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휘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휘론은 낱말, 표현, 그리고 단어의 의미와 관련된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어휘론은 어휘 의미론, 어원학, 관용구, 사전 편찬, 계량 어휘론 등 다양한 하위 분야를 포함하며, 단어의 의미 변화, 기원, 사용법 등을 연구한다. 통시적 어휘론과 공시적 어휘론, 비교 어휘론과 대조 어휘론과 같은 접근 방식을 통해 언어 현상을 분석한다.

2. 용어

어휘론의 영어 낱말 lexicology는 1820년대에 처음 등장하였으나 이 용어가 창안되기 앞서 lexicologist라는 용어가 이미 존재했다. lexicology는 낱말[14]을 뜻하는 그리스어 낱말 λεξικόν (렉시코스), 말[15][16]을 뜻하는 λεξικόν(렉시스), 연구[17]를 뜻하는 -λογία(로지아)가 합쳐져서 생겨났다.

3. 어휘 의미론

어휘 의미론은 의미론의 하위 분야로, 동의어, 반의어, 하위어, 다의어 등 여러 관점을 통해 단어와 그 의미의 중요성을 고찰한다. 어휘 자료의 의미론적 분석은 단어의 문맥화와 구문 모호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의미론과 명명론은 어휘 의미론과 관련된 언어학적 분야이다.[9]

단어는 문법적 의미와 어휘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문법적 의미'''는 문법 시제나 복수와 같이 언어에서 단어의 기능을 나타내며, 접사를 통해 추론할 수 있다. '''어휘적 의미'''는 단어가 기본 단어로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동사 "to walk"는 "walks", "walked", "walking"이 될 수 있는데, 이들은 서로 다른 문법적 의미를 가지지만, "규칙적인 속도로 발을 움직이는 것"이라는 동일한 어휘적 의미를 갖는다.[11]

3. 1. 한국어의 어휘 의미론

한국어는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의 비중에 따라 단어의 의미와 뉘앙스가 달라지는 특징이 있다. 특히 한자어는 추상적인 개념이나 전문 용어에 많이 사용되며, 외래어는 새로운 문물이나 개념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1] 최근에는 인터넷 신조어나 줄임말 등 새로운 어휘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어휘 의미론 연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1]

4. 어원학

어원학은 어휘론의 한 분야이다. 어휘론이 단어의 의미와 의미 관계를 연구하기 때문에, 단어의 역사와 발전을 탐구하는 경우가 많다. 어원학자들은 비교 언어학을 사용하여 관련 언어를 분석한다. 비교 언어학은 언어학자들이 동족어 자료를 비교하여 현대 언어의 조상 음운론적, 형태론적, 구문론적 구성 요소를 복원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7] 이는 인도유럽어족의 여러 갈래에서 파생된 많은 어근들이 인도유럽조어의 단일 단어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영어는 고유어보다 차용어를 어휘에 더 많이 포함하고 있다.[8]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파쿠르', 일본어에서 유래된 '가라오케', 포르투갈어에서 유래된 '코코넛', 힌디어에서 유래된 '망고' 등이 있다. '피아노', '솔로', '오페라'와 같은 많은 음악 용어는 이탈리아어에서 차용되었다. 이러한 단어들은 차용된 언어학적 요소, 즉 음소, 형태소, 의미론에 따라 더 분류될 수 있다.[7]

5. 관용구 (어구론)

어휘론은 '개와 고양이가 비처럼 쏟아진다'와 같은 여러 단어 표현 또는 관용구를 연구한다. 전체 구문의 의미는 각 단어가 개별적으로 갖는 의미와 다르며, 구성 요소를 개별적으로 고려할 때 종종 예측할 수 없다. 관용구는 이러한 의미가 어떻게, 왜 존재하는지 조사하고 이러한 단어 조합을 지배하는 법칙을 분석한다.[12]

관용구 및 기타 관용구적 단위는 내용 및/또는 의미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단어 대 단어로 번역하기 어렵다.[13]

6. 사전 편찬

어휘론의 친숙한 예로 사전시소러스를 들 수 있다. 사전은 실제로 사전을 편찬한(lexicographical) 일을 나타내는 책이나 컴퓨터 프로그램이며 공적인 이용을 목적으로 개방되어 있다.

사전 편찬학은 사전의 설계, 편찬, 사용에 관한 학문 및 실천이다. 사전 편찬학은 텍스트 말뭉치 분석, 어휘 항목 선택, 정의의 구성, 발음, 어원, 예시 문장, 번역 및 어휘 항목의 배열을 포함하는 사전 제작의 모든 측면과 관련이 있다.

7. 계량 어휘론

어휘론 중에서, 말을 양의 관점에서 파악함으로써 새로운 언어 사실을 밝히려는 통계적인 사상에 기초한 부분이 있으며, 이 분야를 계산 어휘론영어이라고 한다.[1]

8. 접근 방법

어휘론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다.


  • '''통시적(역사적) 어휘론'''은 단어의 진화와 단어 형성을 연구한다. 이는 단어의 기원과 그 구조, 의미, 사용법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조사한다.[9]
  • '''공시적(기술적) 어휘론'''은 특정 시간 틀 내에서 언어의 단어를 연구한다. 이는 언어의 초기 발전 단계, 현재 상태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기간이 될 수 있다.[10]


이러한 상호 보완적인 관점은 스위스 언어학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에 의해 제안되었다.[10] 어휘론은 비교 및 대조 방법론을 모두 가질 수 있다. '''비교 어휘론'''은 둘 이상의 언어에서 공유되는 유사한 특징을 찾는다. '''대조 어휘론'''은 관련 및 관련 없는 언어를 구별하는 언어학적 특성을 식별한다.[9]

9. 관련 학자


  • 다마소 알론소 (1898년 10월 22일 – 1990년 1월 25일): 스페인 시인, 문학 평론가, 언어학자
  • 롤랑 바르트 (1915년 11월 12일 – 1980년 3월 25일): 프랑스 작가, 평론가, 기호학자
  • 길라드 주커만 (1971년 6월 1일 출생): 이스라엘 언어학자이자 언어 부활 운동가

10. 관련 단체

참조

[1] 서적 Lexicology : a current guide = Lexicologia angliskogo yazyka https://www.worldcat[...] Flinta
[2] 서적 English lexicology and lexicography : theory and practice Al-Farabi Kazakh National University
[3] 서적 Lexicology : a current guide = Lexicologia angliskogo yazyka https://www.worldcat[...] Flinta
[4]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5]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6]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7] 서적 The Handbook of Historical Linguistics Blackwell Publishing Ltd 2003
[8] 서적 Lexicology : a current guide = Lexicologia angliskogo yazyka https://www.worldcat[...] Flinta
[9] 서적 A paradigm of comparative lexicology https://www.worldcat[...]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9
[10] 서적 Lexicology : a short introduction https://www.worldcat[...] Continuum 2007
[11] 서적 English lexicology and lexicography : theory and practice Al-Farabi Kazakh National University
[12] 서적 Lexicology : a short introduction https://www.worldcat[...] Continuum 2007
[13] 서적 English lexicology and lexicography : theory and practice Al-Farabi Kazakh National University
[14]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www.perseus.t[...]
[15]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www.perseus.t[...]
[16] 웹사이트 An Intermediate Greek–English Lexicon http://www.perseus.t[...]
[17]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www.perseu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