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금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금 전투는 1640년부터 1642년까지 명나라와 청나라 사이에서 벌어진 일련의 전투를 통칭한다. 명나라가 금주를 지키기 위해 벌인 일련의 구원 시도가 청나라에 의해 좌절되었고, 이 과정에서 명나라의 주요 장수들이 청나라에 항복하면서 명나라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이 전투는 명나라의 유능한 장수였던 홍승주의 항복으로 명나라 군사력에 큰 타격을 주었고, 이후 오삼계의 투항으로 청나라가 중국 대륙을 장악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조선은 이 전투의 결과로 급변하는 국제 정세에 직면하여 외교 노선을 재정립해야 했으며, 사회, 경제적으로도 큰 영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41년 - 대간주
대간주는 1641년 잉글랜드 의회가 찰스 1세의 실정을 비판하고 의회의 권한을 강조하며 통과시킨 문서로, 왕권신수설에 따른 전제 정치 시도, 과세 문제, 종교 정책 실패 등을 배경으로 잉글랜드 내전의 도화선이 되었고 의회 주권 확립 및 입헌군주제 발전에 기여했다. - 명나라가 참가한 전투 - 벽제관 전투
벽제관 전투는 1593년 2월 임진왜란 중 서울 북쪽 벽제관에서 벌어진 명나라군과 일본군 간의 전투로, 평양 함락 후 명나라군의 서울 공략을 막기 위한 일본군의 요격 작전으로 인해 발생했으며, 명나라군이 패퇴하고 이여송이 부상당하는 결과를 낳아 명나라군의 전의 상실과 강화 협상 전환에 영향을 미쳤다. - 명나라가 참가한 전투 - 대릉하 전투
1631년 홍타이지가 이끈 후금이 대릉하성을 공격하여 점령한 대릉하 전투는 한인 포병 부대의 활용으로 만주족의 포위전 능력을 보여주었으며, 조대수의 항복과 여러 논란을 낳으며 후금이 중국 대륙을 지배하는 발판이 되었다.
송금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명칭 | 송금 전투 |
부분전 | 명청 전쟁 |
시기 | 1641년-1642년 |
장소 | 송산, 금주, 중국 |
결과 | 청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청나라 |
교전국 2 | 명나라 |
지휘관 | |
청나라 지휘관 | 홍타이지 지르갈랑 도르곤 도도 아지거 오보이 공유덕 경중명 상가희 어빌룬 호오거 |
명나라 지휘관 | 홍승주 조대수 오삼계 조변교 양국주 왕정신 백광은 하승덕 조대락 |
병력 규모 | |
청나라 병력 | 120,000 (홍타이지), 20,000+ (도르곤) |
명나라 병력 | 100,000+ (송산 주둔 홍승주), 25,000+ (금주 주둔 조대수) |
피해 규모 | |
청나라 피해 | 미상 |
명나라 피해 | 약 60,000Frederic Wakeman, Jr.,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Berkele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5), pp. 213 (the Manchus counted 53,783 enemy corpses after the first engagement outside Songshan), 214 (Hong Chengchou tries to break the siege, but his troops are soundly defeated), 214–15 (a force of 6000 men is entirely lost, "either through death in battle or desertion"), and 216 ("more than one hundred officers and three thousand soldiers" are executed after the Qing seized Songshan). |
2. 전투 배경
위안충환 시기, 명나라는 요동 방어 전략을 크게 바꾸지 않았다. 명나라 지휘관들은 주로 요새를 구축하고, 화포와 대포에 의존하여 방어에 치중했다. 이러한 전략은 한때 청나라 군대를 좌절시켰지만, 홍타이지는 장기적인 포위전을 가능하게 할 보급선을 구축하는 식으로 군수 작전을 재편성하여 대응했다.[5]
조대수는 금주 방어를 책임지고 있었다. 대릉하 전투에서 청나라에 항복했던 조대수는 청나라에 금주 점령을 제안했다. 금주를 점령한 후 조대수는 다시 명나라로 돌아와 금주를 통제했다. 숭덕 6년(1641), 지르갈랑은 군대를 이끌고 금주를 탈환하여 도시를 포위했다. 조대수는 북경에 서신을 보내 지원을 요청했고, 음력 4월 홍타이지는 금주 포위를 계속하기로 결정했다.[5]
숭정제의 명을 받은 원수 홍승주는 총병 8명과 10만여 명의 병사로 구성된 군대를 이끌고 조대수를 구원하러 떠났다. 오삼계와 조변교의 부대도 여기에 포함되었다. 음력 10월, 홍승주는 산해관을 떠나 오삼계, 조변교, 왕박, 양국주, 당통, 백광은, 마과, 왕정신 등 8명의 총병을 소환했다. 이들이 지휘하는 명군은 화승총으로 무장한 보병 10만 명과 기병 4만 명으로 구성되어 금주 구원 임무를 받았다. 반면 조대수는 금주 방어 태세를 유지하며 송산, 행산, 탑산을 방어 거점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청나라 측에서는 공유덕, 경중명, 상가희가 금주 포위군을 지원하도록 지시받았다.
홍승주는 송산과 금주 사이에 있는 유봉산에 군대를 주둔시켰다. 전투 초기에는 청나라 군이 불리했다. 이에 홍타이지는 방어 태세를 유지하며 명군 전선에 소규모 공격만 가했다. 적군이 지치자 홍타이지는 전격적인 공격을 가했다. 조급했던 숭정제는 홍승주에게 공세를 취하도록 지시했지만, 이는 홍타이지의 계략에 빠지는 것이었다.
2. 1. 명나라의 상황
위안충환 사후 명나라는 요동 방어 전략에 큰 변화를 주지 못했다. 명나라 지휘관들은 요새 구축에 힘을 쏟았고, 화포와 대포 같은 방어 무기에 의존하여 수비적인 전략을 취했다. 이러한 전략은 초기에는 청나라 군대를 좌절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지만, 홍타이지는 장기적인 포위전을 위한 보급선을 구축하여 군수 작전을 변화시킴으로써 명나라의 방어 전략에 대응했다.[5]조대수는 당시 금주 방어를 책임지고 있었다. 대릉하 전투에서 청나라에 항복했던 조대수는 청나라에 금주 점령을 제안했다. 그러나 금주를 점령한 후, 조대수는 다시 명나라로 돌아와 금주를 통제했다. 숭덕 6년(1641), 지르갈랑은 군대를 이끌고 금주를 탈환하여 도시를 포위했다. 이후 조대수는 북경에 서신을 보내 지원을 요청했고, 음력 4월 홍타이지는 금주에 대한 포위를 계속하기로 결정했다.[5]
2. 2. 청나라의 성장
홍타이지는 누르하치의 뒤를 이어 팔기군을 이끌고 명나라를 압박했다. 명나라 지휘관들은 요새를 구축하고 화포와 대포를 이용한 방어 전략을 펼쳤지만, 홍타이지는 장기적인 포위전을 위한 보급선을 구축하는 등 군수 작전을 재편성하여 명나라의 방어 전략을 무력화시켰다.[5]3. 주요 전투
1640년부터 1642년까지 이어진 송금 전투는 금주성, 송산성, 행산성, 탑산성 등 요동 지역의 주요 거점들을 둘러싸고 벌어진 일련의 공방전이었다.
원숭환 시기 명나라는 요동 방어 전략을 크게 바꾸지 않고, 요새 구축과 화포, 대포를 이용한 방어에 집중했다. 이는 초반에는 청군을 좌절시켰지만, 홍타이지는 장기적인 포위전을 위한 보급선을 구축하여 대응했다.
전투 초반, 조대수는 대릉하 전투에서 청나라에 항복했다가 다시 명나라로 돌아와 금주를 방어하고 있었다. 1641년 청군은 금주를 포위했고, 명나라는 홍승주를 중심으로 구원군을 파견했다. 초기에는 명군이 우세했지만, 홍타이지의 계략과 명군 지휘부의 분열로 인해 전세가 역전되었다. 결국 명군은 대패하고, 홍승주를 비롯한 주요 지휘관들이 포로로 잡히거나 전사했다.
이후, 금주, 송산, 탑산, 행산 등 주요 거점들이 차례로 함락되면서 송금 전투는 청나라의 승리로 막을 내렸다.
3. 1. 금주 포위전 (1640년)
조대수는 대릉하 전투에서 청나라에 항복하면서 금주 점령을 청에 제안하였다. 금주를 점령한 후, 조대수는 다시 명나라로 돌아와 금주를 지켰다. 숭덕제 6년(1641년) 지르갈랑은 군대에 금주를 탈환하고 도시를 포위하라는 명을 내렸다. 이후 조대수는 북경에 지원군을 요청하는 서신을 보냈다. 음력 4월, 홍타이지는 금주 포위를 계속하기로 결정하였다.[5]3. 2. 홍승주의 구원 시도 (1641년)
숭정제는 홍승주에게 8명의 총병과 10만 명이 넘는 병력을 주어 조대수를 구원하게 했다. 홍승주는 오삼계, 조변교 등 명나라 장수들과 함께 금주로 진격했다.[5][2]음력 10월, 홍승주는 산해관을 떠나 오삼계, 조변교, 왕박, 양국주, 당통, 백광은, 마가, 왕정신 등 8명의 총병을 소환했다. 이들은 화승총으로 무장한 보병 10만 명과 기병 4만 명으로 구성된 군대를 이끌고 금주 구원 임무를 맡았다. 한편, 조대수는 금주 방어 태세를 유지하며 송산, 행산(杏山), 탑산(塔山)을 방어 거점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청나라 측에서는 공유덕, 경중명, 상가희에게 금주 포위군을 지원하라는 지시가 내려졌다.[5][2]
홍승주는 송산과 금주 사이에 있는 유봉산에 군대를 주둔시켰다. 전투 초기에는 청군이 불리한 상황이었다. 이에 홍타이지는 방어 태세를 유지하며 명군 전선에 소규모 공격만 지시했다. 적군이 지치자 홍타이지는 전격적인 공격을 가했다. 조급한 숭정제는 홍승주에게 공세를 가하도록 지시했지만, 이는 홍타이지의 계략에 빠지는 결과였다.[5][2]
홍타이지는 명군의 진격을 확인하자마자 군대에 명군의 퇴로를 따라 매복하고 보급 부대를 생포하라고 지시했다. 이후 청군은 후퇴하는 명군을 대규모로 살육했다. 홍승주는 필사적인 공격을 결심했지만, 부하들은 반대했다. 일부는 영원성으로 후퇴하여 재보급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왕박 등은 홍타이지가 직접 군대를 지휘한다는 소식을 듣고 홍승주의 지시 없이 후퇴를 결정했다. 이들은 홍타이지에게 철저히 살육당했다. 5만 명의 병사만이 전투에서 살아남았다.[5][2]
홍승주의 군영에는 1만 명의 병사만 남았고, 이들은 송산으로 후퇴해야 했다. 조변교와 왕정신은 간신히 포위망을 뚫고 홍승주 군에 합류했다. 이로써 송산 포위전이 시작되었다.[5][2]
3. 3. 송산 포위전 (1641년 - 1642년)
송산은 금주와 마찬가지로 청나라 군대에 포위되어 보급과 지원이 끊겼다. 홍승주는 여러 차례 포위망 돌파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5] 조변교는 직접 홍타이지의 군영을 공격하여 그를 암살하고자 하였지만 실패했다. 홍타이지는 직접 칼을 들어 자신을 보호하였고, 조변교는 결국 홍타이지의 호위병에게 부상을 입고 후퇴해야 했다.[6] 송산부장(松山副將) 하승덕은 청나라와 내통하여 성문을 열기로 약속했다. 이 과정에서 하승덕은 아들 하서(夏舒)를 인질로 보내 항복 협상을 진행했다.[6]이듬해 음력 2월 18일, 청군은 마침내 성을 함락했고, 홍승주를 비롯한 명나라 장수들은 포로로 잡혔다. 홍타이지는 구민앙, 조변교, 왕정신을 처형했지만, 홍승주는 성경(盛京)으로 호송되었다.[6]
희망이 없다고 판단한 조대수는 음력 3월 3일 항복했고,[6] 탑산과 행산의 방어선도 무너지면서 송금 전투는 청나라의 승리로 끝났다.
4. 주요 인물
4. 1. 명나라
숭정제의 명을 받은 원수 홍승주는 조대수군을 구원하기 위해 출정했다. 홍승주의 군대는 총병 8명과 10만여 명의 병사로 구성되었으며, 오삼계와 조변교의 부대도 포함되었다.[5]음력 10월, 홍승주는 산해관을 출발하여 오삼계, 조변교, 왕박, 양국주, 당통, 백광은, 마과, 왕정신 등 8명의 총병을 소환했다. 이들이 지휘하는 명군은 화승총으로 무장한 보병 10만 명과 기병 4만 명으로 구성되어 금주를 구원하라는 명을 받았다. 한편, 조대수는 금주 방어 태세를 유지하며 송산, 행산(杏山), 탑산(塔山)을 방어 거점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청군은 공유덕, 경중명, 상가희에게 금주 포위군을 지원하도록 지시했다.[5]
홍승주는 송산과 금주 사이에 있는 유봉산에 주력 부대를 주둔시켰다. 전투 초기에는 청군이 불리했기 때문에, 홍타이지는 방어 태세를 유지하며 명군 전선에 소규모 공격만 가했다. 적군이 지치자 홍타이지는 전격적인 공격을 개시했다. 조급했던 숭정제는 홍승주에게 공세를 취하도록 지시했지만, 이는 홍타이지의 계략에 빠지는 결과를 초래했다.[5]
명군의 진격을 확인한 홍타이지는 군대에 명군의 퇴로를 따라 매복하라고 지시하는 한편, 명군의 보급병을 생포했다. 이후 청군은 후퇴하는 명군을 대규모로 살육했다. 홍승주는 필사적인 공격을 결심했지만, 부하들은 반대했다. 일부는 영원성으로 후퇴하여 재보급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타이지가 직접 군대를 지휘한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왕박 등은 홍승주의 지시 없이 후퇴를 결정했다. 이들은 홍타이지에게 철저히 몰살당했다. 5만 명의 병사들만이 전투에서 살아남았다.[5]
홍승주의 군영에는 1만 명의 병사만 남았으며, 이들은 송산으로 후퇴해야 했다. 조변교와 왕정신은 간신히 포위를 뚫고 홍승주 군에 합류했다. 이로써 송산 포위전이 시작되었다.[5]
4. 2. 청나라
홍승주는 여러 차례 포위를 뚫고자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조변교는 직접 홍타이지의 군영을 공격하여 홍타이지를 암살하고자 하였지만 실패하였다. 홍타이지는 직접 칼을 들어 자신을 보호하였고 조변교는 결국 홍타이지의 호위관으로부터 입은 상처와 함께 후퇴해야만 하였다. 홍승주의 다른 부하 송산부장(松山副將) 하승덕(夏承德)은 청과 내통하여 성문을 열기로 약속하였다. 이 과정에서 하승덕은 아들 하서(夏舒)를 인질로 보내어 항복 협상을 진행하였다.[6] 다음해 음력 2월 18일, 청군은 마침내 돌파하였고 홍승주와 함께 요동순무(遼東巡撫) 구민앙(丘民仰)과 다른 장수들이 생포되었다. 홍타이지는 구민앙, 조변교, 왕정신을 처형하였지만, 홍승주는 성경(盛京)으로 호송되었다.5. 전투의 영향
송금 전투의 패배는 명나라의 군사력 약화를 가속화시켜, 이자성의 난 진압 실패와 명나라 멸망으로 이어졌다. 유능한 장수였던 홍승주의 투항은 명나라에 큰 타격을 주었다.[6][3] 홍타이지는 홍승주를 훌륭한 장수로 보고 청나라에 항복하도록 설득했고, 범문정의 설득으로 홍승주는 결국 항복했다.
원숭환 처형 이후, 홍승주의 항복은 명나라에 또 다른 큰 타격이었다. 명나라를 지킬 유능한 장수가 더 이상 없었기 때문이다. 이후 오삼계가 청나라에 투항함으로써 청나라가 중국 대륙을 장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송금 전투는 조선에도 외교, 군사, 사회, 경제 등 다방면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다.
5. 1. 명나라 멸망
송금 전투의 패배는 명나라의 군사력 약화를 가속화시켰고, 이는 이자성의 난 진압 실패와 명나라 멸망으로 이어졌다. 유능한 장수였던 홍승주의 투항은 명나라에 큰 타격을 주었다.[6][3] 홍타이지는 홍승주를 훌륭한 장수로 보고 청나라에 항복하도록 설득했고, 범문정의 설득으로 홍승주는 결국 항복했다. 홍승주는 정황기에 소속되었고, 순치제 시기에는 남경의 군사 지휘관이 되어 남명 장수들을 항복시키고 청나라의 화남 정복을 도왔다.원숭환 처형 이후, 홍승주의 항복은 명나라에 큰 타격을 주었다. 명나라를 지킬 다른 유능한 장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후 오삼계가 청나라에 투항함으로써 청나라가 중국 대륙을 장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5. 2. 청나라의 중국 통일
범문정이 홍승주를 설득하여 청나라에 항복하도록 하였다. 홍승주는 순치제 통치 기간 동안 황색 기에 배속되어 난징의 군정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나중에 수많은 남명 장군들을 설득하여 청 정부에 항복하게 했고, 화남 정복의 길을 열었다.[1]홍승주의 항복은 원숭환의 처형 이후 명나라에게 엄청난 타격이었다. 명나라를 보호할 만한 유능한 장군은 더 이상 남아있지 않았다. 오삼계의 항복으로 청나라가 중국의 나머지 지역을 정복하는 데 남은 장애물은 없었다.[2]
5. 3. 조선에 미친 영향
송금 전투는 조선에 외교, 군사, 사회, 경제 등 다방면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다.참조
[1]
서적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
서적
大清十二帝
北京出版社
[3]
웹사이트
清史稿
https://ctext.org/wi[...]
2023-08-11
[4]
서적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
서적
大清十二帝
北京出版社
[6]
웹인용
清史稿
https://ctext.org/wi[...]
2023-0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