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창 표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창 표씨는 중국 후주의 이부상서 표대박이 고려에 귀화하여 정착한 것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고려 충숙왕 때 좌리공신 표인려를 기세조로 하며, 조선 시대에 표계, 표연말, 표빙, 표빈 등 문과 급제자를 배출했다. 주요 인물로는 표연말, 표빈, 표창원 등이 있으며, 본관은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일대인 신창이다. 2015년에는 약 2만 8천 명의 인구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창 표씨 - 표창원
    표창원은 경찰대 졸업 후 범죄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고 경찰청 및 경찰대학 교수를 지냈으며, 국정원 여론 조작 사건 비판 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을 거쳐 현재 표창원 범죄과학연구소를 운영하며 방송 활동을 하는 정치인이자 범죄심리학자이다.
  • 신창 표씨 - 표재순
    표재순은 연극, 영화, 방송 분야에서 활동하며 서울올림픽 개회식 총연출, SBS 전무이사, 세종문화회관 이사장 등을 역임하고 백상예술대상 등을 수상한 인물이다.
신창 표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문 이름신창 표씨
한자 표기新昌 表氏
관향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국가한국
시조
시조(표대박)
시조 (한자)表大㺪
중시조
중시조표일준(表仁呂)
주요 인물
주요 인물표창원
P.O
표예진
표현태
표영준
표승주
통계 정보
2015년 인구28,894명
기타 정보
관련 웹사이트신창표씨 중앙종친회

2. 기원

중국 오계시대(五季時代) 후주의 이부상서(吏部尙書) '''표대박'''(表大㺪)이 후주가 멸망한 960년(광종 11년) 장(張), 방(方), 위(韋), 변(邊), 윤(尹), 진(秦), 감(甘), 황보(皇甫) 등 8성과 함께 고려에 귀화하였다.[4]

표대박 이후 세보가 실전되어 충숙왕 때 좌리공신(左理功臣)에 올라 온창백(溫昌伯)에 봉해진 '''표인려'''(表仁呂)를 기세조로 한다.

3. 역사

1세 표인려(表仁呂)는 합문지후, 2세 표광원(表光遠)은 대부, 3세 표을충(表乙忠)은 군기시소윤을 지냈다.

4세손 장남 표하(表河)는 온수감무, 둘째 표별(表潎)은 참봉, 셋째 표의(表漪)는 예조참의를 역임했다.

표하의 아들 표계는 1429년(세종 11년) 문과에 급제하여 사헌부 감찰을 역임했다.[6]

표계의 아들 '''표연말'''은 1472년(성종 3년)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판, 대사성, 대제학을 역임하였다.[7]

표연말의 아들 표빙은 1513년(중종 8년)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직제학에 이르렀다.[8]

표별(表潎)의 증손 표빈은 1520년(중종 15년) 문과에 급제하여 형조 좌랑, 사헌부 집의, 전라도 도사, 울산군수, 안동부사, 김해부사 등을 지냈고,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표빈의 아들 표헌이 1607년(선조 40년) 선무원종 1등 공신으로 녹훈되면서 표빈도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으로 증직되었다.[9]

4. 주요 인물

시대이름생몰년주요 경력
고려/조선표계(表繼)?5세손, 사헌부 감찰
고려/조선표영중(表永中)?표명수(表明秀)의 아들, 도사(都事)
고려/조선표연말(表沿沫)1449년 ~ 1498년대사성, 대제학, 『성종실록』 편찬,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 이조판서 추증
고려/조선표빙(表憑)? ~ 1524년사헌부집의,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
고려/조선표빈(表贇)1486년 ~ 1563년형조 좌랑, 사헌부 집의, 청백리
고려/조선표헌(表憲)?어전통사, 명나라 사신 접견, 진위사/고급사 통역관
고려/조선표정로(表廷老)?원접사 역관, 명나라 사신이 조선을 문헌(文獻)의 나라라고 극찬, 지중추부사
고려/조선표정준(表廷俊)?무과 급제, 만호(萬戶)·첨사(僉使), 현감
현대표현태(表鉉台)1903년 ~ 1982년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현대표양문(表良文)1907년 ~ 1962년초대 인천시장, 제3대 국회의원
현대표세진(表世振)1937년 ~ 2005년대한민국 제8대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현대표완수(表完洙)1947년 ~前 YTN 사장, 시사IN 대표
현대표학길(表鶴吉)1948년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현대표시열(表時烈)1949년 ~고려대학교 공공행정학부 교수
현대표철수(表哲洙)1950년 ~방송위원회 사무총장, 제10대 경기도 정무부지사
현대표창원(表蒼園)196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5. 본관

신창(新昌)은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일대의 지명이다. 백제의 굴직현(屈直縣)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기량현(祁梁縣)으로 고쳐 온정군(溫井郡)에 속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는 신창현(新昌縣)으로 개칭하였다. 1414년(태종 14)에 온수현(溫水縣)과 합하여 온창(溫昌)이라 하였다가 신창현이 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충청도 신창현의 토성(土姓)으로 표(表)·(孟)·(方)·(趙) 4성이 기록되어 있다. 1896년 충청남도 아산군에 속했고, 1917년 신창면이 되었다.

6. 항렬자

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
在재
榮영
鍾종
烈렬
世세
基기
重중
善선
熙희
炅경
垠은
圭규
錫석
鎭진
海해
澤택
楨정
椿춘
烈렬
煥환
奎규
坤곤
鉉현
鉄철
模모
榮영


7. 인구

연도인구(가구)
1985년23,613명 (5,629가구)
2000년24,822명 (7,805가구)
2015년28,894명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신창표씨 新昌表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논문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7
[4] 웹인용 신창 표씨 http://asan.grandcul[...]
[5] 문서 『고려사』 卷一百三十七 列傳 卷第五十 昌王 元年 http://db.history.go[...]
[6]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표계
[7]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표연말
[8]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표빙
[9] 웹인용 표빈 http://geochang.gr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