜럼바 대성당 전 학장 |
선창자 | 피터 캠피온 신부 | |
재상 | 나이얼 슬론 신부 | |
재무 | A.H.N. 맥킨리 | |
테니 | R. W. 카니 신부 | 킬랄로와 클론퍼트의 부제 |
뉴캐슬 | I. M. 엘리스 신부 | 뉴캐슬(드로모어) 교구 사제 |
킬맥탈웨이 | J.C. 맥휘르터 신부 | |
소드 | G. J. O. 던스탄 신부 | 2011년 9월 현재 아르마 학장 |
야고 | T. S. 포스터 신부 | 2011년 9월 현재 (아르마) |
세인트 오도엔 | 데이비드 옥슬리 신부 | 2011년 9월 현재 산트리, 글라스네빈, 핑글라스 교구 사제 |
클론메탄 | P. K. 맥도웰 신부 | 2007년 7월 현재 발리윌란(코너) 교구 사제 |
위클로 | S. E. 두건 신부 | 2011년 9월 현재 발리홈(다운) 현직자 |
티모탄 | 폴 윌러비 캐논 | 2014년 9월 현재 킬모코모지 교구 연합(코크) 교구 사제 |
멀허다트 | C.W.L. 맥컬리 신부 | 킬모어 부제 |
캐슬노크 | W. P. 휴스턴 신부 | 2015년 12월 현재 캐슬노크(더블린) 교구 사제 |
티퍼 | J. D. M. 클라크 신부 | 2011년 9월 현재 네번(미스) 교구 사제 |
타사가드 | S. 맥베이 신부 | M.B.E. |
던라빈 | G. V. 와튼 신부 | |
메이누스 | M. D. 가드너 신부 | 2011년 9월 현재 세인트 캐서린과 세인트 제임스, 세인트 오도엔(더블린) 교구 사제 |
호스 | 데이비드 크룩스 신부 | 2018년 1월 현재 |
라흐마이클 | C. W. 멀렌 신부 | 2013년 7월 현재 학장 대리 목사 |
몬모헤녹 | T. C. 키네한 신부 | 헬렌스 베이(다운) 교구 사제 |
티퍼케빈 | R. 워렌 신부 | 2011년 9월 현재 테니 교구(더블린) 교구 사제 |
도너모어 | I.W. 엘리스 신부 | 2011년 9월 현재 |
스타고닐 | P.A. 하비 신부 | 2015년 12월 현재 애비레이스(레일린) 교구 사제 |
쿠알룬 | M. G. St A. 잭슨 신부 | 2011년 9월 현재 더블린 대주교 |
클론달킨 | 헤더 모리스 신부 | 테레뉴르 칼리지 수사, 이전 아일랜드 감리교회 회장 |
핑글라스 | C. 맥멀렌 신부 |
4. 4. 에큐메니컬 캐논
2007년 6월 말과 7월 초,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은 종교 간 화합을 도모하기 위해 두 명의 에큐메니컬 캐논(교회일치 성직참사)을 임명했다. 한 명은 장로교 목사였고, 다른 한 명은 로마 가톨릭 신부였다. 이들은 학장의 초청을 받아 대성당에서 아침 기도나 저녁 기도를 인도하고, 성경을 읽고, 세례, 결혼, 장례식 또는 성찬례 집행을 도울 수 있으며, 챕터 회의 및 결정에 참여할 수 있다.[1]종교 | 이름 | 기간 |
---|---|---|
로마 가톨릭 | 엔다 맥도나 교수 | 2007–2012 |
로마 가톨릭 | 키어런 오마호니 신부 | 2012–2017 |
로마 가톨릭 | 브라이언 맥케이 신부 | 2017– |
장로교 | 켄 뉴웰 박사 | 2007–2012 |
장로교 | 헤더 모리스 박사 | 2012–2017 |
5. 주요 특징
"위험을 무릅쓰다(chancing your arm)"라는 표현은 1492년 킬데어 백작이 대성당 문에 구멍을 뚫고 팔을 뻗어 버틀러-피츠제럴드 분쟁을 종식시키려 한 사건에서 유래했다. 그는 오르몬드 백작과 화해를 시도했고, 이 문은 현재까지 남아있다.[26]
부활절 봉기 이후 야곱의 주둔군 부대는 리치몬드 막사로 이동하기 전 성 패트릭 대성당 밖에서 집결했다. 이들의 지도자 토마스 맥도나와 그의 부관 존 맥브라이드, 마이클 오하라한은 사형을 선고받고 킬마인햄 감옥으로 이송되어 총살당했다.
5. 1. 매장된 인물
500명 이상이 성당 바닥 아래와 외부 묘지에 묻혀 있다.[27]주목할 만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인물 | 설명 |
---|---|
리처드 노살리스 | 가톨릭 더블린 대주교 |
존 드 샌드퍼드 | 가톨릭 더블린 대주교, 풀크 배싯의 형제 |
리처드 탈보트 | 더블린 대주교 |
휴 인지 | 가톨릭 더블린 대주교 |
마커스 베레스포드 | |
존 블레너해셋 경 | 재판관, 그의 아내와 함께 묻힘 |
토머스 존스 | 그의 아내와 함께 묻힘 |
마이클 보일 | |
리처드 메러디스 | |
마이클 트레구리 | 더블린 대주교 (1450–1471) |
아담 로프터스 |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 초대 교장, 아내와 두 자녀와 함께 가족 묘소에 안장됨 |
존 크래독 | 아일랜드 성공회 더블린 대주교 (1772–1778) |
프레데릭 숌버그, 1대 숌버그 공작 | (1615/6-1690) |
조너선 스위프트 | 작가이자 성당 학장, 그의 오랜 동반자였던 에스터 존슨 ("스텔라")와 함께 묻힘 |
제임스 헨쏜 토드 | (1805–1869), 역사학자, 재무, 선창자.[27] |
제롬 알렉산더 경 | (1670년 사망), 악명 높은 엄격한 판사 |
토머스 크롬웰, 아드글래스 백작 3세 | |
레녹스 로빈슨 | 극작가이자 연출가 |
5. 2. 합창 학교와 문법 학교
합창 학교는 계속 운영되고 있으며, 원래는 남학생만 받았지만 현재는 여학생도 입학을 허용한다. 2000년에 대성당 여자 합창단이 창단되어 일주일에 한두 번 노래한다.[1] 여학생들은 대부분 합창 학교 또는 중등 교육을 제공하는 세인트 패트릭 문법 학교 출신이다.[1] 문법 학교 학생들이 합창단에 속하는 것은 더 이상 의무 사항이 아니지만, 많은 여학생들과 소수의 남학생들이 합창단에 속해 있으며, 많은 남학생들은 변성기가 오면 학교를 떠난다.[1]합창단 소년들은 전문 가수로 간주되어 매달 봉사료를 받는다.[1] 여학생들은 그렇지 않다.[1] 합창단은 또한 매우 드물게 결혼식에서 노래를 부르며 이에 대한 보수를 받는다.[1] 1998년까지 그들은 학비에 대한 큰 할인을 받았고, 지금도 무료 음악 레슨을 제공받는다.[1] 비 합창단 학생들은 여름에 두 달 동안 휴가를 보냈지만, 남학생의 절반은 여름 동안 매일 의무를 다해야 했으며, 평일에는 합창 연습과 두 번의 예배, 토요일에는 한 번, 일요일에는 두 번의 예배에 참석해야 했다.[1] 이 또한 1998년에 변경되었다.[1]
5. 3. 오르간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의 오르간은 아일랜드에서 가장 큰 오르간 중 하나로, 4,000개 이상의 파이프를 가지고 있다. 이 오르간의 일부는 1695년 레나투스 해리스가 제작한 악기에서 유래되었다.[28] 1890년대에 헨리 윌리스 앤 선이 조지 마틴 경과 협의하여 재건했으며, 1963년에는 J. W. 워커 앤 손스에 의해 복원되었다.오르가니스트 목록은 다음과 같다.
5. 4. 종
세인트 패트릭 대성당은 아일랜드에서 가장 무거운 체인지 링잉 종소리를 가지고 있으며,[29] 세계에서 열 번째로 무거운 종소리이기도 하다.[30] 이 종소리는 12개의 종으로 구성된 다이아토닉 페일(약 45722.11kg)과 3개의 반음 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페일은 C 키에 맞춰져 있다.[31]1670년에는 토마스 퍼듀가 만든 8개의 종이 있었다.[32] 기네스 복원 기간 동안 벤자민 리 기네스가 새로운 종 페일을 기증했다.[33] 1890년대에 그의 아들인 에드워드 기네스는 1897년에 존 테일러 앤 컴퍼니에서 제작한 새로운 종 페일(10개의 종과 플랫 4번째 종)을 기증했다. 이 종들은 1909년에 아일랜드 법무 장관인 리처드 체리 (그 자신도 다작의 종 치는 사람이었다[34])가 기증한 두 개의 트레블 종으로 보강되어 아일랜드 최초의 12개 종소리가 만들어졌다. 1911년에 종소리로 처음 울린 페일은 잉글랜드 외부에서 울린 최초의 타워 종 페일이었다.[32] 2007년에는 가벼운 8개의 종 페일을 만들기 위해 샤프 세컨드 종이 추가되었으며, 이 또한 존 테일러 앤 컴퍼니에서 제작했다.[35]
이 종소리는 성찬 예배와 합창 저녁 예배를 위해 일요일마다 정기적으로 울리고, 화요일 밤에는 종 치는 연습이 열린다.[33][36] 토요일 오전에는 초보자 연습도 열린다.
엘라콤베 장치가 종 치는 방에 설치되어 있지만,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다.
5. 5. 대성당 후원회
대성당은 자원 봉사 단체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여기에는 연간 및 5년 회원, 종신 회원 등 다양한 회원들이 포함되어 대성당의 작업과 건물에 물질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또한, 종을 치고, 방문객을 맞이하며, 청소를 하는 등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다양한 자원 봉사 단체도 있다.참조
[1]
웹사이트
The Ecclesiologist
https://books.google[...]
Cambridge Camden Society
1865-10-09
[2]
웹사이트
Cathedral Age
https://books.google[...]
Protestant Episcopal Cathedral Foundation
1949-10-09
[3]
웹사이트
A History of Worship on the Site
http://www.stpatrick[...]
Saint Patrick's Cathedral, Dublin
2016-11-26
[4]
웹사이트
A History of Worship on the site
https://www.stpatric[...]
2021-03-17
[5]
문서
Bernard, 1924: p. 8
[6]
문서
Bernard, 1924: p. 9
[7]
문서
Bernard, 1924: pp. 9–10
[8]
문서
Bernard, 1924: pp. 73–74
[9]
문서
Bernard, 1924: p. 10, note 3
[10]
문서
Bernard, 1924: p. 10
[11]
문서
Bernard, 1924: p. 13
[12]
문서
Gernon, Luke ''A Discourse of Ireland'' 1620 edited by C.S Falkiner 1904
[13]
문서
History of St Patrick's Cathedral by Monck Mason
[14]
서적
The Buildings of Ireland: Dublin
Yale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St. Patrick's Cathedral Designated National Cathedral
https://seamusdubhgh[...]
2024-08-28
[16]
웹사이트
St Patrick's Cathedral, the National Cathedral of Ireland
https://www.dublinci[...]
2024-08-28
[17]
웹사이트
The State Pew at St Patrick's Cathedral
http://www.stpatrick[...]
[18]
서적
Douglas Hyde: A Maker of Modern Ireland
http://publishing.c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
웹사이트
Timeline: how tense drama at St Patrick's unfolded
https://www.independ[...]
2019-05-01
[20]
뉴스
An ecumenical matter for St Patrick's
http://www.irishtime[...]
The Irish Times
2011-10-28
[21]
웹사이트
Statute, Chapter II of 2010
http://ireland.angli[...]
2015-12-27
[22]
웹사이트
Our New Parish
http://cja.dublin.an[...]
2015-12-27
[23]
뉴스
The Revd David Oxley Elected to Chapter of St Patrick's Cathedral
https://dublin.angli[...]
2020-07-15
[24]
웹사이트
Installation of Canon David Crooks as Prebendary of Howth
https://www.stpatric[...]
2019-02-09
[25]
웹사이트
Dean & Chapter
https://www.stpatric[...]
2020-07-15
[26]
웹사이트
St Patrick's Cathedral – Opening Times and Prices
http://www.stpatrick[...]
St Patrick's Cathedral
2015-01-20
[27]
간행물
James Henthorn Todd
https://www.jstor.or[...]
1969-09
[28]
문서
"The Cathedrals of the [[Church of Ireland]]" [[John Godfrey FitzMaurice Day|Day, J.G.F./]] [[Henry Edmund Patton|Patton, H.E.]] p79: [[London]], [[SPCK|S.P.C.K.]], 1932
[29]
웹사이트
Dove's Guide Search
https://dove.cccbr.o[...]
2019-02-08
[30]
웹사이트
Dove's Guide Search
https://dove.cccbr.o[...]
2019-02-08
[31]
웹사이트
Dublin, Republic of Ireland, National Cath Ch of S Patrick
https://dove.cccbr.o[...]
2023-12-15
[32]
웹사이트
The Rings of Twelve – Encyclopaedia of change ringing peals of 12 bells
http://www.inspirewe[...]
2019-02-08
[33]
웹사이트
St Patrick's Cathedral Dublin – BellringingIreland.org
http://www.bellringi[...]
2019-02-08
[34]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Irish Association of Change Ringers
http://www.bellringi[...]
1998
[35]
웹사이트
Dove Details
https://dove.cccbr.o[...]
2019-02-08
[36]
웹사이트
Bells & Bell Ringing
https://www.stpatric[...]
2019-02-08
[37]
서적
図説 アイルランドの歴史
河出書房新社
[38]
문서
聖泉はアイルランド各地にあり、キリスト教信仰以前のアニミズムと結びついた泉である。
[39]
간행물
[40]
간행물
[41]
간행물
[42]
간행물
[43]
간행물
[44]
간행물
[45]
간행물
[46]
문서
History of St. Patrick's Cathedral
[47]
문서
他の例として、[[スペイン]]の[[サラゴサ]] (カトリックの[[サラゴサ大司教区]][[:en:Roman Catholic Archdiocese of Zaragoza]]) においては大聖堂はその役割を重要な教会と分有している。教区の聖堂参事会は半分ずつがそれぞれの地区に基礎を置いており、首席司祭は6ヶ月ごとにそれらの間を移動している。
[48]
문서
発送先には日本も選ぶことが一応可能。また、大聖堂として各国向けに各国語のツアーガイドがpdfで配布されている。
http://www.stpatrick[...]
[49]
문서
ウィリアム・マーフィーと共同オルガニス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