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루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루코(汁粉)는 팥을 주재료로 하여 만든 일본의 전통적인 단맛의 음식이다. 팥을 으깨거나 팥알의 형태를 유지하는 등 조리 방법에 따라 종류가 나뉘며, 지역에 따라 젠자이(ぜんざい)와 혼용되기도 한다. 간토 지방에서는 국물이 있는 것을 시루코, 국물 없이 뻑뻑하게 졸인 것을 젠자이로 구분하며, 간사이 지방에서는 고시앙(こしあん)으로 만든 것을 시루코, 쓰부앙(つぶあん)으로 끓인 것을 젠자이로 구분한다. 팥 외에도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변형된 형태의 시루코가 존재하며, 설날 등 일본의 행사 음식으로도 널리 즐겨 먹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물 요리 - 에마 다치
에마 다치는 고추와 치즈를 주재료로 하는 부탄의 전통 요리로, 티베트 요리에서 유래하여 부탄에서 발전되었으며 다양한 종류가 있고 주로 붉은 쌀과 함께 제공되는 대표적인 음식이다. - 국물 요리 - 피티
피티는 양고기, 병아리콩, 감자 등을 넣어 끓인 전통 수프 요리이며,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등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즐겨 먹는다. - 팥 요리 - 팥죽
팥죽은 팥을 주재료로 하여 붉은색이 악귀를 물리친다는 믿음과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동지에 먹는 한국의 전통 음식이다. - 팥 요리 - 젠자이
젠자이는 일본 각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와 이름으로 불리는 대표적인 팥 요리로, 관동, 관서, 큐슈 등 지역에 따라 팥앙금의 종류나 즙의 유무에 따라 구별되며, 불교 용어 또는 신사 의식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오키나와에서는 빙수 형태로, 고치현에서는 도미를 넣은 형태로도 존재한다. - 일본 요리 - 복어
복어는 몸을 부풀려 방어하고 독을 지닌 물고기로, 섭취 시 신경 마비를 일으킬 수 있지만, 자격증을 갖춘 요리사가 조리하면 식용으로 사용되며, 한국, 일본 등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된다. - 일본 요리 - 우동
우동은 일본의 면 요리로, 굵고 쫄깃한 면발이 특징이며 따뜻한 국물이나 차가운 츠유에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어 일본 각지의 특색을 살린 여러 종류가 있고,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인기를 얻어 각 나라의 식문화에 맞게 변형되기도 한다.
| 시루코 - [음식]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종류 | 시루모노 |
| 국가 | 일본 |
| 다른 이름 | 오시루코 |
| 조리 정보 | |
| 주 재료 | 팥 |
| 부재료 | 떡, 설탕 |
| 비슷한 음식 | 젠자이, 팥죽, 훙더우탕 |
| 기타 | |
| 서빙 | 따뜻하게 또는 차갑게 |
| 관련 정보 | 차가운 날씨에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단팥 시루코 |
2. 종류
시루코는 팥 조리 방식과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팥 조리 방식에 따라서는 팥소를 만드는 방식에 따라, 지역에 따라서는 국물의 유무와 팥소의 종류에 따라 시루코와 젠자이를 구분하는 방식이 달라진다. 또한, 인스턴트 형태의 시루코도 존재한다.
2. 1. 팥 조리 방식에 따른 분류
팥을 완전히 으깨어 부드러운 팥소(고시앙)를 사용한 것을 "고젠시루코(御前汁粉)"라고 한다. 통팥(츠부앙)을 사용하여 팥알의 식감을 살린 것을 "이나카시루코(田舎汁粉)" 또는 "오구라시루코(小倉汁粉)"라고 한다.[3][4] 팥소와 통팥을 섞어 사용하기도 한다.[2]2. 2. 지역에 따른 분류
간토 지방에서는 국물이 있는 것을 "시루코", 국물 없이 뻑뻑하게 졸인 것을 "젠자이"라고 부른다. 간사이 지방에서는 팥소로 만든 것을 "시루코", 통팥으로 끓인 것을 "젠자이"라고 부른다.[2]돗토리현과 시마네현에서는 시루코가 설날 떡국(조니, 雑煮)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오키나와에서는 젠자이가 팥빙수와 유사한 형태로 제공되기도 한다.[2]
| colspan="2" | | 간토 지방(각모찌 사용) | 간사이 지방(마루모찌 사용) | |
|---|---|---|---|
| 국물 있음 | 츠부앙 | 시루코(이나카지루코 또는 오구라지루코) | 젠자이 |
| 고시앙 | 시루코(고젠지루코) | 시루코 | |
| 국물 없음 | 젠자이 | 가메야마 또는 킨토키 | |
규슈에서는 고시앙을 사용한 국물이 있는 것을 "시루코", 츠부앙으로 국물이 있는 것을 "젠자이"라고 부른다. 일부 지역에서는 떡이 들어간 것을 "시루코", 찹쌀경단이 들어간 것을 "젠자이"라고 하며, 그 반대인 경우도 있다고 한다. 홋카이도에서는 "시루코"와 "젠자이"를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는다.[7] 오키나와에서는 "시루코"를 "핫 젠자이"라고도 부르며, 고시앙·츠부앙으로 구분하지 않는다.[8]
2. 3. 기타 종류
- '''가이추시루코(懐中汁粉)''' – 모나카 껍질 속에 분말 팥소와 아라레를 넣은 일본 고유의 인스턴트식품이다. 뜨거운 물을 부어 녹여 먹는다.
- '''분말 시루코(粉末汁粉)''', '''컵 시루코(カップ汁粉)''', '''오시루코 캔(おしるこ缶)''' 등도 판매되고 있는데, 뜨거운 물을 부어 만들거나 캔에 들어 있어 그대로 마실 수 있다.
3. 변형
팥 시루코 외에도 흰 팥, 밤, 호박, 풋콩 등을 사용하여 만든 시루코도 있다. 지역에 따라 핫토(はっと), 보토(ぼうとう), 메밀죽, 호박, 고구마떡, 베로베로모치(べろべろもち), 귀우동(耳うどん) 등을 넣어 만들기도 한다.[9][10][11][12]
- 팥핫토우: 북관동에서 도호쿠 지방 남부에 전해지는 수이톤과 같은 음식인 "핫토"를 넣은 것이다.
- 팥보우토우: 야마나시현에서 떡 대신 보우토우를 넣은 것이다.
- 메밀죽 짓코: 나가노현 마쓰모토시 주변 지역에서 떡 대신 메밀죽을 넣은 것이다.[9]
- 호박 짓코: 아오모리현이나 홋카이도 도카치 지방에서 떡 대신 호박, 고구마떡(호박단고)을 넣은 것이다. 후쿠이현에서는 "동지호박"이라고 불리는 비슷한 음식이 있다.
- 아오모리현 시모키타 지방에서는 감자를 사용한 고구마떡을 짓코로 해서 먹는다.[10]
- 이와테현 구지 지방에서는 감자와 녹말로 만든 경단을 넣은 짓코가 구황식으로 먹혀왔다.[11]
- 야마가타현 쓰루오카시 온카이 지역에서는 찹쌀로 만드는 "베로베로모치"를 넣은 짓코를 먹는다.[12]
- 귀우동 오시루코: 도치기현 사노시의 정월 향토 음식인 "귀우동"을 응용한 것이다. 귀우동은 동시 가쓰시마치 센파 지방에 전해지는 요리로 밀가루를 반죽하여 만든다. 귀우동을 오시루코에 찍어 먹는다.[13]
도쿄도 다이토구 아사쿠사 주변에는 "삶은 팥"이라는, 시루코와 유사하지만 떡이 들어가지 않은 단 음료가 있다. 아이치현 아쓰미반도를 중심으로 히가시미카와 지역에서는 "조조키리(じょうじょっきり)" 또는 "이라코 짓코(いらこ汁粉)"라는, 우동 모양의 면을 넣은 시루코가 있다.[14] 고치현 등에서는 잔치 요리에 젠자이가 나오는데, 떡 대신 나루토마키, 어묵, 생선 등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4. 유사 음식
한국의 팥죽은 시루코와 유사한 음식이다. 쌀을 넣어 끓인 팥죽은 일본의 아즈키가유(小豆粥)와 비슷하다.[2]
중국이나 베트남에도 시루코와 비슷한 음식이 있으며, 밤, 연밥, 타피오카 등을 넣거나 검은깨, 코코넛밀크 등을 사용한 디저트가 있지만, 일본의 시루코와의 관련성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5. 역사
1635년 에도 시대에 쓰여진 『요리 이야기』에는 "'''스스리 단고'''"라는 음식이 기록되어 있다. 이것은 찹쌀과 멥쌀로 만든 경단을 팥가루 국물에 끓여 소금 간을 한 요리였다. 처음에는 단맛이 아닌 짠맛으로 안주로도 먹었다. 돗토리현과 시마네현 동부의 조니에 들어가는 즙도 원래는 짠맛이었다고 한다.
현재는 단맛이 더해져 카페나 단팥죽집 등에서 제공된다. 오사카의 "부부젠자이"(두 개의 작은 그릇에 담겨 제공되는 시라타마 단고)나 센다이의 즌다 즙처럼 지역색을 띤 시루코도 있다.
단팥죽집에서는 입가심을 위해 소금에 절인 다시마나 절임류처럼 짠맛이 강한 음식을 함께 내놓는 경우가 많다. 소금(염화나트륨)을 넣으면 소장에서 분해된 포도당과 나트륨이 공수송을 통해 포도당이 빠르게 흡수되도록 돕는다.[15]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는 1927년 5월에 "시루코"에 대해 언급하며, 도쿄의 "시루코"를 최고로 꼽았다. 구보타 만타로도 "단 음식 이야기"에서 시루코를 마시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했다.
6. 행사
설날의 대표적인 음식 중 하나이다. 시마네현과 돗토리현에서는 떡국으로 팥죽을 먹는 풍습이 있다. 가가와현 등 시코쿠 일부 지역에서는 떡국에 앙금이 들어간 떡을 사용한다. 가가미비라키(鏡開き) 행사나 소쇼가쓰(小正月)에도 팥죽이나 젠자이를 만들어 먹는다. 일본 교도소에서는 피해자의 기일에 수감자 식사에 팥죽이 포함된다.[1]
참조
[1]
웹사이트
shiruko Japanese
http://www.uwajimaya[...]
Uwajimaya
2007-11-13
[2]
웹사이트
Shiruko: Sweet Bean Soup to Warm You Up in Cold Weather
http://web-japan.org[...]
Nipponia No.28 on Web Japan
2004-03-15
[3]
웹사이트
ぜんざいとおしるこの違い
https://www.shokuiku[...]
[4]
뉴스
関西のぜんざい、関東ではおしるこ 呼び方なぜ違う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3-11-17
[5]
웹사이트
前原製粉
https://www.gishi.co[...]
2024-06-09
[6]
웹사이트
見た目や材料はそっくり 冬の甘味「おしるこ」「ぜんざい」は何が違う?
https://otonanswer.j[...]
2019-11-21
[7]
웹사이트
おしることぜんざいの違い、知っていますか?似ている2つには地域別の特徴もあった
https://prezo.jp/col[...]
2023-01-11
[8]
웹사이트
「おしるこ」と「ぜんざい」の違いとは?地域によっても変わる呼ばれ方
https://www.kyoto-se[...]
[9]
웹사이트
そばがき 【郷土料理ものがたり】
https://kyoudo-ryour[...]
[10]
웹사이트
いももちのじゅねあえ・おしるこ
https://www.umai-aom[...]
2023-03-20
[11]
웹사이트
じゃがいものお汁粉|岩手県
https://www.pref.iwa[...]
[12]
웹사이트
べろべろ餅【郷土料理ものがたり】
https://kyoudo-ryour[...]
[13]
뉴스
魔よけ 開運⁉︎新年は「耳うどんおしるこ」文教大生、郷土食をアレンジ 元日から8日まで佐野市で販売
https://www.tokyo-np[...]
[14]
웹사이트
じょじょきり 愛知県
https://www.maff.go.[...]
[15]
문서
シンポー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