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숙명공주 (조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숙명공주는 조선 효종과 인선왕후의 셋째 딸로, 1640년 청나라 심양에서 태어났다. 1648년 군주에 봉해졌으며, 효종 즉위 후 공주로 진봉되었다. 1652년 심익현과 혼인하여 두 아들을 두었으며, 숙종 대에 서인으로서 남인과 대립하고 아들들이 기사환국에 연루되어 어려움을 겪었다. 1699년 사망하였으며, 숙종은 그녀의 죽음을 슬퍼하고 묘소를 하사했다. 숙명공주는 효종, 현종 등과 주고받은 한글 편지들을 엮은 《숙명신한첩》을 남겼으며, 이 편지들을 통해 고양이를 좋아했음을 알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효종의 자녀 - 현종 (조선)
    현종은 효종의 아들이자 조선의 제18대 왕으로, 재위 기간 중 예송 논쟁, 대동법 실시, 경신대기근, 안추원 사건 등을 겪었으며 34세에 사망하여 숭릉에 안장되었다.
  • 조선 효종의 자녀 - 숙휘공주
    숙휘공주는 조선 효종과 인선왕후의 넷째 딸로, 정제현에게 하가하여 1남 1녀를 두었으며, 설매 사건, 도방군 동원 문제 등 논란과 사치스러운 생활로 비판을 받았고, 한글 편지를 모은 《숙휘신한첩》은 보물로 지정되었다.
  • 1699년 사망 - 경민황귀비
    경민황귀비는 강희제의 후궁으로, 옹친왕 인상의 생모이며, 비빈으로 총애를 받아 윤상 등 자녀를 낳고 사망 후 민비로 추증, 아들 윤상의 공헌으로 황귀비로 추봉, 최종적으로 경민황귀비로 추존되어 경릉에 합장되었으나, 출생년도, 입궁 시기, 가족 배경 등은 상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 1699년 사망 - 크리스티안 5세
    크리스티안 5세는 1670년부터 1699년까지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통치한 국왕으로, 절대왕정 강화, 《단스케 로브》 발포, 스코네 전쟁 참여, 과학 발전 기여 등의 업적을 남겼다.
  • 1640년 출생 - 효강장황후
    효강장황후는 청나라 순치제의 후궁이자 강희제의 어머니이며, 강희제를 낳은 후 황태후가 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효릉에 부장되었다.
  • 1640년 출생 - 레오폴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레오폴트 1세는 1658년부터 1705년까지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서 프랑스와 오스만 제국의 위협에 맞서 제국을 수호하고 학문과 예술을 장려했으며 제국 헌법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숙명공주 (조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효종의 공주
이름숙명공주
한자淑明公主
출생일1640년 1월 25일 (음력)
사망일1699년 3월 17일 (음력)
출생지청나라 심양 질관
사망지조선 한성부 사직동 저택
능묘심익현 · 숙명공주묘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분수리 258-5)
가족 관계
부친효종
모친인선왕후 장씨
배우자청평위(靑平尉) 심익현(沈益顯)
자녀2남 (심정보(沈廷輔), 심정협(沈廷協))

2. 생애

1640년(인조 18년) 1월 25일, 청나라 심양의 질관(質館)에서, 당시 인질 생활 중이던 아버지 봉림대군(효종)과 어머니 풍안부부인 장씨의 셋째 딸로 태어났다. 맏언니인 숙신공주가 요절하였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서에는 둘째 딸(第二公主)로 기록되어 있다.

1648년(인조 26년) 12월 19일, 왕세자의 딸에게 주어지는 군주(郡主)의 작호를 받아 '''숙명군주'''(淑明郡主)에 봉해졌으며, 다음해에 아버지 효종이 즉위하자 '''숙명공주'''(淑明公主)로 진봉되었다.

1652년(효종 3년) 5월 3일, 이조참판 심지원의 아들 청평위(靑平尉) 심익현과 혼인하였으며 심익현과의 사이에 두 아들을 두었다.

1653년(효종 4년), 효종은 인경궁의 옛터에 숙명공주의 집을 지어주었는데, 이때 군포와 요미 등 부역에 쓰이는 물자와 비용이 많이 발생하자 헌부에서 집의 칸 수를 줄이고 물력 낭비를 줄이라 간하였다. 이후에도 숙명공주를 비롯한 효종의 딸들은 토지와 전답, 저택 공사 등에서 민간의 피해를 끼치고 폐단을 일으켜 물의를 빚었다.

1683년(숙종 9년) 남편인 청평위 심익현과 사별하였다. 숙명공주는 서인 당색을 드러내며 숙종에게 자의대왕대비의 사촌 동생인 조사석이 정승으로 임명된 것에 대해 불평하였으며, 남인희빈 장씨숭선군의 아들 동평군 등과는 불화를 빚고 반목하였다. 숙종은 희빈 장씨를 총애하고 남인에게 마음이 기울 무렵, 공주들의 이러한 무례함에 불쾌함을 느끼고 진노하였다.

{{인용문-따옴표| 

:그전부터 조정의 진신(搢紳)이 내관(內官)과 결탁하고,

:궁인들이 궁가(宮家)와 내통하는 것은 모두 통렬하게 금하는 법이기에

:지난해에 비망기에다 언급했던 것이고 다른 뜻이 있었던 것이 아니었다.

:그런데도 여러 공주들이 이로부터 의심을 품고 전과 크게 달라지므로

:내가 마음을 썩여온 지 이미 오래인데, 군상(君上)을 모함하고 욕했으니,

:어찌 앙화(殃禍)가 없을 일이겠는가?|'''숙명공주와 숙안공주의 무례함과 불경함에 숙종이 분노하며 한 말'''


:숙종 13년(1687년 9월 13일) (무자)|align=center}}

숙종의 분노로 기사환국 때 숙명공주의 아들인 심정보와 심정협이 처벌되었다. 숙명공주의 언니인 숙안공주의 아들 홍치상(洪致祥)은 문초를 받으면서 이종사촌이자 동서인 심정보를 끌어들였고, 숙종은 심정보와 심정협은 유배를 보냈지만 홍치상은 교수형에 처하였다. 숙종은 아랑곳하지 않고 사촌들을 처벌하였고, 이 일로 숙명공주는 상심하여 병을 얻었고, 병이 심해지자 숙종은 심정보와 심정협을 유배지에서 방면하여 숙명공주를 돌보게 하였다. 숙종은 숙안공주의 아들인 홍치상은 사형을 내리고 사후에도 죄를 용서하지 않았지만, 숙명공주의 아들인 심정보 형제는 용서하였고, 숙명공주의 헌수 잔치에 도구를 하사하기도 하였다.

1699년(숙종 25년), 병이 깊어지자 숙종은 공주의 저택에 친림하여 문병하였다. 3월 17일 사망하였다. 숙종은 매우 슬퍼하며 조회를 중지하고 부의를 내렸다. 숙명공주의 묘역은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에 있다.

2. 1. 초기 생애

1640년(인조 18년) 1월 25일, 청나라 심양의 질관(質館)에서, 당시 인질 생활 중이던 아버지 봉림대군(효종)과 어머니 풍안부부인 장씨의 셋째 딸로 태어났다. 맏언니인 숙신공주가 요절하였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서에는 둘째 딸(第二公主)로 기록되어 있다.

1648년(인조 26년) 12월 19일, 왕세자의 딸에게 주어지는 군주(郡主)의 작호를 받아 '''숙명군주'''(淑明郡主)에 봉해졌으며, 다음해에 아버지 효종이 즉위하자 '''숙명공주'''(淑明公主)로 진봉되었다.

1652년(효종 3년) 5월 3일, 이조참판 심지원의 아들 청평위(靑平尉) 심익현과 혼인하였으며 심익현과의 사이에 두 아들을 두었다.

1653년(효종 4년), 효종은 인경궁의 옛터에 숙명공주의 집을 지어주었는데, 이때 군포와 요미 등 부역에 쓰이는 물자와 비용이 많이 발생하자 헌부에서 집의 칸 수를 줄이고 물력 낭비를 줄이라 간하였다.

2. 2. 혼인 및 궁중 생활

1652년(효종 3년) 5월 3일, 이조참판 심지원(沈之源)의 아들 청평위(靑平尉) 심익현(沈益顯)과 혼인하였으며 심익현과의 사이에 두 아들을 두었다. 1653년(효종 4년), 효종은 인경궁의 옛터에 숙명공주의 집을 지어주었는데, 이때 군포와 요미 등 부역에 쓰이는 물자와 비용이 많이 발생하자 헌부에서 집의 칸 수를 줄이고 물력 낭비를 줄이라 간하였다. 이후에도 숙명공주를 비롯한 효종의 딸들은 토지와 전답, 저택 공사등에서 민간의 피해를 끼치고 폐단을 일으켜 물의를 빚었다.

숙명공주의 당파는 서인으로, 당시 언니 숙안공주와 더불어 서인의 당색을 드러내며 숙종에게 자의대왕대비(장렬왕후)의 사촌 동생인 조사석이 정승으로 임명된 것에 대해 불평하였으며, 남인희빈 장씨숭선군의 아들 동평군 등과는 불화를 빚고 반목하였다. 숙종이 희빈 장씨를 총애하고 남인에게 마음이 기울 무렵, 공주들의 이러한 무례함에 상당히 불쾌함을 느끼고 진노하였다.

{{인용문-따옴표| 

:그전부터 조정의 진신(搢紳)이 내관(內官)과 결탁하고,

:궁인들이 궁가(宮家)와 내통하는 것은 모두 통렬하게 금하는 법이기에

:지난해에 비망기에다 언급했던 것이고 다른 뜻이 있었던 것이 아니었다.

:그런데도 여러 공주들이 이로부터 의심을 품고 전과 크게 달라지므로

:내가 마음을 썩여온 지 이미 오래인데, 군상(君上)을 모함하고 욕했으니,

:어찌 앙화(殃禍)가 없을 일이겠는가?|'''숙명공주와 숙안공주의 무례함과 불경함에 숙종이 분노하며 한 말'''
:숙종 13년(1687년 9월 13일) (무자)|align=center}}

이러한 숙종의 분노로 말미암아 기사환국 때에 숙명공주의 아들인 심정보와 심정협이 처벌되었다. 당시 숙명공주의 언니인 숙안공주의 아들 홍치상(洪致祥)은 문초를 받으면서 이종사촌이자 동서인 심정보를 끌어들였고, 숙종은 심정보와 심정협은 유배를 보냈지만 홍치상은 교수형에 처하였다. 고모인 공주들이 버젓이 생존해 있음에도 숙종은 아랑곳하지 않고 사촌들을 처벌하였다.

이 일로 숙명공주는 상심하여 병을 얻었고, 병이 심해지자 숙종은 심정보와 심정협을 유배지에서 방면하여 숙명공주를 돌보게 하였다. 숙종은 숙안공주의 아들인 홍치상은 사형을 내리고 사후에도 죄를 용서하지 않았지만, 숙명공주의 아들인 심정보 형제는 용서하였고, 숙명공주의 헌수 잔치에 도구를 하사하기도 하였다. 1683년(숙종 9년) 남편인 청평위 심익현과 사별하였다.

2. 3. 숙종과의 갈등

숙명공주는 서인 당파로, 숙안공주와 함께 숙종에게 자의대왕대비의 사촌 동생인 조사석이 정승으로 임명된 것에 대해 불평하였다. 또한 남인희빈 장씨숭선군의 아들 동평군 등과는 불화를 빚고 반목하였다. 숙종이 희빈 장씨를 총애하고 남인에게 마음이 기울 무렵, 숙명공주는 이러한 무례함으로 숙종의 분노를 샀다.

이러한 숙종의 분노는 기사환국 때 숙명공주의 아들인 심정보와 심정협이 처벌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당시 숙명공주의 언니인 숙안공주의 아들 홍치상은 문초를 받으면서 이종사촌이자 동서인 심정보를 끌어들였고, 숙종은 심정보와 심정협은 유배를 보냈지만 홍치상은 교수형에 처하였다. 고모인 공주들이 생존해 있음에도 숙종은 사촌들을 처벌한 것이다.

이 일로 숙명공주는 상심하여 병을 얻었고, 병이 심해지자 숙종은 심정보와 심정협을 유배지에서 방면하여 숙명공주를 돌보게 하였다. 숙종은 숙안공주의 아들인 홍치상은 사형을 내리고 사후에도 죄를 용서하지 않았지만, 숙명공주의 아들인 심정보 형제는 용서하였고, 숙명공주의 헌수 잔치에 도구를 하사하기도 하였다. 1699년(숙종 25년), 숙명공주가 병이 깊어지자 숙종은 공주의 저택에 친림하여 문병하였다.

2. 4. 말년

1653년(효종 4년), 효종은 인경궁의 옛터에 숙명공주의 집을 지어주었는데, 이때 군포와 요미 등 부역에 쓰이는 물자와 비용이 많이 발생하자 헌부에서 집의 칸 수를 줄이고 물력 낭비를 줄이라 간하였다.[3] 이후에도 숙명공주를 비롯한 효종의 딸들은 토지와 전답, 저택 공사 등에서 민간의 피해를 끼치고 폐단을 일으켜 물의를 빚었다.

1683년(숙종 9년) 남편인 청평위 심익현과 사별하였다. 숙명공주는 서인 당색을 드러내며 숙종에게 자의대왕대비의 사촌 동생인 조사석이 정승으로 임명된 것에 대해 불평하였으며[4], 남인희빈 장씨숭선군의 아들 동평군 등과는 불화를 빚고 반목하였다. 숙종은 희빈 장씨를 총애하고 남인에게 마음이 기울 무렵, 공주들의 이러한 무례함에 불쾌함을 느끼고 진노하였다.

숙종의 분노로 기사환국 때 숙명공주의 아들인 심정보와 심정협이 처벌되었다. 숙명공주의 언니인 숙안공주의 아들 홍치상(洪致祥)은 문초를 받으면서 이종사촌이자 동서인 심정보를 끌어들였고, 숙종은 심정보와 심정협은 유배를 보냈지만 홍치상은 교수형에 처하였다. 숙종은 아랑곳하지 않고 사촌들을 처벌하였고, 이 일로 숙명공주는 상심하여 병을 얻었고, 병이 심해지자 숙종은 심정보와 심정협을 유배지에서 방면하여 숙명공주를 돌보게 하였다.[6] 숙종은 숙안공주의 아들인 홍치상은 사형을 내리고 사후에도 죄를 용서하지 않았지만, 숙명공주의 아들인 심정보 형제는 용서하였고, 숙명공주의 헌수 잔치에 도구를 하사하기도 하였다.

1699년(숙종 25년), 병이 깊어지자 숙종은 공주의 저택에 친림하여 문병하였다. 3월 17일 사망하였다. 숙종은 매우 슬퍼하며 조회를 중지하고 부의를 내렸다. 숙명공주의 묘역은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에 있다.

3. 숙명신한첩

숙명공주는 아버지 효종, 어머니 인선왕후, 동생 현종 및 조모인 장렬왕후와 그 외에도 명성왕후, 숙종 등과 한글 편지를 주고 받았는데, 숙명공주가 이들로부터 받은 한글편지첩을 엮은 《숙명신한첩(淑明宸翰帖)》은 보물 제1947호로 지정되어 조선 중기의 한글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남아 있다. 이 한글 편지의 내용으로 인해 숙명공주가 고양이를 무척 아끼고 좋아했다는 것이 알려지기도 하였다.

숙명공주와 효종이 주고 받은 편지현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내는 편지
324x324픽셀
숙명공주


3. 1. 편지 내용 예시

효종, 인선왕후, 현종, 장렬왕후, 명성왕후, 숙종 등과 주고 받은 한글 편지들은 《숙명신한첩(淑明宸翰帖)》으로 엮어져 보물 제1947호로 지정되었으며, 조선 중기 한글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이 편지들을 통해 숙명공주가 고양이를 매우 좋아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숙명공주와 효종이 주고 받은 편지현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내는 편지


4. 가족 관계


손녀 청송 심씨 : 광산 김씨 감사 증 좌찬성 김진옥의 아들 판윤 증 영의정 김원택의 처

  • ** 며느리(측실) : 미상

손녀 청송 심씨 : 교관 조명두의 처
서손자 : 심사맹
서손자 : 심사하
서손자 : 심사유
서손녀 청송 심씨 : 홍계우의 처
양손자 : 좌랑 심협 - 심상은의 아들
양손자 : 부사 심사주(1691 ~ 1757) - 심정기의 아들

4. 1. 부모와 형제자매

숙명공주의 아버지는 효종이며, 어머니는 인선왕후 장씨이다. 숙신공주, 숙안공주, 현종, 숙휘공주, 숙정공주, 숙경공주와 형제자매이다. 시아버지는 심지원이며, 시어머니는 초취 안동 권씨와 후취 해평 윤씨이다. 남편은 청평위 심익현이다.

4. 2. 남편과 자녀

숙명공주의 남편은 청평위(靑平尉) 심익현(沈益顯, 1641 ~ 1683)이다. 시아버지는 심지원(沈之源, 1593 ~ 1662)이며, 시어머니는 초취 안동 권씨(安東 權氏)와 후취 해평 윤씨(海平 尹氏)이다. 안동 권씨(安東 權氏)는 좌랑 권득기(權得己)의 딸이자 판서 권극례(權克禮)의 손녀이고, 해평 윤씨(海平 尹氏)는 부사 윤종지(尹宗之)의 딸이자 좌찬성 윤근수(尹根壽)의 증손녀이다.

숙명공주는 심익현과의 사이에서 장남 심정보(沈廷輔, 1658 ~ 1727)와 차남 심정협(沈廷協, 1659 ~ 1699)을 낳았다. 심정보의 며느리는 온양 정씨(溫陽 鄭氏) 정유악(鄭維岳)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 이정영(李正英)의 딸, 그리고 미상의 측실이다. 전주 이씨(全州 李氏) 며느리는 숙종의 후궁 영빈 김씨의 이모이다. 심정보는 청송 심씨 손녀를 두었는데, 광산 김씨 감사(監司) 증 좌찬성(贈 左贊成) 김진옥(金鎭玉)의 아들 판윤(判尹) 증 영의정(贈 領議政) 김원택(金元澤)에게 시집보냈다. 또한, 교관(敎官) 조명두(趙明斗)의 처, 홍계우(洪啓祏)의 처인 청송 심씨 손녀들과 서손자 심사맹(沈師孟), 심사하(沈師夏), 심사유(沈師游)를 두었고, 양손자 심협(沈埉)을 두었는데, 심협은 심상은(沈尙殷)의 아들로 좌랑(佐郞)을 지냈다.

심정협의 며느리는 풍양 조씨(豊壤 趙氏)로, 예조판서 조형(趙珩)의 손녀이다. 심정협은 양손자로 부사(府使) 심사주(沈師周, 1691 ~ 1757)를 두었는데, 심사주는 심정기(沈廷琦)의 아들이다.

참조

[1] 서적 승정원일기 1648-12-19
[2] 서적 효종실록 1649-06-09
[3] 서적 효종실록 1653-08-19
[4] 서적 숙종실록 1687-09-13
[5] 문서 숙안공주, 숙명공주, 숙휘공주
[6] 서적 숙종실록 1692-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