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경언어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경언어학은 뇌 손상으로 인한 언어 결함을 연구하는 실어증 연구에서 시작되어, 언어와 뇌의 관계를 탐구하는 학문이다. 19세기 폴 브로카와 카를 베르니케의 연구를 통해 뇌의 특정 영역이 언어 처리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20세기 후반 신경언어학이라는 용어가 정립되었다. 최근에는 뇌 영상 기술의 발달로 언어 처리 과정에서 뇌의 활성 패턴을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심리언어학과의 협력을 통해 언어 습득, 언어 장애, 뇌의 언어 처리 과정 등을 연구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뇌파, fMRI, TMS 등 다양한 기술이 활용되며, 빼기 패러다임, 미스매치 부전위, 위반 기반 연구, 프라이밍 등 실험 설계를 통해 언어의 신경 기전을 파악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경언어학 - 베르니케 영역
    베르니케 영역은 좌반구 상측두회에 위치한 뇌의 언어 중추로, 청각 및 시각 정보를 분석하여 언어 이해와 단어 의미 부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손상 시 베르니케 실어증을 유발할 수 있다.
  • 신경언어학 - 브로카 영역
    브로카 영역은 대뇌피질 전두엽의 하전두회에 위치하며 언어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언어 이해 및 행동 인식과 같은 다양한 인지 기능에도 관여하며, 손상 시 브로카 실어증을 유발할 수 있다.
신경언어학
개요
분야언어학, 신경과학
연구 대상언어의 신경학적 메커니즘
역사
주요 인물폴 브로카
카를 ቬርኒ케
노엄 촘스키
오르톤 링 스미스
테리 ਏ. 클랙
데이비드 포펠
알렉산더 루리야
연구 방법
신경 영상 기법뇌파 (EEG)
뇌자도 검사 (MEG)
기능 자기 공명 영상 (fMRI)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PET)
경두개 자기 자극법 (TMS)
환자 연구실어증 환자 연구
언어 발달 장애 환자 연구
언어 처리 과정
언어 이해음성 인식
어휘 접근
구문 분석
의미 해석
언어 생성개념 형성
어휘 선택
구문 구성
조음
뇌 영역과 언어 기능
브로카 영역언어 생성, 문법 처리
베르니케 영역언어 이해
궁상 섬유 다발브로카 영역과 베르니케 영역 연결
각회읽기와 쓰기
관련 학문 분야
인지과학언어와 인지 간의 관계 연구
심리언어학언어의 심리적 과정 연구
전산언어학컴퓨터를 이용한 언어 처리 연구

2. 역사

브로카 영역베르니케 영역


신경언어학은 19세기 실어증학(뇌 손상으로 인한 언어 장애 연구)에서 비롯되었다.[3] 폴 브로카는 언어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부검하여 대부분 왼쪽 전두엽브로카 영역에 뇌 손상이 있음을 발견했다.[3] 골상학자들이 뇌의 각 영역이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고 주장했지만, 브로카의 연구는 이러한 주장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처음으로 제시한 것으로 평가받는다.[5][6] 이후 카를 베르니케는 뇌의 다른 영역(베르니케 영역)이 청각 언어 이해를 담당한다고 제안했다.[3][2] 브로카와 베르니케의 연구는 실어증학 분야를 확립하고, 뇌의 물리적 특성을 통해 언어를 연구할 수 있다는 개념을 제시했다.[6] 20세기 초 코르비니안 브로드만은 뇌 영역을 세포 구조 및 기능에 따라 구분한 브로드만 영역을 제시하여 신경언어학 연구의 기반을 마련했다.[7]

1940년대 후반 에디스 크로웰 트레이거, 앙리 에카엔, 알렉산드르 루리아 등에 의해 '신경언어학'이라는 용어가 만들어졌다. 1974년 해리 휘태커는 "뇌와 언어" 저널을 창간하며 1970년대 미국에서 신경언어학을 대중화했다.[9]

1980년대 N400 (신경과학)의 발견과 함께 뇌파(EEG) 및 뇌자도(MEG)와 같은 전기생리학적 기술이 언어 연구에 도입되었다.[11][12] 최근에는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술(PET), fMRI 등 뇌 영상 기술의 발전으로 언어 처리와 관련된 뇌 영역 및 활성화 패턴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고 있다.[3][10][28]

2. 1. 한국 신경언어학의 역사

박명관 (동국대학교 영어영문학부) 교수 등 초기 연구자들은 주로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한국어 처리의 특성을 밝히는 데 기여했다.[1] 1990년대부터 한국에서 본격적인 신경언어학 연구가 시작되었다. 2000년대 이후 뇌 영상 기술이 도입되면서, 한국어와 관련된 뇌 활성화 패턴, 한국어 습득 과정, 한국어 특이적 언어 장애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한국어의 조사, 어미 등 교착어적 특성과 관련된 뇌 활성화 연구는 국제적으로도 주목받고 있다.[1]

3. 연구 분야

신경언어학은 역사적으로 실어증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뇌 손상으로 인한 언어 장애를 연구하는 학문인 실어증 연구를 통해 뇌와 언어 기능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15]

최근 뇌 기능 영상 기법(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술(PET), fMRI 등)의 발달로 언어 처리 시 뇌 활동을 높은 공간 해상도로 관찰할 수 있게 되면서, 신경언어학 연구 분야는 크게 확장되었다. 이러한 뇌 영상 기법은 실어증학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며, 언어 기능의 해부학적 기반을 밝히는 데 기여하고 있다.[3]

그러나 PET나 fMRI는 시간 해상도가 낮아, 언어 이해와 생성의 빠른 과정을 연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뇌파(EEG)나 뇌자도(MEG)와 같은 전기 생리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밀리초 단위로 뇌 신호를 측정한다. 다만, 뇌 메커니즘이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아 뇌파나 뇌자도는 주로 언어의 인지적, 계산적 구조 이론 검증에 활용된다. N400 효과는 신경언어학의 주요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3]

신경언어학은 심리언어학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반응 시간, 정답률, 안구 운동 등의 지표를 통해 언어의 인지 메커니즘을 연구한다.

또한, 계산론적 모델링은 언어의 신경 기전에 대한 가설 검증 및 새로운 예측 도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뇌 기능 이미징 연구자나 심리학자와의 협력을 통해 말더듬이나 난독증 같은 언어 장애를 포함, 언어 본질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15]

3. 1. 언어학 하위 분야와의 관계

신경언어학은 언어학의 모든 주요 분야와 관련이 있다. 주요 언어학 하위 분야와 신경언어학의 관련성은 아래 표와 같다.

하위 분야설명신경언어학 연구 질문
음성학음성 연구뇌가 음향 신호에서 음성을 어떻게 추출하는지, 뇌가 배경 소음에서 음성을 어떻게 분리하는지를 연구한다.
음운론언어에서 소리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연구특정 언어의 음운 체계가 뇌에서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연구한다.
형태론 및 어휘론단어가 어떻게 구성되고 정신적 어휘 목록에 저장되는지 연구뇌가 사람이 아는 단어를 어떻게 저장하고 접근하는지를 연구한다.
통사론여러 단어로 구성된 발화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연구뇌가 단어를 구성 요소와 문장으로 결합하는 방법, 문장을 이해하는 데 구조적 및 의미적 정보가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연구한다.
의미론언어에서 의미가 어떻게 부호화되는지 연구

[15][17]

3. 2. 주요 연구 주제

신경언어학의 주요 연구 주제는 다음과 같다:

  • 언어 처리의 위치: 뇌의 특정 영역이 언어 정보 처리에 관여하는 방식을 연구한다. 예를 들어, 브로카 영역베르니케 영역은 각각 언어 생성과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3]
  • 언어 처리의 시간 경과: 언어 처리 과정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진행되는지 연구한다. ELAN, N400, P600과 같은 뇌 반응을 통해 문장 처리의 여러 단계를 분석할 수 있다.[30]
  • 언어 습득: 뇌 구조가 제1언어 습득 및 제2언어 습득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연구한다. 특히, 언어 발달 단계와 뇌 발달 단계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성인이 새로운 언어를 배울 때 뇌에서 일어나는 신경 가소성 변화를 연구한다.[24]
  • 언어 병리학: 실어증, 난독증과 같은 언어 장애와 관련된 뇌의 특성을 연구한다. 뇌 손상이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언어 장애의 원인을 규명하고 치료 방법을 모색한다.[9]

4. 연구 방법

신경언어학 연구는 뇌 기능 영상 기술과 전기생리학적 기술을 활용하여 언어 처리 과정을 관찰하고 분석한다.


  • 뇌 기능 영상 기술: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술(PET)과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fMRI)은 뇌의 특정 영역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혈액이 보내지는 현상을 이용하여 뇌 활동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한다.[3] 이러한 기술들은 특정 언어 작업을 수행하는 뇌 영역뿐만 아니라, 언어 노출에 따라 뇌의 언어 구조와 관련 활성화 분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도 보여준다.[19][30][31][24]
  • 전기생리학적 기술: 뇌파검사법(EEG)과 뇌자도(MEG)는 뇌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여 시간적 해상도가 높은 데이터를 제공한다.[3] 사건 관련 전위(ERP) 연구에 사용되며, N400 (신경과학)과 같은 특정 뇌 반응을 분석하여 언어 처리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13]


경두개 자기 자극술(TMS)은 뇌의 특정 영역을 일시적으로 억제하거나 활성화시켜 언어 기능과의 인과 관계를 연구하는 비침습적 방법이다.[56]

신경언어학자들은 이러한 기술 외에도 빼기 패러다임, 불일치 패러다임, 위반 기반 연구, 점화 패러다임 등 다양한 실험 설계 기법을 사용하여 언어 처리 과정을 연구한다.[39]

4. 1. 뇌 기능 영상 기술

PET과 fMRI는 뇌의 특정 영역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혈액이 보내지는 현상(혈액 산소 레벨 의존성, 또는 BOLD 반응)을 이용한다.[27] 이러한 기술은 높은 ''공간 해상도''를 제공하여 뇌 내 활동 위치를 정확히 찾아낼 수 있게 해주지만,[3] ''시간 해상도''(뇌 활동 타이밍에 대한 정보)는 좋지 않다.[28][29] PET 및 fMRI는 특정 언어 과제 또는 계산을 수행하는 뇌 영역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19][30] 언어적 노출에 따라 뇌의 언어 구조와 언어 관련 활성화 분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도 보여준다.[31][24]

PET 이미지


DTI는 서로 다른 뇌 영역을 연결하는 신경 경로를 보여주어 영역 간 상호작용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fNIRS는 언어 작업에 사용되는 또 다른 혈역학적 방법이다.[33]

4. 2. 전기생리학적 기술

뇌파검사법(EEG)은 두피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 뇌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시간 해상도가 매우 높지만, 공간 해상도는 낮다는 특징이 있다.[3]

뇌자도(MEG)는 뇌의 전기적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측정한다. 뇌파도와 마찬가지로 시간 해상도가 높지만, 공간 해상도는 낮은 편이다.[3]

피질전기자극술(ECoG)은 뇌 표면에 전극을 직접 삽입하여 뇌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는 침습적인 방법이지만, 높은 시공간 해상도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34]

이러한 전기생리학적 기술들은 1980년 언어 이해에서 의미론적 문제에 민감한 뇌 반응인 N400 (신경과학)이 발견되면서 언어 연구에 유용한 방법으로 부상했다.[11][12] N400은 언어 관련 첫 사건 관련 전위로 확인되었으며, 이후 뇌파도와 뇌자도는 언어 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13]

뇌파도 및 뇌자도를 사용한 연구는 특정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뇌 반응인 사건 관련 전위(ERP)에 초점을 맞춘다.[29] ERP 연구는 각 ERP의 잠복기(자극 후 ERP 시작 또는 정점 도달 시간), 진폭(피크의 높낮이), 지형(두피에서 ERP 반응이 감지되는 위치) 등을 분석한다.[36]

일반적이고 중요한 ERP 구성 요소로는 N400(약 400밀리초 잠복기의 음성),[29] 오류 불일치 음성,[40] 초기 좌전두 음성(초기 잠복기와 전두-좌측 지형에서 발생하는 음성),[48] P600,[13][37] 측면 준비 전위 등이 있다.[38]

뇌파는 뇌파도를 사용하여 기록된다.

4. 3. 기타 연구 방법

TMS은 뇌 외부에 자기장을 가하여 특정 뇌 영역의 활동을 일시적으로 억제하거나 활성화시켜 언어 기능과의 인과 관계를 연구하는 비침습적 방법이다.[56] 이는 연구자가 뇌의 특정 부분을 검사할 수 있게 해주어 직접 피질 자극의 대안으로 사용된다.[57]

계산론적 모델링은 언어의 신경 기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고 새로운 예측을 도출하는 데 사용된다. 많은 연구자가 뇌 기능 이미징 연구자나 심리학자와 협력하여 학제간 연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말더듬이나 난독증과 같은 언어 장애에 대한 새로운 지견을 얻고 있다.[3]

4. 4. 실험 설계 기법

신경언어학자들은 뇌 영상을 사용하여 언어가 뇌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처리되는지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 기술을 사용한다. 이러한 기술에는 ''빼기'' 패러다임, ''미스매치 설계'', ''위반 기반'' 연구, 다양한 형태의 ''프라이밍''이 포함된다.[39]

  • 빼기 패러다임 (Subtraction Paradigm): 많은 언어 연구, 특히 fMRI 연구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다.[39] 언어 처리의 특정 측면을 포함하는 과제에서의 뇌 활성화를, 언어적 과정은 포함하지 않지만 유사한 비언어적 과정을 포함하는 기준 과제에서의 활성화와 비교한다. 예를 들어, 단어 읽기 활성화와 무작위 문자열 읽기 활성화를 비교하여 어휘 처리 관련 활성화를 분리하거나, 복잡한 문장 읽기와 간단한 문장 읽기를 비교할 수 있다.

  • 불일치 패러다임 (Mismatch Paradigm): MMN은 신경언어학 실험에서 자주 사용되는 ERP 구성 요소이다.[40][41] 피험자가 반복되는 자극 중 드물게 나타나는 다른 자극을 들을 때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 생리적 반응이다(예: ''s s s s s s s d d s s s s s s d s s s s s d'' 시퀀스).[42][43] MMN은 드문 "이상" 자극에 대해서만 유발되므로, 화자가 소리를 어떻게 인식하고 범주적으로 자극을 구성하는지 테스트하는 데 사용된다.[44][45] 콜린 필립스 등의 연구에서는 MMN을 사용하여 인간의 뇌가 추상적인 음소 표현을 가지고 있음을 보였다.[42] 또한, 미스매치 부전위는 구문 처리 및 어휘 범주 인식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었다.[40][41][46]

  • 위반 기반 연구 (Violation-based Study): 실험 자극에서 구문 또는 의미 규칙의 이상 또는 "위반"을 활용하고, 피험자가 이러한 위반을 접할 때 유발되는 뇌 반응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the garden was on the worked"[47]와 같은 문장은 ELAN 뇌 반응을 유발한다.[48] 1980년부터 사용된 기법으로,[48] Kutas와 Hillyard는 의미론적 위반이 N400 효과를 유발한다는 ERP 증거를 보고했다.[49] Lee Osterhout는 1992년에 구문적 이상에 대한 P600 반응을 처음 보고했다.[50] Embick 등은 fMRI를 사용하여 뇌에서 구문 처리 위치를 조사하기 위해 문법 및 철자 위반을 사용했다.[19] 교차 위반 연구는 구문 및 의미 프로세스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조사하는 데 사용된다.[51][52]

  • 점화 패러다임 (Priming Paradigm): 심리언어학 및 신경언어학에서 ''프라이밍''은 대상이 의미적으로 유사하거나[62] 형태론적 구성을 가진 단어를 최근에 접했을 경우 단어를 더 빨리 인식할 수 있는 현상을 말한다.[63] 예를 들어 ''의사''를 제시한 후 ''간호사''를 제시했을 때, 대상이 ''간호사''에 대해 평소보다 빠른 반응 시간을 보인다면, 뇌 속에서 단어 ''간호사''가 단어 ''의사''가 접근되었을 때 이미 접근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64] 프라이밍은 단어가 뇌에 저장되고 검색되는 방식[63][53]과 구조적으로 복잡한 문장이 처리되는 방식에 대한 질문을 조사하는 데 사용된다.[54]

5. 심리언어학과의 관계

신경언어학은 심리언어학 분야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심리언어학은 실험 심리학의 전통적인 기법(예: 반응 시간, 정답률, 안구 운동)을 활용하여 언어의 인지 메커니즘을 연구한다. 오늘날 심리언어학적 이론과 신경언어학적 이론은 종종 서로에게 정보를 제공하며, 두 분야 간의 협력을 통해 언어와 뇌의 관계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다.[12][14]

신경언어학의 많은 연구는 심리언어학자 및 이론 언어학자들이 제시한 이론을 검증하고 평가한다. 일반적으로 이론 언어학자들은 언어의 구조와 언어 정보의 구성 방식을 설명하는 모델을 제안하고, 심리언어학자들은 언어 정보가 마음속에서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설명하는 모델과 알고리즘을 제안하며, 신경언어학자들은 뇌 활동을 분석하여 생물학적 구조(신경 세포의 집단 및 네트워크)가 해당 심리언어학적 처리 알고리즘을 어떻게 수행하는지 추론한다.[15]

예를 들어, 문장 처리에 대한 실험에서는 ELAN, N400, P600 뇌 반응을 사용하여 자넷 포더와 린 프레이저의 "직렬" 모델[16], Theo Vosse와 Gerard Kempen의 "통합 모델"과 같은 심리언어학자들이 제시한 문장 처리 모델의 다양한 예측이 생리적 뇌 반응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조사했다.[14] 신경언어학자들은 또한 뇌의 생리에 대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신경학적 구조에 대한 지식에서 언어 구조로 일반화"하여 언어의 구조와 구성 방식에 대한 새로운 예측을 할 수 있다.[17]

신경언어학 연구는 언어학의 모든 주요 분야에서 수행된다. 주요 언어학 하위 분야와 신경언어학이 이들을 어떻게 다루는지는 아래 표에 제시되어 있다.

하위 분야설명신경언어학 연구 질문
음성학음성 연구뇌가 음향 신호에서 음성을 추출하는 방법, 뇌가 배경 소음에서 음성을 분리하는 방법
음운론언어에서 소리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연구특정 언어의 음운 체계가 뇌에서 어떻게 표현되는지
형태론 및 어휘론단어가 어떻게 구성되고 정신적 어휘 목록에 저장되는지 연구뇌가 사람이 아는 단어를 저장하고 접근하는 방법
통사론여러 단어로 구성된 발화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연구뇌가 단어를 구성 요소와 문장으로 결합하는 방법; 문장을 이해하는 데 구조적 및 의미적 정보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의미론언어에서 의미가 어떻게 인코딩되는지 연구


참조

[1] 논문 Three- and four-dimensional mapping of speech and language in patients with epilepsy
[2] 웹사이트 Neurolinguistics http://www.tlumaczen[...] 2007-08-12
[3] 백과사전 Language and the brain http://mind.c.u-toky[...] McGraw-Hill Publishers
[4] 웹사이트 Pierre Paul Broca http://www.whonamedi[...]
[5] 논문 Paul Broca's historic cases: high resolution MR imaging of the brains of Leborgne and Lelong
[6] 웹사이트 Pierre-Paul Broca http://www.muskingum[...] Muskingum College 2000-05-00
[7] 웹사이트 CMSD 620 Neuroanatomy of Speech, Swallowing and Language http://www.csuchico.[...] California State University, Chico
[8] 서적 Brodmann's https://www.springer[...]
[9] 논문 What is neurolinguistics?
[10] 서적 The cognitive neuroscience of language https://books.google[...] Brown & Hagoort
[11] 논문 How the brain solves the binding problem for language: a neurocomputational model of syntactic processing
[12] 서적 An Introduction to Language and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13] 서적 The neurocognition of syntactic processing Brown & Hagoort
[14] 논문 How the brain solves the binding problem for language: a neurocomputational model of syntactic processing
[15] 웹사이트 What is neurolinguistics? http://www.psych.nyu[...]
[16] 논문 Towards a neural basis of auditory sentence processing
[17] 서적
[18] 논문 Opinion: The cortical organization of speech processing
[19] 논문 A syntactic specialization for Broca's area
[20] 서적 The cognitive neuroscience of language Brown & Hagoort
[21] 웹사이트 The Bilingual Brain http://www.sfn.org/i[...] Society for Neuroscience 2008-02-00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Language Experience in Second Language Speech Learning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5] 논문 Neuroplasticity as a function of second language learning: Anatomical changes in the human brain
[26] 웹사이트 Neurolinguistics http://www.lsadc.org[...]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27] 서적 The Student's Guide to Cognitive Neuroscience Psychology Press
[28] 서적
[29] 논문 Electrophysiology reveals memory use in language comprehension
[30] 논문 Towards a neural basis of auditory sentence processing
[31] 논문 fMRI evidence for cortical modification during learning of Mandarin lexical tone https://kuscholarwor[...]
[32] 특허 Images, apparatus, algorithms and methods UK Patent Office
[33] 논문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Looking at the brain and language mystery from a different angle
[34] 논문 Tracking the time course of word recognition with MEG
[35] 논문 Neural localization of semantic context effects in electromagnetic and hemodynamic studies
[36] 서적 Electrophysiology of Mind https://archive.org/[...] Oxford Scholarship Online Monographs
[37] 학술지 Repair, revision, and complexity in syntactic analysis: an electrophysiological differentiation
[38] 학술지 Brain activity during speaking: from syntax to phonology in 40 milliseconds
[39] 서적 Investigating language with functional neuroimaging Academic Press
[40] 학술지 Syntax as a reflex: neurophysiological evidence for the early automaticity of syntactic processing
[41] 학술지 Automatic processing of grammar in the human brain as revealed by the mismatch negativity
[42] 학술지 Auditory cortex accesses phonological category: an MEG mismatch study
[43] 학술지 Distributed neuronal networks for encoding category-specific semantic information: the mismatch negativity to action words
[44] 학술지 Language-specific phoneme representations revealed by electric and magnetic brain responses
[45] 학술지 The influence of meaning on the perception of speech sounds
[46] 학술지 Setting the stage for automatic syntax processing: the mismatch negativity as an indicator of syntactic priming
[47] 문서 Example from Frisch et al.
[48] 학술지 Word category and verb–argument structure information in the dynamics of parsing
[49] 학술지 Reading senseless sentences: brain potentials reflect semantic incongruity
[50] 학술지 Event-related Potentials Elicited by Grammatical Anomalies
[51] 학술지 Semantics prevalence over syntax during sentence processing: a brain potential study of noun–adjective agreement in Spanish
[52] 학술지 Word category and verb–argument structure information in the dynamics of parsing
[53] 학술지 Morphology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words
[54] 학술지 An on-line analysis of syntactic processing in Broca's and Wernicke's aphasia
[55] 웹사이트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 Risks http://www.mayoclini[...] Mayo Clinic 2008-12-15
[56] 웹사이트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MS) http://www.nami.org/[...] National Alliance on Mental Illness 2008-12-15
[57] 학술지 Neurons in human epileptic cortex. Response to direct cortical stimulation
[58] 학술지 On Broca, brain, and binding: a new framework
[59] 학술지 Grammar or serial order?: discrete combinatorial brain mechanicsms reflected by the syntactic mismatch negativity
[59] 학술지 Automatic processing of grammar in the human brain as revealed by the mismatch negativity
[60] 학술지 A comparison of lexical and sentence-level context effects in event-related potentials
[61] 학술지 Differential task effects on semantic and syntactic processes as revealed by ERPs
[62] 웹사이트 Experiment Description: Lexical Decision and Semantic Priming http://psych.athabas[...] Athatbasca University 2008-12-14
[63] 학술지 Processing of compound words: an MEG study
[64] 학술지 Lexical integration: sequential effects of syntactic and semantic information
[65] 학술지 Semantic and syntactic processing in Chinese sentence comprehension: evidence from event-related potentials
[66] 학술지 Word category and verb–argument structure information in the dynamics of parsing
[67] 학술지 On the brain response to syntactic anomalies: manipulations of word position and word class reveal individual differences
[68] 학술지 Interplay between syntax and semantics during sentence comprehension: ERP effects of combining syntactic and semantic violations
[69] 서적 Methods for assessing children's syntax MIT Press 2008-12-14
[70] 웹사이트 If Everybody Knows, then Every Child Know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Maryland at College Park 2008-12-14
[71] 논문 Broca's Area, Sentence Comprehension, and Working Memory: An fMRI Study
[72] 웹인용 Language and the brain http://mind.c.u-toky[...] Year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McGraw-Hill Publishers. pp. 166–169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