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제3공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권 제3공항은 1990년대 도쿄 국제공항과 나리타 국제공항의 포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토된 계획이다. 1990년대 후반 해상 공항 건설 방침이 정해졌지만, 하네다 공항 확장안이 제시되고, 이바라키 공항 공용화, 건설 비용 문제 등으로 인해 답보 상태에 놓였다. 2003년 도쿄만 안쪽, 게이힌 임해 해상 등 여러 후보지가 제안되었으며, 요코타 기지 공용화도 논의되었으나 난항을 겪었다. 현재는 하네다 공항의 국제선 24시간 운행을 요구하는 상황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토 지방의 공항 - 이바라키 공항
이바라키 공항은 이바라키현 오미타마시에 위치한 군민 공용 공항으로, 저비용 항공사 유치를 목표로 개항했으나 접근성 문제와 수요 예측 실패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항공자위대 시설과 활주로를 공유하는 특징이 있다. - 간토 지방의 공항 - 나리타 국제공항
나리타 국제공항은 지바현 나리타시에 위치한 일본의 주요 국제 관문으로, 하네다 국제공항의 국제선 기능을 이관받아 1978년 개항 후 민영화되어 지속적인 확장과 교통망 개선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 - 교통 논란 - 세종역
세종역은 세종특별자치시에 구상 중인 철도역으로, 호남고속선 개통 당시 역이 설치되지 않아 KTX 신설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경제적 타당성 부족으로 난항을 겪고 있으며, 이후 ITX-새마을급 세종역 건설 계획이 추가 구상되면서 KTX와 ITX 방식의 세종역 건설이 동시에 검토되고 있다. - 교통 논란 - 동남권 신공항 건설 문제
동남권 신공항 건설 문제는 김해국제공항 포화 해결과 동남권 항공 수요 충족을 위해 노무현 정부 때부터 논의되었으나, 가덕도와 밀양 유치 경쟁 과열, 경제성 부족 문제 등으로 백지화와 재검토를 거듭하며 논쟁이 지속 중인 대한민국 정부의 주요 정책 사업이다. - 수도권 (일본) - 도쿄
도쿄는 일본의 수도이자 세계적인 메가시티로, 도쿄 도심부, 도쿄도 전체, 또는 도쿄 대도시권 등 넓은 범위로 정의되며, 에도에서 도쿄로 개칭된 후 급속한 발전을 거쳐 세계 최대 도시 중 하나가 되었지만, 고밀도 인구, 높은 범죄율, 환경 문제 등 여러 도시 문제를 안고 있다. - 수도권 (일본) - 수도권 국전 폭동
1973년 4월 24일 일본 수도권 국철 노조의 준법 투쟁으로 인한 열차 지연과 혼잡으로 오미야, 아카바네, 우에노, 신주쿠 등 38개 역에서 3만 2천여 명이 참여한 대규모 폭동이 발생하여 시설 파손, 방화, 약탈 등의 행위로 천만 엔 이상의 재산 피해와 수천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으며, 수도권 열차 운행이 전면 중단되었다.
수도권 제3공항 | |
---|---|
수도권 제3공항 구상 | |
개요 | |
종류 | 공항 건설 구상 |
목적 | 수도권의 항공 수요 분산 |
추진 주체 | 국토교통부 한국개발연구원 |
역사 | |
배경 | 1990년대 중반 김대중 대통령 후보의 공약 2000년대 초 수도권 항공 수요 증가 예측 |
위치 선정 논의 | |
주요 후보지 | 강화도 옹진군 화성시 평택시 서산시 예산군 |
논의 결과 | |
2000년대 중반 | 경제성 부족으로 사업 보류 |
참고 자료 | |
관련 기사 | 네지레타 리리쿠·텐보우 미다레루 이바라키 쿠우코우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슈토켄다이산쿠코 |
2. 경위
일본 국내외 항공 수요가 증가하면서 도쿄 국제공항(하네다 공항)과 나리타 국제공항의 처리 용량이 한계에 다다르자, 새로운 공항 건설 논의가 시작되었다. 제6차 공항 정비 5개년 계획(1991-1995년)에 수도권 제3공항 건설을 위한 조사 사업이 포함되었고, 경제계에서는 "수도권 신공항 연구회"를 설립하여 국제선을 포함한 근본적인 공항 용량 확대를 주장했다.[2]
1996년 발표된 제7차 공항 정비 5개년 계획(1996-2000년)에서는 수도권 제3공항을 해상 공항으로 건설하는 방침이 정해졌다. 이후 계획 기간이 2002년까지 연장되었고, 2000년 9월에는 일본 정부 주도로 "수도권 제3공항 조사 검토회"가 설치되어 본격적인 후보지 검토에 들어갔다. 구주쿠리, 기사라즈 앞바다, 우미호타루 주차장 활용, 도쿄만 안쪽, 중노세, 혼모쿠 앞바다, 가와사키 앞바다 등 총 15곳이 후보지로 제안되었다.
그러나 신공항 건설 대신 기존 하네다 공항을 확장하여 용량을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이 도쿄도와 정기 항공 협회 등에서 제기되었고, 국토교통성 역시 독자적인 하네다 확장안을 제시하면서 하네다 재확장이 유력한 대안으로 떠올랐다. 결국 2002년 1월, 조사 검토회는 여러 후보지를 검토했음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제3공항 수요는 하네다 공항 재확장으로 대응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라 하네다 공항에는 네 번째 활주로가 증설되어 2010년 10월부터 운영되고 있다.
검토회는 결론에서 하네다 공항 재확장 이후에도 증가하는 항공 수요를 모두 감당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신공항 건설의 필요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하지만 햐쿠리 기지의 민간 공용화가 결정되고, 요코타 기지의 군민 공용화 논의가 진행되는 등 기존 공항 활용 방안이 부상했다. 특히 신규 해상 공항 건설에는 막대한 비용(예: 중노세 안의 경우 활주로 1개당 1.4조엔~1.8조엔)과 지자체 부담이 요구된다는 점[2] 때문에, 기존 공항 활용을 포함한 논의가 심화되면서[2] 신규 해상 공항 건설은 사실상 답보 상태에 놓였다.
한편, 기술 혁신에 따른 초음속 여객기 시대를 대비하여 동아시아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는 슈퍼 허브 공항 건설의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했다.[3] 수도권 공항이 허브 공항으로서의 지위를 확보하지 못하면, 과거 고베항이 아시아의 지역 항만으로 위상이 낮아진 것처럼[4] 일본의 국제 거점 공항 역시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였다.[5] 경제계는 처음에는 세계 도시 도쿄의 위상에 걸맞은 국제 허브 공항 건설을 요구했으나, 현재는 하네다 공항의 완전한 국제선 기능 강화와 24시간 운영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입장을 바꾸었다.[6][7]
또한 국토교통성은 2008년 5월, 비즈니스 제트 전용 터미널을 수도권 공항에 설치하기 위한 조사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 항공 기지의 군민 공용화나 오케가와 비행장, 조후 비행장 등을 활용하는 방안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수도권 제3공항 조사 검토회는 앞서 육상 신공항 건설이나 기존 자위대 기지 활용은 어렵다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
2. 1. 요코타 기지 공용화 문제
하네다 공항의 재확장 이후에도 장기적인 항공 수요 증가에 대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면서, 수도권 제3공항의 필요성이 꾸준히 언급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새로운 해상 공항 건설 대신 기존 시설을 활용하는 방안이 검토되었는데, 특히 주일미군이 사용하는 요코타 기지를 민간 항공기와 함께 사용하는 군민 공용화 방안이 대안으로 떠올랐다.[2]하쿠리 기지의 민간 공용화가 결정되면서 요코타 기지의 공용화 논의 역시 구체적인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 2002년 10월 29일에는 가나가와현 지사, 요코하마 시장, 가와사키 시장이 회동하여 수도권 제3공항 문제와 관련해 기존 공항의 활용 방안을 포함하여 논의를 심화하기로 합의하였다. 이러한 합의는 요코타 기지 군민 공용화 추진에 힘을 실어주는 결과를 가져왔고, 상대적으로 신규 해상 공항 건설 논의는 더 이상 진전되지 못하는 상황에 놓였다.
이후 2020년 도쿄 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당시 도쿄도 지사였던 이노세 나오키가 요코타 기지에 본격적인 민간 항공기 운항을 검토하기도 하는 등, 요코타 기지 공용화는 수도권 항공 수요 분산을 위한 현실적인 대안 중 하나로 계속해서 거론되었다.
3. 건설 후보지
2003년 당시 지역 등에서 제안된 후보지는 다음과 같다.[8]
지역/방안 |
---|
도쿄만 안쪽 |
게이힌 임해 해상 |
가와사키 임해부 |
오기시마 |
혼모쿠 해상 |
키사라즈 해상 |
요코스카 카네다 해상 |
나카노세 |
우미호타루 주차장 이용 |
구주쿠리 해상 |
후츠 북쪽 |
후츠 남쪽 |
니시타마 |
하네다 공항 유효 이용 |
토치기시 |
정기 항공 협회와 도쿄도의 하네다 재확장 안(모두 C 활주로에 평행한 활주로 건설), 국토교통성의 제안(B 활주로에 평행한 활주로 건설, 최종안)은 위의 제안 후보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한편, 주일 미군 재편에 따른 요코타 기지의 군민 공용화 방안도 논의되었다. 이는 "검토 개시부터 12개월 이내에 종료한다"는 미일 합의에 따라 2006년 10월부터 검토회에서 협의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2007년 10월 중순, 일본 정부 관계자는 미군이 요코타 기지로의 민간 항공기 운항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고 언론에 밝혔다. 같은 해 11월 8일, 일본을 방문한 게이츠 미국 국방장관은 타카무라 일본 외무대신과의 회담에서 협의 지속을 요청하는 타카무라 외무대신의 요청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당시 미국 국방 차관은 대안으로 항공자위대의 이루마 기지나 미국 해군의 아츠기 기지의 군민 공용화를 역제안하기도 했다.
4. 후보·제안된 비행장
기존 군사 기지 등을 활용하는 방안으로 제안된 비행장은 다음과 같다.
- 이루마 기지
- 아쓰기 해군 비행장
- 하쿠리 기지 / 이바라키 공항
- 시모후사 항공 기지
- 요코타 기지
참조
[1]
뉴스
ねじれた離陸・展望乱れる茨城空港
http://mainichi.jp/a[...]
2010-03-09
[2]
웹사이트
社団法人日本プロジェクト産業協議会
http://www.sof.or.jp[...]
[3]
문서
東京都知事本部『首都圏における広域的課題の現状』、2002年1月 p.23
http://www.chijihon.[...]
[4]
웹사이트
港湾の競争力の重要性
http://www.mgssi.com[...]
삼井물산전략연구소
2004-06-01
[5]
문서
東京都知事本部『首都圏における広域的課題の現状』、2002年1月、p.20
http://www.chijihon.[...]
[6]
뉴스
日本経団連、羽田の早期24時間化・国際化要望 深夜早朝の発着制限緩和、特定時間帯フル活用を
http://www.jwing.com[...]
航空新聞社
2007-07-03
[7]
학술지
羽田空港国際線ターミナル新設へ
http://ohmae.biz/mai[...]
ビジネス・ブレークスルー
2006-07-01
[8]
웹사이트
首都圏第3空港 候補地提案の一覧
http://www.mlit.go.j[...]
국토교통성항공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