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상출시 편스토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상출시 편스토랑'은 연예계의 '맛.잘.알' 스타들이 자신만의 레시피로 개발한 메뉴를 선보이고, 평가단의 심사를 거쳐 우승한 메뉴를 전국 편의점에서 출시하는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 2019년 10월 25일 첫 방송을 시작으로, 우승 메뉴의 판매 수익금은 기부된다. 붐이 메인 MC를 맡고 있으며, 이연복 셰프가 평가단장으로 참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음식 텔레비전 프로그램 - 한끼줍쇼
《한끼줍쇼》는 이경규와 강호동이 사전 섭외 없이 일반 가정집을 방문하여 저녁 식사를 함께하며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하는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이다. - 대한민국의 음식 텔레비전 프로그램 -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은 만화가 허영만이 동네 밥상에서 맛의 의미와 가치를 찾아가는 TV CHOSUN 프로그램이다. - 2019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는 다양한 분야의 보스들과 직원들의 직장 생활을 관찰하여 그 관계를 보여주는 KBS 2TV 예능 프로그램으로, 전현무, 김숙, 김희철이 진행하며 매주 일요일 오후 4시 40분에 방송된다. - 2019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어쩌다 어른
O tvN과 tvN에서 방영된 《어쩌다 어른》은 김상중 MC와 다양한 강연자들이 출연하여 인문학, 사회, 역사, 과학 등 다양한 주제로 강연을 펼치는 프로그램으로, 2015년 파일럿으로 시작해 시즌제로 운영되다 2022년 시즌 3가 방영되었다. - 한국방송공사의 연예오락 프로그램 -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는 다양한 분야의 보스들과 직원들의 직장 생활을 관찰하여 그 관계를 보여주는 KBS 2TV 예능 프로그램으로, 전현무, 김숙, 김희철이 진행하며 매주 일요일 오후 4시 40분에 방송된다. - 한국방송공사의 연예오락 프로그램 - KBS 연기대상
KBS 연기대상은 1987년 KBS 탤런트 연기대상으로 시작하여 매년 KBS에서 방송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연말 시상식으로, 대상, 최우수상, 우수상, 신인상, 작가상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이 이루어지며 수상 결과를 둘러싼 논란도 존재한다.
신상출시 편스토랑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프로그램 명칭 | 신상출시 편스토랑 |
원어 명칭 | 신상출시 편스토랑 |
로마자 표기 | Sinsangchulsi Pyeonsutorang |
한글 표기 | 신상출시 편스토랑 |
방송 국가 | 대한민국 |
방송 채널 | KBS 2TV |
추가 편성 채널 | KBS 조이 KBS 드라마 KBS 월드 |
장르 | 요리 예능 토크 쇼 리얼리티 텔레비전 |
방송 시간 | 매주 금요일 저녁 8:30 ~ 밤 10:00 |
방송 분량 | 90분 |
방송 기간 | 2019년 10월 25일 ~ 현재 |
방송 횟수 | 253회 + 1회 스페셜 (2024년 1월 3일 기준) |
시청 등급 | [[파일:Republic Of Korea Broadcasting-TV Rating System(15).svg|20px|15세 이상 시청가|link=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 15세 이상 시청가 |
제작진 | |
기획 | 하태석 (KBS 예능본부) |
제작사 | KBS 예능본부, 이엘 미디어(EL MEDIA), 초록뱀 ENM |
책임 프로듀서 | 박덕선 (KBS 예능운영팀) |
연출 | 이유민, 박지은, 홍연희, 장혜진 |
작가 | 백순영, 이해님, 박미영, 이혜림 |
출연진 | |
진행자 | 메인: 붐 보조: 효정 (오마이걸) 평가 단장: 이연복 |
출연 | 아래 참조 |
기술 정보 | |
음성 | 2채널 돌비 디지털 (디지털) |
자막 |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
고화질 방송 여부 | HD 제작 · 방송 |
외부 링크 | |
공식 홈페이지 | KBS 2TV 신상출시 편스토랑 공식 홈페이지 |
인스타그램 | funrestaurant_kbs 인스타그램 |
2. 프로그램 역사
2. 1. 프로그램 개요
연예계에서 소문난 '맛.잘.알(맛을 잘 아는)' 스타들이 혼자 먹기에 아까운 필살의 메뉴를 공개하고, 메뉴 평가단의 평가를 통해 승리한 메뉴가 방송 다음 날 실제로 전국의 편의점에서 출시되는 신개념 편의점 신상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23][6] 타이틀명은 '편하게 먹는 레스토랑'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주어진 주제에 따라 연예인들이 직접 레시피를 개발하고 요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며, 다양한 요리 팁과 도움말도 공유한다.우승 시에는 GS25 편의점에서 간편식으로 출시된다.[23] HY (에치와이) 밀키트 브랜드 잇츠온에서 밀키트를 생산한다. 17라운드부터는 온라인 마켓에서 밀키트 형태로도 판매된다.[6] 2022년 5월 2일, GS25와의 파트너십 체결이 발표되었으며, 41라운드부터는 CU 대신 GS25 매장에서 우승 요리를 판매한다.[7]
우승 요리 판매 수익금은 기부된다. 246회 방송 기준 누적 기부금은 6억 7,300만 원을 넘었다.[8]
2. 2. 프로그램 구성
2. 2. 1. 심사위원단 구성
시작부터 13라운드까지 연예인들의 요리는 심사위원단에 의해 심사를 받았다. 심사위원단은 이연복, 이원일, 가수 이승철, 그리고 CU(씨유)의 김정훈 MD로 구성되었다. 심사 기준은 맛, 식감, 독창성, 상품성이었다. 이원일은 아내 김유진의 과거 학교폭력 가해 의혹 보도의 영향으로 9라운드 이후 출연하지 않았다.[10]14라운드부터 16라운드까지는 10대, 20대, 30-40대, 50-60대 각 5명씩 총 20명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심사를 맡았다. 20명의 심사위원에는 아이돌 가수나 연예인 자녀가 포함될 수 있었다. 해당 라운드의 게스트 진행자와 이연복 셰프도 심사위원단에 포함되었으며, 심사 기준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이승철과 김정훈은 14라운드부터 출연하지 않았다.
17라운드부터 40라운드까지는 이연복 셰프를 수석 심사위원으로 하는 셰프들로만 심사위원단이 구성되었다. 이원일은 33라운드부터 40라운드까지 이연복 셰프와 함께 심사위원단으로 다시 출연했다. 이 시기에는 최현석, 오세득, 미카엘 아쉬미노프, 레이먼 킴, 김호윤, 송훈, 유현수, 정호영, 박준우 (기자) 등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
41라운드부터는 이연복 셰프와 다양한 전문가들, 그리고 해당 라운드의 특별 진행자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우승 요리를 결정한다. 심사위원단은 누가 요리했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경쟁 요리를 시식한다. 심사위원단으로서 음식을 심사하는 것 외에도, 게스트 진행자(들) 및 출연진과 함께 앉아 연예인들이 자신들의 창의적인 레시피를 준비하는 영상 클립을 시청한다. 41라운드 이후로는 르세라핌, 박재범, 아비쉑 굽타/럭키, 로빈 드이아나, 사토 모에카, 김승수, 왕빛나, 김소은, 홍성헌, 릴리, 해원, 설윤, 배만 출연/김정임 (모델)}}, 홍화리, 홍화철, 양희은, 박소현, 선우은숙, 백성현, 배누리, 엔믹스, 진성 (가수)한국어 등이 심사위원으로 출연했다.
2. 2. 2. 출연진 구성
- 진행자
도경완은 1회(2019년 10월 25일)부터 66회(2021년 2월 12일)까지 1대 메인 MC로 활약했다. 이후 허경환이 67회(2021년 2월 19일)부터 99회(2021년 10월 1일)까지 임시 진행을 맡았다. 붐은 100회(2021년 10월 8일)부터 현재까지 2대 메인 MC로 프로그램을 이끌고 있다. 2024년 2월 23일(213회)부터는 효정(오마이걸)이 보조 MC로 합류하여 현재까지 출연 중이다.
- 평가단장
이연복 셰프는 1회(2019년 10월 25일)부터 현재까지 평가단장으로 출연하고 있다.
- 스페셜 MC
스페셜 MC는 매우 수가 많으므로, 프로그램의 특징을 보여주는 일부만 예시로 제시한다.
홍진경 (1회 ~ 4회), 붐 (5회 ~ 7회, 11회 ~ 13회), 강다니엘 (8회 ~ 10회, 40회 ~ 42회), 전소미 (17회 ~ 20회), 소유 (21회 ~ 23회) 등이 초반 스페셜 MC로 활약했다. 비교적 최근에는, 장원영 (117회 ~ 119회), 아이키 (120회 ~ 122회), 효정 (126회 ~ 128회, 132회 ~ 134회) 등이 출연했다.
- 편셰프
초기(1회 ~ 4회)에는 이경규, 이영자, 김나영, 정일우, 정혜영, 진세연이 편셰프로 출연했다. 5회 ~ 7회에서는 돈 스파이크가 합류했다. 그 후, 이정현, 이유리, 오윤아, 한지혜, 류수영 등 다양한 편셰프들이 합류와 하차를 반복했다. 2022년에는 차예련, 이찬원 등이 새로운 편셰프로 합류했고, 2023년에는 박수홍이 편셰프로 합류했다.
3. 에피소드 목록
3. 1. 2019년 방영 목록
2019년 10월 25일부터 11월 15일까지 1라운드가 4회에 걸쳐 방송되었다. 1라운드의 주제는 밥이었으며, 이경규, 이영자, 정혜영, 김나영, 정일우, 진세연이 참가하여 이경규가 참깨소스 비빔국수로 우승하였다. 특별 게스트로 홍진경이 출연하였다.2라운드는 11월 22일부터 12월 6일까지 3회에 걸쳐 방송되었다. 주제는 밀이었으며, 이경규, 이영자, 김나영, 정일우, 진세연, 돈 스파이크가 참가하여 돈 스파이크가 "돈스 파이" 미트파이로 우승하였다. 특별 게스트로는 붐이 출연하였다.
3라운드는 12월 13일부터 2020년 1월 3일까지 3회에 걸쳐 방송되었다. 주제는 돼지고기였으며, 이경규, 이영자, 정일우, 진세연, 이정현이 참가하여 정일우가 떡갈비 햄버거로 우승하였다. 특별 게스트로 홍진경, 강다니엘이 출연하였다. 한편, 2019 KBS 가요대축제 방송으로 인해 12월 27일 방송은 없었다.
3. 2. 2020년 방영 목록
2020년에는 총 16번의 라운드를 통해 다양한 주제의 요리 경연이 펼쳐졌다. 각 라운드별 우승 셰프와 우승 요리는 다음과 같다.4라운드에서는 '추억의 맛'을 주제로 이경규, 이영자, 정일우, 이정현, 이혜성이 경연을 펼쳤고, 이영자가 '태안 칼국수'로 우승했다.
5라운드에서는 '닭 요리'를 주제로 이경규, 이영자, 정일우, 이정현, 이유리가 참가했고, 이경규가 '꼬꼬밥'으로 우승했다.
6라운드에서는 '달걀 요리'를 주제로 이경규, 이영자, 정일우, 이정현, 이유리가 참가했고, 이정현이 '문어알 덮밥'으로 우승했다.
7라운드에서는 '길거리 간식'을 주제로 이경규, 이영자, 이정현, 이유리, 심지호가 참가했고, 이경규가 '앵그리 쫄면'으로 우승했다.
8라운드에서는 '완도 전복'을 주제로 이경규, 이영자, 이정현, 이유리, 오윤아가 참가했고, 오윤아가 '전복 미역 김밥'으로 우승했다.
9라운드에서는 '참치 요리'를 주제로 이경규, 이영자, 이정현, 오윤아, 조정민이 참가했고, 이정현이 '참치 비빔면'으로 우승했다.
10라운드에서는 '면역력 증진 식탁'을 주제로 이경규, 이영자, 오윤아, 진성 (가수)/진성한국어, 전혜빈이 참가했고, 이영자가 '오리 백반'으로 우승했다.
11라운드에서는 '소고기 요리'를 주제로 이경규, 이영자, 오윤아, 전혜빈, 한지혜가 참가했고, 이경규가 '떡갈비 규토'로 우승했다.
12라운드에서는 '김(해조류)'을 주제로 이경규, 오윤아, 한지혜, 장민호가 참가했고, 이경규가 '김치볶음밥'으로 우승했다.
13라운드에서는 '안주'를 주제로 이영자, 오윤아, 한지혜, 홍진영이 참가했고, 한지혜가 '꼬꼬닭갈비덮밥'으로 우승했다.
14라운드에서는 '세대 초월'을 주제로 이경규, 오윤아, 한지혜, 한다감이 참가했고, 오윤아가 '뉴트롤'로 우승했다.
15라운드에서는 '감자 요리'를 주제로 이영자, 진성, 한다감, 함연지/함연지한국어가 참가했고, 이영자가 '감자 드림'으로 우승했다.
16라운드에서는 '가을의 맛'을 주제로 이경규, 문정원 (플로리스트)/문정원한국어, 김재원, 윤은혜가 참가했고, 김재원이 '새우소고기 버섯볶음'으로 우승했다.
17라운드에서는 1주년 특집으로 '라면'을 주제로 이경규, 이영자, 이유리, 오윤아, 류수영, 홍석천이 참가했고, 이경규가 '복돼지 라면'으로 우승했다.
18라운드에서는 '피망'을 주제로 이영자, 이유리, 김재원, 류수영이 참가했고, 이유리가 '파프리카 빨간 밥'으로 우승했다.
19라운드에서는 '치즈'를 주제로 이경규, 이유리, 김재원, 류수영이 참가했고, 류수영이 '치치 치킨'으로 우승했다.
한편, 2020년 KBO 리그 2020년 한국시리즈 생중계 방송으로 인해 11월 20일 방송은 없었으며, 2020년 KBS 가요대축제 생중계 방송으로 인해 12월 18일 방송은 없었다.
3. 3. 2021년 방영 목록
2021년에는 총 16번의 라운드가 진행되었다. 각 라운드별 주제는 어묵, 김치, 도시락, 김, 콩, 돼지고기, 우유, 만두, 고추, 여름맛, 쌀, K-푸드, 새우, 라면, 안주, 겨울맛이었다.20라운드는 어묵을 주제로 1월 8일부터 1월 22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오윤아가 '오징어짬뽕 어묵탕'으로 우승했다. 21라운드는 김치를 주제로 1월 29일부터 2월 12일까지 진행되었으며, 김재원이 '고들빼기 매콤 돼지고기 볶음'으로 우승했다. 22라운드는 도시락을 주제로 2월 19일부터 3월 5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이영자가 '오색 리조또'로 우승했다.
23라운드는 파트너 특집으로 김을 주제로 3월 12일부터 3월 26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이유리, 허경환, 황치열로 구성된 '허치유 트리오'가 '매생이 크림 떡볶이'로 우승했다. 24라운드는 콩을 주제로 4월 2일부터 4월 16일까지 진행되었으며, 김재원이 '옥하 햄버그스테이크'로 우승했다. 25라운드는 돼지고기를 주제로 4월 23일부터 5월 7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이경규가 '돈규 덮밥'으로 우승했다.
26라운드는 우유를 주제로 5월 14일부터 5월 28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류수영이 '또띠아 치킨'으로 우승했다. 27라운드는 만두를 주제로 6월 4일부터 6월 18일까지 진행되었으며, 기태영이 '만두 감바스 알 아히요'로 우승했다. 28라운드는 고추를 주제로 6월 25일부터 7월 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이영자가 '피망 볶음면'으로 우승했다.
29라운드는 여름맛을 주제로 7월 16일부터 7월 30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이경규가 '수박 초계국수'로 우승했다. 30라운드와 31라운드는 류수영이 각각 '참깨 간장 비빔국수'와 '꿀 연유 떡볶이'로 연속 우승했다. 30라운드는 쌀을 주제로 8월 6일부터 8월 20일까지, 31라운드는 K-푸드를 주제로 8월 27일부터 9월 10일까지 진행되었다.
32라운드는 새우를 주제로 9월 17일부터 10월 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김재원이 '코코넛 태국 새우 카레'로 우승했다. 33라운드는 100회 특집으로 라면을 주제로 10월 8일부터 10월 2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이경규가 '바질 페스토 라면'으로 우승했다. 34라운드는 안주를 주제로 11월 5일부터 11월 1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정상훈이 '포유 마늘 족발'로 우승했다. 35라운드는 겨울맛을 주제로 12월 3일부터 12월 24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류수영이 '사과 크림 소스 치킨'으로 우승했다.
한편, 제42회 청룡영화상, 2021 KBS 가요대축제, 2021 KBS 연기대상 생방송 관계로 각각 11월 26일, 12월 17일, 12월 31일에는 방송이 결방되었다.
3. 4. 2022년 방영 목록
2022년에는 총 15번의 라운드가 진행되었다. 각 라운드별 주제, 참가 셰프, 우승 셰프, 우승 메뉴, 특별 게스트는 다음과 같다.라운드 | 회차 | 방송일 | 주제 | 참가 셰프 | 우승 셰프 | 우승 메뉴 | 특별 게스트 |
---|---|---|---|---|---|---|---|
36 | 110-113 | 1월 7일 1월 14일 1월 21일 1월 28일 | 세계의 맛 | 류수영, 기태영, 박솔미, 추성훈, 강남, 이상화 | 박솔미 | 풀드포크 숙취해장전골 | 김보민, 강남, 디타/Dita Karang영어 (시크릿넘버) |
37 | 114-116 | 2월 4일 2월 18일 2월 25일 | 분식 | 이영자, 김재원, 류수영, 정상훈 | 이영자 | 궁중 쫄면 | 강남, 솔빈 (라붐) |
38 | 117-119 | 3월 4일 3월 11일 3월 18일 | 닭 요리 | 이경규, 심지호, 정상훈, 박솔미 | 이경규 | 새로운 콘셉트의 닭고기 덮밥 | 김보민, 장원영 (아이브) |
39 | 120-122 | 3월 25일 4월 1일 4월 8일 | 붉은 맛 | 이영자, 류수영, 정상훈, 차예련 | 정상훈 | 미트볼 칠리 듬뿍 면 요리 | 김보민, 아이키 |
40 | 123-125 | 4월 8일 4월 15일 4월 22일 | 달걀 | 이경규, 류수영, 박솔미, 박하나 | 류수영 | 마라소스 닭강정 | 이영자, 김보민 |
41 | 126-128 | 5월 6일 5월 13일 5월 20일 | 한국인의 밥상 | 류수영, 차예련, 이태곤, 이찬원 | 이찬원 | 진토갈비 | 효정 (오마이걸) |
42 | 129-131 | 5월 27일 6월 3일 6월 10일 | 브런치 | 류수영, 박솔미, 이찬원, 류진 | 박솔미 | 된장라구 파스타 | 박하나 |
43 | 132-134 | 6월 17일 6월 24일 7월 1일 | 여름의 맛 | 심지호, 오윤아, 차예련, 이찬원 | 차예련 | 산더미 쇠고기 찜 비빔면 | 효정 (오마이걸) |
44 | 135-137 | 7월 8일 7월 15일 7월 22일 | 휴가 메뉴 | 이유리, 류수영, 정상훈, 추성훈 | 이유리, 추성훈 | 킹새우 톡 토스트 샌드위치 + 생야채 꿀라떼 | 최예빈, 김요한 (위아이) |
45 | 138-140 | 7월 29일 8월 5일 8월 12일 | 안주 | 류수영, 차예련, 이찬원, 박준금 | 류수영 | 장미부대찌개 | 백지헌 (프로미스나인) |
46 | 141-143 | 8월 19일 8월 26일 9월 2일 | 한국인의 장 | 한지혜, 박솔미, 이찬원, 김규리 | 이찬원 | 매콤 청국장 | 파비앙, 다현 (트와이스) |
47 | 144-146 | 9월 9일 9월 16일 9월 23일 | 우리 밥 | 차예련, 이태곤, 이찬원, 송재림 | 마늘버터 짜장밥 | 강남, 효정 (오마이걸) | |
48 | 147-149 | 9월 30일 10월 7일 10월 21일 | 마늘 | 류수영, 이찬원, 김규리, 심이영 | 류수영 | 어 맛 닭강정 | 강남 |
49 | 150-153 | 10월 28일 11월 4일 11월 11일 11월 18일 | 라면 | 류수영, 박솔미, 차예련, 이찬원, 박수홍 | 류수영, 박수홍 | 어 라면 + 매콤 설렁탕 라면 | 김나영 |
50 | 154-156 | 12월 2일 12월 9일 12월 23일 | K-푸드 | 심지호, 이찬원, 박수홍, 박탐희 | 이찬원 | 쌈장 닭갈비 떡볶이 | 정시아, 산다라박 |
2022년에는 결방이 잦았다. 2월 11일에는 2022 동계올림픽 생방송으로 인해 결방되었고, 10월 14일에는 45라운드와 48라운드의 류수영, 46라운드의 이찬원, 45라운드의 차예련이 출연하는 특별 방송이 방영되었다. 11월 25일에는 청룡영화상 생방송으로 인해, 12월 16일에는 KBS 가요대축제 방송으로 인해 결방되었다.
3. 5. 2023년 방영 목록
2023년에는 파티 메뉴, 추억의 맛, 해장, 밥의 힘, 치즈, 세계의 맛, 간식, 여름의 맛, 안주, 붉은 맛, 가을의 맛, 고기가 진리, MZ세대 메뉴, 200회 특집, 국밥 등을 주제로 방송이 진행되었다.라운드 | 회차 | 방송일 | 주제 | 참가 셰프 | 우승 셰프 | 우승 요리 | 특별 게스트 |
---|---|---|---|---|---|---|---|
51 | 157-160 | 2022년 12월 30일 1월 6일 1월 13일 1월 20일 | 파티 메뉴 | 류수영, 차예련, 이찬원, 박수홍 | 차예련 | 고추장 불고기 라자냐 | 정시아, 이아유미, 김종현 |
52 | 161-163 | 1월 27일 2월 3일 2월 10일 | 추억의 맛 | 류수영, 박솔미, 이찬원, 박수홍 | 박솔미 | 매콤 돼지기름 떡볶이 | 연우 |
53 | 164-166 | 2월 17일 2월 24일 3월 3일 | 해장 | 류수영, 정상훈, 차예련, 박수홍 | 류수영 | 돼지고기 고추장 찌개 | 뱀뱀/BamBam영어 (갓세븐/GOT7영어) |
54 | 167-169 | 3월 17일 3월 24일 3월 31일 | 밥의 힘 | 류수영, 차예련, 이태곤, 이찬원 | 류수영 | 명란 마요네즈 제육 덮밥 | 함은정/함은정한국어 (티아라), 한해 |
55 | 170-172 | 4월 7일 4월 14일 4월 21일 | 치즈 | 박솔미, 이찬원, 박수홍, 남보라 | 이찬원 | 트리플 크라운 치즈버거 | 한해, 이서/이서한국어 (아이브/IVE영어) |
56 | 173-176 | 4월 28일 5월 5일 5월 12일 5월 19일 | 세계의 맛 | 류수영, 이찬원, 박수홍, 강수정 | 강수정 | 비빔-탄탄면 | 사쿠라/SAKURA일본어 (르세라핌/LE SSERAFIM영어) |
57 | 177-179 | 5월 26일 6월 2일 6월 9일 | 간식 | 오윤아, 강수정, 박정수, 최귀화 | 오윤아, 강수정 | 괜찮아 샌드위치 + 제로 비타 그린티 | 효정 (오마이걸/OH MY GIRL영어), 주헌/주헌한국어 (몬스타엑스/MONSTA X영어), 이채민 |
58 | 180-183 | 6월 16일 6월 23일 6월 30일 7월 7일 | 여름의 맛 | 류수영, 차예련, 이찬원, 박탐희 | 이찬원 | 불닭 장조림 비빔밥 | 한해, 성훈/성훈한국어 (엔하이픈/ENHYPEN영어) |
59 | 184-187 | 7월 14일 7월 21일 7월 28일 8월 4일 | 안주 | 이정현, 류수영, 박수홍, 한해 | 이정현 | 마라탕 족발 | 산다라박/산다라박한국어, 한해, 임현진 (에스페로/ESPERO영어), 효정 (오마이걸/OH MY GIRL영어) |
60 | 188-190 | 8월 11일 8월 18일 8월 25일 | 붉은 맛 | 이정현, 류수영, 박수홍, 송가인/송가인한국어 | 송가인/송가인한국어 | 마늘 고추장 오삼불고기 & 오삼김밥 | 영탁/영탁한국어, 효정 (오마이걸/OH MY GIRL영어) |
61 | 191-193 | 9월 1일 9월 8일 9월 15일 | 가을의 맛 | 이정현, 류수영, 명세빈, 강율 | 류수영 | 도둑 밥 시시토 간장 치킨 | 별, 이서연/이서연 (2003년생)한국어 |
62 | 194-196 | 9월 22일 9월 29일 10월 13일 | 고기가 진리 | 한지혜, 박수홍, 남보라, 양지은 | 한지혜 | 불고기 정골 | 별, 제이어스/JAY영어 (온앤오프/ONF영어), 리즈/리즈한국어 (아이브/IVE영어) |
63 | 197-199 | 10월 20일 10월 27일 11월 3일 | MZ세대 메뉴 | 이정현, 류수영, 한해, 진서연 | 이정현 | 청양 나폴리탄 파스타 & 청양 나폴리탄 파스타 빵 | 남창희/남창희한국어 (희극인), 조유리/조유리한국어 |
64 | 200-202 | 11월 10일 11월 17일 12월 1일 | 200회 특집 | 이정현, 이상엽, 남윤수 | 이상엽 | 해산물 짬뽕 비빔밥 | 장민호/장민호한국어, 송해나/송해나한국어, 한해, 효정 (오마이걸/OH MY GIRL영어) |
65 | 203-206 | 12월 8일 12월 22일 12월 29일 2024년 1월 5일 | 국밥 | 류수영, 이찬원, 진서연, 이상엽 | 이상엽 | 매콤 들깨 순대국 | 한해, 인성/인성한국어 (SF9/SF9영어), 이정하/이정하한국어 |
3월 10일에는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생중계 방송으로 인해 방송이 없었으며, 10월 6일에는 2022 아시안 게임 생중계 방송, 11월 24일에는 제44회 청룡영화상 생중계 방송, 그리고 12월 15일에는 2023 뮤직뱅크 KBS 가요대축제 글로벌 페스티벌 생중계 방송으로 인해 결방되었다.
3. 6. 2024년 방영 목록
2024년에는 '겨울 맛', '설날 특집', '새 학기 특집', '모두의 점심', '모두의 저녁', 그리고 '5주년 특집: 세트 메뉴' 등 다양한 주제로 방송이 진행되었다. 각 라운드별 우승 셰프와 우승 요리는 다음과 같다.라운드 | 회차 | 방송 날짜 | 주제 | 참가 셰프 | 우승 셰프 | 우승 요리 | 특별 게스트 |
---|---|---|---|---|---|---|---|
66 | 207-209 | 1월 12일 1월 19일 1월 26일 | 겨울 맛 | 이정현, 류수영, , 이상엽 | 류수영 | 불맛 굴소스 볶음 파스타 | 산들 (B1A4), , 효정 (오마이걸) |
67 | 210-212 | 2월 2일 2월 9일 2월 16일 | 설날 특집 | 한지혜, 장민호, 진서연, 윤유선 | 장민호 | 멘타이코 감자 크림 우동 | 효정 (오마이걸), , 김채원 (르세라핌) |
68 | 213-215 | 2월 23일 3월 1일 3월 8일 | 새 학기 특집 | 차예련, 이상엽, 한채영 | 이상엽 | 튀김 어묵 야키소바 우동 | 브라이언 (플라이 투 더 스카이), 이장준 (골든차일드) |
69 | 216-219 | 3월 15일 3월 22일 3월 29일 4월 5일 | 모두의 점심 | 이정현, 장민호, 진서연, 남윤수 | 이정현 | 두반장 볶음 돼지고기 | 한해, |
70 | 220-222 | 4월 12일 4월 19일 4월 26일 | 이정현, 류수영, , 이상엽 | 류수영 | 평생 육개장 | 이장준 (골든차일드) | |
— | 223-225 | 5월 3일 5월 10일 5월 17일 | 장민호, 류수영, 진서연, 김호중 | colspan="2" #redirect | 한해 | ||
71 | 225-228 | 5월 17일 5월 24일 5월 31일 6월 7일 | 장민호, 강율, 김재중 | 장민호 | 장어 추어탕 | 정용화 (씨엔블루), 홍지윤 | |
72 | 229-231 | 6월 14일 6월 21일 6월 28일 | 이정현, 진서연, 남윤수 | 진서연, 남윤수 | 불닭 냉면 + 사과식초 모히토 | 이정신 (씨엔블루) | |
73이 출연하지만 경쟁에는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 232-235 | 7월 5일 7월 12일 7월 19일 7월 26일 | 모두의 저녁 | 장민호, 류수영, 김재중 | 김재중 | 매콤 들깨 오일 막국수 | 문성현 |
74이 출연하지만 경쟁에는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 236-238 | 8월 16일 8월 23일 8월 30일 | 류수영, 진서연, 이상우 | 이상우 | 매콤 갈비찜 덮밥 | 한해, 권은비 | |
75 | 239 241-242 244 | 9월 6일 9월 20일 9월 27일 10월 11일 | 장민호, 이찬원, 남윤수, 김재중 | 이찬원 | 매콤 감자탕 라면 | , 홍은채 (르세라핌) | |
76 | 240 243 246 | 9월 13일 10월 4일 10월 25일 | 5주년 특집: 세트 메뉴 | 이정현, 류수영, 이상우 | 류수영 | 숯불구이 돼지갈비 세트 | , 김재원 |
77 | 245 247 249 | 10월 18일 11월 1일 11월 15일 | 모두의 저녁 | 이정현, 장민호, 김재중 | 이정현 | 호두 마늘 줄기볶음 덮밥 + 레몬 크림 호두빵 | 이현이, |
78 | 248 250-252 | 11월 8일 11월 22일 12월 6일 12월 13일 | 류수영, 이찬원, 이상우 | 이상우 | 두부 돼지고기 볶음 칼국수 덮밥 | 표창원, | |
2024년 8월 2일과 9일에는 2024 하계 올림픽 생중계, 11월 29일에는 제45회 청룡영화상 생중계, 12월 20일에는 2024 뮤직뱅크 KBS 가요대축제 글로벌 페스티벌 생중계로 인해 방송이 결방되었다.
4. 우승 기록
wikitext
요리사 | 우승 횟수 | 참가 라운드 |
---|---|---|
류수영 | 15 | 17-19, 22, 24, 26, 28-31, 33-37, 39-42, 44-45, 48-49, 51-54, 56, 58-61, 63, 65-66, 68, 70, 73-74, 76, 78 |
이경규 | 10 | 1-12, 14, 16-17, 19, 21, 23, 25, 27, 29, 31, 33-34, 38, 40 |
이찬원 | 7 | 41-43, 45-52, 54-56, 58, 65, 75, 78 |
이정현 | 6 | 3-9, 59-61, 63-64, 66, 69-70, 72, 76-77 |
이영자 | 6 | 1-11, 13, 15, 17-18, 20, 22-24, 26, 28, 30, 32-33, 35, 37, 39 |
오윤아 | 4 | 8-14, 17, 20, 22, 25, 29, 35, 43, 57 |
김재원 | 4 | 16, 18-19, 21, 23-24, 28, 32, 37 |
이유리 | 3 | 5-8, 17-19, 21-24, 26, 28, 30, 44 |
박솔미 | 3 | 34, 36, 38, 40, 42, 46, 49, 52, 55 |
이상엽 | 3 | 64-66, 68, 70 |
정상훈 | 2 | 32-34, 37-39, 44, 53 |
한지혜 | 2 | 11-14, 25, 46, 62, 67 |
장민호 | 2 | 12, 67, 69, 71, 73, 75, 77 |
차예련 | 2 | 39, 41, 43, 45, 47, 49, 51, 53-54, 58, 68 |
강수정 | 2 | 56-57 |
이상우 | 2 | 74, 76, 78 |
정일우 | 1 | 1-6 |
돈스파이크 | 1 | 2 |
기태영 | 1 | 25, 27, 29, 31, 33, 35-36 |
추성훈 | 1 | 36, 44 |
박수홍 | 1 | 49-53, 55-56, 59-60, 62 |
송가인 | 1 | 60 |
진서연 | 1 | 63, 65, 67, 69, 72, 74 |
남윤수 | 1 | 64, 69, 72, 75 |
김재중 | 1 | 71, 73, 75, 77 |
정혜영 | 0 | 1 |
김나영 | 0 | 1-2 |
진세연 | 0 | 1-3 |
이혜성 | 0 | 4 |
심지호 | 0 | 7, 38, 43, 50 |
조정민 | 0 | 9 |
진성 | 0 | 10, 15 |
전혜빈 | 0 | 10-11 |
홍진영 | 0 | 13 |
한다감 | 0 | 14-15, 20 |
함연지 | 0 | 15 |
문정원 | 0 | 16 |
윤은혜 | 0 | 16, 20 |
홍석천 | 0 | 17 |
박정아 | 0 | 21, 27 |
간미연 | 0 | 23 |
김승수 | 0 | 26, 31 |
명세빈 | 0 | 27, 30, 61 |
이민영 | 0 | 32 |
추상미 | 0 | 33 |
박하나 | 0 | 40 |
이태곤 | 0 | 41, 47, 54 |
류진 | 0 | 42 |
박준금 | 0 | 45 |
김규리 | 0 | 46, 48 |
송재림 | 0 | 47 |
심이영 | 0 | 48 |
박탐희 | 0 | 50, 58 |
남보라 | 0 | 55, 62 |
박정수 | 0 | 57 |
최귀화 | 0 | 57 |
한해 | 0 | 59, 63 |
강율 | 0 | 61, 66, 71 |
양지은 | 0 | 62, 70 |
윤유선 | 0 | 67 |
한채영 | 0 | 68 |
5. 시청률
아래의 시청률은 '신상출시 편스토랑' 코너별 시청률이다. (참고: 코너별 시청률에는 광고 시간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일반 시청률에는 광고 시간이 포함되어 있다.)
아래 시청률에서 매년 해당 프로그램의 최고 시청률은 '''빨강'''으로, 최저 시청률은 '''파랑'''으로 표시한다.
회차 | 방송일 | AGB닐슨 시청률 (전국)[12][13] | |
---|---|---|---|
1부 | 2부 | ||
1 | 10월 25일 | 3.7% | 5.5% |
2 | 11월 1일 | 3.2% | 4.8% |
3 | 11월 8일 | 3.1% | 4.9% |
4 | 11월 15일 | 3.9% | 5.4% |
5 | 11월 22일 | 3.0% | 4.2% |
6 | 11월 29일 | 3.8% | 5.4% |
7 | 12월 6일 | 2.7% | 4.4% |
8 | 12월 13일 | 3.8% | 5.1% |
9 | 12월 20일 | 3.2% | 5.5% |
2022년 《신상출시 편스토랑》의 회차별 시청률 정보는 다음과 같다.[12][13]
회차 | 방송일 | AGB닐슨 시청률 (전국) |
---|---|---|
110 | 1월 7일 | 5.3% |
111 | 1월 14일 | 4.8% |
112 | 1월 21일 | 4.7% |
113 | 1월 28일 | 4.5% |
114 | 2월 4일 | 5.2% |
115 | 2월 18일 | 4.4% |
116 | 2월 25일 | 5.4% |
117 | 3월 4일 | 5.2% |
118 | 3월 11일 | 4.8% |
119 | 3월 18일 | 4.1% |
120 | 3월 25일 | 4.5% |
121 | 4월 1일 | 4.3% |
122 | 4월 8일 | 3.8% |
123 | 4월 15일 | 5.2% |
124 | 4월 22일 | 4.4% |
125 | 4월 29일 | 3.9% |
126 | 5월 6일 | 5.2% |
127 | 5월 13일 | 5.9% |
128 | 5월 20일 | 4.7% |
129 | 5월 27일 | 4.7% |
130 | 6월 3일 | 4.2% |
131 | 6월 10일 | 3.9% |
132 | 6월 17일 | 4.7% |
133 | 6월 24일 | 4.2% |
134 | 7월 1일 | 4.4% |
135 | 7월 8일 | 3.8% |
136 | 7월 15일 | 4.3% |
137 | 7월 22일 | 4.1% |
138 | 7월 29일 | 4.9% |
139 | 8월 5일 | 4.2% |
140 | 8월 12일 | 3.2% |
141 | 8월 19일 | 5.4% |
142 | 8월 26일 | 5.7% |
143 | 9월 2일 | 4.1% |
144 | 9월 9일 | 4.0% |
145 | 9월 16일 | 4.3% |
146 | 9월 23일 | 3.9% |
147 | 9월 30일 | 4.3% |
148 | 10월 7일 | 4.9% |
특집 | 10월 14일 | 4.0% |
149 | 10월 21일 | 4.1% |
150 | 10월 28일 | 4.5% |
151 | 11월 4일 | 4.8% |
152 | 11월 11일 | 5.0% |
153 | 11월 18일 | 4.0% |
154 | 12월 2일 | 4.9% |
155 | 12월 9일 | 5.0% |
156 | 12월 23일 | 5.0% |
157 | 12월 30일 | 4.8% |
5. 1. 2019년 시청률
회차 | 방송일 | AGB닐슨 시청률 (전국)[12][13] | |
---|---|---|---|
1부 | 2부 | ||
1 | 10월 25일 | 3.7% | |
2 | 11월 1일 | 3.2% | 4.8% |
3 | 11월 8일 | 3.1% | 4.9% |
4 | 11월 15일 | 3.9% | 5.4% |
5 | 11월 22일 | 3.0% | 4.2% |
6 | 11월 29일 | 3.8% | 5.4% |
7 | 12월 6일 | 4.4% | |
8 | 12월 13일 | 3.8% | 5.1% |
9 | 12월 20일 | 3.2% | |
5. 2. 2020년 시청률
wikitable
5. 3. 2021년 시청률
5. 4. 2022년 시청률
2022년 《신상출시 편스토랑》의 회차별 시청률 정보는 다음과 같다.[12][13]회차 | 방송일 | AGB닐슨 시청률 (전국) |
---|---|---|
110 | 1월 7일 | 5.3% |
111 | 1월 14일 | 4.8% |
112 | 1월 21일 | 4.7% |
113 | 1월 28일 | 4.5% |
114 | 2월 4일 | 5.2% |
115 | 2월 18일 | 4.4% |
116 | 2월 25일 | 5.4% |
117 | 3월 4일 | 5.2% |
118 | 3월 11일 | 4.8% |
119 | 3월 18일 | 4.1% |
120 | 3월 25일 | 4.5% |
121 | 4월 1일 | 4.3% |
122 | 4월 8일 | 3.8% |
123 | 4월 15일 | 5.2% |
124 | 4월 22일 | 4.4% |
125 | 4월 29일 | 3.9% |
126 | 5월 6일 | 5.2% |
127 | 5월 13일 | 5.9% |
128 | 5월 20일 | 4.7% |
129 | 5월 27일 | 4.7% |
130 | 6월 3일 | 4.2% |
131 | 6월 10일 | 3.9% |
132 | 6월 17일 | 4.7% |
133 | 6월 24일 | 4.2% |
134 | 7월 1일 | 4.4% |
135 | 7월 8일 | 3.8% |
136 | 7월 15일 | 4.3% |
137 | 7월 22일 | 4.1% |
138 | 7월 29일 | 4.9% |
139 | 8월 5일 | 4.2% |
140 | 8월 12일 | 3.2% |
141 | 8월 19일 | 5.4% |
142 | 8월 26일 | 5.7% |
143 | 9월 2일 | 4.1% |
144 | 9월 9일 | 4.0% |
145 | 9월 16일 | 4.3% |
146 | 9월 23일 | 3.9% |
147 | 9월 30일 | 4.3% |
148 | 10월 7일 | 4.9% |
특집 | 10월 14일 | 4.0% |
149 | 10월 21일 | 4.1% |
150 | 10월 28일 | 4.5% |
151 | 11월 4일 | 4.8% |
152 | 11월 11일 | 5.0% |
153 | 11월 18일 | 4.0% |
154 | 12월 2일 | 4.9% |
155 | 12월 9일 | 5.0% |
156 | 12월 23일 | 5.0% |
157 | 12월 30일 | 4.8% |
5. 5. 2023년 시청률
wikitable
5. 6. 2024년 시청률
wikitable
6. 수상 경력 및 후보
{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 | 결과 |
---|---|---|---|---|
2019 | 2019 KBS 연예대상 | 핫이슈 프로그램상 | 신상출시 편스토랑 | 수상 |
쇼·오락 부문 우수상 | 도경완 | 수상 | ||
쇼·오락 부문 신인상 | 정일우 | 수상 | ||
베스트 커플상 | 이경규, 이영자 | 수상 | ||
방송작가상 | 백순영 작가 | 수상 | ||
2020 | 2020 KBS 연예대상 | 쇼 버라이어티부문 신인상 | 김재원 | 수상 |
리얼리티 베스트 엔터테이너상 | 오윤아, 류수영 | 수상 | ||
프로듀서 특별상 | 이영자 | 수상 | ||
리얼리티 부문 우수상 | 이유리 | 수상 | ||
2021 | 2021 KBS 연예대상 | 핫이슈 예능인상 | 이연복 | 수상 |
인기상 | 류수영 | 수상 | ||
리얼리티 부문 우수상 | 오윤아 | 수상 | ||
2022 | 2022 KBS 연예대상 | 베스트 엔터테이너상 | 차예련 | 수상 |
쇼·버라이어티 부문 우수상 | 이찬원 | 수상 | ||
쇼·버라이어티 부문 최우수상 | 류수영 | 수상 | ||
2023 | 2023 KBS 연예대상 | 리얼리티 부문 신인상 | 진서연 | 수상 |
프로듀서 특별상 | 붐 | 수상 | ||
리얼리티 부문 최우수상 | 이찬원 | 수상 | ||
올해의 예능인상 | 류수영 | 수상 | ||
2024 | KBS 연예대상 | 리얼리티 부문 남자 신인상 | 이상우 | 수상 |
베스트 아이콘상 | 이연복 | 수상 | ||
리얼리티 부문 남자 최우수상 | 장민호 | 수상 |
7. 결방 및 편성 변경
- 12월 27일: 《2019 KBS 가요대축제》 중계방송으로 결방.
- 1월 24일: 설 특집으로 저녁 8시 20분에 조기 방송.
- 5월 15일: KBS 스포츠 2020년 KBO 리그 정규시즌 《롯데 자이언츠 VS 한화 이글스》 중계방송으로 밤 10시에 지연 방송.
- 10월 2일: 추석특선영화 《엑시트》 편성으로 밤 10시에 지연 방송.
- 11월 20일: KBS 스포츠 2020년 한국시리즈 3차전 《NC 다이노스 VS 두산 베어스》 중계방송으로 결방.
- 12월 18일: 《2020 KBS 가요대축제》 중계방송으로 결방.
- 2월 12일: 설 특집으로 밤 10시 10분에 지연 방송.
- 7월 30일: 《2020 도쿄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저녁 8시 50분에 조기 방송.
- 8월 6일: 《2020 도쿄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밤 11시 30분에 지연 방송.
- 11월 26일: 제42회 《청룡영화상》 시상식 중계방송으로 결방.
- 12월 17일: 《2021 KBS 가요대축제》 중계방송으로 결방.
- 12월 31일: 《2021 KBS 연기대상》 시상식 중계방송으로 결방.
- 2월 11일: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결방.
- 8월 12일: 《서울 페스타 2022 개막공연 K-POP SUPER LIVE》 편성으로 밤 10시 30분에 지연 방송.
- 9월 9일: 추석 특집 밤 9시 지연 방송.
- 10월 14일: 스페셜 편성으로 결방.
- 11월 25일: 제43회 《청룡영화상》 시상식 중계방송으로 결방.
- 12월 16일: 《2022 KBS 가요대축제》 중계방송으로 결방.
- 3월 10일: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대한민국 VS 일본》 중계방송으로 결방.
- 3월 31일: 《202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개막공연》 편성으로 밤 9시 지연 방송.
- 8월 11일: 《2023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K-POP 슈퍼라이브》 편성으로 밤 9시 10분 지연 방송.
- 9월 29일: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으로 저녁 5시 방송.
- 10월 6일: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으로 결방.
- 11월 10일: 2023년 한국시리즈 3차전 중계방송으로 밤 10시 40분 방송.
- 11월 24일: 제44회 《청룡영화상》 시상식 중계방송으로 결방.
- 12월 15일: 《2023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 중계방송으로 결방.
- 7월 19일: 《제3회 청룡시리즈어워즈》 시상식 중계방송으로 밤 10시 50분 지연 방송.
- 8월 2일 ~ 8월 9일: 《2024년 파리 하계 올림픽》 중계 방송으로 결방.
- 11월 29일: 제45회 《청룡영화상》 시상식 중계방송으로 결방.
- 12월 20일: 《2024년 KBS 가요대축제》 중계방송으로 결방.
- 1월 3일: 제주항공 사고로 결방.
참조
[1]
뉴스
'편스토랑' 이경규·이영자·정혜영·김나영·정일우·진세연, 포폭절도 첫 만남 포착
http://pop.heraldcor[...]
2019-10-18
[2]
뉴스
How to make the South Korean trend Dalgona Coffee
https://lifestyle.in[...]
Philippine Daily Inquirer
2020-03-22
[3]
웹사이트
I tried making dalgona coffee, the newest TikTok craze, and it was definitely worth the hype
https://www.insider.[...]
2020-04-10
[4]
뉴스
How to Make Whipped Coffee
https://www.nytimes.[...]
2020-04-16
[5]
웹사이트
Ilwoo's Mukbang at Macau [Stars' Top Recipe at Fun-Staurant/2020.01.13]
https://www.youtube.[...]
2020-01-13
[6]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Stars' Top Recipe at Fun-Staurant
http://program.kbs.c[...]
[7]
뉴스
KBS 예능 '편스토랑' 우승 메뉴 GS25가 출시
https://n.news.naver[...]
2022-05-02
[8]
뉴스
5주년 '편스토랑'…"기부금 6억7316만 원·출시 메뉴 78종"
https://m.entertain.[...]
2024-10-25
[9]
뉴스
'편스토랑', 누적 기부금 5억 8000만 원 돌파
https://entertain.na[...]
2023-11-30
[10]
뉴스
[단독] 이원일, 방송 잠정중단…'편스토랑' 향후 촬영 불참
https://www.news1.kr[...]
2020-04-23
[11]
뉴스
'편스토랑' 우승에도 통편집된 김호중, 결국 KBS에서 못 본다
https://m.entertain.[...]
2024-05-29
[12]
웹사이트
AGB Nielsen Ratings From Naver
https://search.naver[...]
[13]
웹사이트
Nielsen Korea
http://www.nielsenko[...]
[14]
뉴스
KBS의 고질적 문제...'연예대상'으로 살펴본 2019 KBS예능
https://entertain.na[...]
2019-12-22
[15]
뉴스
'1박2일'부터 '슈돌'까지, '2020 KBS 연예대상' 최고의 프로그램 후보 공개
https://entertain.na[...]
2020-12-16
[16]
뉴스
[2020 KBS 연예대상]'대상' 김숙·'최고의 프로그램상' 1박2일(종합)
https://entertain.na[...]
2020-12-24
[17]
웹사이트
[2021 KBS 연예대상] 이연복 정호영 셰프, 핫이슈 예능인상
https://www.mk.co.kr[...]
2021-12-25
[18]
웹사이트
허재, 이영자·사유리·류수영 제치고 리얼리티 부문 최우수상 [KBS연예대상]
http://www.mydaily.c[...]
2021-12-25
[19]
웹사이트
[2021 KBS 연예대상] 오윤아 장민호 리얼리티 우수상 "민이·김갑수 덕"
https://www.mk.co.kr[...]
2021-12-25
[20]
웹사이트
'인기상' 류수영 "요리 시작한 남편들과 이 영광을... '편스토랑' 제작진 감사"
https://www.hankooki[...]
2021-12-25
[21]
웹사이트
상복 터진 '불후', 신동엽 대상→올해의 프로그램상 [종합] [2022 KBS 연예대상]
https://n.news.naver[...]
Naver
2022-12-24
[22]
웹사이트
'1박2일' KBS 연예대상 '대상' 수상…연정훈 눈물 "4년간 기적같은 경험"[종합]
https://news.nate.co[...]
2023-12-23
[23]
문서
2022년 5월 6일부터
[24]
문서
(지상파·종편 중간광고 포함)
[25]
문서
강남&이상화, 추성훈 팀으로 출연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