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끈 공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발끈 공식은 다각형의 꼭짓점 좌표를 사용하여 다각형의 면적을 계산하는 공식이다. 이 공식은 행렬식 또는 외대수를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으며, 특히 좌표평면에서 다각형의 면적을 구하는 데 유용하다. 신발끈 공식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다각형에 적용 가능하며, 오목다각형에도 사용할 수 있다. 공식 유도는 사다리꼴 공식, 삼각형 공식, 그린 정리를 통해 이루어진다. 다각형 조작을 통해 면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으며, 고차원과 폴리토프의 부피 계산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한국에서는 행렬 형태가 신발끈과 유사하여 신발끈 공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하 알고리즘 - 최근접 이웃 탐색
최근접 이웃 탐색은 다차원 공간에서 주어진 질의와 가장 유사한 데이터를 찾는 최적화 문제로, 데이터 압축, 데이터 마이닝, 기계 학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효율적인 탐색을 위해 다양한 알고리즘이 개발되고 있고, 개인 정보 보호 및 데이터 편향성과 같은 윤리적 문제에 대한 고려도 중요해지고 있다. - 기하 알고리즘 - 하세 도형
하세 도형은 부분 순서 집합의 원소와 피복 관계를 점과 선으로 나타내어 순서 관계를 시각화하는 그래프 도구이며, 격자 이론, 조합론, 소프트웨어 공학 등에서 활용된다. - 넓이 - 피타고라스 정리
피타고라스 정리는 직각삼각형에서 직각변의 제곱의 합이 빗변의 제곱과 같다는 정리로, a² + b² = c²으로 표현되며, 한 변의 길이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고, 여러 지역에서 알려졌으나 피타고라스 학파에 의해 체계화되었다고 전해진다. - 넓이 - 카발리에리의 원리
카발리에리의 원리는 평행한 두 직선 또는 평면 사이에서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두 평면 도형 또는 입체의 면적이나 부피가 동일하다는 원리이며, 미적분학 발달 이전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측량학 - 측지계
측지계는 지구의 형태와 위치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위도, 경도, 고도 등을 정의하고 측량, 지도 제작, GPS 등에 활용되는 기준 좌표계이다. - 측량학 - 마일
마일은 고대 로마 시대에서 유래한 길이 단위로,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었으나 현재는 국제 마일로 표준화되었으며, 일부 국가에서 사용되고 여러 영어권 관용구에도 쓰인다.
신발끈 공식 | |
---|---|
개요 | |
이름 | 신발끈 공식 |
다른 이름 | 측량사의 공식 가우스 면적 공식 |
![]() | |
정의 | |
유형 | 다각형 면적 계산 알고리즘 |
입력 | 다각형의 꼭짓점 좌표 |
출력 | 다각형의 면적 |
공식 | |
면적 공식 | A = (1/2) |∑(i=1 to n) (xᵢy(ᵢ₊₁) - x(ᵢ₊₁)yᵢ)|. 여기서 x(n+1) = x₁ and y(n+1) = y₁. |
행렬식 표현 | A = (1/2) |∑(i=1 to n) det(Pᵢ, P(ᵢ₊₁))| |
응용 | |
활용 분야 | 측량 컴퓨터 그래픽스 기하학 |
역사 | |
최초 발견 | 1769년 A. L. F. 마이스터 |
대중화 | 19세기 초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
2. 정의
다각형의 면적을 로, 다각형의 변의 개수를 으로, 에 대하여 꼭짓점의 좌표를 로 나타낼 때, 신발끈 공식은 다음과 같다.[12][14][15] (단, 이다.)
다각형의 면적을 로, 다각형의 변의 개수를 으로, 에 대하여 꼭짓점의 좌표를 로 나타낼 때, 신발끈 공식은 다음과 같다.
:
또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
꼭짓점들에 반시계방향으로 차례로 번호를 매긴다면, 위의 행렬식은 양의 값을 지니므로 절댓값 부호를 생략할 수 있다.[16] 번호가 시계방향으로 차례로 매겨진다면 행렬식은 음의 값을 지닌다. 이는 신발끈 공식을 그린 정리의 특수한 경우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n개의 꼭짓점 (x1,y1),(x2,y2),...,(xn,yn)으로 이루어진 자기 교차하지 않는 다각형의 면적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단, x0=xn,y0=yn,xn+1=x1,yn+1=y1으로 한다.)
:
꼭짓점의 순서가 반시계 방향일 경우, 총합의 결과는 양수이며, 절댓값을 생략할 수 있다. 시계 방향일 경우, 총합의 결과는 음수가 된다.
이 식은 그린 정리의 특수한 경우로 볼 수 있다. a≦t≦b에서 매개변수 표시된 단일 폐곡선 (x(t),y(t))로 둘러싸인 영역의 면적은 다음과 같다.
:
3. 공식 유도
:
또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12][14][15] (단, 이다.)
:
꼭짓점들에 반시계방향으로 차례로 번호를 매기면 행렬식은 양의 값을 가지므로 절댓값 부호를 생략할 수 있다.[16] 시계방향으로 번호를 매기면 행렬식은 음의 값을 가진다. 이는 신발끈 공식을 그린 정리의 특수한 경우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임을 이용하면, 면적 공식은 다음과 같이 행렬식 형태로 표현된다.
:
()임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
두 합을 결합하고 를 묶으면 다음과 같다.
:
항등식 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식도 얻을 수 있다.
:
3. 1. 사다리꼴 공식
평면 단순 다각형이 데카르트 좌표계에서 의 ''양의 방향''(반시계 방향) 점의 순서를 가질 때, 로 설정하면 편리하다.[8]
사다리꼴 공식은 다각형의 각 변 을 한 변으로 하는 사다리꼴의 방향 면적 들을 모두 합한 것이다.[8]
변 은 방향을 가진 면적을 갖는 사다리꼴 을 결정한다.[8]
:
4. 예시
신발끈 공식은 다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데 사용되며, 좌표평면 위에서의 좌푯값을 이용한다.[17]
:
예를 들어, 꼭짓점이
2A &=
\begin{vmatrix} 1 & 3 \\ 6 & 1 \end{vmatrix} +
\begin{vmatrix} 3 & 7 \\ 1 & 2 \end{vmatrix} +
\begin{vmatrix} 7 & 4 \\ 2 & 4 \end{vmatrix} +
\begin{vmatrix} 4 & 8 \\ 4 & 5 \end{vmatrix} +
\begin{vmatrix} 8 & 1 \\ 5 & 6 \end{vmatrix} \\
& =(1-18)\;+(6-7)\;+(28-8)\;+(20-12)\;+(48-5)=33 \\
A&= 16.5
\end{align}
신발끈 공식은 10개의 열을 가진 5개의 행렬식을 계산하기 위해 6개의 열만 작성하면 되므로 효율적이다.
n개의 꼭짓점 (x1,y1),(x2,y2),...,(xn,yn)으로 이루어진 자기 교차하지 않는 다각형의 면적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begin{align}
S&=\frac{1}{2}\left|\sum_{k=1}^{n}(x_{k}y_{k+1}-x_{k+1}y_{k})\right|\\
&=\frac{1}{2}\left|\sum_{k=1}^{n}(x_{k}-x_{k+1})(y_{k}+y_{k+1})\right|\\
&=\frac{1}{2}\left|\sum_{k=1}^{n}x_k(y_{k+1}-y_{k-1})\right|\\
&=\frac{1}{2}\left|\sum_{k=1}^{n}y_k(x_{k-1}-x_{k+1})\right|
\end{align}
(단, x0=xn,y0=yn,xn+1=x1,yn+1=y1)
꼭짓점의 순서가 반시계 방향이면 총합은 양수, 시계 방향이면 음수가 된다.
이 식은 그린 정리의 특수한 경우이다. a≦t≦b에서 매개변수로 표시된 단일 폐곡선 (x(t),y(t))로 둘러싸인 영역의 면적은 다음과 같다.
:
4. 1. 삼각형
이 공식으로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좌표평면 위에서의 좌푯값을 알아야 한다.[17]삼각형의 각 꼭짓점의 좌표가 (
:
예를 들어, 꼭짓점의 좌표가
- 삼각형의 면적:
\tfrac{1}{2}\left|x_1y_2-x_2y_1+x_2y_3-x_3y_2+x_3y_1-x_1y_3\right|
4. 2. 사각형
이 공식으로 사각형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좌표평면 위에서의 좌푯값을 알아야 한다.[17]:
위 식에서
:
4. 3. 오목 다각형
이 공식으로 다각형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좌표평면 위에서의 좌푯값을 알아야 한다. 볼록다각형이 아닌 오목다각형에서도 똑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표가:
\mathbf{A} & = {1 \over 2}|3 \times 11 + 5 \times 8 + 12 \times 5 + 9 \times 6 + 5 \times 4 \\
& {} \qquad {} - 4 \times 5 - 11 \times 12 - 8 \times 9 - 5 \times 5 - 6 \times 3| \\[10pt]
& = {60 \over 2} = 30
\end{align}
5. 다각형 조작
:
+A(P_{k-1}, P_k, P_{k+1})
따라서:
'''예시:'''
:
:
신발끈 공식 표기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향 면적을 얻을 수 있다.
\begin{vmatrix} 3 & 7 & 4 & 8 & 1 & 3\\
1 & 2 & 4 & 6 & 7 & 1 \end{vmatrix}= 20.5
- ''녹색'' 삼각형:
A(P_2, P_3, P_4)=\tfrac 1 2
\begin{vmatrix} 7 & 4 & 8 & 7\\
2 & 4 & 6 & 2 \end{vmatrix} = -7
- ''빨간색'' 삼각형:
A(P_1,Q,P_2)=\tfrac 1 2
\begin{vmatrix} 3 & 4 & 7 & 3\\
1 & 3 & 2 & 1 \end{vmatrix} = -3.5
- 점
P_3 을 ''제외한'' 파란색 다각형:A(P_1, P_2, P_4, P_5)=\tfrac 1 2
\begin{vmatrix} 3 & 7 & 8 & 1 & 3\\
1& 2 & 6 & 7 & 1 \end{vmatrix}= 27.5
- 점
Q 를P_1,P_2 ''사이에'' ''추가한'' 파란색 다각형:A(P_1, Q, P_2, P_3, P_4, P_5)=\tfrac 1 2
\begin{vmatrix} 3 & 4 & 7 & 4& 8 & 1 &3\\
1 & 3 & 2 & 4& 6 & 7 &1 \end{vmatrix} = 17
다음 방정식이 성립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
:
6. 일반화
데카르트 좌표계에서 단순 다각형이
:
\begin{align}
A&=\frac{1}{2}\left|\sum_{k=1}^{n}(x_{k}y_{k+1}-x_{k+1}y_{k})\right|\\
&=\frac{1}{2}\left|\sum_{k=1}^{n}(x_{k}-x_{k+1})(y_{k}+y_{k+1})\right|\\
&=\frac{1}{2}\left|\sum_{k=1}^{n}x_k(y_{k+1}-y_{k-1})\right|\\
&=\frac{1}{2}\left|\sum_{k=1}^{n}y_k(x_{k-1}-x_{k+1})\right|
\end{align}
단, x0=xn, y0=yn, xn+1=x1, yn+1=y1이다.
꼭짓점의 순서가 반시계 방향이면 총합은 양수이고, 절댓값 기호는 생략 가능하다. 시계 방향이면 총합은 음수가 된다. 이 식은 그린 정리의 특수한 경우이다.
고차원에서는 다각형의 면적을 신발끈 공식의 외대수 형태로 꼭짓점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에서는 연속적인 외적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이 공식은 n차원 폴리토프의 부피를 꼭짓점 좌표나 초표면 메쉬로 계산하는 것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10] 3차원 다면체의 부피는 삼각화하여 표면 메쉬를 얻고 각 표면 삼각형과 원점에 의해 형성된 유향 부피를 합산하여 구할 수 있다.
:
여기서 합은 면에 대한 것이며, 꼭짓점 순서는 일관되게 지정해야 한다(다면체의 외부에서 볼 때 모두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또는, 발산 정리를 사용하여 면적과 표면 법선으로 표현할 수 있다( 다면체 § 부피 참조).
7. 역사
이 공식은 보통 행렬의 형태를 이용하여 쓰이는데, 그 꼴이 신발끈을 묶는 모양과 비슷하여 신발끈 공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18]
꼭짓점의 좌표가 차례로 (2, 4), (3, -8), (1, 2)인 삼각형을 생각하자. 각 꼭짓점의 좌푯값을 (2, 4)에서부터 시작해 차례대로 적고, 그 아래에 다시 (2, 4)를 적어 행렬의 꼴로 나타낼 수 있다. 왼쪽 위에서 오른쪽 바로 한 칸 아래로 직선을 그어 연결된 두 숫자를 곱해서 모두 더한다. 오른쪽 위에서 왼쪽 바로 한 칸 아래로 직선을 그어 연결된 두 수를 곱해 모두 더한다. 여기서 두 값의 차의 절댓값에 1/2을 곱하면 삼각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이렇게 숫자를 모두 적어 선분으로 이은 꼴이 신발끈이 묶인 신발의 모양과 같아, 신발끈 공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8. 응용
n개의 꼭짓점 $(x_1, y_1), (x_2, y_2), ..., (x_n, y_n)$으로 이루어진 자기 교차하지 않는 다각형의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S = \frac{1}{2}|\sum_{k=1}^{n}(x_k y_{k+1} - x_{k+1} y_k)|$
$ = \frac{1}{2}|\sum_{k=1}^{n}(x_k - x_{k+1})(y_k + y_{k+1})|$
$ = \frac{1}{2}|\sum_{k=1}^{n}x_k(y_{k+1} - y_{k-1})|$
$ = \frac{1}{2}|\sum_{k=1}^{n}y_k(x_{k-1} - x_{k+1})|$
단, $x_0 = x_n, y_0 = y_n, x_{n+1} = x_1, y_{n+1} = y_1$으로 한다.
꼭짓점의 순서가 반시계 방향일 경우, 총합의 결과는 양수이며 절댓값을 생략할 수 있다. 시계 방향일 경우, 총합의 결과는 음수가 된다.
이 식은 그린 정리의 특수한 경우로 볼 수 있다. a≦t≦b에서 매개변수로 표시된 단일 폐곡선 $(x(t), y(t))$로 둘러싸인 영역의 면적은 다음과 같다.
$S = \frac{1}{2}|\int_{a}^{b}(x(t)y'(t) - x'(t)y(t))dt|$
참조
[1]
논문
The Surveyor's Area Formula
https://www.maa.org/[...]
[2]
웹사이트
Shoelace Formula
http://www.mathrefer[...]
2008-06-09
[3]
서적
Forest Dynamics, Growth and Yield: From Measurement to Model
https://books.google[...]
Springer
[4]
간행물
Generalia de genesi figurarum planarum et inde pendentibus earum affectionibus
https://books.google[...]
[5]
서적
Ebene Geometrie
Springer-Verlag
[6]
간행물
Detecting and decomposing self-overlapping curves
[7]
conference
Polygon Area Problems
[8]
서적
Guide to Competitive Programming: Learning and Improving Algorithms Through Contests
Springer
[9]
서적
Multi-Modality Imaging: Applications and Computational Techniques
Springer
[10]
논문
Computing Volumes of Polyhedra
https://www.ams.org/[...]
1986
[11]
웹인용
Shoelace Formula
http://www.mathrefer[...]
2008-06-09
[12]
서적
Forest Dynamics, Growth and Yield: From Measurement to Model
http://books.google.[...]
Springer
[13]
인용
Generalia de genesi figurarum planarum et inde pendentibus earum affectionibus
http://books.google.[...]
[14]
웹사이트
Shoelace Theorem
http://www.artofprob[...]
[15]
웹인용
Polygon Area
http://mathworld.wol[...]
2012-07-24
[16]
저널
The Surveyor’s Area Formula
http://www.maa.org/s[...]
2016-06-05
[17]
서적
Geometry for Enjoyment and Challenge
https://archive.org/[...]
McDougal Littell
[18]
문서
IMSA JHMC Guide, Page. 10 "Shoelace" by Cindy X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