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누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누예는 아이누족 여성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문신 습속이다. 홋카이도, 사할린, 쿠릴 열도 등 지역에 따라 문신의 형태와 범위에 차이가 있으며, 남성의 경우 주술적 목적으로 드물게 행해지기도 했다. 시술은 숙련된 노파가 주로 봄이나 가을에 진행했으며, 피부에 상처를 내고 그을음을 문질러 넣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아이누의 문자가 없었기에 기원을 정확히 알 수 없으나, 홋카이도 오지 등에서 널리 행해졌고, 일본 서기에도 관련 기록이 존재한다. 17세기부터 문헌에 기록되었으나,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 정부의 금지 정책과 사회적 차별로 인해 쇠퇴하여 현재는 거의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신 (그림) - 릭 제네스트
캐나다 모델 릭 제네스트는 전신 해골 문신으로 '좀비 보이'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티에리 뮈글러 패션쇼 모델 데뷔 및 레이디 가가 뮤직비디오 출연으로 국제적 명성을 얻고 인체 뼈 문신 최다 기록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을 보유한 배우이자 음악가이다. - 문신 (그림) - 영구 화장
영구 화장은 피부에 색소를 주입하여 화장 효과를 내는 시술로, 눈썹, 아이라인 등에 주로 시술되며, 시술 시간 단축, 뚜렷한 인상 연출 등을 위해 선택되지만, 부작용과 제거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 아이누 문화 - 유카르
유카르는 아이누족의 구전 서사시로, 인간의 이야기인 "인간의 유카르"와 신의 이야기인 "카무이 유카르"로 나뉘며 무역, 죽음, 자연 등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고, 아이누 문화 부흥 운동과 함께 새로운 화자들이 등장하고 있다. - 아이누 문화 - 우포포이
우포포이는 아이누 문화 부흥과 발전을 위한 거점으로, 아이누 민족 박물관, 민족 공생 공원, 위령 시설 등으로 구성되어 아이누 문화와 역사를 전시하고 체험할 수 있는 시라오이정의 공간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시누예 | |
---|---|
정의 및 어원 | |
정의 | 아이누 여성의 전통 문신 |
아이누어 | sinuye (시누예) |
어원 | '진정으로 아름다운 사람' 또는 '화려한 아름다움' |
역사 및 문화 | |
목적 | 성인식의 일부 악령으로부터의 보호 내세에서의 배우자와의 재회 |
시술 시기 | 5~6세부터 시작, 결혼 적령기에 완성 |
사용 도구 | 칼, 재, 자작나무 껍질 재 |
색상 | 검은색 |
방법 | 칼로 피부에 상처를 내고 재를 문질러 넣음 |
위치 | 입 주위, 이마, 팔 |
의미 | 사회적 지위 종교적 의미 |
금지 | 메이지 시대에 일본 정부에 의해 금지됨 |
현대 | 아이누 문화 부흥 운동과 함께 부활 시도 |
현대적 의미 | |
의미 | 아이누 여성으로서의 정체성 확립 및 표현 |
2. 습속
2. 1. 지역, 남녀의 차이
아이누족에게 시누예는 일반적으로 여성의 습속이다. 1888년에 실시된 쓰보이 쇼고로와 고가네이 요시키요의 조사에 따르면, 입 주위, 아래팔, 손등의 문신 풍습은 홋카이도 전역에서 볼 수 있는 것이며, 분화만 주변에서는 미간에도 문신을 새긴다. 입 주위에 새기는 문신은 지역마다 미묘한 차이가 있어서, 이부리국, 히다카국에서는 문신의 가로 양끝이 볼까지 이르지만, 도카치 지방에서는 상하 부분이 두껍고 가로는 볼까지 이르지 않는다. 오호츠크해 연안의 기타미 지방에서는 입 주위만 염색한다. 입의 문신은 북쪽으로 갈수록 작아지며, 가라후토 아이누 여성은 윗입술과 아랫입술의 중앙에만 문신을 하고, 입 주위 전체에 하는 것은 사회적 지위가 높은 여성뿐이었다.
여성의 것보다는 일반적이지 않지만, 남성도 드물게 주술적 목적으로 하는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어 1937년경, 굿샤로호 연안의 한 노인은 활 기술의 향상을 기원하며, 왼손의 엄지와 검지 사이에 삼각형으로 문신을 했다고 한다. 스테판 크라셰니니코프의 보고에 따르면, 옛 북쿠릴열도에서는 남녀를 불문하고 문신의 습속이 있었다고 한다. 시누예를 하는 이유로는 단순한 장식이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지만, 그 외에도 종교적, 주술적 목적이 존재함을 부정할 수 없다.
2. 2. 시술 방법
시누예는 주로 각 코탄(집락)에 있는 숙련된 노파가 시술했다. 시술은 봄이나 가을에 주로 이루어졌는데, 여름철에는 상처에 고름이 생길 우려가 있고, 겨울철에는 추위로 인해 상처가 아프기 때문이었다.시술 방법은 먼저 자작나무나 물푸레나무 껍질, 또는 쑥잎 등을 달여 만든 "약액"으로 피부를 깨끗이 닦는다. 그 후 작은 칼로 피부에 상처를 내고, 냄비 밑바닥에 묻힌 그을음을 상처에 문질러 넣는다. 마지막으로 약액으로 상처를 씻어 소독하면 문신이 완성된다. 시라오이 지방에서는 남색 천을 끓인 물을 그을음과 함께 염료로 사용했고, 가라후토에서는 자작나무 그을음을 청어 기름으로 반죽하여 염료로 사용했다.[6] 아널드 헨리 새비지 랜도어는 그을음 외에 살오징어 먹물도 사용되었다고 기록했다.[6] 존 배철러는 도카치 지방에서 문신을 안치피리(anchipiriain, 흑요석의 상처)라고 불렀으며, 옛날에는 흑요석(acniain) 파편으로 피부에 상처를 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3. 역사
3. 1. 기원
아이누는 오랫동안 무문자 사회였기 때문에, 시누예를 비롯하여 그 문화의 기원을 추적하기는 어렵다. 근세에는 이미 홋카이도 오지나 북쿠릴열도와 같은 지역을 포함해 널리 문신의 풍습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적어도 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관습일 것이다. 오시마반도의 조보나이노 유적에서 발견된 토우에는 아래턱에 자돌문이 있는 것이 있어, 이것이 문신을 나타내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일본서기》에는 다케우치노 스쿠네가 게이코 천황에게 "히타카미국"의 에미시에는 남녀 모두 문신의 풍습이 있다고 상주하는 기술이 있다. 이러한 에미시의 풍습과 아이누의 문신 풍습은 관련이 있을 수 있다.시누예의 발생에 얽힌 전승으로는 "동굴 거주 민족(코로폭쿠르)에게서 배운 것이다"라는 것, 반대로 "아이누가 동굴 거주 민족과 자신을 구별하기 위해 시작한 것이다"라는 것, "아에오이나 신(오키쿠루미 신)의 자매에게서 배운 것이다"라는 것 등이 있다. 호로베쓰군에서는 "문신을 하지 않은 처녀는 사후에 까마귀로 환생한다", 시라오이에서는 "문신을 하지 않은 채로 죽으면 신의 심판을 받아 대나무 조각으로 문신을 당해 고통받는다"는 전승이 있었다. 그 때문에 문신이 없는 처녀가 죽었을 때는 얼굴에 먹으로 문신을 그려서 장사지냈다고 한다.
"문신은 코로폭쿠르 기원"이라는 전승에 대해, 쓰보이 쇼고로 등은 "코로폭쿠르는 아이누 이전의 선주 민족이었다"고 주장하고, 검면토우(黥面土偶)의 존재는 그 증거라고 논했다. 도리이 류조는 코로폭쿠르 전설이 홋카이도, 남쿠릴열도에는 존재하는 한편, 북쿠릴열도에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고하고 있다. 도리이는 축치인이나 유픽족 등의 북방 민족에 존재하는 문신의 습속에 대해, 그 분포로 보아 아마도 아이누에서 유래한 것일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3. 2. 근세

아이누의 문신 풍습을 기록한 가장 오래된 문헌 자료는 이탈리아인 선교사 지롤라모 데 안젤리스의 1616년 및 1621년 에조 여행의 기록이며, "부인은 그 입술에 청색을 칠하고, 손의 피부에 같은 색의 다섯 내지 여섯 개의 고리를 그린다"고 기록되어 있다.[1] 마르턴 헤리츠존 프리스는 1642년의 앗케시에서, 아이누 사이에 입술과 눈썹에 문신을 하는 풍습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1] 화인에 의한 기록으로는 1681년의 《에조시마키》(蝦夷島記)가 오래되었고, "입술에 파고들어 닷치우(タッチウ)라고 하는 나무껍질을 태워서, 그 먹을 입술에 발라 검게 하는 것이다"라고 되어 있다.[1]
1712년의 《에조야와》(蝦夷藪話)에는 에토로후섬의, 1740년의 게오르크 슈텔러와 스테판 크라셰니니코프의 보고에는 북쿠릴열도의 문신 습속이 게재되는 한편, 1787년에는 라 페루즈에 의해 가라후토 아이누에게 문신의 관습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1] 1796년에는 영국인 탐험가인 윌리엄 로버트 브로턴이 분화만 연안의 아이누 취락을 방문하여 시누예를 그림으로 나타내고 있다. 에도 막부는 아이누의 시누예에 대해 1799년, 1855년, 1858년의 3차례에 걸쳐 금령(禁令)을 내렸으나, 이러한 금령은 별로 철저히 시행되지 않아 문신의 관습이 쇠퇴하지는 않았다.[1]
3. 3. 근현대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 정부의 본격적인 금지 정책과 사회적 차별로 인해 시누예 풍습은 쇠퇴하였다.[1] 1871년, 개척사는 앞으로 태어날 여자에 대해 문신을 규제하는 취지의 포고를 발했다.[7] 이사벨라 버드는 1878년 히다카 지방에서 5세 정도의 소녀가 문신을 하는 모습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아이누의 문신 관습은 메이지 30년대(1897년~1906년)경을 마지막으로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다이쇼 시대인 1923년 시라오이군의 우체국에 근무하면서 아이누 문화를 연구한 미쓰오카 신이치는 40세 정도의 아이누 여성은 1회째의 시술만 하고, 더 이상 문신을 추가한 흔적이 보이지 않는 현상을 보고 "내지인과의 잡거 상태에 있는 시라오이에서조차 메이지 35, 6년경까지 행해졌다"고 언급했다.문신 규제가 시행되고, 아이누 문화권의 화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시누예는 화인뿐만 아니라 아이누 사이에서조차 이질적인 것으로 취급되었다. 1904년에 포피포이코탄(현: 비라토리정 아자니오이)에서 태어난 이시하라 마이의 증조모는 시누예를 숨기기 위해 "흰 삼각건을 얼굴 깊이 가리고 아래를 향하고 있었다"고 하며, 시누예는 "절대적 가시성을 가진 상징"은 "증조모들과 그 자녀들이나 손자들 사이에 절대적인 정신적 분단을 가져오는 스티그마"로 기능했다고 평가했다. 1945년 혼베쓰정 출신의 야마모토 에이코에 따르면, 당시의 혼베쓰에서는 3명이 시누예를 하고 있었으며, 특별히 그것을 숨기는 사람은 없었다고 한다.[7]
20세기 중반까지 일부 지역에서 시누예의 명맥을 유지했으나, 현재는 거의 사라진 상태이다. 아사히카와시에서는 관광 수요에 부응하는 형태로 페이스페인팅으로 시누예를 재현하는 경우가 있으며,[7] 최근 아이누 문화 예술가들을 중심으로 시누예를 재현하기도 한다.

4. 참고문헌
참조
[1]
웹인용
"「アイヌの女としてきれいになりたい」 現代に生きるアイヌの文身(いれずみ)"
https://www.vice.com[...]
2018-03-26
[2]
인용
34701AP 川上まつ子の伝承 入れ墨、手に関連するアイヌ語表現
https://ainugo.nam.go.jp/ 国立アイヌ民族博物館アイヌ語アーカイブ
[3]
서적
アイヌ語沙流方言辞典
草風館
[4]
서적
Materials and Methods of Analysis for the Study of the Ainu Language Southern Hokkaidō and Sakhalin Varieties: Southern Hokkaidō and Sakhalin Varieties
https://edizionicafo[...]
Fondazione Università Ca’ Foscari
2022-04-04
[5]
웹인용
#25 北方の南限に最古のタトゥーを訪ねて|アイヌ・(シ)ヌエ考①
https://hagamag.com/[...]
2021
[6]
웹인용
#28 北方の南限に最古のタトゥーを訪ねて|アイヌ・(シ)ヌエ考④
https://hagamag.com/[...]
2021
[7]
웹인용
シヌイェ:アイヌの女性の刺青 山本栄子さんへのインタビュー マユンキキ, ‘SINUYE: Tattoos for Ainu Women, An Interview Between Mayunkiki and Eiko Yamamoto’ - Nirin Ngaay
https://nirin-ngaa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