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낙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 낙인은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속성이나 개인을 의미하며, 어빙 고프먼은 가상 사회적 정체성과 실제 사회적 정체성 간의 불일치로 정의했다. 낙인은 문화, 성별, 인종, 종교, 질병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고프먼은 명백한 기형, 개인적 특성의 일탈, 부족 낙인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브루스 링크와 조 필란은 라벨링, 고정관념, 단절, 지위 상실 및 차별이 결합될 때 낙인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낙인은 고대 그리스에서 노예나 범죄자에게 낙인을 찍는 행위에서 유래했으며, 중세 유럽에서는 한센병 환자를 격리하는 데 사용되었다. 낙인은 개인의 자존감 저하, 사회적 배제, 차별, 불평등으로 이어지며, 정신 질환, HIV/AIDS, 코로나19와 관련된 낙인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난다. 낙인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 법적, 제도적 장치 마련, 사회적 지지 및 연대 강화, 당사자의 목소리 경청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낙인(στίγμα|스티그마ell, stigmaeng)이라는 말은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했다. 원래는 범죄자, 노예, 반역자 등 사회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의 피부에 새기던 일종의 문신이나 표식을 의미했다.[2] 이는 그들을 결함이 있거나 도덕적으로 오염된 사람으로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하여, 특히 공공장소에서 피하도록 만들기 위한 목적이었다.[2]
사회적 낙인은 특정 개인이나 집단을 바람직하지 않거나 비정상적인 존재로 규정하고, 그들을 사회적으로 배제하거나 차별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낙인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사회와 문화권에서 나타났으며, 시대와 장소에 따라 그 대상과 방식은 달랐지만 사회 질서를 유지하거나 특정 집단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기능해왔다. 낙인의 구체적인 양상은 시대와 사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논의는 여러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2. 낙인의 정의 및 개념
오늘날 사회적 낙인은 문화, 성별, 인종, 종교, 질병 등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난다. 낙인이 찍힌 개인은 다른 사람들에게 다르게 취급받고 자신의 가치가 폄하된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다. 낙인은 어떤 사람이나 집단에 대해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갖게 만드는 사회적 분류로 작용하기도 한다.[3] 일단 어떤 차이점이 부각되어 부정적 인식이 형성되면, 사람들은 그것을 당연한 현실로 받아들이고 그 사람은 계속해서 낙인 찍힌 상태로 남게 된다.[3] 사회가 특정 속성을 부정적으로 규정하고 개인을 그 집단으로 분류하면, 분류된 사람은 사회적 지위를 잃고 차별을 겪게 된다.[3] 어떤 속성이 낙인의 대상이 되는지는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서, 한 사회에서는 비난받는 행동이나 특징이 다른 사회에서는 평범한 것일 수도 있다.
사회학자 어빙 고프먼은 낙인을 사회적으로 깊이 폄하되는 속성을 가진 개인이 그 속성 때문에 사회에서 거부당하는 현상으로 설명했다.[7] 그는 낙인이란 특정 속성 자체가 문제라기보다는, 그 속성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부정적인 반응이 개인의 정상적인 정체성을 손상시키는 사회적 과정이라고 보았다.[7] 고프먼은 낙인을 "가상 사회적 정체성"(타인이 그 사람에 대해 가질 법한 기대나 가정)과 "실제 사회적 정체성"(그 사람이 실제로 가진 특성) 사이의 불일치로 정의했다. 이러한 불일치가 드러날 때, 개인은 온전하고 평범한 사람에서 결함이 있고 폄하된 존재로 여겨지게 된다는 것이다.[7] 즉, 낙인은 개인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받아야 할 존중을 부정당하고 사회로부터 받아들여지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102]
낙인은 낙인 찍힌 사람들의 행동, 감정, 신념에도 영향을 미친다.[5] 고정관념의 대상이 된 사람들은 종종 자신에게 낙인을 찍는 사람들이 기대하는 방식대로 행동하려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5][106] 또한, 낙인으로 인한 편견과 차별은 우울증과 같은 정신 질환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고 보고된다.[4] 낙인은 개인의 사회적 정체성을 위협하고 낮은 자존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106] 이 때문에 정체성 이론과 라벨링 이론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낙인 찍힌 집단의 구성원들은 자신이 동등하게 대우받지 못하고 차별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는데,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아이들은 10세 무렵이면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집단에 대한 문화적 고정관념을 알게 되며, 낙인 찍힌 집단에 속한 아이들은 더 어린 나이에 이를 인지한다고 한다.[5][105] 차별과 편견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거나 부정하면서 차별을 내면화하는 경우도 있다.
낙인은 반드시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하는 것은 아니며, 잘못된 정보나 편견에 의해 특정 집단이나 개인에게 부정적 인식이 형성되기도 한다.[103] 예를 들어, 미국 사회에서 이슬람 혐오가 확산되면서 이슬람교도가 아닌 시크교 신자들이 외모가 비슷하다는 이유로 함께 낙인 찍히고 박해받는 사례가 있었다.[104]
2. 1. 낙인의 유형
고프먼은 사회적 낙인을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설명했다. 이는 캠벨(Campbell)과 디콘(Deacon)의 저서 ''Unraveling the contexts of stigma''에서도 설명되는 내용이다.
고프먼은 또한 개인이 낙인과 맺는 관계에 따라 사람들을 세 범주로 나누었다.
2012년의 한 연구[8]는 낙인 찍힌 자, 현명한 자, 정상인 집단이 실제로 구분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뒷받침했다. 또한 이 연구는 현명한 자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는데, '적극적 현명함'은 사회적 낙인에 도전하고 낙인 찍는 사람들을 교육하려는 경향을 보인 반면, '소극적 현명함'은 그렇지 않았다.
독일 출신의 사회학자이자 역사가인 팔크[18]는 낙인을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범주로 나누어 설명했다.[17]
팔크는 낙인 과정이 인간성에 대한 도전이며, 오랜 역사를 가지고 문화적으로 보편적인 현상임을 발견한 다수 연구자들의 견해[16]에 더해, 낙인이 '외부인'과 '내부인'을 구분하여 집단 연대성을 제공하는 사회적 기능도 수행한다고 보았다.[17]
고프먼의 연구를 바탕으로, 존스(Jones)와 동료 연구자들(1984)은 고프먼이 제시한 낙인의 두 가지 상태, 즉 낙인이 아직 드러나지 않은 상태와 이미 드러난 상태를 보완하는 개념을 제시했다. 고프먼은 낙인이 즉시 드러나지 않는 개인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뚜렷한 사회적 상황을 구분했다.
존스 등은 고프먼이 제시한 두 상태와 관련하여 낙인의 구체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6가지 차원을 추가로 제시했다.
# '''은폐 가능성''' (Concealabilityeng): 낙인이 다른 사람들에게 얼마나 쉽게 드러나는지의 정도.
# '''낙인의 과정''' (Courseeng):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낙인의 두드러짐이 변화하는 양상 (증가, 감소, 소멸 등).
# '''방해성''' (Disruptivenesseng): 낙인 자체 또는 그에 대한 타인의 반응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얼마나 방해하는지의 정도.
# '''미학''' (Aestheticseng): 낙인에 대한 타인의 미적인 평가. 긍정적/부정적 반응을 포함하며, 개인의 본질적 가치와는 별개인 외형적 또는 감각적 측면에 대한 평가를 나타낸다.
# '''기원''' (Origineng): 낙인의 원인에 대한 타인의 인식 (선천적, 우연적, 의도적 등).
# '''위험''' (Perileng): 낙인이 타인에게 가하는 (실제 또는 인식된) 위험의 정도.
2. 2. 낙인의 과정 (Link and Phelan 모델)
브루스 링크와 조 필란은 낙인이 존재하기 위해 다음 네 가지 요소가 결합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19]
# 인간의 다양한 특성을 분류하고 구분한다.
# 널리 퍼진 문화적 믿음은 이렇게 분류된 사람들을 부정적인 속성과 연결시킨다.
# 분류된 개인은 '우리'와 '그들'이라는 뚜렷한 집단으로 인식된다.
# 분류된 개인은 불평등한 결과로 이어지는 지위 상실과 차별을 경험한다.
이 모델에 따르면, 낙인은 차이를 식별하고, 고정관념을 형성하며, 분류된 사람들을 별개의 집단으로 분리하고, 불찬성, 거부, 배제, 차별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권력에 대한 접근에 의존한다. 따라서 낙인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권력 구조 안에서 분류, 고정관념 형성, 분리, 지위 상실, 차별이 모두 발생할 때 적용된다.[19]
어떤 인간의 차이가 중요하게 부각되어 낙인의 대상이 되는지는 사회적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두 가지 주요 요소가 있다. 첫째, 집단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단순화가 필요하다. 흑인과 백인, 동성애자와 이성애자,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과 정신 질환자, 청소년과 노년 같은 광범위한 분류가 그 예이다. 둘째, 사회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차이는 시대와 장소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모델의 두 번째 요소는 분류된 차이를 고정관념과 연결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고프만의 1963년 연구는 낙인의 이러한 측면을 강조했으며, 이후로도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특정 집단에 고정관념을 적용하는 과정은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
셋째, 부정적인 속성을 특정 집단과 연결하면 '우리'와 '그들'로 분리하기 쉬워진다. 낙인 찍힌 집단을 근본적으로 다른 존재로 여기게 되면, 사람들은 거리낌 없이 고정관념을 적용하게 된다. 이러한 '우리'와 '그들'의 구분은 낙인 찍힌 집단이 본질적으로 덜 인간적이거나 심지어 인간이 아니라고 암시할 수 있다.
낙인찍기의 네 번째 구성 요소는 '지위 상실과 차별'이다. 많은 낙인 정의에 이 부분이 포함되지 않기도 하지만, 링크와 필란은 개인이 "낙인찍히고, 격리되며,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과 연결됨"에 따라 이러한 손실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고 본다. 낙인찍힌 집단의 구성원은 소득, 교육, 정신 건강, 주거 상태, 건강, 의료 서비스 등 기본적인 삶의 기회에서 불이익을 받는다.[20]
결과적으로, 다수 또는 권력을 가진 집단에 의한 낙인은 소수나 힘없는 집단의 타자화로 이어진다. 낙인찍힌 개인은 '타자'와 대립하는 '자신'에 의해 만들어진 이데올로기 때문에 불이익을 받는다. 사회는 이들을 배제하고, 권력자들은 낙인의 원인이 된 특성을 근거로 이러한 배제를 정당화한다.[20]
링크와 필란은 또한 낙인 과정에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권력의 역할을 강조한다.[19] 권력의 사용은 어떤 상황에서는 명확하지만, 권력 차이가 뚜렷하지 않아 가려지는 경우도 있다. 권력의 역할이 명백하게 드러난 극단적인 예는 나치 독일의 유대인 박해이다. 반면, 교도소 수감자들이 교도관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질 수는 있지만, 수감자들은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심각한 차별을 실행할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권력이 없기 때문에 이 모델에 따르면 진정한 의미의 낙인찍기라고 보기는 어렵다.
3. 낙인의 역사
3. 1. 고대 그리스
스티그마(stigma)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고대 그리스 사회에서는 노예, 범죄자, 반역자와 같이 사회적으로 배척해야 할 대상으로 여겨지는 사람들의 몸에 찍는 낙인을 의미했다.[107] 이러한 낙인은 그 사람이 비도덕적이거나 부정하다는 것을 공공연하게 드러내는 표식이었으며, 다른 사람들이 낙인 찍힌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도록 만드는 사회적 기능을 수행했다.[107]
3. 2. 중세 유럽
중세 유럽에서는 한센병 환자들이 사회적으로 심한 낙인을 겪었다. 이들은 공동체로부터 격리되었으며,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종을 가지고 다녀야만 했다.
3. 3. 에밀 뒤르켐
프랑스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은 1895년에 사회 현상으로서의 낙인을 처음으로 탐구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6]
:성자들의 사회, 모범적인 개인들로 이루어진 완벽한 수도원을 상상해 보라. 범죄나 일탈은 그곳에서, 엄밀히 말해, 알려지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평범한 사람들에게는 사소하게 보일 잘못들이, 평범한 의식에서 일어나는 일반적인 범죄와 똑같은 스캔들을 일으킬 것이다. 만약 이 사회가 판단하고 처벌할 권한을 가지고 있다면, 이러한 행위들을 범죄(또는 일탈)로 정의하고, 그렇게 취급할 것이다.
뒤르켐은 이를 통해 아무리 이상적인 사회라 할지라도 사회 규범에서 벗어나는 행위는 존재하며, 사회는 이러한 행위를 낙인찍고 처벌하는 방식으로 규범을 유지한다고 보았다.
4. 낙인의 영향
사회적 낙인은 문화, 성별, 인종, 종교, 질병 등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날 수 있다.[2] 낙인이 찍힌 개인은 종종 자신이 다른 사람들과 구별되며 사회적으로 가치가 낮게 평가된다고 느끼게 된다.
낙인은 특정 개인이나 집단을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특징과 연결하는 일종의 '딱지 붙이기(라벨링)' 과정으로 볼 수 있다.[3] 일단 어떤 차이점이 부각되고 그것에 부정적인 딱지가 붙으면, 다른 사람들은 이를 당연한 사실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이 과정을 통해 특정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이 형성되고 강화될 수 있다. 사회가 어떤 속성을 부정적으로 규정하면, 해당 속성을 가진 것으로 인식되는 개인이나 집단은 지위 상실과 차별에 직면하게 된다.[3]
낙인은 낙인찍힌 대상의 행동, 감정, 신념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5] 고정관념의 대상이 된 사람들은 때때로 사회가 자신들에게 기대하는 방식대로 행동하게 되기도 한다. 이는 개인의 감정과 신념 형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며[5], 편견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우울증과 같은 정신적 어려움을 겪거나 낮은 자존감을 갖게 될 수도 있다.[4] 이러한 낙인은 개인의 사회적 정체성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며, 라벨링 이론과 같은 사회학 이론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낙인찍힌 집단의 구성원들은 자신이 동등하게 대우받지 못하고 차별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 연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어린이는 10세 정도가 되면 사회 내 여러 집단에 대한 문화적 고정관념을 알게 되며, 특히 낙인찍힌 집단에 속한 어린이는 이보다 더 이른 나이에 이러한 고정관념을 인지하게 된다고 한다.[5]
4. 1. 개인적 영향
사회적 낙인은 개인의 행동, 감정, 신념에 영향을 미친다.[5][106] 고정관념이 적용된 사람은 종종 사회가 기대하는 방식으로 행동하며, 이는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까지 영향을 준다.낙인 찍힌 사회 집단의 구성원은 편견과 차별에 직면하여 우울증과 같은 정신 건강 문제를 겪거나[4] 낮은 자존감을 갖게 될 수 있다.[4] 어빙 고프만은 이러한 낙인을 타인의 반응이 개인의 정상적인 사회적 정체성을 손상시키는 과정으로 보았으며[7], 낙인 찍힌 개인이 "망가진 정체성", 즉 낙인으로 인해 완전한 사회적 수용이 불가능해진 정체성을 관리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고 설명했다.[24]
낙인 찍힌 사람은 자신이 동등하게 대우받지 못하고 차별받을 수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연구에 따르면, 어린 나이부터 사회의 문화적 고정관념과 낙인의 영향을 인지하게 된다.[5][105] 이러한 차별과 편견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거나 억압하려 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차별이 내면화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학의 라벨링 이론과 관련하여 연구되고 있다.
4. 2. 사회적 영향
사회적 낙인은 개인과 사회에 광범위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낙인이 찍힌 개인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구별되고 가치가 절하되었다고 느끼며, 이는 사회적 배제와 차별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3] 일단 특정 집단이나 개인에게 낙인이 찍히면, 사회는 그들에 대한 고정관념을 형성하고 그에 따른 기대를 갖게 된다.[3] 이러한 고정관념은 때때로 잘못된 정보나 편견에 기반하기도 한다.[103]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이슬람 혐오로 인해 무슬림뿐만 아니라 외모가 비슷하다는 이유로 시크교 신자들까지 박해받는 사례가 있다.[104] 어린 아이들조차 10세 무렵이면 사회에 존재하는 문화적 고정관념을 인식하게 되며, 낙인찍힌 집단에 속한 아이들은 더 어린 나이에 이를 인지한다.[5][105]낙인은 개인의 행동, 감정, 신념에도 깊은 영향을 준다.[5] 낙인찍힌 사람들은 종종 사회가 자신들에게 기대하는 방식대로 행동하려는 경향을 보인다.[5][106] 이는 낮은 자존감으로 이어지거나, 편견과 차별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우울증과 같은 정신 질환을 겪을 위험을 높인다.[4] 차별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거나 부정하게 되면서 차별이 내면화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은 개인의 사회적 정체성을 심각하게 위협한다.[5]
사회적 차원에서 낙인은 지위 상실과 차별을 야기한다.[3] 낙인찍힌 집단은 소득, 교육, 주거, 건강, 의료 서비스 접근 등 기본적인 삶의 기회에서 불이익을 받게 된다. 특히 정신 질환, HIV/AIDS, 한센병 등 특정 질병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낙인은 필요한 치료나 지원을 받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다.[102] 또한, 빈곤층이나 공적 지원 프로그램 수혜자들에 대한 낙인도 심각한 문제이다. 이들은 종종 게으르거나 일할 의지가 없다는 비난을 받으며[75], 사회경제적 구조의 문제보다는 개인의 실패로 치부되곤 한다.[77] 이러한 낙인은 복지 수혜자들의 수동성과 의존성을 증가시키고 사회로부터 고립시키는 결과를 낳는다.[80][81]
결국, 다수 또는 권력을 가진 집단에 의한 낙인은 소수 집단이나 사회적 약자를 타자화하고 사회적으로 배제시킨다.[20] 이는 편견과 고정관념을 더욱 강화하고 사회 전체의 사회 통합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5. 한국 사회의 낙인 문제
한국 사회는 전통적으로 집단주의 문화의 영향으로 공동체의 조화와 통일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문화적 배경 속에서 사회적 규범이나 통념에서 벗어나는 개인이나 집단은 쉽게 사회적 낙인의 대상이 되곤 한다. 이는 개인의 특성, 건강 상태, 사회경제적 지위, 심지어는 과거의 행적 등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사회적 약자나 소수 집단에 대한 차별과 배제로 이어지기도 한다. 특히 정신 질환, 특정 감염병(예: AIDS, 코로나19) 등에 대한 사회적 낙인은 여전히 심각한 문제로 남아 있으며, 이는 당사자들이 필요한 사회적 지지나 치료를 받는 데 큰 장벽으로 작용한다.
5. 1. 정신 질환에 대한 낙인
정신 질환과 관련된 낙인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일반 대중의 태도에 대해 주목할 만한 점들을 지적한다. 연구에 따르면, 정신 질환이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고 들은 사람들은 정신 질환자로부터 사회적 거리를 두려는 경향이 더 강했으며, 환자를 위험한 인물로 간주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질병의 원인이 사회적, 환경적 요인이라고 들은 사람들과 대조되는 결과이다. 또한, 유전적 요인에 대해 알게 된 사람들은 환자뿐만 아니라 그 가족 전체에 대해서도 낙인을 찍을 가능성이 더 높았다.[43] 낙인이 찍히는 특정 사회 범주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신체적 기형, 부정적인 개인적 특성, 특정 집단 외부 소속이라는 세 가지 기본 형태의 낙인은 대부분의 문화와 시대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러한 낙인 찍는 경향이 진화적인 뿌리를 가질 수 있다고 추정하기도 한다.[44][45]낙인의 영향은 매우 심각하여 많은 환자들이 필요한 치료를 받지 못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요르단의 난민 캠프 사례를 보면, 정신 건강 문제를 데이터화하여 가시적으로 만들고 관리하려는 임상적 필요성과, 낙인을 피하기 위해 문제를 숨기고 사회적 시선에서 벗어나려는 환자들의 필요성 사이에서 딜레마가 발생한다. 즉, 난민들은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낙인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정신 건강 관리를 받는 것을 꺼렸다.[46]
현재 일부 연구자들은 정신 질환이 뇌의 화학적 불균형 때문에 발생한다고 본다. 이러한 생물학적 근거는 정신 질환을 앓는 개인이 질병의 발생을 스스로 통제할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암이나 다른 신체 질환과 마찬가지로, 정신 질환을 앓는 사람들도 도움을 구하도록 지원하고 격려해야 한다. 장애인 권리 운동은 신체 장애에 대한 사회적 낙인도 상당하지만, 정신 질환을 둘러싼 부정적인 사회적 낙인이 훨씬 더 심각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정신 질환을 앓는 사람들은 자신의 장애를 통제할 수 있으며, 심지어 장애 발생에 책임이 있다고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정신 질환자에게 동정심을 느끼기보다는 분노를 느끼며, 그들이 도움받을 자격이 없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47] 전 세계적으로 효과적인 정신 건강 치료법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정신 질환자들이 필요한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다. 2011년 보고에 따르면, 우울증, 불안, 조현병, 양극성 장애 등 정신 질환을 앓는 개인 중 59.6%만이 치료를 받았다.[48]
정신 질환에 대한 부정적인 낙인을 줄이는 것은 환자들이 정신과 의사나 다른 의사로부터 전문적인 도움을 구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특정 정신 질환이 미디어에서 어떻게 묘사되는지, 그리고 각 질환과 관련된 낙인의 정도는 다를 수 있다.[49]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 플랫폼 유튜브에서는 우울증이 종종 생물학적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일시적인 슬픔과는 다른 만성적인 상태로 묘사되는데, 이는 사람들이 우울증을 이해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50] 아리칸(Arikan)의 연구는 정신 질환에 대한 낙인이 자기애적 성격 특성과 관련이 있음을 발견했다.[51]
대만에서는 1985년 이후 보건부가 정신과 재활 시스템 강화를 주요 목표로 삼았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한 가지 가설은 정신 질환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주요 장벽이라는 것이었다.[52] 이에 따라 일반 대중의 정신 질환자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전국 1,20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대만 사람들은 높은 수준의 자비심, 지역 사회 재활에 대한 관용, 비사회적 제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52] 이러한 자비로운 태도는 지역 사회에서의 재활 수용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정신 질환자를 존중하는 대만 주민들의 믿음에도 불구하고 정신과 재활의 진전이 더딘 것은 사회적 낙인 외에 다른 요인들에 의해 방해받고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52]
음악 산업, 특히 힙합이나 랩 장르에서는 정신 질환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심한 비판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허핑턴 포스트의 기사에 따르면, 최근 우울증과 불안에 대해 침묵을 깨고 이야기하는 래퍼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53]
세계 보건 기구(WHO)는 정신 보건 정책 팩트 시트에서 "환자 및 환자 가족에 대한 낙인 및 차별은 사람들을 정신 질환 치료에서 멀어지게 한다"고 지적하며, 정신 보건 정책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108]
5. 2. HIV/AIDS에 대한 낙인
HIV 양성 판정을 받았거나 AIDS를 앓고 있는 사람들은 사회적 낙인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차별, 편견, 폭력에 노출되어 있다[109]. 현재는 조기에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받으면 감염자는 비감염자와 거의 비슷한 평균 수명을 누릴 수 있으며[110], 치료를 통해 바이러스 수치가 검출 한계 이하로 떨어지면 콘돔 없이 성행위를 해도 HIV가 전파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11]. 하지만 이러한 HIV/AIDS 치료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감염인에 대한 낙인과 그로 인한 차별 및 사회적 배제는 여전히 뿌리 깊게 남아 있다.실제로 2017년 일본에서는 한 병원이 부당하게 HIV 감염자의 채용 내정을 취소한 사례가 있었으며, 2020년에는 HIV 양성이라는 이유로 환자의 진료를 거부한 치과에 대해 법원이 "진료 거부에 정당한 이유가 없다"며 배상 명령을 내리기도 했다[112]. 사회적 낙인을 두려워하여 HIV 검사나 항바이러스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는 HIV/AIDS 상태를 악화시키거나 추가적인 감염 확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113].
또한, HIV의 주된 감염 경로는 이성 간 성교임에도 불구하고[114], 여전히 일부에서는 HIV/AIDS를 동성애나 특정 생활 방식과 연관 짓는 시각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HIV/AIDS에 대한 낙인은 실제 감염 경로와 무관하게 동성애나 주사를 이용한 약물 사용자에 대한 낙인과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향이 있다[115].
HIV/AIDS와 관련된 사회적 낙인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 중 하나로 세계 에이즈의 날 등이 있다.
5. 3. 코로나19와 관련된 낙인
HIV/AIDS나 SARS 유행 당시의 연구를 통해, 감염병 유행 시 감염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특정 행동이나 직업군, 또는 관련 있다고 여겨지는 집단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는 점이 알려져 있다.[116][117][118]2019년 말부터 시작된 코로나19(COVID-19) 범유행 상황에서도 감염병과 관련 있다는 인식 때문에 특정 집단이 낙인찍히는 사례가 발생했다. 최초 감염 사례가 중국에서 보고된 이후, 유럽이나 북아메리카 등지에서는 아시아계 주민에 대한 낙인이 형성되었고, 이는 때때로 차별이나 폭력 사건으로 이어지기도 했다.[119][120][121][122] 또한, 의료 종사자, 택배원, 접객업 종사자 등 감염 위험이 높다고 인식되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낙인의 대상이 되었다.[123][124]
이에 WHO는 각국 정부와 언론 관계자들에게 감염자를 비난하는 표현 사용 자제 등을 포함한 낙인 방지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125]
6. 낙인에 대한 대응 방안
사회적 낙인은 강력하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고정불변한 것이 아니며 충분히 도전하고 극복할 수 있다. 낙인에 대응하는 방안은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다. 하나는 낙인을 찍는 사회 구성원들의 인식과 행동에 변화를 촉구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낙인으로 인해 고통받는 당사자들이 스스로 갖게 되는 내면화된 낙인을 극복하도록 돕는 것이다.[32]
이러한 대응 방안에는 낙인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편견을 해소하는 교육, 법률 및 제도를 통해 차별을 금지하는 것, 지역 사회 구성원들이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독려하는 활동 등이 포함된다. 또한, 낙인 당사자들이 비판적 의식을 함양하고 서로 연대하며 긍정적인 자아 인식을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노력도 중요하다.[32][33] 구체적인 방법과 사례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6. 1. 교육 및 인식 개선
미디어는 사회 규범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소수 집단에 대한 묘사는 사람들의 태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뉴스 보도, 특히 전쟁이나 분쟁 관련 보도는 특정 국가 출신 사람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형성하고 고정관념을 강화할 수 있다.[84] 사람들은 종종 자신과 다른 집단의 부정적인 행동에 더 주목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편견을 조장한다.[84] 미디어에서 폭력적인 내용에 노출된 시청자들은 분노나 경멸과 같은 감정을 보이며 사회 질서에 대한 우려를 표하는 경향이 있다.[85]미디어를 통한 고정관념 강화는 실험을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한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에게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적 이미지가 담긴 광고(예: 명절 음식을 준비하는 여성)를 보여주었을 때, 그렇지 않은 광고(예: 법률 사무소에서 일하는 여성)를 본 학생들보다 특정 상황에서 더 고정관념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는 고정관념적인 광고에 잠시 노출되는 것만으로도 고정관념이 강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86]
이러한 미디어의 영향과 고정관념 형성 과정은 사회적 낙인이 개인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보여준다. 따라서 낙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교육을 통한 상호 이해 증진이 필수적이다. 낙인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편견을 해소하는 교육은 사회적 낙인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문화적 규범은 때때로 편견의 공개적인 표현을 억제하기도 한다. 특정 견해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강할 경우, 사람들은 실제 생각과 다르더라도 편견 없는 태도를 보일 수 있다(선호 허위 진술). 그러나 이러한 낙인이 약화되면, 사람들은 편견을 더 쉽게 드러낼 수 있다.[99] 예를 들어, 2008년 경제 위기 이후 미국에서 반이민 정서가 표면적으로 증가한 것처럼 보였으나, 실제로는 이민 반대를 공개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이전보다 더 용인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100] 이는 사회 전반의 인식 개선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보여준다.
6. 2. 법적, 제도적 장치 마련
세계 보건 기구(WHO)는 정신 보건 정책 관련 자료에서 "환자와 가족에 대한 낙인 및 차별은 사람들이 정신 질환 치료를 받지 못하게 만든다"고 지적하며, 각국 정부가 정신 보건 정책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촉구하고 있다.[108]6. 3. 낙인 감소를 위한 노력
낙인은 강력하고 지속적이지만, 불가피한 것은 아니며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 낙인에 맞서는 데에는 두 가지 중요한 측면이 있다. 하나는 낙인을 찍는 사람들의 인식과 행동에 도전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낙인 찍힌 당사자가 겪는 내면화된 낙인에 도전하는 것이다.낙인을 찍는 행동에 도전하기 위한 주요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다.[32]
- 교육: 낙인이 잘못된 정보에 기반한다는 사실과 낙인을 찍지 말아야 하는 이유를 사람들에게 알리는 노력이 필요하다.
- 법률 제정: 차별을 금지하는 법률을 만들어 제도적으로 낙인을 막으려는 노력이 중요하다.
- 지역 사회 참여: 지역 사회 구성원들이 직접 반(反)낙인 노력에 참여하도록 독려하여, 해당 지역의 맥락에 맞는 효과적인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32]
낙인 찍힌 사람이 스스로 갖게 되는 내면화된 낙인에 도전하는 것도 중요하다. 파울루 프레이리의 비판적 의식 이론은 이러한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도 소나가치 지역의 성 노동자들은 자신들도 존경받는 여성이며, 가족을 잘 돌보고 다른 노동자들과 동등한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며 내면화된 낙인에 효과적으로 맞섰다.[33] 이 사례는 합리적인 주장뿐만 아니라, 실제로 가치 있는 목표를 달성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존경받을 수 있다는 구체적인 증거가 낙인 극복에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33]
낙인 찍힌 집단은 종종 낙인에 대응하고 구성원들 사이에 긍정적인 자아 인식을 형성하기 위한 자체적인 문화적 도구를 발전시킨다. 예를 들어, 광고 전문가들은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받기도 하지만, 광고가 긍정적이고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일이라는 이야기를 공유하며 낙인에 대응한다.[34]
지역 사회를 동원하려는 노력은 게임 커뮤니티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Take This'와 같은 조직은 게임 행사에서 정신 건강 지원 공간(AFK룸)을 제공하고, 스트리밍 방송을 통해 정신 건강에 대한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35] 'NoStigmas'는 정신 건강 문제로 인한 차별 없는 세상을 목표로 하며, 관련 교육 프로그램과 자격증을 제공한다.[36]
한편,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같은 소셜 미디어는 낙인과 관련하여 양면성을 가진다. 이러한 플랫폼은 낙인 찍힌 개인이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이 될 수도 있지만[30], 동시에 낙인 찍힌 속성이 쉽게 확산되고 증폭되어 낙인을 강화할 수도 있다.[31]
미디어 역시 낙인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텔레비전, 컴퓨터, 스마트폰 등 대중 매체는 사람들의 인식에 큰 영향을 주며, 특정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묘사는 편견과 고정관념을 강화할 수 있다.[84] 사람들은 자신의 집단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다른 집단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으며, 미디어는 이러한 경향을 부추길 수 있다.[84] 예를 들어, 한 연구에서는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적인 광고(예: 명절 음식을 준비하는 여성)에 잠시 노출된 것만으로도 학생들이 여성을 더 고정관념적으로 인식하게 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86] 이는 미디어를 통한 고정관념 노출이 낙인 강화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며, 낙인 감소를 위한 비판적인 미디어 수용 능력 함양과 같은 노력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6. 4. 사회적 지지 및 연대 강화
낙인은 강력하고 지속적이지만, 극복할 수 있으며 이에 맞서 싸울 수 있다. 낙인에 도전하는 과정은 두 가지 중요한 측면을 가진다. 하나는 낙인을 찍는 사람들의 행동에 맞서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낙인 찍힌 사람들이 스스로 내면화한 낙인에 맞서는 것이다. 외부의 낙인 찍기에 도전하기 위해 Campbell 등(2005)은 세 가지 주요 접근 방식을 제시했다.[32]# 낙인을 찍는 것이 잘못된 정보에 기반하며 왜 낙인을 찍어서는 안 되는지에 대해 개인들을 교육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차별을 금지하는 법률을 제정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 각 지역의 특성에 맞춰 낙인 반대 메시지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지역 사회 구성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낙인 찍힌 사람들이 스스로 내면화한 낙인에 도전하는 것과 관련하여, 파울루 프레이리의 비판적 의식 이론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도 소나가치 지역의 성 노동자들은 자신들이 존경받는 여성이며, 가족을 잘 돌보고, 다른 노동자들과 동등한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내면화된 낙인에 효과적으로 맞섰다.[33] 이 연구는 낙인에 대한 성공적인 도전이 단지 합리적인 주장의 힘뿐만 아니라, 성 노동자들이 가치 있는 목표를 달성하고 다른 이들에게 존경받을 수 있다는 구체적인 증거를 보여주는 데 달려있다고 강조한다.
낙인 찍힌 집단은 종종 낙인에 대응하고 구성원들 사이에 긍정적인 자아 인식을 형성하기 위한 자체적인 문화적 도구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전문가들은 부정적인 이미지와 낮은 사회적 평가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광고 업계는 광고가 긍정적이고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활동이라고 묘사하는 이야기를 집단적으로 공유하며, 광고 전문가들은 이를 활용하여 낙인에 대응한다.[34]
지역 사회를 동원하여 낙인에 맞서는 또 다른 노력은 게임 커뮤니티 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다음은 커뮤니티 기반 지원 조직의 예시이다.
이러한 노력들은 낙인에 맞서 사회적 지지망을 구축하고 연대를 강화하는 중요한 활동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지역 사회 구성원들과 특정 커뮤니티(게임 커뮤니티 등)의 자발적인 참여와 조직 활동은 낙인 극복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참조
[1]
논문
Conceptualizing Stigma
[2]
서적
Stigma: Notes on the Management of Spoiled Identity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2009
[3]
논문
Epilepsy and Social Identity: the Stigma of a Chronic Neurological Disorder
[4]
논문
Stereotypes, Prejudice, and Depression: The Integrated Perspective
[5]
논문
The Social Psychology of Stigma
[6]
서적
Rules of Sociological Method
The Free Press
[7]
서적
Stigma: Notes on the Management of Spoiled Identity
https://archive.org/[...]
Prentice Hall
[8]
논문
Segmenting an Audience into the Own, the Wise, and Normals: A Latent Class Analysis of Stigma-Related Categories
[9]
서적
Stigma and Group Inequality: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0]
논문
Hiring Decisions for Disabled Workers: Looking at the Cause
[11]
논문
Racial/ethnic discrimination and health: findings from community studies
[12]
논문
Adolescents׳ perceptions of peers with depression: An attributional analysis
2014-08-30
[13]
논문
Depression stigma among adolescents in Ireland.
2016
[14]
논문
Labelling effects and adolescent responses to peers with depression: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2017-06-24
[15]
논문
Explicit and implicit stigma towards peers with mental health problem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2012-10
[16]
서적
The Social Psychology of Stigma
Guilford Press
[17]
간행물
STIGMA: How We Treat Outsiders
https://web.archive.[...]
Prometheus Books
[18]
웹사이트
Gerhard Falk
http://www.jbuff.com[...]
[19]
논문
Conceptualizing Stigma
[20]
문서
The Other
[21]
문서
'Stigma Allure and White Antiracist Identity Management.'
[22]
서적
Social stigma: The psychology of marked relationships.
Freeman
[23]
논문
Unraveling the Contexts of Stigma: From Internalisation to Resistance to Change
http://eprints.lse.a[...]
2006-09
[24]
논문
Stigma and the Moral Careers of Ex-Mental Patients Living in Board and Care
1991-10
[25]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Health Communication
[26]
논문
Language of the lost: An explication of stigma communication
[27]
논문
An Experimental Test of Stigma Communication Content with a Hypothetical Infectious Disease Alert
[28]
논문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hiring: The role of social media disclosures on stigma and hiring assessments of veterans
2022-06-22
[29]
논문
Losing Control: The Uncertain Management of Concealable Stigmas When Work and Social Media Collide
http://journals.aom.[...]
2023-02
[30]
논문
Safe spaces in online places: social media and LGBTQ youth
https://doi.org/10.1[...]
2017-04-03
[31]
학위논문
Self-fulfilling Stigmatization: An Evolutionary Game of Online Opinion Dynamics in Social Movements
https://knowledge.uc[...]
University of Chicago
[32]
논문
I have an evil child at my house: stigma and HIV/AIDS management in a South African community
[33]
논문
Challenging the stigma of sex work in India: Material context and symbolic change
https://gcal.academi[...]
[34]
논문
Advertising morality: maintaining moral worth in a stigmatized profession
http://osf.io/h6kvu/
[35]
웹사이트
Take This, help for people with mental health challenges who are also passionate about making games
http://www.takethis.[...]
2019-05-22
[36]
웹인용
NoStigmas, Ally Built, Ally Run, Perpetual Giving, Lead By Example
https://nostigmas.or[...]
2019-05-22
[37]
간행물
Against all Odds: A Consideration of Core-Stigmatized Organizations
https://journals.aom[...]
2008-01-01
[38]
간행물
A General Theory of Organizational Stigma
https://pubsonline.i[...]
2008-08-20
[39]
웹사이트
mishina devers 2012 – Google Search
https://www.google.c[...]
2020-08-28
[40]
서적
The Power of Being Divisive
http://dx.doi.org/10[...]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0-11-23
[41]
간행물
Perceived Stigma in Health Care Settings and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People of Color in the United States
2019
[42]
간행물
Is Perceived Stigma in Clinical Settings Associated With Poor Health Status Among New York City's Residents of Color?
2019-12
[43]
블로그
The stigma gene
http://www.badscienc[...]
The Guardian
2010-10-09
[44]
서적
Weight Bias
https://books.google[...]
Guilford Publications
[45]
간행물
Evolutionary Origins of Stigmatization: The Functions of Social Exclusion
http://www2.uni-jena[...]
[46]
간행물
The Trouble of Stigma in the Age of Datafication: Screening for Mental Health Issues in a Refugee Camp in Jordan
https://www.tandfonl[...]
2023-09-07
[47]
간행물
Understanding the impact of stigma on people with mental illness
2002-02-01
[48]
웹사이트
The Impact of Mental Illness Stigma on Seeking and Participating in Mental Health Care
http://www.psycholog[...]
[49]
간행물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in the Media
2014
[50]
간행물
Depression presentations, stigma, and mental health literacy: A critical review and YouTube content analysis
https://doi.org/10.1[...]
2020-06
[51]
간행물
A stigmatizating attitude towards psychiatric illnesses is associated with narcissistic personality traits
http://www.kemalarik[...]
[52]
간행물
Community Attitudes Towards the Mentally Ill: The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of the Taiwanese Population
[53]
웹사이트
5 Influential Rappers That Broke The Mental Health Stigma
http://www.huffingto[...]
2016-07-27
[54]
간행물
Stigma, discrimination, treatment effectiveness, and policy: public views about drug addiction and mental illness
2014-10-01
[55]
웹사이트
DRAFT: Changing the Language of Addiction
https://obamawhiteho[...]
2016-12-12
[56]
뉴스
Ending the stigma of addiction
https://www.drugabus[...]
2016-12-12
[57]
간행물
Substance use more stigmatized than smoking and obesity
2013-08-01
[58]
웹사이트
Substance use is more stigmatized than both smoking and obesity
http://www.recoverya[...]
2016-12-12
[59]
웹사이트
Drug addiction is substantially more stigmatized than mental illness
http://www.recoverya[...]
2016-12-12
[60]
웹사이트
Executive Summary
https://addiction.su[...]
2016-12-12
[61]
간행물
Barriers to treatment: Why alcohol and drug abusers delay or never seek treatment
1993-05-01
[62]
웹사이트
Words Matter
https://blog.samhsa.[...]
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Administration
2016-05-16
[63]
간행물
Treatment rates for alcohol use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pubmed.ncbi.[...]
2021-10
[64]
간행물
Does it matter how we refer to individuals with substance-related conditions? A randomized study of two commonly used terms
2010-05-01
[65]
간행물
Does Our Choice of Substance-Related Terms Influence Perceptions of Treatment Need? An Empirical Investigation with Two Commonly Used Terms
2010-10-01
[66]
웹사이트
Words matter
http://www.apa.org/m[...]
2016-12-12
[67]
간행물
Changing the Language of Addiction
2016-10-04
[68]
간행물
Social judgments of behavioral versus substance-related addictions: a population-based study
https://zenodo.org/r[...]
2015-03-01
[69]
간행물
Portraying mental illness and drug addiction as treatable health conditions: effects of a randomized experiment on stigma and discrimination
2015-02-01
[70]
웹사이트
Breaking the stigma: portraying opioid use disorder as a treatable health condition
http://www.recoverya[...]
2016-12-12
[71]
논문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for reducing stigma related to substance use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72]
논문
An initial meta-analysi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treating substance use disorders
https://digitalcommo[...]
2015-10-01
[73]
웹사이트
Introducing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 preliminary evaluation of its effectiveness in addiction treatment
http://www.recoverya[...]
2016-12-12
[74]
논문
Did the under-reporting of meth/amphetamine use increase in a general population survey in Australia as negative media coverage increased?
https://onlinelibrar[...]
2022-06
[75]
논문
Welfare Stigma among Low-Income, African American Single Mothers
1996
[76]
서적
Social Policy and Welfare Pluralism
Policy Press
2017-10-18
[77]
논문
Resolution on poverty and socioeconomic status
2010-01-20
[78]
논문
The Stigma of Homelessness: The Impact of the Label "Homeless" on Attitudes Toward Poor Persons
1997
[79]
웹사이트
How Long-Term Unemployment May Mess with Your Mental Health
https://psychcentral[...]
2023-10-24
[80]
논문
The dynamics of welfare stigma
1995-12-01
[81]
논문
The social stigma of unemployment: consequences of stigma consciousness on job search attitudes, behaviour and success
https://www.research[...]
2019
[82]
논문
Stereotypes and Stigma: What's Changed for Welfare Mothers
2016-07-26
[83]
논문
Public Awareness, Attitude, and Understanding of Epilepsy in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China
[84]
논문
Effects of linguistic abstractness in the mass media: How newspaper articles shape readers' attitudes toward migrants
[85]
논문
TV news–the daily horror?: Emotional effects of violent television news
[86]
간행물
Looking through Gendered Lenses: Female Stereotyping in Advertisements and Gender Role Expectations
http://virtualworker[...]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1996
[87]
서적
Schooling the Gifted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88]
서적
Being Gifted in School
Prufrock Press
[89]
논문
The social cognition of gifted adolescents: An exploration of the stigma of giftedness paradigm
[90]
웹사이트
Google Scholar Search
https://scholar.goog[...]
2012-05-19
[91]
논문
Is being gifted a social handicap?
[92]
웹사이트
Google Scholar Search
https://scholar.goog[...]
2022-05-11
[93]
서적
On Being Gifted
https://archive.org/[...]
Walker, and Company
[94]
논문
Abortion Stigma: A Systematic Review: Abortion stigma – A systematic review
2016-12
[95]
논문
Enacted abortion stigma in the United States
2017-03
[96]
논문
Abortion Stigma: A Systematic Review
2016-12
[97]
논문
Second Trimester Abortion Provision: Breaking the Silence and Changing the Discourse
http://lib.tcu.edu/s[...]
2015-10-29
[98]
논문
Resistance and vulnerability to stigmatization in abortion work
2011-11
[99]
뉴스
The scientific case that America is becoming more prejudiced
https://www.vox.com/[...]
Vox
2017-08-14
[100]
논문
Has Opposition to Immigration Increased in the United States after the Economic Crisis? An experimental Approach
2014-05-03
[101]
간행물
The elephant in the room? Why spatial stigma does not receive the public health attention it deserves
2020-02-28
[102]
간행물
Stigma: notes on the management of spoiled identity
Prentice-Hall Inc
1963
[103]
논문
Epilepsy and Social Identity: the Stigma of a Chronic Neurological Disorder
https://www.scienced[...]
2020-06-18
[104]
뉴스
認知度の低さに悩む米国のシーク教徒
https://www.afpbb.co[...]
2020-03-07
[105]
논문
The Social Psychology of Stigma
https://semanticscho[...]
[106]
논문
Stereotypes, Prejudice, and Depression: The Integrated Perspective
[107]
서적
Stigma: Notes on the Management of Spoiled Identity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2009
[108]
간행물
10 FACTS ON MENTAL HEALTH - Mental health: a state of well-being
http://www.who.int/f[...]
WHO
2022-07-08
[109]
서적
2006 Report on the global AIDS epidemic
UNAIDS
[110]
뉴스
HIV感染者の平均余命、今では一般とほぼ変わらず=英研究
http://www.bbc.com/j[...]
BBCワールドジャパン
2017-05-11
[111]
간행물
Undetectable=Untransmittable(検出限界以下なら感染しない)
https://api-net.jfap[...]
UNAIDS
2018
[112]
뉴스
"HIV感染を理由に歯科診療拒否は不法行為"東京地裁が判決 歯科クリニック側に賠償命令
https://www.buzzfeed[...]
BuzzFeed Japan
2020-03-23
[113]
웹사이트
Common at its core: HIV-related stigma across contexts
http://www.icrw.org/[...]
2007-02-15
[114]
논문
The evolving epidemiology of HIV/AIDS
2012-06
[115]
논문
HIV-related stigma and knowledge in the United States: prevalence and trends, 1991-1999
2002-03
[116]
논문
Fear and Stigma: The Epidemic within the SARS Outbreak
http://wwwnc.cdc.gov[...]
2004-02
[117]
논문
SARS and New York's Chinatown: The politics of risk and blame during an epidemic of fear
https://linkinghub.e[...]
2007-09
[118]
논문
Comparative stigma of HIV/AIDS, SARS, and Tuberculosis in Hong Kong
https://linkinghub.e[...]
2006-10
[119]
웹사이트
コロナ関連で中国出身者差別の言動 都がヘイトスピーチと認定
https://www3.nhk.or.[...]
2020-10-13
[120]
뉴스
Chinese Canadians speak out against racism, misinformation in wake of coronavirus
https://www.cbc.ca/r[...]
2020-01-29
[121]
뉴스
The coronavirus and the long history of using diseases to justify xenophobia
https://www.washingt[...]
2020-02-14
[122]
뉴스
COVID-19 and xenophobia: Why outbreaks are often accompanied by racism
https://www.euronews[...]
2020-06-03
[123]
논문
COVID-19 and experiences of moral injury in front-line key workers
https://academic.oup[...]
2020-04-02
[124]
논문
Stigm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https://www.ncbi.nlm[...]
2020-07
[125]
웹사이트
Social Stigma associated with COVID-19
https://www.who.int/[...]
WHO
2020-02-24
[126]
뉴스
コロナ恐怖、増殖した言葉の刃 クラスター公表、情報が一人歩き 当事者らも割り切れぬ思い
https://www.kyoto-np[...]
2020-06-20
[127]
웹사이트
小池知事「知事の部屋」/記者会見(令和2年3月30日)
https://www.metro.to[...]
東京都
2020-03-30
[128]
뉴스
新型コロナが夜の繁華街を直撃、追い込まれる接待業の女性たち
https://www.bloomber[...]
2020-04-18
[129]
뉴스
また飛び出した「夜の街」発言…小池都知事の会見に非難殺到
https://jisin.jp/dom[...]
2020-07-03
[130]
뉴스
小池知事「夜の街、控えて」 東京都新規感染107人
https://www.asahi.co[...]
2020-07-02
[131]
뉴스
新宿“夜の街”対策 地元中学生が外出自粛を無線で呼びかけ
https://www3.nhk.or.[...]
NHK
2020-06-15
[132]
뉴스
東京アラート発動中、「夜の街」を見回り活動
https://news.tbs.co.[...]
2020-06-05
[133]
뉴스
小池知事「東京アラート」が抱える矛盾 レインボーブリッジが緑色になる日
https://www.dailyshi[...]
2020-06-07
[134]
뉴스
小池都知事の「夜の街を見せしめに」的手法が孕む問題点
https://www.news-pos[...]
2020-07-09
[135]
웹사이트
小池知事「知事の部屋」/記者会見(令和2年7月3日)
https://www.metro.to[...]
東京都
2020-07-03
[136]
뉴스
ナイトクラブや風俗業、休業補償の対象外 厚労省「公金助成ふさわしくない」に批判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0-04-03
[137]
뉴스
コロナ休業補償、風俗関係者も「対象に」と厚労相表明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0-04-07
[138]
문서
https://swashweb.net[...]
SWASH
2020-04-02
[139]
보도자료
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による小学校休業等対応助成金・支援金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0-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