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의미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미론은 '시맨틱스'를 번역한 용어로, 언어의 의미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기호와 대상, 기호와 다른 기호 간의 관계를 탐구하며, 어휘 의미론, 형식 의미론, 인지 의미론 등 다양한 하위 분야를 포함한다. 또한 통사론과 연계하여 문장의 의미를 분석하고, 언어의 의미 변화와 인지 과정 간의 관계를 연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미론 (논리학) - 번역
    번역은 출발어 텍스트를 목표어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직역과 의역 등의 방식을 통해 완역 또는 축약역으로 나뉘며, 기계 번역과 인간 번역의 차이, 그리고 문화와 사상의 교류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의미론 (논리학) - 언어철학
    언어철학은 언어의 본질, 의미, 사용과 언어, 사고, 세계의 관계를 탐구하는 철학 분야로, 고대 그리스부터 발전하여 20세기 초 철학의 중심 과제가 되었으며, 분석철학과 대륙 철학으로 나뉘어 지시 이론, 의미 이론, 언어와 사고의 관계, 의사소통 등을 연구하며 보편자와 구성 문제, 형식적 접근과 비형식적 접근, 번역과 해석의 어려움, 언어의 모호성 등의 쟁점을 다룬다.
  • 의미론 (언어학) - 단어 의미 중의성 해소
    단어 의미 중의성 해소(WSD)는 문맥 내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는 계산 언어학 과제로, 다양한 접근 방식과 외부 지식 소스를 활용하여 연구되고 있으며, 다국어 및 교차 언어 WSD 등으로 발전하며 국제 경연 대회를 통해 평가된다.
  • 의미론 (언어학) - 의미 (철학)
    의미(철학)는 단어, 기호, 아이디어 등의 의미를 다루는 철학의 한 분야이며, 진리, 정합성, 구성주의, 합의, 실용주의 등의 이론을 통해 의미를 설명하고, 20세기 분석철학에서는 언어 사용과 발화 행위, 대화의 협력 원리 등을 통해 의미를 탐구한다.
  • 의미론 - 자연종
    자연종은 과학철학에서 존 듀이, 콰인, 퍼트넘 등 여러 철학자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한 개념으로, 듀이는 자연을 과정으로, 콰인은 귀납 추론의 타당성을, 퍼트넘은 핵심 사실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콘블리스, 장하석과 윈터는 자연종에 대한 인식론적 관점을 비판하고 과학적 탐구 활동과의 연관성을 제시하는 등 한국 사회에서도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논쟁적인 개념이다.
  • 의미론 - 부정 (언어학)
    부정(否定)은 언어학에서 개념을 반박하거나 의미를 반전시키는 언어적 메커니즘을 총칭하며, 어휘 항목이 다른 항목의 의미를 부정하거나 반전시키는 형태통사론적 연산, 부정적인 진술이나 구성 요소의 특징, 그리고 부정적인 발화를 의미한다.
의미론

2. 용어와 개념

'의미론'이라는 용어는 서구에서 그리스어로 '의미하다' (σημαινω)는 단어에 바탕하여 만들어진 단어 '''시맨틱스'''(semantics영어, sémantique프랑스어, Semantikde)를 번역한 것이다.

이 단어를 처음 만든 사람은 프랑스의 언어학자 미셸 브레알로 알려져 있다. 그는 1897년에 ''Essai de sémantique''라는 책을 출판하면서 의미론(sémantique프랑스어)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브레알은 의미를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관점에서 '의미론'을 정의했으며, 소리를 연구하는 '음성학'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이 용어를 사용했다.

독일 태생의 논리학자 루돌프 카르납은 '의미론'을 표현과 그것이 가리키는 대상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보았다. 그는 의미론을 표현과 사용자 간의 관계를 다루는 화용론, 그리고 표현 자체의 관계를 다루는 통사론과 구분했다.

미국의 언어학자 제롤드 J. 카츠는 의미론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 개념들을 제시하였다. 그중 기본적인 것들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개념들은 단어의 의미 관계뿐만 아니라 구, 절, 문장, 텍스트의미를 분석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통사론과 의미론의 차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 문장으로 "Colorless green ideas sleep furiously"가 있다. 이 문장은 문법적으로는 오류가 없다. 즉, 단어들이 올바른 순서로 배열되어 통사론적으로는 문제가 없다. 이는 비슷한 구조의 다른 문장, 예를 들어 ''Big furious bears ran quickly.''[1]는 자연스럽게 이해되는 것과 비교해 볼 수 있다. 하지만 "Colorless green ideas sleep furiously" 문장은 "색깔 없는 녹색", "녹색 아이디어", "아이디어가 잠들다", "격렬하게 잠들다" 등 각 부분이 의미적으로 모순되거나 이해하기 어렵다. 이러한 의미적 문제를 다루는 것이 바로 의미론의 영역이다.

의미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기도 한다. 첫째는 기호가 대상이나 상황과 맺는 관계인 지시적 의미(reference)이고, 둘째는 기호가 다른 기호(특히 개념이라 불리는 심적 기호)와 맺는 관계인 내포적 의미(sense)이다.

이 두 종류의 의미 외에도, 의미론은 전통적으로 진리 조건, 항 구조, 주제 역할, 담화 분석 등을 연구해왔다. 이러한 의미론적 요소들을 통사론과 연결하여 설명하는 것 또한 의미론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3. 의미의 종류

의미는 크게 다음 두 가지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첫째는 기호가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갖는 관계에서 비롯되는 의미이다. 이를 지시적 의미 (reference)라고 한다.

둘째는 기호가 다른 기호(특히 개념이라고 불리는 마음속의 기호)에 대해 갖는 관계에서 비롯되는 의미이다. 이를 내포적 의미 (sense)라고 한다.

이 두 종류의 의미 외에도, 의미론은 전통적으로 진리 조건, 항 구조, 주제 역할, 담화 분석 등을 연구해 왔다. 이 모든 것을 통사론과 연결하는 것 또한 의미론의 과제이다.

4. 의미론의 주요 분야

의미론은 연구 대상과 접근 방식에 따라 여러 하위 분야로 나뉜다. 주요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어휘 의미론: 단어와 형태소의 의미 구조를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 형식 의미론: 언어의 의미를 형식적이고 구성적인 체계로 파악하며, 몬터규 의미론 등 논리학적 방법론을 활용한다.[2]
  • 생성 의미론: 통사론 이론의 하나로 출발했으며, 심층 구조가 언어의 의미를 결정한다고 본다.
  • 인지 의미론: 인간의 인지 과정, 경험, 은유 등이 언어 의미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한다.[2]
  • 개념 의미론: 생성 문법의 틀 안에서 의미 구조와 개념 구조의 관계를 연구하며, 레이 잭앤도프 등이 대표적인 연구자이다.
  • 성분 분석: 어휘소의 의미를 기본적인 의미 성분으로 분해하여 분석하는 방법론이다.

4. 1. 어휘 의미론

단어와 형태소의 의미 구조를 다루는 의미론의 하위 영역이다. 연구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 접근 방식이 있다.

첫 번째 접근 방식은 같은 의미장에 속하는 둘 이상의 단어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 방법을 통해 어휘 체계 안에서 특정 단어의 가치가 결정된다. 두 번째 접근 방식은 단어를 더 기본적인 의미 요소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성분 분석이나 어휘 분해가 이 방법에 해당하며, 최근에는 어휘 개념 구조(LCS) 분석으로 발전했다.

이 두 가지 접근 방식은 서로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같은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출발점의 차이로 볼 수 있다.

4. 2. 인지 의미론

인지 주체인 인간이 객관 세계를 어떻게 파악하고, 그것을 어떻게 언어로 표현하는지에 주목하는 이론이다. 일상 언어의 개념 체계 상당 부분은 세계에 대한 객관적인 해석만으로 구축되는 것이 아니라, 언어 주체의 신체적 경험이나 언어 외적인 일반 인지 능력이 반영되어 형성된다고 본다. 여기에는 은유, 이미지 형성, 이미지 스키마 변환, 범주화와 같은 주체적인 인지 과정을 통해 개념 체계가 구축된다는 관점이 포함된다.

이러한 능력과 인지 과정이 통시적 의미 변화, 다의성, 구문의 확장을 설명하는 동기가 된다고 본다. 예를 들어, "물이 반이나 남았다"와 "물이 반밖에 없다"는 동일한 객관적 상황을 나타내지만, 인지 주체가 상황을 어떻게 파악하고 어떤 인지 과정을 반영하느냐에 따라 언어 표현이 달라진다.

인지 의미론은 다양한 접근 방식을 포함하지만, 공통적으로 인간의 주관이나 인지를 배제하는 형식 의미론의 형식적 틀에 대한 반론(反論)으로서 등장했다는 특징을 갖는다. 화용론, 담화 분석뿐만 아니라 게슈탈트 심리학, 인지 심리학, 발달 심리학, 뇌과학 등 인접 학문과의 관련성도 높다.[2]

4. 3. 개념 의미론

생성 문법의 의미론 부문이다. 레이 잭앤도프가 추진하고 있는 의미 이론으로, 의미 구조와 개념 구조가 동일하다는 테제(의미 구조=개념 구조)에 입각한다. 인지 심리학과의 상호 교류도 활발하며, 음악 이론이나 시각 이론 등과도 결부되어 있다. 표시의 모듈론에 입각하여, 의미 구조를 해석 부문으로 보지 않고, 생성적이라고 가정한다. 의미 역할 이론, 지칭 이론, 양화 이론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제안이 나오고 있다.

4. 4. 성분 분석

미국 구조주의의 의미론이다. 어휘소의 의미인 의미소를, 마치 음소를 변별 자질로 규정하는 것처럼, 의미 성분에 의해 규정한다. 친족 명칭의 분석이 가장 성공적이라고 평가받지만, 무엇이 가장 원시적인 요소인지 확정하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 관계성에 특별한 지위를 부여하지 않고 의미 성분으로만 취급하여 상대적으로 의미가 정해지는 단어 분석에는 한계가 있다는 비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미 체계를 파악하는 이론적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중요하며, 현재의 의미 분석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4. 5. 생성 의미론

생성 의미론은 엄밀히 말해 통사론의 한 이론으로 간주된다. 이는 표준 이론의 "변형은 의미를 바꾸지 않는다"는 가정을 강하게 해석하는 것에서 출발했다. 생성 의미론에서는 심층 구조가 언어의 유일한 의미 표시이며, 이 심층 구조에 여러 변형 규칙이 적용되어 표면적으로 나타나는 단어나 문장이 만들어진다고 보았다.

이 이론은 양화, 어휘 분해와 같이 언어학적으로 중요한 주제들을 깊이 다루고 관련된 데이터를 제시하는 등 의미 있는 기여를 했다. 하지만 점차 다루는 범위가 지나치게 넓어지고, 변형 규칙을 무분별하게 설정하거나 '대국적 제약'처럼 이론적으로 복잡한 장치를 도입하면서 비판에 직면했다. 또한, 언어 현상을 논리학이나 심리학의 틀로 설명하려는 환원주의적 경향도 문제로 지적되었다.

결과적으로 생성 의미론은 해석 의미론과의 이론적 경쟁에서 점차 주도권을 잃고 실패한 프로그램으로 평가받는 경우가 많다. 1990년대 이후 연구가 위축된 데에는 이론 외적인 이데올로기적 요인도 작용했다는 분석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미니멀리스트 프로그램과 같은 새로운 이론적 틀 안에서 생성 의미론의 핵심 아이디어들을 다시 살펴보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4. 6. 형식 의미론

몬터규 의미론이 발전한 이론이다.[2] 언어를 구성적(compositional)인 것으로 파악하며, 의미의 단편들이 정해진 관계에 따라 결합함으로써 문장이나 담화의 전체 의미가 연역될 수 있다고 보는 틀을 따른다.[2] 의미의 구성이나 해석 방식은 임의적이지 않고 형식적(formal)으로 이루어진다.[2] 자연 언어 연구뿐만 아니라, 수리 심리학이나 수리 논리학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2]

5. 통사론과 의미론의 관계

통사론과 의미론의 구분을 잘 보여주는 구체적인 문장으로 다음이 있다.

: Colorless green ideas sleep furiously

위 문장은 "색깔 없는 녹색 생각들이 격렬하게 잠잔다"는 뜻으로, 단어의 배열 순서 등 통사론적으로는 문제가 없는 문장이다. 예를 들어, 각 단어와 품사가 같은 다른 단어를 나열한 ''Big furious bears ran quickly.''[1] (큰 사나운 곰들이 빠르게 달렸다)는 보통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Colorless green ideas sleep furiously"는 "색깔 없는 녹색", "녹색 아이디어", "아이디어가 잠들다", "격렬하게 잠들다" 등 각 부분의 의미를 조합해도 전체 문장의 의미를 이해하기 어렵다. 이러한 의미의 차이가 어디에서 비롯되는지를 논하는 것이 바로 의미론의 영역이다.

의미는 크게 다음 두 가지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첫째는 기호가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갖는 관계인 지시적 의미(reference)이고, 둘째는 기호가 다른 기호(특히 개념이라 불리는 심적 기호)에 대해 갖는 관계인 내포적 의미(sense)이다.

이 두 종류의 의미 외에도, 의미론은 전통적으로 진리 조건, 항 구조, 주제 역할, 담화 분석 등을 연구해 왔으며, 이러한 연구 분야들을 통사론과 연결하는 것 또한 의미론의 중요한 과제이다.

6. 관련 인물


  • 쓰보모토 아쓰로

참조

[1] 서적 自然言語処理
[2] 서적 認知言語学原理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