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수당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수당상은 1973년부터 시작된 대한민국의 학술상으로, 과학기술 및 인문사회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인물에게 수여된다. 1973년부터 1986년까지는 단일 부문으로, 주로 학술원 회원 및 대학교수를 중심으로 시상했으며, 2006년부터는 기초과학, 응용과학, 인문 및 사회과학, 자연과학 4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하고 있다. 역대 수상자로는 이태규, 윤일선, 김두종, 이영희, 김동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학술회의 - 솔베이 회의
    솔베이 회의는 에른스트 솔베이가 설립한 국제 학술 회의로, 저명한 과학자들이 모여 물리학과 화학 분야의 최첨단 과학적 문제를 논의하며 양자역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서구 과학자 중심 구성에 대한 비판과 함께 학제 간 연구 확대 및 참가자 다양성 확보를 통한 발전이 기대된다.
  • 학술회의 - SIGCHI
    SIGCHI는 인간-컴퓨터 상호 작용(HCI) 분야를 다루는 ACM의 특별 관심 그룹으로, 학술 연구와 커뮤니티 발전에 기여하며 컨퍼런스 개최, 수상, 기금 운영 등의 활동을 한다.
  • 1990년 도입 - HTML
    HTML은 웹 페이지 제작을 위한 표준 마크업 언어로서, 팀 버너스리가 제안하고 구현한 후 인터넷 발전과 함께 널리 사용되며, SGML에 기반하여 하이퍼텍스트 기능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표현하고 연결하며, W3C와 WHATWG에서 표준화를 진행하고 최신 버전은 HTML Living Standard이다.
  • 1990년 도입 - X 2000
    X2000은 스웨덴 국철에서 도입한 차체 경사 기능이 적용된 푸시풀 방식의 동력집중식 고속열차로, 스톡홀름-괴테보리 구간에서 최고 시속 200km로 운행하며, 여러 국가에서 시험 운행되었으나 일부 구간 외에는 상용화되지 못했다.
수당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수당상
로마자 표기Sudangsang
종류학술상
수여수당재단
국가대한민국
시작일1973년 10월 5일
상금2억원 및 상패
웹사이트수당재단 공식 웹사이트

2. 역대 수상자

수당상은 1973년부터 시상을 시작하여 대한민국 과학기술 및 인문사회 분야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에게 수여되고 있다. 초기에는 특정 부문 구분 없이 단일 부문으로 시상하였으나, 2006년부터는 기초과학, 응용과학, 인문사회, 자연과학 등 여러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초기(1973년 ~ 1986년)에는 주로 학계 원로 및 중진 연구자들에게 상이 수여되었으며, 화학, 공학, 의학, 농학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이 수상하였다. 이 시기 수상자들의 자세한 명단과 활동 내역은 아래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06년부터는 시상 부문을 세분화하여 기초과학, 응용과학, 인문사회, 자연과학의 4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하기 시작했다. 다만, 2008년부터는 자연과학 부문 시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주로 기초과학, 응용과학, 인문사회 3개 부문에서 수상자를 선정하고 있으며, 시상 부문이나 수상자 수는 매년 유동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부문별 시상 이후의 자세한 수상자 명단은 아래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1973년 ~ 1986년 (단일 부문)

이 시기에는 주로 학술원 회원 및 대학교수 등 학계 인물들이 수상하였다.

연도수상자소속 및 직위전공 분야주요 내용
1973년이태규한국과학원 명예교수화학재미 과학자로서 대한민국 화학계 발전에 기여하였다.
1974년이희준조선전업 사장토목공학
1975년안동혁학술원 부회장응용화학대한민국 화학공업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1976년윤일선서울대학교 총장병리학대한민국 병리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1977년조백현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명예교수농예화학대한민국 농예화학 발전에 기여하였다.[4]
1978년정문기학술원 회원수산학
1979년최규남문교부 장관물리학대한민국 과학기술 행정 발전에 기여하였으나, 자유당 및 공화당 정권에서 문교부 장관을 역임하며 이승만박정희 정권에 협력했다는 비판이 있다.
1980년김두종학술원 회원의학한국 의학사 연구에 업적을 남겼다.
1981년박동길학술원 부회장지질학
1982년현신규서울대학교 명예교수임학척박한 한국의 산림녹화에 기여하였다.
1983년김동익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장내과학
1984년나세진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장해부학
1985년이용설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학장외과학한국 전쟁 당시 부상병 치료에 헌신하였다.
1986년정구충정구충 의원 / 정치인외과학의사 출신 정치인으로, 민주정의당 소속 국회의원을 지냈다.


2. 2. 2006년 ~ 현재 (부문별 시상)

2006년부터는 기초과학, 응용과학, 인문사회, 자연과학의 4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했으나, 2008년부터 자연과학 부문은 시상하지 않고 기초과학, 응용과학, 인문사회 3개 부문으로 시상하고 있다. 2021년에는 응용과학 부문에서만 2명의 수상자가 나왔고, 2023년에는 기초과학과 응용과학 부문에서만 시상했다.


2. 2. 1. 기초과학 부문

연도수상자소속비고
2008안진흥포항공과대학교
2009명효철[6]고등과학원수학
2010박수문울산과학기술원
2011김두철고등과학원물리학
2012김명수서울대학교화학
2013김경렬서울대학교
2014이영희[8][9]성균관대학교물리학 (나노과학 분야 권위자)
2015정진하서울대학교
2016조봉래대진대학교
2017이영조서울대학교통계학
2018최의주고려대학교
2019[11]이형목[12]서울대학교
한국천문연구원
천체물리학
2020김동호[13][14]연세대학교화학
2023[20]안지훈고려대학교생명과학


2. 2. 2. 응용과학 부문

wikitext

연도수상자소속
2008한송엽서울대학교
2009현재천고려대학교
2010이명걸서울대학교
2011이홍희서울대학교
2012변증남[7]울산과학기술원
2013이정용KAIST
2014성형진한국과학기술원
2015제정호KAIST
2016박수영서울대학교
2017최정우서강대학교
2018이병호[10]서울대학교
2019권익찬[11]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20최해천[15][16]서울대학교
2021김장주[18]
성영은[17]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2022이성환[19]고려대학교
2023김기현[21]한양대학교


2. 2. 3. 인문사회 부문

wikitext

연도수상자소속주요 분야/업적
2006윤석철한양대학교경영학
2007한영우한림대학교국사학
2008정진홍이화여자대학교종교학
2009이기동동국대학교국사학
2010박영철고려대학교국제 경제학 (비교경제체제론)
2011김윤식서울대학교국문학
2012홍원탁서울대학교경제학
2013박원호고려대학교
2014윤사순고려대학교
2015서대석서울대학교
2016정기준서울대학교경제학
2017홍윤표연세대학교국어국문학
2018임현진서울대학교사회학
2019이태진[11]서울대학교역사학 (전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2020이한구경희대학교철학
2021수상자 없음[17]
2022오생근[19]서울대학교불어불문학


2. 2. 4. 자연과학 부문

참조

[1] 웹사이트 Samyang Group’s Yangyoung Foundation and Sudang Foundation Provide Scholarships for 2021 https://www.samyang.[...] null
[2] 웹사이트 인사말 https://samyang.suda[...] Sudang Foundation null
[3] 웹사이트 Samyang Group's Sudang Foundation selects two winners of the 31st Sudang Award https://www.koreapos[...] 2022-04-25
[4] 웹사이트 A founding scientist of modern agriculture and biochemistry https://www.koreasci[...] Korean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null
[5] 웹사이트 Emeritus Fellow - Jung-Il Jin https://iupac.org/wh[...] null null
[6] 웹사이트 Globally recognized researcher on Lie-admissible algebras https://www.koreasci[...] Korean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null
[7] 웹사이트 Who led the Korean research on AI robots and trained the leading next generation researchers https://www.koreasci[...] Korean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null
[8] 웹사이트 Director https://cinap.ibs.re[...] Institute for Basic Science null
[9] 웹사이트 Dr. Young Hee Lee https://www.cmu.edu/[...] null null
[10] 웹사이트 In Memoriam: Byoungho Lee, 1964 - 2022 https://www.optica.o[...] null 2022-11-07
[11] 웹사이트 삼양그룹 수당재단, 올해 수당상에 이형목·이태진 교수·권익찬 연구원 선정 https://www.fnnews.c[...] null 2019-05-09
[12] 웹사이트 Prof. Hyung Mok Lee Awarded Samyang Group’s Sudang Prize https://gwcenter.icr[...] null 2019-05-13
[13] 웹사이트 Kim Dong-ho https://www.asiansci[...] Asian Scientist null
[14] 웹사이트 Plenary Speakers https://icavs.org/pr[...] null null
[15] 웹사이트 Faculty https://me.snu.ac.kr[...] Seoul National University null
[16] 웹사이트 Choi Haecheon https://www.asiansci[...] Asian Scientist null
[17] 웹사이트 우리나라 학문 발전 삼양이 함께합니다! 제30회 수당상 시상식 https://www.saysamya[...] null 2021-05-07
[18] 웹사이트 Jang-Joo Kim https://www.sidicdt.[...] SIDChina null
[19] 웹사이트 삼양그룹 수당재단, 제31회 수당상 시상식 개최 https://www.hankyung[...] null 2022-06-01
[20] 웹사이트 삼양그룹 수당재단, 제32회 수당상 시상식 개최 http://www.hitnews.c[...] null 2023-04-04
[21] 웹사이트 김기현 교수, ‘제32회 수당상’ 수상 https://www.newshyu.[...] null 2023-04-09
[22] 웹인용 인사말 https://samyang.suda[...] Sudang Foundation null
[23] 웹인용 Samyang Group's Sudang Foundation selects two winners of the 31st Sudang Award https://www.koreapos[...] null 2022-04-2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