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탄은 아이누어로 '마을' 또는 '취락'을 의미하며, 아이누 사회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이자 생활의 중심지였다. 아이누는 어업에 의존하여 특정 장소에 정착하였으며, 코탄은 연어 산란지와 같은 어장이 있는 강 하구를 중심으로 약 5~7km 간격으로 형성되었다. 코탄은 5~7채의 가옥으로 이루어진 작은 규모였으며, 10채 이상은 예외적인 대규모 집락으로 간주되었다. 각 코탄은 고유한 이름을 가지고 있었으며, 홋카이도, 사할린, 쿠릴 열도 등지의 지명에 영향을 미쳤다. 현재는 구시로시의 아칸 호 코탄이 유일하게 남아있는 아이누 코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누 - 도호쿠 지방
    도호쿠 지방은 일본 혼슈 북동부에 위치하며 6개 현으로 이루어져 있고, 산악 지형과 화산, 온천이 풍부하며, 쌀 생산이 활발했으나 현재는 인구 감소와 고령화, 지진의 영향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가 과제인 지역이다.
  • 아이누 - 사할린섬
    사할린섬은 러시아 최대의 섬이자 세계에서 29번째로 큰 섬으로, 러시아어, 일본어, 한국어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러시아와 일본 간 영토 분쟁과 석유 및 천연가스 개발, 다양한 민족 거주, 그리고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과 같은 비극적인 사건을 겪은 복잡한 역사를 지닌 섬이다.
코탄
지도
개요
유형전통적인 아이누 정착지
설명코탄은 아이누족의 전통적인 정착지 유형이다.
역사적 맥락
어원아이누어로 '마을' 또는 '정착지'를 의미한다.
사회적 의미코탄은 단순한 거주 공간을 넘어, 아이누족의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활동의 중심지였다.
구성 요소
주거 형태'치세이'라고 불리는 초가지붕의 집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위치 선정주로 강가나 호숫가와 같이 자연 자원이 풍부한 곳에 위치했다.
부대 시설곡물 저장소, 공동 작업 공간, 제례 장소 등을 포함했다.
사회 문화적 기능
공동체 생활코탄은 아이누족의 공동체 생활의 기반이 되었으며, 구성원들은 서로 협력하며 살아갔다.
전통 유지아이누의 전통적인 생활 방식, 언어, 문화, 신앙 등이 코탄을 중심으로 전승되었다.
경제 활동어업, 수렵, 채집 등을 통해 생계를 유지했으며, 생산물은 공동으로 분배되었다.
현대적 변화
정착 방식 변화일본 정부의 정책 변화와 함께 전통적인 코탄의 형태는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문화 보존 노력현재는 아이누 문화 보존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통적인 코탄을 재현하거나 복원하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참고 문헌
참고 문헌 정보존 배철러, Ainu-English-Japanese Dictionary (1905)
코토バンク, コタンとは? 意味や使い方

2. 코탄의 구조 및 특징

コタン|코탄ain아이누어로 '택지' 또는 '마을'을 의미하며, 아이누 민족의 전통적인 생활 근거지이자 아이누 사회를 형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였다.[7] 아이누는 수렵 채집인에 속하지만, 특히 연어 등을 대상으로 하는 어업에 크게 의존했기 때문에 다른 수렵 채집 민족들과 달리 한 곳에 비교적 오래 정착하는 생활 방식을 가졌다. 이로 인해 코탄은 주로 강가와 같이 어로 활동에 유리한 곳에 자리를 잡았다.

일반적으로 코탄은 5~7가구 정도의 소규모 집락이었으나, 때로는 10가구를 넘는 경우도 있었다. 코탄의 구성원은 주로 エカシ・イモロ|에카시 이모로ain라 불리는 부계 혈연 집단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각 코탄은 イウォロ|이워로ain라 불리는 공유지를 가지고 있어 그 안에서 자원을 공동으로 이용할 권리를 가졌다. 다른 코탄의 영역을 침범하는 것은 엄격히 금지되었다.

그러나 에도 시대에 들어 마쓰마에 번이 시행한 장소청부제와 같이 일본인들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아이누인들이 특정 지역에 강제로 이주당하거나 노동력 동원을 위해 20가구가 넘는 대규모 집락이 형성되기도 했다. 이는 전통적인 아이누 코탄의 모습과는 다른, 외부의 강제력에 의해 변형된 형태라고 볼 수 있다.[2] 코탄은 주거 시설인 チセ|치세ain를 비롯해 곰 우리, 창고, 공동 화장실, 제단 등 다양한 시설로 구성되었으며, 때로는 방어 시설인 チャシ|차시ain를 갖추기도 했다.[3]

2. 1. 주거 시설

치세 모형 전시. 집을 중심으로 변소, 곰 우리, 고상 창고가 산재해 있다. (오사카부 스이타시·국립민족학박물관)


コタン|코탄ain아이누어로 '택지'를 의미하며, 아이누 민족의 생활 근거지이자 아이누 사회를 형성하는 최소 단위이다.[7]

일반적인 수렵 채집인과 달리, 아이누는 어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기 때문에 한 곳에 정착하는 생활 방식을 가졌다. 이로 인해 거주지는 주로 연어 산란지와 같은 좋은 어장이 있는 강 하구 근처에 형성되었다. 계절에 따라 새로운 어장으로 이동하기도 했으며, 이로 인해 코탄은 대략 5km에서 7km 간격으로 존재했다.

코탄은 보통 5~7채의 집으로 구성되었으며, 10채 이상은 비교적 큰 규모에 속했다. 1856년 홋카이도 탐험가 마쓰우라 다케시로는 일반적인 코탄에 총 10가구 47명이 거주한다고 보고하기도 했다.[2] 20가구가 넘는 대규모 코탄은 에도 시대 마쓰마에 씨족이 시행한 장소청부제와 같이, 일본인에 의한 강제적인 노동력 동원의 결과로 형성된 경우가 많아 전통적인 코탄과는 거리가 멀었다. 코탄의 구성원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エカシ・イモロ|에카시 이모로ain라 불리는 부계 집단이었고, 그 우두머리는 コタンコㇿクㇽ|코탄코로쿠르ain(마을을 가진 자)라고 불렸다.

각 코탄에는 '이워로'(イウォロ|이워로ain 또는 イボロ|이보로ain)라 불리는 공유지가 있어, 코탄 주민들은 이곳에서 나무 벌채, 사냥, 낚시, 야생 식물 채집 및 경작을 자유롭게 할 수 있었다. 다른 코탄의 주민이 허락 없이 영역을 침범하면 처벌을 받기도 했다. 인접한 코탄끼리는 사냥터를 공유하고 イヨマンテ|이요만테ain 의식을 함께 치르기도 했으며, 여러 코탄을 아우르는 족장이 있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코탄의 집합을 エカシ・イトㇰパ|에카시 이토크파ain라고 불렀다.

코탄 내부의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시설 종류아이누어 명칭설명
가옥チセ|치세ain 등으로 지붕을 덮은 집
곰 우리ヘペレセッ|헤페레셋ain주로 이요만테 의식을 위해 어린 을 기르는 우리
창고プー|푸ain / プイ|푸이ain식량을 저장하기 위한 고상 창고
화장실アシンル|아신루ain / メノコル|메노코르ain각각 남성용과 여성용 변소
제단ヌサ|누사ain / ヌササン|누사산ainイナウ|이나우ain를 바치는 제단



이 외에도 야생 식물, 생선, 동물 가죽 등을 말리는 건조대가 있었으며, 코탄 부근에는 チャシ|차시ain라고 불리는 요새와 유사한 방어 시설이 있는 경우도 있었다.[3]

오호츠크해 연안에 위치했던 사할린 아이누 마을 키타코탄


각 코탄에는 고유한 이름이 있었는데, 이 이름이 후에 일본인에 의해 지명으로 사용된 경우가 많다. 홋카이도나 사할린, 쿠릴 열도(북방 영토 포함)의 지명 중 '코탄'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예시(한자 표기 '고단(古丹)' 등)가 이를 보여준다.

구시로시 아칸정의 아이누 코탄


다만, 현재 아칸호 온천가에 있는 '아이누 코탄'은 과거부터 존재했던 전통적인 코탄은 아니다. 아칸호 주변에 아이누 가옥이 흩어져 있었으나, 1959년 아칸호 일대의 자연 보호에 힘쓴 마에다 잇포엔 재단의 당시 이사장 마에다 미츠코의 제안으로 재단이 무상 제공한 토지에 주변 아이누인들이 이주하여 형성된 것이다.

2. 2. 공동 시설

코탄에는 주민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여러 시설이 있었다. 대표적으로 공동 화장실이 있으며, 남성용은 アシンル|아신루ain, 여성용은 メノコル|메노코르ain라고 불렀다.[3] 또한 이나우(어폐)를 바치는 제단인 ヌサ|누사ain(또는 누사산)도 중요한 공동 시설이었다.[3] 코탄 근처에는 방어 시설인 차시(요새)가 있는 경우도 있었다.[3]

코탄 주변에는 イウォロ|이워로ain(또는 이볼로)라고 불리는 공유지가 존재했다. 코탄 주민들은 이 공유지에서 자유롭게 나무를 베거나 사냥, 어로, 산채 채집, 경작 등을 할 수 있었다. 다른 코탄의 주민이 허락 없이 남의 코탄 영역인 이워로를 침범하는 것은 엄격히 금지되었다.

2. 3. 공유지

코탄 근처에는 '이워로'(iwor|이워로ain)라고 불리는 공유지가 있었다. 코탄 주민들은 이곳에서 나무를 베고, 사냥하고, 낚시하며, 산나물 등 야생 식물을 채집하고 경작을 자유롭게 할 수 있었다. 각 코탄은 자신들의 영역('이워로')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다른 코탄 사람이 허락 없이 영역을 침범하면 처벌을 받았다.

인접한 코탄끼리는 사냥터를 공유하거나, 이요만테와 같은 의식을 함께 치르기도 했다. 여러 코탄이 하나의 족장을 두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러한 코탄의 연합체를 '에카시 이토크파'(ekasi itokpa|에카시 이토크파ain)라고 불렀다.

3. 코탄의 사회



コタン|코탄ain아이누어로 "택지"를 뜻하며, 아이누 민족의 생활 근거지이자 아이누 사회를 형성하는 최소 단위이다.[7]

일반적인 수렵 채집인들과 달리, 아이누는 어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기 때문에 한 곳에 정착하는 생활 방식을 가졌다. 이로 인해 코탄의 입지는 주로 연어의 산란지와 같은 좋은 어장이 있는 강가 근처로 결정되었다. 코탄은 보통 약 5km에서 7km 간격으로 존재했다. 다만 계절에 따라 새로운 어장을 찾아 이동하는 경우도 있었다.

코탄은 일반적으로 몇 채의 가옥으로 구성되었으며, 홋카이도 탐험가 마쓰우라 다케시로는 1856년 보고서에서 한 코탄에 평균 10가구, 47명이 거주했다고 기록했다.[2] 코탄은 초가지붕의 가옥(cise|치세ain), 어린 을 기르기 위한 우리(hepereset|헤페레셋ain, 주로 iyomante|이요만테ain 의식용), 식량을 저장하는 고상 창고( pui|푸ain ), 남성용(ashinru|아신루ain)과 여성용(menokol|메노코르ain)으로 구분된 공동 화장실, 그리고 inaw|이나우ain를 바치는 제단(nusa|누사ain) 등으로 구성되었다. 코탄 부근에는 casi|차시ain라 불리는 요새 형태의 구조물이 있는 경우도 있었다.[3][7]

각 코탄에는 고유한 이름이 있었으며, 이 이름들이 후에 일본인들에 의해 홋카이도, 사할린, 쿠릴 열도 등의 지명으로 채택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지명에 '코탄'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경우가 있으며, 한자로는 '古丹(고단)' 등으로 표기되기도 한다.[7]

다만, 아칸호 온천가에 현재 존재하는 "아이누 코탄"은 전통적인 의미의 코탄이 형성되었던 곳은 아니다. 이곳은 1959년 아칸호 주변에 흩어져 살던 아이누인들이 마에다 잇포엔 재단이 무상 제공한 토지로 이주하여 형성된 곳이다.

3. 1. 가족 및 부계 집단

코탄의 구성원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エカシ・イモロ|에카시・이모로ain라고 불리는 부계 집단에 속했다. 이 집단의 우두머리는 コタンコㇿクㇽ|코탄코ㇿ쿠ㇽain(마을을 가진 자)이라고 불렸다.[7] 일반적으로 코탄은 5~7호 정도의 가구로 이루어졌으며, 10호 이상은 예외적인 대규모 집락이었다. 20호를 넘는 코탄은 장소 청부제와 같은 제도를 통해 이루어진 일본인에 의한 강제 이주나 노동력 동원의 결과로 형성된 경우가 많았다.[7]

3. 2. 코탄 간의 관계

각 kotan|코탄ain은 iworo|이워로ain라고 불리는 공유지를 가지고 있었다.[3] kotan|코탄ain의 주민이라면 누구나 이 iworo|이워로ain 안에서 나무를 베거나, 수렵 및 어로 활동을 하고, 산나물을 채집하거나 땅을 경작하는 것이 자유로웠다. 그러나 다른 kotan|코탄ain의 사람이 허락 없이 다른 kotan|코탄ain의 영역을 침범하면 처벌을 받았다.[7] 이는 각 kotan|코탄ain마다 고유한 영역권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인접한 kotan|코탄ain끼리는 서로 협력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사냥터를 공유하거나, iyomante|이요만테ain와 같은 중요한 의식을 함께 치르기도 했다. 때로는 여러 kotan|코탄ain이 하나의 족장을 중심으로 뭉치기도 했는데, 이러한 kotan|코탄ain의 연합체를 ekasi itokpa|에카시 이토크파ain라고 불렀다.[3]

4. 코탄과 지명

각 코탄은 고유한 이름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 아이누어 이름들은 이후 일본인들에 의해 해당 지역의 지명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7] '코탄'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지명은 홋카이도, 치시마 열도(쿠릴 열도), 카라후토(사할린) 등 아이누족의 거주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일본어로는 주로 '古丹'(고단)이라는 한자로 표기되었다.

4. 1. 홋카이도

홋카이도에는 아이누어로 '마을' 또는 '취락'을 의미하는 '코탄'(コタン|코탄ain)에서 유래한 지명이 다수 존재한다. 아이누 문화의 흔적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예시이다.

아래는 '코탄'이 포함된 홋카이도 내 주요 지명과 관련 정보이다.

'코탄' 관련 홋카이도 지명
지명 (한국어)원어 표기 (아이누어/일본어)의미비고
온네코탄Onne Kotanain / 温禰古丹|온네코탄일본어큰 마을쿠릴 열도 북부에 위치한 화산섬
크슌코탄Kushun Kotanain / 久春古丹|크슌코탄일본어사할린섬 남부의 옛 아이누 코탄
시코탄Shikotanain / 色丹|시코탄일본어진짜 마을 / 큰 마을[1]쿠릴 열도 남단, 쿠릴 열도 분쟁 지역
샤코탄Shakotanain / 積丹|샤코탄일본어여름 마을요이치군 샤코탄정
카무이코탄Kamuy Kotanain / 神居古潭|카무이코탄일본어의 마을아사히카와시 서부 지역
샤스코탄Shasukotanain / 捨子古丹|샤스코탄일본어쿠릴 열도 중부에 위치한 화산섬
치린코탄Chirinkotanain / 知林古丹|치린코탄일본어쿠릴 열도 중부에 위치한 화산섬
하리무코탄Harimukotanain / 春牟古丹|하리무코탄일본어우바유리(백합과 식물)가 많은 곳쿠릴 열도 중부에 위치한 화산섬
토코탄Tokotanain / 床丹|토코탄일본어파괴된 마을 / 멸망한 마을도코로군 사로마정 지역
코탄베츠Kotanbetsuain / 古丹別|코탄베츠일본어마을 강도마마에군 도마마에정 지역
아유미코탄Ayumikotanain / 歩古丹|아유미코탄일본어전복 마을하코다테시 해안 지역
오코탄페Okotanpeain / オコタンペ|오코탄페일본어하류에 마을이 있는 강지토세시 시코쓰호 서안에 위치한 호수 이름
코타니小谷|코타니일본어마을 강아이누어 코탄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는 일본식 지명
시마코탄Shimakoanain / 島古丹|시마코탄일본어돌이 많은 마을



과거 이들 지명에는 일본국유철도의 역이 있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폐역되었다.


  • 카무이코탄역: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 카무이코탄에 있었던 하코다테 본선의 역 (1969년 폐역). 현재 역사는 보존되어 있다.
  • 토코탄역: 홋카이도 도코로군 사로마정에 있었던 유모선(湧網線|유모센일본어)의 역 (1987년 폐선과 함께 폐역).
  • 하마토코탄 임시 승강장: 토코탄역 인근 같은 노선에 있었던 임시 승강장 (1987년 폐선과 함께 폐지).
  • 코탄베츠역: 홋카이도 도마마에군 도마마에정에 있었던 하보로선(羽幌線|하보로센일본어)의 역 (1987년 폐선과 함께 폐역).


이 외에도 홋카이도 및 아이누 문화와 관련하여 '코탄'이라는 단어가 사용된 예는 다음과 같다.

  • 아이누 요리 중 '코탄동'(コタン丼|코탄동일본어)이라는 돈부리 음식이 있다.
  • 홋카이도 요이치정 출신의 아이누 가수 이보시 호쿠토의 유고집 제목이 「코탄」(コタン일본어)이다.
  • 시마후쿠로(섬부엉이)의 아이누어 이름은 '코탄 코로 카무이'(Kotan kor kamuy|코탄 코로 카무이ain)이며, 이는 '마을(코탄)을 지키는 신'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 이토 히사오(伊藤久男일본어)의 대표곡 『이요만테의 밤』(イヨマンテの夜일본어)에는 '코탄의 무법자'(コタンの無法者일본어)라는 구절이 등장한다.

4. 2. 사할린

사할린 섬 남부에 위치한 도시 코르사코프의 아이누어 이름은 쿠슌코탄(久春古丹)이다.

4. 3. 쿠릴 열도


  • 온네코탄 (オンネコタン|온네코탄ain, "큰 마을")
  • 샤스코탄 (シャスコタン|샤스코탄ain, "다시마 마을")
  • 치린코탄 (チリンコタン|치린코탄ain, "산사태 마을")
  • 하리무코탄 (ハリムコタン|하리무코탄ain, "많은 우바유리(백합과의 다년초)가 있는 마을")

5. 현대의 코탄

현재까지 계속해서 사람이 거주하는 아이누 ''코탄''은 아칸 호 코탄 하나뿐이며, 이는 구시로시에 있다. 1959년, 마에다 잇포엔 재단(아칸 호 보존을 돕는 단체)의 마에다 미쓰코가 남아있는 아이누인들에게 그가 매입한 새로운 땅으로 이주할 것을 제안하기 전까지, 아칸 호 주변에는 여전히 여러 개의 아이누 코탄이 흩어져 있었다. 아이누인들이 무상으로 새 땅으로 이주하면서 아칸 호 코탄이 조성되었다.[4]

6. 기타


  • 온네코탄 (オンネコタン|온네코탄일본어, 温禰古丹|온네코탄일본어)
  • 크슌코탄 (クシュンコタン|크슌코탄일본어, 久春古丹|크슌코탄일본어)
  • 시코탄 (シコタン|시코탄일본어, 色丹|시코탄일본어 - 큰 마을이라는 뜻)
  • 샤코탄 (シャコタン|샤코탄일본어, 積丹|샤코탄일본어)
  • 카무이코탄 (カムイコタン|카무이코탄일본어, 神居古潭|카무이코탄일본어, 神居古丹|카무이코탄일본어, 神威古潭|카무이코탄일본어)
  • 카무이코탄 역 (神居古潭駅|카무이코탄에키일본어) -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 카무이코탄에 있었던 일본국유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 샤스코탄 (シャスコタン|샤스코탄일본어, 捨子古丹|샤스코탄일본어)
  • 치린코탄 (チリンコタン|치린코탄일본어, 知林古丹|치린코탄일본어)
  • 하리무코탄 (ハリムコタン|하리무코탄일본어, 春牟古丹|하리무코탄일본어 - 우바유리(백합과의 다년초)가 많은 곳이라는 뜻)
  • 토코탄 (トコタン|토코탄일본어, 床丹|토코탄일본어 - 멸망한 마을이라는 뜻)
  • 토코탄 역 (床丹駅|토코탄에키일본어) - 홋카이도 도코로군 사로마쵸에 있었던 일본국유철도 유모선(湧網線|유모센일본어)의 역이다.
  • 코탄베츠 (コタンベツ|코탄베츠일본어, 古丹別|코탄베츠일본어)
  • 코탄베츠 역 (古丹別駅|코탄베츠에키일본어) – 홋카이도 도마마에군 도마마에쵸에 있었던 일본국유철도 하보로선(羽幌線|하보로센일본어)의 역이다.


'''그 외'''

  • 아이누 요리 중 코탄동이라는 돈부리 음식이 있다.
  • 요이치정 출신의 아이누 가수, 이보시 호쿠토의 유고집 중 「코탄」이 있다.
  • 요이치정 출신의 아이누 시인, 이가이 호쿠토의 유고집에 「コタン|코탄ain」이 있다.
  • 시마후쿠로(수리부엉이)의 아이누어 이름은, 호로베츠·사루·굿샤로·비호로 등 홋카이도 아이누어 여러 방언에서는 "코탄을 수호하는 카무이"를 의미하는 코탄코르카무이(kotan-kor-kamuyain)이다. 또한, 토미우치·시라우라·타란도마리 등 사할린 아이누어 여러 방언에서는 에투루시(eturusain)라고 칭한다.[6]
  • 이토 히사오의 대표곡 『이요만테의 밤』에는 "コタンの掟破りゃ|코탄노 오키테 야부랴일본어"라는 구절이 등장한다.

참조

[1] 서적 An Ainu-English-Japanese Dictionary https://archive.org/[...] Methodist Publishing House
[2] 서적 The Old Geographer: Matsuura Takeshiro The Fukuin Printing Co.
[3] 서적 The history and beliefs of the Ainu
[4] 웹사이트 Lake Akan Ainu Kotan https://www.akanainu[...]
[5] 웹사이트 コタンとは? 意味や使い方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6] 웹사이트 アイヌと自然デジタル図鑑 動物編 §334 シマフクロウ https://ainugo.nam.g[...]
[7] 서적 어느 아이누 이야기 : 징용조선인과 소수민족 사이에서 태어난 한 아이누의 일생 모시는사람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