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라테고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트라테고스는 '군대 지도자'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단어로, 군사 지휘관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고대 아테네에서는 기원전 6세기부터 사용되었으며, 클레이스테네스의 개혁 이후 10명의 스트라테고스가 각 부족에서 선출되어 군사 및 정치적 역할을 수행했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지방 행정관으로도 활용되었으며, 비잔틴 제국에서는 테마 시스템과 함께 군사적 책임을 맡았다. 현대 그리스에서는 최고위 장교 계급을 의미하며, 중장, 소장 등 다른 장군 계급의 명칭으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군사 - 그리스군
그리스군은 1821년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 투쟁 중 창설되어 육군, 해군, 공군으로 구성되며, 발칸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등 다양한 전쟁과 평화 유지 작전에 참여하고, 1952년부터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회원국으로 활동하며, 징병제를 실시하고 GDP의 상당 부분을 군사비로 사용한다. - 동로마 제국의 관직과 칭호 - 아우토크라토르
아우토크라토르는 고대 그리스에서 독립적인 권한을 가진 최고 사령관을 지칭하던 용어로, 로마 제국과 비잔티움 제국을 거쳐 '황제이자 독재관'이라는 의미로 부활하여 여러 국가에서 유사한 칭호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러시아에서는 1917년까지 공식적인 황제 칭호로 쓰였다. - 동로마 제국의 관직과 칭호 - 바실레우스
바실레우스는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하여 시대와 지역에 따라 지방 귀족, 왕, 황제 등을 지칭하는 칭호로 사용되었으며, 동로마 제국 황제의 공식 칭호로도 쓰였다. - 고대 그리스의 군사 - 펠타스트
펠타스트는 고대 그리스에서 펠테라는 초승달 방패를 들고 투창을 주 무기로 사용하며 기동성이 뛰어났던 경무장 보병으로, 트라키아에서 기원하여 그리스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는 마케도니아 군대의 핵심 구성원으로 활약했다. - 고대 그리스의 군사 - 밀집 장창 보병대
밀집 장창 보병대는 고대 그리스에서 기원하여 발전한 전술 대형으로, 병사들이 밀집하여 긴 창을 사용하여 전투를 벌이는 전술이며, 스파르타, 테베를 거쳐 마케도니아에서 더욱 강력한 형태로 발전했으나 로마 군단의 등장과 함께 쇠퇴했다.
스트라테고스 | |
---|---|
개요 | |
유형 | 군사 계급 |
해당 군대 | 아테네 군대 |
임명 방식 | 선출 |
복수 임명 가능 여부 | 가능 |
임기 | 1년 |
관할 | 군사 작전 |
중요성 | 아테네 군대의 주요 지휘관 |
어원 | |
그리스어 | στρατηγός (스트라테고스) |
의미 | 군대 지도자 |
역사 | |
기원 | 고대 아테네 |
제도화 시기 | 클레이스테네스 개혁 이후 |
역할 변화 | 정치적 영향력 증대 |
주요 활동 시기 | 고전 시대 아테네 |
관련 사건 | 펠로폰네소스 전쟁, 알기누사이 해전 |
역할 및 권한 | |
군사적 역할 | 군대 지휘, 작전 계획 수립, 병력 관리 |
정치적 역할 | 외교 협상, 정책 결정 참여 |
책임 | 군사 작전의 성공, 시민 보호 |
영향력 | 아테네 정치 및 군사에 큰 영향력 행사 |
특징 | |
선출 방식 | 매년 선거를 통해 선출 |
임기 | 1년 임기, 연임 가능 |
인원 | 10명 (각 부족 대표) |
협의 | 전쟁 전략 및 정책 결정 |
지휘 | 필요시 공동 지휘 |
중요 인물 | |
주요 인물 | 밀티아데스, 테미스토클레스, 키몬, 페리클레스, 알키비아데스 |
역할 | 아테네의 군사적, 정치적 성공에 기여 |
현대적 의미 | |
의미 확장 | 현대에는 '전략가' 또는 '지도자'를 의미 |
사용 예시 | 정치, 경제, 군사 분야에서 전략적 사고를 가진 인물 |
2. 어원
''스트라테고스''는 '스트라토스'(στρατός)와 '아고스'(ἀγός) 두 그리스 단어의 합성어이다. '스트라토스'는 '군대'를 의미하며,[1] 문자 그대로는 '펼쳐진 것'을 뜻한다.[2] 이는 '펼치다'라는 뜻의 *stere-|ine에서 유래했다.[3] '아고스'는 '지도자'를 의미하며,[4] '이끌다'라는 뜻의 '아게인'(ἄγειν)에서 유래했다.[5] 이는 '몰아내다, 끌어내다, 움직이다'라는 뜻의 *ag-|pgi에서 유래했다.[6]
고대 아테네에서 스트라테고스는 기원전 6세기 이전부터 사용되었지만, 기원전 501년 클레이스테네스의 개혁 이후 널리 알려진 직위가 되었다. 아테네는 10개 부족으로 나뉘었고, 각 부족에서 한 명씩 민회에서 임기 1년의 스트라테고스 열 명을 선출했다. 이들은 동등한 지위를 가졌다.[14]
3. 고대 그리스
3. 1. 아테네
고대 아테네에서 스트라테고스라는 명칭은 기원전 6세기 이전부터 사용되었지만, 기원전 501년 클레이스테네스의 개혁 이후 널리 알려진 직위가 되었다. 아테네는 10개의 부족으로 나뉘었고, 각 부족마다 한 명씩, 임기 1년의 스트라테고스 열 명을 민회에서 선출했다. 이들의 지위는 동등했다.[14] 기원전 490년 마라톤 전투에서 이들은 다수결로 전략을 수립하고 하루씩 번갈아 지휘권을 행사했다. 스트라테고스는 봄에 열리는 민회에서 선출되어 한여름부터 일 년간 임기를 수행했다. 사망이나 권한 상실 시 보궐 선거가 열렸다.
기원전 440년경까지는 각 부족에서 스트라테고스를 선출하는 원칙이 엄격했지만, 이후에는 같은 부족에서 두 명이 선출되거나 선출되지 않는 부족도 생겼다. 이는 적합한 인물이 없을 때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선출 방식은 최소 기원전 356-7년까지 유지되었지만, 아리스토텔레스가 《아테네의 국체》를 저술한 기원전 330년경에는 출신 부족을 따졌는지에 대한 자료가 없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부족 수가 늘었지만 스트라테고스 정원은 여전히 열 명이었다.[14]
기원전 5세기 초, 테미스토클레스, 아리스티데스, 키몬, 페리클레스 등 일부 스트라테고스는 군사 업무와 정치적 역할을 함께 했다. 그러나 이들의 권력은 직함보다는 개인의 정치적 카리스마에서 비롯되었다. 기원전 5세기 후반, 스트라테고스의 정치적 영향력은 줄어들고 군사 업무가 주된 역할이 되었다.[14] 초기에는 다양한 임무를 맡았지만, 전역 작전에서는 세 명의 스트라테고스가 연합 사령부를 구성했다. 다른 그리스 도시 국가들과 달리 아테네의 스트라테고스는 육군과 해군 모두를 지휘했다. 기원전 4세기 중반 이후, 아티케 방어를 책임지는 스트라테고스 에피 텐 코란, 원정대 지휘를 책임지는 스트라테고스 에피 토우스 호플리테스 등 특정 임무가 늘어났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보통 하나의 특수 임무에 두 명의 스트라테고스를 할당했다. 로마 속주 시대에는 스트라테고스 가운데 우두머리를 두어 스트라테고스 에피 타 호플라라고 칭했다.[14]
아테네 시민들은 스트라테고스를 면밀히 감시했다. 민회 안건은 오백인회에서 결정했는데, 스트라테고스의 업무 수행 평가 안건은 매번 제출되었다. 페리클레스도 기원전 430년 민회에서 직위를 잃고 재판을 받은 적이 있다. 기원전 406년에는 아르기노우사이 해전 패전 책임을 물어 함대 지휘 스트라테고스에게 사형을 선고하기도 했다.
고대 그리스 다른 폴리스도 스트라테고스 명칭을 사용했지만, 이것이 실제 군 지휘관을 가리키는지, 아니면 일반적인 장군을 의미하는지는 불분명하다.[14]
3. 2. 기타 그리스 국가
고대 그리스에서 아테나이 외의 다른 폴리스도 스트라테고스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는 하였으나, 그 명칭이 실제 군 지휘관을 가리킨 것인지 아니면 일반적으로 장군을 의미하는 명칭이었는지는 불분명하다.[14] 고전 시대의 다른 여러 그리스 국가에서도 스트라테고스라는 칭호가 나타나지만, 이것이 실제 관직을 의미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군 지휘관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었는지는 종종 불분명하다.[7] 스트라테고스라는 관직은 기원전 5세기 후반부터 시라쿠사에서, 에리트라이에서, 그리고 기원전 360년대의 아르카디아인들의 코이논에서 최소한 확인된다.[7]
스트라테고스 아우토크라토르라는 칭호는 광범위한 권한을 가진 장군에게도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권한의 범위와 성격은 임시로 부여되었다.[7] 따라서 필리포스 2세는 코린토스 동맹의 스트라테고스 아우토크라토르(전권 대장)로 선출되었다.
4.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 치하에서, 스트라테고스(στρατηγός|스트라테고스grc)는 국왕의 대리인 역할을 했으며, 종종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군 지휘관에게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유럽의 장군'을 뜻하는 스트라테고스 테스 에우로페스(στρατηγὸς τῆς Εὐρώπης|스트라테고스 테스 에우로페스grc)라는 칭호가 있었다.[8]
몇몇 그리스 도시 동맹에서 스트라테고스(στρατηγός|스트라테고스grc)라는 칭호는 국가 원수에게 주어졌다. 아이톨리아 동맹과 아카이아 동맹에서는 매년 스트라테고스(στρατηγός|스트라테고스grc)를 선출했으며, 그는 시민 정부의 수장이자 최고 군사 사령관이었다. 아카이아 동맹에서 여러 번 재선출된 유명한 지도자로는 시키온의 아라투스와 메갈로폴리스의 필로포이멘이 있었다. 스트라테고이(Strategoi|스트라테고이grc)는 아르카디아 동맹, 에피루스 동맹, 아카르나니아 동맹에서도 나타났지만, 보이오티아 동맹과 테살리아 동맹의 지도자들은 각각 보이오타르크와 타구스라는 다른 칭호를 사용했다.
디아도코이의 헬레니즘 제국, 특히 라기드 이집트에서 스트라테고스(στρατηγός|스트라테고스grc)는 군사적 임무와 민간 임무를 겸하는 총독직이 되었다.[8] 이집트에서 스트라테고이(strategoi|스트라테고이grc)는 원래 그리스 군사 식민지(클레루코이)를 담당했다. 그들은 각 노메의 총독인 노마르케스(노마르케스|노마르케스grc)와 재정을 담당하는 오이코노모스(오이코노모스|오이코노모스grc)와 함께 행정을 맡았다. 프톨레마이오스 2세 필라델푸스( BC) 시대에 스트라테고스(στρατηγός|스트라테고스grc)는 지방 행정의 수장이 되었고, 클레루코이(클레루코이|클레루코이grc)가 점차 비군사화되면서 군사적 역할은 줄어들었다.[8] 프톨레마이오스 5세 에피파네스( BC)는 에피스트라테고스(ἐπιστράτηγος|에피스트라테고스grc) 직위를 만들어 스트라테고이(strategoi|스트라테고이grc)를 감독하게 했다. 에피스트라테고스(에피스트라테고스|에피스트라테고스grc)는 민간 관료가 되어 노마르케스(노마르케스|노마르케스grc)와 오이코노모스(오이코노모스|오이코노모스grc)의 역할을 겸했고, 군사 지휘권은 유지했다. 또한 휘포스트라테고이(ὐποστράτηγος|히포스트라테고스grc, '부장군')가 부하로 임명될 수 있었다.[8] 프톨레마이오스 행정 시스템은 로마 이집트 시대까지 이어져 에피스트라테고스(에피스트라테고스|에피스트라테고스grc)는 3~4개의 작은 직위로 나뉘었고, 프로쿠라토르 아드 에피스트라테지암(프로쿠라토르 아드 에피스트라테지암|프로쿠라토르 아드 에피스트라테기암grc)이 스트라테고이(strategoi|스트라테고이grc)를 담당하게 되었다. 이 직위는 주로 프톨레마이오스 기능을 유지했으며 그리스인이 계속 운영했다.[8]
트라키아의 오드리시 왕국은 여러 트라키아인 부족 및 하위 부족을 기반으로 하는 스트라테기아이(στρατηγίαι|스트라테기아이grc)('장군직')로 나뉘었으며, 각 스트라테고스(στρατηγός|스트라테고스grc)가 이끌었다. 이 왕국이 46년에 로마 제국에 합병되었을 때 이러한 지구는 50개였으며, 처음에는 새로운 로마 속주에 유지되었고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그들 중 일부가 마지막으로 폐지된 것은 136년경이었다.
로마 공화국 시대와 원수정 시대에 그리스 역사가들은 로마의 정치/군사 직위인 프라에토르(프라에토르|프라에토르la)를 언급할 때 스트라테고스(στρατηγός|스트라테고스grc)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이러한 용례는 신약 성경: 사도행전 16:20에서 빌립보의 치안 판사를 스트라테고이(strategoi|스트라테고이grc)로 언급하고 있다.[9] 이에 따라, 안티스트라테고스(ἀντιστράτηγος|안티스트라테고스grc, '부장군')는 프로프라에토르(프로프라에토르|프로프라에토르la) 직위를 언급하는 데 사용되었다.
5. 동로마 제국
이 용어는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비잔틴 제국에서 계속 사용되었다. 처음에는 '스트라테라테스'와 함께, 그리고 드물게는 '스트라토페다르케스'와 함께 사용되어 최고 군사 직위인 '마기스터 밀리툼'(야전군 사령관)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지만, 지역 '두케스'에게도 사용될 수 있었다. 7세기, 테마 시스템이 창설되면서 그들의 역할이 바뀌었다. 야전군이 재정착하여 영토 테마의 기반이 되면서, 그들의 장군들 또한 새로운 책임을 맡아 군사적 의무와 테마의 민간 통치를 결합했다.[10] 최초의 테마는 몇 개 안 되었고 매우 컸으며, 8세기에는 지방 '스트라테고이'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황제와 끊임없이 대립하며 그에게 반란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대응하여 테마는 점진적으로 분할되었고 '스트라테고이'의 수가 증가하여 그들의 권력이 약화되었다. 이러한 과정은 10세기의 정복으로 더욱 심화되었으며, 이는 여러 개의 새롭고 더 작은 국경 테마의 설립을 가져왔다. 탁티콘 우스펜스키에는 18명의 '스트라테고이'가 등재되어 있는 반면, 에스코리알 탁티콘에는 거의 90명이 등재되어 있다.[10]
중기 비잔틴 시대(7-12세기) 동안, 아나톨리아 테마의 '스트라테고스'는 다른 테마보다 우선권을 가졌으며, 국가의 최고 직위 중 하나였고, 환관이 특별히 배제된 몇 안 되는 직위 중 하나였다. 동시에 동부(아나톨리아) 테마는 서부(유럽) 테마보다 상위였다. 이러한 구분은 해당 테마를 관장하는 '스트라테고이'의 봉급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동부 테마의 스트라테고이는 국가 재무부로부터 직접 봉급을 받았지만, 서부 테마의 스트라테고이는 현저히 낮은 봉급을 자신의 지방 수입에서 조달해야 했다.[11] 11세기 동안 '스트라테고이'는 점차 군사적 의무에 국한되었고, 재정 및 행정적 책임은 민간 '크리타이'(판사)에게 넘어갔다. 또한, 수석 군사 지휘권은 여러 테마를 결합한 지역 사령부를 통제하는 '두케스' 또는 '카테파노'라는 새로운 계급의 장교들에게 위임되었다. 13세기에는 '스트라테고스'라는 용어가 특정한 기술적 의미 없이 "장군"이라는 일반적인 의미로 되돌아갔다.[10]
비잔틴인들은 또한 '스트라테고스'라는 칭호의 다양한 변형을 사용했다. ''''스트라테게테스'''''(στρατηγέτης, '군대 지도자')는 드물게 사용되는 대체 용어였고, ''''모노스트라테고스'''''(μονοστράτηγος, '단일 장군')는 다른 '스트라테고이' 또는 여러 테마의 군대를 지휘하는 장군을 지칭했다. ''''스트라테고스 아우토크라토르''''', ''''아르키스트라테고스'''''(ἀρχιστράτηγοςgrc, '최고 장군') 및 ''''프로토스트라테고스'''''(πρωτοστράτηγος, '제1 장군')는 최고 권한을 부여받은 지휘관을 지칭했으며, ''''휘포스트라테고스'''''(ὐποστράτηγοςgrc, '부장군')는 부사령관, 즉 중장을 의미했다.[10]
6. 근대 그리스
현대 헬레닉 육군에서 '''''스트라테고스'''''(στρατηγός)는 최고위 장교 계급이다. 상위 계급인 ''스트라타르치스''(원수)는 왕정 시대에 존재했지만, 현재의 제3 헬레닉 공화국에서는 유지되지 않고 있다. 왕정 시대에는 현역 정규 ''스트라테고스'' 계급은 국왕과 몇몇 왕족에게만 부여되었으며, 매우 소수의 퇴역 군인에게 명예 계급으로 진급되었다. 국방참모총장에 대한 NATO 관행에 따라, 육군 장교인 경우 국방참모총장이 현역으로 이 계급을 보유하며, 헬레닉 육군 참모총장이 퇴임할 때 수여된다.[13]
다른 모든 그리스 장군 계급 중 단 하나를 제외하고는 이 단어에서 파생되었다. 각각 중장과 소장에 해당하는 '''''안티스트라티고스'''''(Αντιστράτηγος)와 '''''이포스트라티고스'''''(Υποστράτηγος)이다. 그러나 준장은 여단(brigade)을 의미하는 ''táxis''(현대 용법에서는 ''taxiarchía'')에서 따와 ''탁시아르코스''라고 불린다. ''안티스트라티고스''와 ''이포스트라티고스'' 계급은 또한 ''스트라티고스'' 계급이 없는 헬레닉 경찰(및 이전의 그리스 헌병隊), 그리스 소방서 및 키프로스 국방군에서 사용된다.[12]
1909년~1937년 | 1975년~현재 | |
---|---|---|
스트라테고스 (Στρατηγόςel) | ||
안티스트라티고스 (Αντιστράτηγοςel) | ||
이포스트라티고스 (Υποστράτηγοςel) |
참조
[1]
LSJ
στρατός
[2]
OEtymD
strategy
[3]
OEtymD
"*stere-"
[4]
LSJ
ἀγός
[5]
LSJ
ἄγειν
[6]
OEtymD
"*ag-"
[7]
백과사전
Strategos I. Classical Greece
http://referencework[...]
Brill Online
2016-01-15
[8]
백과사전
Strategos II. Hellenistic states
http://referencework[...]
Brill Online
2016-01-15
[9]
웹사이트
ΠΡΑΞΕΙΣ ΤΩΝ ΑΠΟΣΤΟΛΩΝ 16:20
http://www.biblegate[...]
[10]
서적
Strategos
[11]
citation
The Imperial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Ninth Century – With a Revised Text of the Kletorologion of Philotheos
Oxford University Publishing
[12]
웹사이트
Βαθμοί
http://www.army.gov.[...]
Cypriot National Guard
2021-05-26
[13]
웹사이트
Επωμίδες Φ/Π Στολών
http://www.army.gr/e[...]
Hellenic Army
2021-05-26
[14]
백과사전
Strategos I. Classical Greece
http://referencework[...]
Brill Online, 2015
2016-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