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킨답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킨답서스는 덩굴성 식물로, 잎의 색상과 무늬에 따라 다양한 품종이 있으며, '골든 포토스', '마블 퀸' 등이 흔히 재배된다. 1880년 'Pothos aureus'로 처음 기술되었으며, 실내 공기 정화 효과가 있어 폼알데하이드, 자일렌, 벤젠 등 오염 물질 제거에 도움을 준다. 꺾꽂이로 번식이 용이하며, 온화한 기후에서 잘 자란다. 하지만 옥살산칼슘 결정으로 인해 섭취 시 유독성을 나타내며, 일부 지역에서는 생태계를 교란하는 유해종으로 지정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실내 장식 및 공기 정화 식물로 인기가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실내용화초 - 봉술
봉술은 남아시아 원산의 열대 및 아열대 식물로, 뿌리줄기는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며 인도네시아와 태국 요리에 활용되고 한의학에서는 봉출이라는 약재로, 전통 의학에서는 염증, 통증, 피부 질환 등에 사용되었으며, 에센셜 오일은 향수, 비누 제조 등에 사용된다. - 실내용화초 - 팔손이
팔손이는 7~9개로 갈라진 손바닥 모양 잎이 특징인 두릅나무과 상록 관목으로, 남부 해안가에서 자생하며 관상용 및 약재로 사용되고, 통영 비진도의 자생지는 천연기념물로 보호받는다. - 아시아의 식물상 - 쇠뜨기
쇠뜨기는 뿌리줄기로 번식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어린 순은 식용 가능하고 이뇨 작용 효능이 있으며, 영양줄기와 생식줄기로 나뉘고 꽃 대신 포자로 번식하며, 전 세계에 분포하지만 강한 번식력으로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하고, 약용 및 산업적으로 활용되나 과다 섭취 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아시아의 식물상 - 아이비
아이비는 담쟁이덩굴속 상록수 덩굴 식물의 총칭으로, 특히 헤데라 헬릭스는 유럽과 서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관상용으로 재배되지만 침입종으로 분류되기도 하고 약용으로도 쓰인다.
스킨답서스 | |
---|---|
기본 정보 | |
![]() | |
속 | 하브카즈라속 |
종 | 오레움 |
학명 | Epipremnum aureum (Linden & André) G.S.Bunting, 1964 |
이명 | Epipremnum mooreense Nadeaud, 1899 Pothos aureus Linden & André, 1880 Rhaphidophora aurea (Linden & André) Birdsey, 1963 Scindapsus aureus (Linden & André) Engl., 1908 Epipremnum pinnatum cv. aureum Nicolson Epipremnum angustilobum K.Krause Epipremnum elegans Engl. Epipremnum glaucicephalum Elmer Epipremnum merrillii Engl. Epipremnum mirable Schott Epipremnum pinnatum f. eporforatum (Engl.) Engl. Epipremnum pinnatum f. multisectum (Engl.) Engl. Monstera pinnata (L.) Schott Philodendron nechodomae Britton Polypodium laciniatum Burm f. Pothos aureus Linden & André Pothos pinnatus L. Rhaphidophora cunninghamii Schott Rhaphidophora laciniata (Burm. f.) Merr. Rhaphidophora lovellae F.M.Bailey Rhaphidophora merrillii Engl. Rhaphidophora pertusa var. vitiensis (Schott)Engl. Rhaphidophora pinnata (L.) Schott Rhaphidophora pinnata (Schott) Rhaphidophora vitiensis Schott Scindapsus aureus (Linden & André) Engl. Scindapsus pinnatus Schott |
다른 이름 | 포토스 실버 바인 (Silver vine) 데빌스 아이비 (Devil's ivy) 황금갈 (黄金葛, 오우곤카즈라) |
생태 및 환경 | |
원산지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솔로몬 제도 |
서식지 | 남아프리카 공화국 (침입종으로 간주됨) |
특징 | |
설명 | 다년생 덩굴 식물 |
독성 | 섭취 시 독성이 있을 수 있음 (개와 고양이에게 유독함) |
활용 | |
용도 | 관상용 식물 (실내 공기 정화 효과) |
문화적 의미 | 재물과 행운을 상징 (인도에서 특히 믿음) |
수상 | |
수상 내역 | 왕립 원예 협회 정원 공로상 수상 |
2. 역사 및 어원
스킨답서스는 최대 20m까지 자라는 상록 덩굴식물이다. 줄기의 지름은 최대 4cm에 달하며, 공중 뿌리(기근)를 내어 벽이나 다른 나무 표면에 부착하며 타고 올라간다.
스킨답서스는 여러 속으로 분류되어 온 역사가 있다. 1880년에 처음 기술될 당시에는 ''Pothos aureus''라는 학명으로 명명되었으며, 이 때문에 오늘날에도 여전히 "포토스"라는 이름으로 흔히 불린다. 이후 1962년 꽃차례가 관찰되면서 ''Rhaphidophora aurea''라는 새로운 이름이 붙여졌다.
그러나 꽃을 더 자세히 연구한 결과, 학자들은 이 식물이 ''Epipremnum pinnatum''과 매우 유사하다고 판단하여 한때 이 종과 동일한 종으로 취급하기도 했다. 최종적으로는 잎과 성장 패턴 등 식물 전체를 면밀히 관찰한 후에 ''E. pinnatum''과는 다른 종으로 다시 분리되어 현재의 학명인 ''Epipremnum aureum''으로 분류되었다.[8]
3. 특징
잎은 어긋나기 형태로 자라며 심장 모양이다. 어린 식물의 잎은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일반적으로 20cm 미만으로 작지만, 완전히 성숙한 식물의 잎은 불규칙하게 깃 모양으로 갈라지며(우상열), 길이가 최대 100cm, 너비는 45cm까지 커질 수 있다. 덩굴 줄기가 땅에 닿으면 뿌리를 내리고 자라는데, 이때 잎은 최대 10cm 크기로 자라며, 이는 화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잎의 형태이다. 잎자루는 길고 줄기에서 어긋나며, 마른 후에는 섬유질만 남는다. 잎은 녹색 바탕에 옅은 황색의 줄무늬나 반점이 불규칙하게 들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가죽질이고 광택이 있다.
꽃은 최대 23cm 길이의 불염포 안쪽 육수화서에서 피지만, 자연 상태에서는 꽃을 피우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 이는 지베렐린(GA) 생합성 유전자(EaGA3ox1)의 유전적 손상으로 인해 개화에 필요한 생리 활성 GA를 충분히 만들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로 인해 꽃 분열조직 식별 유전자(EaLFY)가 발현되지 않아 꽃눈이 형성되지 않는다. 실험적으로 식물에 GA를 외부에서 처리하면 개화를 유도할 수 있다.[8] 이러한 특성 때문에 현재 재배되는 대부분의 스킨답서스는 씨앗 번식이 아닌, 기존 식물의 줄기를 잘라 번식시키는 영양 생식을 통해 증식된 것이다.
스킨답서스는 과거 분류학적으로 여러 차례 소속이 변경되었다. 1880년 처음 기재될 당시에는 ''Pothos aureus''로 명명되었고, 이 때문에 여전히 '포토스'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1962년 꽃차례가 관찰된 후 ''Rhaphidophora aurea''로 재분류되었으나, 이후 꽃의 구조가 ''Epipremnum pinnatum''과 유사하다는 점이 밝혀져 동일 종으로 취급되기도 했다. 그러나 잎과 성장 패턴 등 식물 전체를 면밀히 연구한 결과, 최종적으로 ''E. pinnatum''과는 다른 독립된 종인 ''Epipremnum aureum''으로 분류되었다.[8]
3. 1. 품종
온대 지역에서는 흰색, 노란색 또는 연녹색의 다양한 무늬를 가진 품종들이 개발되어 인기 있는 실내 식물로 자리 잡았다. 관리가 비교적 쉽고 잎이 아름다워 쇼핑센터, 사무실 등 다양한 공공장소의 장식용으로 흔히 사용된다.
원예 품종으로 재배되는 것들은 주로 야생종 중에서 녹색 잎에 노란 반점이 들어간 개체를 선별하여 육종한 것이다. 실내 식물 애호가들 사이에서는 다양한 품종이 알려져 있으며, 주요 품종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4. 재배 및 관리
스킨답서스(la)는 기온이 온화한 지역에서 인기 있는 실내 식물이다. 품종에 따라 잎의 색은 흰색, 노란색, 또는 옅은 초록색 등으로 다양하며, 관리가 비교적 쉽고 잎이 아름다워 가정뿐만 아니라 쇼핑센터, 사무실 등 공공장소의 장식용으로도 널리 사용된다. 열대 지역에서는 공원이나 정원에서 자연스럽게 자라기도 한다.
실내에서 키울 때는 밝은 간접광이 드는 곳이 가장 좋다. 강한 빛을 견딜 수는 있지만, 장기간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잎이 탈 수 있다. 생육 적정 온도는 17°C에서 30°C 사이이다. 아열대 원산 식물이라 추위에 약하므로 겨울철에는 최저 5°C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권장된다. 국내 일반 가정의 겨울철 실내 온도는 이보다 높은 경우가 많아 월동은 비교적 쉬운 편이다. 실내에서 키울 때는 적절한 지지대(덩굴 손잡이나 수태 기둥)를 해주면 2m 이상으로 자랄 수도 있지만, 성체 크기의 잎이 발달하는 경우는 드물다.
물주기는 화분 겉흙이 말랐을 때 충분히 주는 것이 기본이며, 보통 1~2주에 한 번 정도이다. 물을 너무 자주 주면 과습으로 뿌리가 썩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만약 과습이나 추위, 건조 등으로 잎이 노랗게 변하거나 시들면, 흙이 완전히 마를 때까지 기다렸다가 다시 물을 주기 시작하는 것이 좋다. 생장기에는 1~2주에 한 번씩 희석한 액체 비료를 주면 성장에 도움이 된다. 화분에 뿌리가 가득 차거나 2년 정도 지나면 분갈이를 해주는 것이 좋다.
스킨답서스는 매우 튼튼하여 다소 좋지 않은 환경에서도 잘 견디며, 수경 재배도 가능하다. 물에서 키우면 뿌리가 빠르게 자란다.[10] 수족관 위에 두고 뿌리만 물에 담가 키우기도 하는데, 이때 스킨답서스가 물속의 질산염을 흡수하여 성장하므로 식물과 수족관 환경 모두에 유익하다.
번식은 주로 꺾꽂이로 이루어진다. 줄기를 1~3마디 정도로 잘라 물이나 흙에 꽂으면 마디 부분에서 뿌리가 쉽게 나온다.
- 물꽂이: 자른 줄기의 마디가 물에 잠기도록 유리병 등에 꽂아두고, 잎은 물 밖에 나오도록 한다. 며칠에 한 번씩 물을 갈아주는 것이 좋다.
- 흙꽂이: 자른 줄기의 마디가 흙 속에 2.5cm ~ 5cm 정도 묻히도록 심는다. 펄라이트나 버미큘라이트를 섞은 배수가 잘 되는 흙이나 스파그넘 이끼 등에 직접 심어도 뿌리가 잘 내린다.
꺾꽂이 외에도 포기 나누기나 식물 조직 배양으로도 번식할 수 있다.
스킨답서스는 병충해에 비교적 강한 편이지만, 꺾꽂이 과정에서 병균이 옮겨질 수 있다. 주의해야 할 병으로는 에르위니아 잎 반점, 피티움 뿌리 썩음병, 라이족토니아 뿌리 썩음병, 슈도모나스 잎 반점, 남부 마름병, 크산토모나스 세균점무늬병 등이 있다.[11] 또한, 과습은 뿌리 썩음의 주요 원인이 된다. 덩굴성 식물이므로 지지대 없이 방치하면 벽이나 다른 구조물을 타고 무한정 자랄 수 있으니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스킨답서스는 실내 공기 중의 포름알데하이드, 자일렌, 벤젠, 트리클로로에틸렌, 톨루엔과 같은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1][12] 한 연구에 따르면, 제거 효과는 오염 물질의 분자량이 클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22][13]
스킨답서스는 속씨식물이지만 자연 상태에서는 꽃을 거의 피우지 않는다. 이는 꽃눈 형성 및 발달에 필요한 지베렐린(GA)을 만드는 유전자(EaGA3ox1)에 결함이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 유전자 결함으로 인해 꽃 분열조직을 만드는 유전자(EaLFY)가 활성화되지 못한다. 실험적으로 식물에 지베렐린을 처리하면 꽃이 피는 것이 확인되었다.[8] 따라서 현재 재배되는 대부분의 스킨답서스는 씨앗 번식이 아닌 영양 번식(꺾꽂이, 포기 나누기 등)을 통해 증식된 개체들이다.
5. 실내 공기 정화 효과
스킨답서스는 실내의 오염 물질들을 제거하는 데 효율적인 식물로 알려져 있다.[21] 통제된 환경, 예를 들어 밀폐된 방과 같은 조건에서 포름알데히드, 트리클로로에틸렌, 톨루엔, 자일렌, 벤젠과 같은 실내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능력이 확인되었다.[12][21] 다만, 관련 연구에 따르면 오염 물질의 분자량이 클수록 그 정화 효과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13][22]
6. 유독성
스킨답서스는 식물 내에 존재하는 불용성 수산칼슘(옥살산칼슘) 결정, 특히 라피드 때문에 독성을 가진다.[16][15]
미국 동물 학대 방지 협회(ASPCA)는 스킨답서스를 개와 고양이에게 유독한 식물로 명시하고 있다.[23][15] 이는 식물 속 불용성 결정체 때문이다. 반려동물이 이 식물을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섭취 시 구강 염증이나 자극, 구토, 삼키기 어려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23][15]
사람에게도 수산칼슘 성분으로 인해 약간의 독성이 나타날 수 있다. 스킨답서스를 섭취하면 입 안과 주변 부위가 화끈거리거나 부어오를 수 있으며, 아토피 피부염(습진)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식물과의 과도한 접촉은 일반적인 피부 자극이나 접촉성 피부염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16]
7. 유해성
스킨답서스는 원산지가 아닌 열대우림 지역에 유입될 경우 매우 침입적인 종이 되어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24] 특히 자연적인 천적이 없는 지역에서는 숲 바닥의 토양과 유기 퇴적물 층(임상층)을 지나치게 뒤덮어 생태계 교란을 일으킬 수 있다.
스리랑카에서는 캔디의 우다와타 케레 보호구역 여러 헥타르에 걸쳐 스킨답서스가 무성하게 자라며 숲 바닥과 나무 줄기를 완전히 뒤덮어 심각한 생태적 교란을 일으키고 있다.[17][24] 또한, 장식용이나 도로변 경사면 유지를 위해 심어진 스킨답서스가 케갈라의 쿠루르케레 산림 보호구역 등 다른 지역에도 침입한 사례가 보고되었다.
미국 플로리다에서는 1999년 외래 해충 관리 위원회(Florida Exotic Pest Plant Council)의 침입종 목록에 스킨답서스가 포함되었다.[18]
남아프리카의 경우, 남아프리카 식물학 저널(South African Journal of Botany)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스킨답서스가 해안 지역을 따라 침입종이 될 잠재적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야생에서의 확산을 막기 위해 감독 구역 밖에서의 재배 금지 등 다양한 방법을 제안했다. 그러나 같은 연구에서는 스킨답서스가 종자 은행이 부족하고 제초제에 대한 내성이 낮아 대규모로 번식하기는 어렵다고 지적하며, 통제된 지역에서 관리하면 야생에서 자랄 때만큼 심각한 위협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19]
8. 한국에서의 스킨답서스
스킨답서스는 한국에서도 기온이 온화한 지역을 중심으로 집안에서 키우는 실내 식물로 잘 알려져 있다. 다양한 품종이 있으며, 잎 색깔은 흰색, 노란색, 또는 옅은 초록색 등으로 다양하다. 관리가 비교적 용이하고 큰 잎이 장식 효과를 주기 때문에 백화점, 할인 매장, 사무실 및 기타 공공장소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또한, 스킨답서스는 실내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인 식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폼알데하이드, 자일렌, 벤젠 등을 정화하는 능력이 있다.[21] 다만, 관련된 연구에 따르면 오염 물질의 분자 크기가 클수록 정화 효과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22] 적절한 영양 공급과 환경 조건 하에서는 실내에서도 20m 이상으로 자랄 수 있다.
드물게 수족관 환경에서도 활용되는데, 주로 수족관 위에 배치하여 뿌리가 물속에서 자라도록 한다. 이 방식은 스킨답서스가 물속의 질산염을 흡수하여 성장하므로 식물과 수족관 환경 모두에 유익하다.
9. 갤러리
참조
[1]
논문
Assessing and managing the threat posed by Epipremnum aureum in South Africa
2017-03-01
[2]
논문
Molecular and physiological role of Epipermnum aureum
2014-04-01
[3]
웹사이트
बरकत के साथ नुकसान भी कर सकता है मनी प्लांट, जानिए कैसे - Hindustan
http://www.livehindu[...]
2017-02-10
[4]
뉴스
বারান্দায় সবুজের মেলা {{!}} কালের কণ্ঠ
http://www.kalerkant[...]
2017-02-10
[5]
웹사이트
A Review of Epipremnum (Araceae) in Cultivation
https://www.aroid.or[...]
2019-01-12
[6]
웹사이트
Epipremnum aureum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20-06-07
[7]
웹사이트
AGM Plants - Ornamental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7-07-01
[8]
논문
Gibberellin deficiency is responsible for shy-flowering nature of Epipremnum aureum
2016-06-27
[9]
서적
How to Grow Fresh Air
Penguin Books
1996
[10]
웹사이트
Growing Hydroponic Money Plant (Devil's Ivy/Pothos)
https://gardeningtip[...]
Gardening Tips
2023-06-28
[11]
논문
Thidiazuron promotes adventitious shoot regeneration from pothos (Epipremnum aureum) leaf and petiole explants
2002-05-01
[12]
서적
How To Grow Fresh Air
Penguin Books
1997
[13]
논문
Purification characteristics of pothos for airborne chemicals in growing conditions and its evaluation
[14]
웹사이트
Epipremnum aureum (Golden Pothos) - Plant Care 101
https://www.gardenia[...]
2024-10-14
[15]
웹사이트
Devils Ivy
http://www.aspca.org[...]
2009-03-11
[16]
논문
Molecular and physiological role of Epipremnum aureum
https://greenpharmac[...]
2014-04-01
[17]
웹사이트
'W. De Costa, H. Hitanayake and I. Dharmawardena, "A Physiological Investigation into the Invasive Behaviour of Some Plant Species in a Mid-Country Forest Reserve in Sri Lanka"'
http://thakshana.nsf[...]
2009-03-11
[18]
간행물
2015-12-06
[19]
논문
Assessing and managing the threat posed by Epipremnum aureum in South Africa
2017-01-01
[20]
웹사이트
GKZ植物事典・團伊玖磨植物事典・ポトス
https://gkzplant.sak[...]
2024-11-23
[21]
서적
How To Grow Fresh Air
Penguin Books
1997
[22]
간행물
Purification characteristics of pothos for airborne chemicals in growing conditions and its evaluation
2008-01-01
[23]
웹인용
Devils Ivy
http://www.aspca.org[...]
2009-03-11
[24]
웹인용
'W. De Costa, H. Hitanayake and I. Dharmawardena, "A Physiological Investigation into the Invasive Behaviour of Some Plant Species in a Mid-Country Forest Reserve in Sri Lanka"'
http://thakshana.nsf[...]
2009-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