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마다 모토타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마다 모토타로는 1870년 나가사키현에서 태어나 1945년경 평양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인물이다. 그는 시베리아에서 러시아어를 배우고 무역업에 종사했으며, 러시아 극동 사할린주에서 일본인 기업가로 활동했다. 시마다 상회를 운영하며 니콜라예프스크 사건과 관련되었으며, 일본군의 시베리아 출병을 지원하고 조선인 노동력을 착취했다. 그는 일본 해군 고위층의 지원을 받아 군 위안소를 운영하고, 조선인 여성들을 인신매매하여 일본군 위안부로 강제 동원하는 데 관여했다. 니항사건 순난자비 건립을 주도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나, 친일 행적으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세기 기업인 - 이데이 노부유키
이데이 노부유키는 소니 사장, CEO, 회장을 역임하며 기업 구조 개편과 콘텐츠 사업 확장을 추진하고 코퍼레이트 거버넌스 개혁을 시도했으며, 2022년 간부전으로 사망했다. - 20세기 기업인 - 크리스토퍼 로빈 밀른
작가 A. A. 밀른의 아들이자 동화 《곰돌이 푸》의 등장인물 크리스토퍼 로빈의 모티브가 된 크리스토퍼 로빈 밀른은 어린 시절 아버지의 작품으로 유명해졌으나, 사생활 침해와 정체성 문제로 복잡한 감정을 느꼈고, 성인이 되어 서점을 운영하며 회고록을 집필했다. - 1870년 출생 - 이와야 사자나미
이와야 사자나미는 메이지 시대에 아동 문학을 보급하고 일본 최초의 아동 문학 총서 간행, 전승 설화 리텔링, '옛날이야기 하이쿠 그림' 창조 등을 통해 일본 근대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아동 문학가, 소설가, 시인, 수필가이자 문예 평론가이다. - 1870년 출생 - 마르뜨 멜롯
마르뜨 멜롯은 1925년부터 1947년까지 <마티아스 파스칼의 죽음>, <보바리 부인>, <레 미제라블> 등 다양한 영화에 출연하며 192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활동한 배우이다. - 일본의 기업인 - 안토니오 이노키
안토니오 이노키는 일본 프로레슬링의 황금기를 이끈 프로레슬러이자 정치인, 격투기 프로모터로, 역도산의 제자로 프로레슬링에 입문하여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설립하고 무하마드 알리와의 격투기 이벤트, 스포츠 평화당 창당 및 참의원 당선 등의 활동을 펼치며 프로레슬링계에 큰 공헌을 남겼다. - 일본의 기업인 - 아소 다로
아소 다로는 기업인이자 정치인으로, 아소 시멘트 사장을 역임하고 1979년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어 여러 요직을 거쳐 제92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냈으며 현재 자유민주당 부총재 및 최고 고문이다.
시마다 모토타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이름 | 시마다 모토타로 |
출생일 | 1870년 8월 5일 |
출생지 | 일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 |
사망일 | 1945년 8월 15일 |
사망지 | 조선 평양 |
사망 원인 | 소련군 진주 후 소식 두절 |
거주지 | 평양 |
국적 | 일본 제국 |
분야 | 위안소 경영자 인신매매 가라유키상 상인 |
2. 생애
시마다 모토타로는 1870년 일본 나가사키현에서 태어나 1945년경 조선 평양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어려서 시베리아로 건너가 러시아어를 배우고 무역업에 종사했다. 러시아 극동 사할린주의 대표적인 일본인 기업가이자 무역회사 시마다 상회 소유주였으며, 니콜라예프스크(니항사건) 사건 관련 사진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인물이다. 성매매업(일명: 위안소 운영, 가라유키상)에 종사하며 조선인 노동자와 가라유키상을 활용하기도 했다.[1]
2. 1. 초기 생애와 러시아 진출
1870년 일본 나가사키현에서 출생했다. 어린 나이에 시베리아로 건너가 러시아어를 배우고 무역업에 종사하기 시작했다. 1886년 7월 21일경 아무르강 하류 니콜라예프스크나아무레(니항)로 이주했다. 이후 정교회로 개종하고 '표트르 니콜라예비치'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2. 2. 사업 확장과 가라유키상
러시아 극동 사할린주의 대표적인 일본인 기업가이자 무역 회사 시마다 상회 소유주였다.[1] 니콜라예프스크 사건(니항사건) 관련 사진에 맨 먼저 등장하는 인물이기도 하다.[1] 시마다 상회는 가라유키상이라 불리는 일본군 위안소를 운영하며 성매매업에도 관여했고, 조선인 노동자와 여성들을 활용하기도 했다.[1]2. 3. 석유 개발과 광산업 실패
1922년 일본군이 점령한 북위 50도 이북 북사할린섬에서 석유 개발업을 하였으나, 1925년 일본군의 북사할린섬 철수 후 조선 평안도 일대에서 광산업을 하였다.[6]조선 평안도에서의 광산업은 신통치 않았다.[6]

3. 일본의 시베리아 침략과 협력
러시아 적백내전 시기 시마다 모토타로는 일본군의 시베리아 침략에 적극적으로 협력했다. 그는 사할린주 주도 니콜라예프스크나아무레(니항) 일대의 일본인 거류민회 회장이자, 시베리아에 진출한 일본의 최고위급 밀정이었다.[1] 당시 시베리아와 몽골 일대에는 대략 4천여 명의 일본인 밀정이 활동하고 있었는데, 이는 일본 군대 내 정보원과 민간인 밀정을 모두 합한 숫자였다.
시마다는 니콜라예프스크 사건(니항사건) 이후 재산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니항사건 순난자비(尼港事件 殉難者碑) 건립과 니항사건 초혼제 행사를 주도하고, 생존자 보상 소송에 앞장서는 등 일본을 위한 활동을 이어갔다.[5]
3. 1. 밀정 활동
1886년 7월 21일경 아무르강 하류 니콜라예프스크나아무레(니항 = Nikolaevsk-on-Amur)시로 이주했다. 그리고 형식적으로 정교회 신앙으로 개종하고 정교회 이름과 애칭인 '표트르 니콜라예비치'를 사용했다.[1]러시아 적백내전 시기 일본군이 시베리아를 침략할 때 맹활약하였으며, 사할린주 주도 니콜라예프스크(니항) 일대의 일본인 거류민회 회장이었고, 시베리아에 진출한 일본의 최고위급 밀정이었다.[1]
1918년 일본의 시베리아와 사할린섬 침략 시기 시베리아와 몽골 일대의 일본인 밀정 수는 대략 4천여 명에 이르렀다고 하며, 이것은 일본 군대 내의 정보원과 일본인 민간인(상인) 밀정 등을 모두 합한 수로 볼 수 있다.
시마다는 일본 해군 고위층의 지원으로 동시베리아 사할린주 일대에서는 일본인 중에서 최대 규모의 무역회사와 시베리아에 출정한 일본군들을 위한 성매매업소(일명 :위안소)를 경영했다.[3]
러시아 적백내전 무렵 만주와 시베리아에서 맹활약한 배정자와 마찬가지로 일본군의 시베리아 출정을 위해 엄청난 맹활약을 하였으며, 조선인 노예 노동자를 적극 활용했던 사람 중 한 명이다.
3. 2. 일본군 지원
시마다는 일본 해군 고위층의 지원으로 동시베리아 사할린주 일대에서 일본인 중 최대 규모의 무역회사와 시베리아 주둔 일본군을 위한 위안소를 운영했다.[3]러시아 적백내전 당시 만주와 시베리아에서 활동했던 배정자처럼, 시마다는 일본군의 시베리아 출병을 적극적으로 지원했으며, 조선인 노예 노동자를 활용한 인물 중 한 명이다.
4. 조선인에 대한 착취
시마다 모토타로는 조선인 노동자와 여성들을 대상으로 가혹한 착취를 자행했다. 그는 일본군을 위해 성매매업소(일명 위안소)를 경영하며 조선인 기생들을 위안부로 활용했고[1], 조선인 노예 노동자를 시베리아 지역의 광산업, 석유개발업 등에 동원했다.[2]
4. 1. 강제 노동
시마다 모토타로는 일본군의 시베리아 출병을 위해 맹활약했으며, 조선인 노예 노동자를 적극 활용했던 사람 중 한 명이다. 배정자와 마찬가지로 일본군의 시베리아 출정을 위해 헌신했다.[3] 그는 조선인 노동자들을 시베리아 지역의 광산, 건설 현장 등에 강제로 동원하여 열악한 환경과 저임금으로 착취했다.4. 2. 인신매매와 성 착취
시마다 모토타로는 조선인 여성들을 인신매매하여 일본군 위안부로 강제 동원했다. 1924년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북화태로 팔려간 조선인 여성들이 이미 30여 명에 달했으며, 이들은 일본인 가라유키상 상인과 조선인 인신매매범들에 의해 '악마의 밥'이 되었다고 한다.[5] 여기서 언급된 북화태 아항은 오늘날 사할린 섬 북부의 알렉산드라프스크 항구를 가리키며, 일본군이 1918~1925년 시베리아 침략 시기에 무력으로 점령했던 곳이다. 이곳은 석탄 생산지와 어업 항구로 현재까지 알려져 있다.5. 친일 행적과 역사적 평가
시마다 모토타로는 러시아 적백내전 시기 일본군의 시베리아 침략에 맹활약하였으며, 사할린주 주도 니콜라예프스크(니항) 일대의 일본인 거류민회 회장이었고, 시베리아에 진출한 일본의 최고위급 밀정이었다.[1] 그는 가라유키상 상인이었고, 조선인 기생들을 위안부로 활용했다.[1]
일본 제국 성장기 인신매매 성매매업(일명 가라유키상), 광산업, 석유개발업 등으로 일본 경제 발전에 기여하였고, 천황에게서 여러 차례 훈장을 받았다.[2] 1918년 일본의 시베리아와 사할린섬 침략 시기 시베리아와 몽골 일대의 일본인 밀정 수는 대략 4천여 명에 이르렀다고 하며, 이는 일본 군대 내의 정보원과 일본인 민간인(상인) 밀정 등을 모두 합한 수로 추정된다.
시마다는 일본 해군 고위층의 지원으로 동시베리아 사할린주 일대에서 일본인 중 최대 규모의 무역회사와 시베리아에 출정한 일본군들을 위한 성매매업소(일명 위안소)를 경영했다.[3] 배정자와 마찬가지로 일본군의 시베리아 출정을 위해 맹활약하였으며, 조선인 노예 노동자를 적극 활용했던 인물 중 한 명이다.
그는 주로 일본, 사할린섬, 아무르강 하류의 사할린주, 연해주, 조선 평안도, 경남 진해, 니콜라예프스크-나-아무레시 등에서 상업에 종사하였으며, 1919년에는 니콜라예프스크-나-아무레에서 화폐로 활용된 돈까지 발행했다.[4]
1920년 초 발생한 니콜라예프스크 사건(니항사건)에서 재산을 잃었고, 니콜라예프스크와 일본 본토에 일본군 충혼탑, 니항사건 순난자비(尼港事件 殉難者碑) 건립과 일본, 조선, 시베리아에서 니항사건 초혼제 행사를 주도하였고, 니항사건 생환자들에 대한 보상 소송에도 앞장섰다.[5] 1922년 일본군이 점령한 북위 50도 이상 북사할린섬에서 석유 개발업도 하였으나, 1925년 일본군의 북사할린섬 철수 후 조선 평안도 일대에서 광산업을 하였다.
조선 평안도에서의 광산업은 신통치 않았고[6], 만주사변, 지나사변, 대동아전쟁 등 일본군의 잦은 전쟁으로 가라유키상 성매매업은 괜찮았다고 한다.
1945년 소련군이 평안도 평양에 들어올 무렵 소식이 끊어졌으며, 고령으로 인해 일본으로 귀국하지 못하고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5. 1. 일본 정부와의 유착
다나카 고타로, 사이토 마코토 등 일본 해군 고위 장성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3] 이들은 훗날 조선 총독, 일본 수상을 역임하는 등 일본 정계의 핵심 인물로 부상했다.5. 2. 부정적 평가
시마다 모토타로는 일본 역사학계에서 일본의 시베리아, 사할린, 연해주 진출과 한국의 가라유키상 성매매업소와 관련되어 자주 인용되며, 세계적으로 상당한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1] 그러나 그의 행적은 비윤리적이고 반인륜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그는 러시아 적백내전 시기 일본군의 시베리아 침략 때 맹활약하였으며, 가라유키상 상인으로서 조선인 기생들을 위안부로 활용하기도 했다.[1]참조
[1]
문서
시마다 모토타로 관련 문서
https://src-h.slav.h[...]
호카이도 대학교
[2]
서적
시마다의 일본제국 훈장 수여사진 및 회고록
https://www.amazon.c[...]
[3]
간행물
2022년 시마다 모토타로가 [[가라유키상]] 성매매업소를 시베리아, 사할린 일대에서 경영했음을 한국의 역사관련학회 공식도서 등에서 인정하고 도서로 출판하였고, 한국인 [[위안부]]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https://dl.nanet.go.[...]
[4]
웹사이트
시마다 모토타로가 발행한 화폐(혹은 상품권)
https://www.weblio.j[...]
[5]
웹사이트
시마다 모토타로가 주도한 니항사건 순난비
http://www.amakusata[...]
[6]
데이터베이스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조선총독부 관보 검색어 = 島田元太郎(시마다 모토타로)
한국사데이터베이스
[7]
웹사이트
일본 수상, 육군상, 황족 등의 일본제국 정치 경제의 거물들과 교류한 최고위급 밀정 [[시마다 모토타로]]
https://www.weblio.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