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칸센 923형 전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칸센 923형 전동차는 도카이 여객철도와 서일본 여객철도가 소유한 7량 편성의 신칸센 검측차이다. 700계를 기반으로 제작되어 270km/h의 최고 속도로 운행하며, 전기, 궤도, 가선 상태를 점검하는 다양한 장비를 갖추고 있다. 2000년에 T4편성이, 2005년에 T5편성이 도입되었으며, 2025년과 2027년을 목표로 각각 퇴역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카이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700계 전동차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의 고속화를 위해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한 신칸센 700계 전동차는 0계 및 100계 전동차를 대체하여 1999년부터 최고 속도 285km/h로 운행되었으며, 노조미, 히카리, 히카리 레일스타 등으로 운행된 다양한 모델이 있다. - 도카이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N700계 전동차
신칸센 N700계 전동차는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하여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의 수송력 증강과 속도 향상을 목표로 틸팅 시스템을 통해 곡선 구간에서의 속도 저하를 최소화하고 승차감을 개선한 고속철도 차량으로, 최고 영업 속도 300km/h로 노조미, 히카리, 코다마 등 다양한 등급으로 운행되며 산요·규슈 신칸센 직통 운행을 위한 8량 편성 모델도 존재한다. - 서일본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700계 전동차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의 고속화를 위해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한 신칸센 700계 전동차는 0계 및 100계 전동차를 대체하여 1999년부터 최고 속도 285km/h로 운행되었으며, 노조미, 히카리, 히카리 레일스타 등으로 운행된 다양한 모델이 있다. - 서일본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500계 전동차
신칸센 500계 전동차는 서일본여객철도가 개발한 최고 속도 300km/h의 신칸센 차량으로, 독특한 공기역학적 디자인과 원통형 차체가 특징이며, 현재는 코다마 등급으로 운행되거나 특별 테마 열차 및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 철도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철도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신칸센 923형 전동차 | |
|---|---|
| 차량 정보 | |
| 차량 이름 | 신칸센 923형 전동차 |
| 제작사 | 닛폰차량제조 히타치 제작소 |
| 제작 연도 | 2000년 ~ 2005년 |
| 생산량 | 2편성 28량 |
| 사용량 | 2편성 28량 |
| 운용자 | 도카이 여객철도 서일본 여객철도 |
| 차체 | 알루미늄 합금 |
| 규격 | |
| 전기 방식 | 교류 25,000V, 60Hz (가공 전차선 방식) |
| MT비 | 6M1T |
| 편성량수 | 7량 |
| 편성 중량 (T4 편성) | 310.3 t |
| 상용 감속도 | 2.7 km/h/s (0 - 70 km/h), 1.55 km/h/s (230 km/h), 1.40 km/h/s (270 km/h) |
| 비상 감속도 | 3.64 km/h/s (0 - 70 km/h), 2.03 km/h/s (230 km/h), 1.82 km/h/s (270 km/h) |
| 동력 장치 | |
| 주전동기 형식 | 농형 3상 유도 전동기 (TMT6A, TMT7A, TMT8) (T4 편성) |
| 주전동기 출력 | /기 |
| 구동 방식 | WN 구동 방식 |
| 기어비 | 2.96 |
| 제어 방식 | PWM 컨버터 + VVVF 인버터 제어 (IGBT) |
| 제어 장치 | TCI 2B형 주 변환 장치 (T4 편성) |
| 제동 장치 | |
| 제동 방식 | 회생 제동 병용 전기 지령식 공기 브레이크 (응하중 장치 부착), 와전류식 디스크 브레이크 |
| 대차 | |
| 대차 형식 (T4 편성) | 코일 스프링 + 원뿔 적층 고무식 볼스터리스 대차 (TDT204, TDT204A (전동차), TTR8001 (부수차)) |
| 대차 형식 (T5 편성) | WDT206 (전동차), WTR8001 (부수차) |
| 보안 장치 | |
| 보안 장치 | ATC-1형, ATC-NS |
| 운행 정보 | |
| 운행 종료 예정 | JR도카이(도카이도 신칸센): 2025년 1월 예정, JR서일본(산요 신칸센): 2027년도 예정 |
| 이미지 | |
![]() | |
2. 개발 배경 및 역사
2. 1. 개발 배경
2. 2. 도입 및 퇴역
3. 923형의 특징 및 구조
7량 편성으로 제작되었으며, 1 - 3호차는 히타치 제작소 카사도 사업소, 4 - 7호차는 일본 차량 제조 도요카와 제작소에서 제작되었으며, 일본 차량 제조사 제작분은 재래선을 통해 갑종 수송되었다.[15]
700계와 차체 구조 및 각종 부품을 공통화하여 보수 효율을 높였다.
차체는 700계와 마찬가지로 대형 알루미늄 합금 중공 압출재를 사용한 이중피부 구조를 채택했지만, 지붕 구조는 경량화를 위해 싱글 스킨 구조로 제작되었으며, 다양한 측정 장치의 장착을 용이하게 했다.
천장과 바닥 안에는 전용 측정 배선 공간이 마련되어 접근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향후 증설 및 갱신에 대응할 수 있도록 측정 장치 장착은 커튼 레일 방식을 채택했다.
== 차량 외관 ==
차체 색상은 노란색을 기본으로 하며 파란색(청15호) 스트라이프가 배치되어 있다. 차체 색상이 노란색인 이유는 어두운 곳에서도 인식되어 점검차임을 알리기 위함이다.[6] 또한 차체 색상의 노란색은 T3편성까지의 카나리아색(황5호)에서 더 밝고 선명한 프레시 옐로우로 변경되었다.
선두부는 700계와 마찬가지로 에어로 스트림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전조등 하부, 차체 중앙에 전방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미등이 이 카메라의 좌우에 배치되어 있으며, 영업용 700계에서는 미등인 좌우 2등도 전조등(이 등화만, 제논 또는 HID 라이트라고도 불리는, 흰색의 디스차지 헤드 램프)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조등은 700계의 4등에 비해 6등으로, 시인성 향상을 꾀했다.
측면 미닫이 문이 넓어졌고, 기존 차량에 있던 기기 반입구가 폐지되었으며, 창문 수는 필요 최소한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에 측면 창문이 어긋난 배치로 되어 있다.
== 주행 장치 ==
923형 전동차의 주행 장치는 기본적으로 700계를 기반으로 하며, 가감속도 역시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4량 1유닛(T+M2+M'+M1)을 기본으로 구성하지만, 편성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1호차부터 3호차까지의 제1유닛은 3량(M1c+M'+M2)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양쪽 선두차에는 새로운 제어 전동차(M1c)가 설정되었고, 기존에 부수차에 탑재되던 공기 압축기 및 보조 전원 장치 등의 보조 기기들이 전동차에 통합되어 탑재되었다.[2] 또한, 계측 기기 등의 전원 공급 및 정전 대책을 위해 M'차 차내에는 210kVA 전원 장치와 납축전지가 탑재되었다.[2]
T4 편성은 제조사에 따라 전기 부품이 나뉘어져 있는데, 주 변압기는 미쓰비시 전기제, 주 변환 장치는 후지 전기, 도시바, 히타치 제작소제, 주 전동기는 미쓰비시 전기, 도시바, 도요 전기 제조 제품이다.[2]
0계를 기반으로 제작된 922형의 최고 속도는 210km/h였으나, 700계를 기반으로 한 923형은 최고 속도가 270km/h로 향상되어 열차 운행에 대한 지장을 줄였다.
== 검측 장치 ==
923형 전동차에는 신형 측정 장비 및 표시 장치 등이 탑재되어 있으며, 배치 및 구획실 등도 922형과는 다르다.
T4편성 이후에는 차체 하부에 설치된 레이저 기준선과 대차의 광학식 레일 센서와의 상대 변위 검출 방식으로 개선되었다. 궤도 검측차(부수차)는 다른 차량과 같은 2개의 대차에 차체 길이도 25m로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형식도 다른 호차와 마찬가지로 923형에 포함되어 있다. 2개의 대차 방식의 궤도 검측에 대응하기 위해, 대차나 차체에 주행 중의 진동이나 변형이 전달되지 않도록 부착 방식이 연구되었다.
궤도의 변위를 측정하는 레일 변위 센서는 속도 증가에 따른 상하 진동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922형에 비해 틀의 강성을 높이고 진동 감쇠율을 높였다. 센서 자체도 PSD(반도체 위치 검출 소자) 등이 사용되어 경량화되었다. 궤도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선은 레이저 광선을 통과시켜 이를 기준선으로 삼았다. 이를 통해 270km/h에서의 측정에서도 측정 정밀도를 유지하고 선로의 왜곡을 밀리미터 단위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가속도계 증설로 922형보다 궤도와 차량의 움직임의 관계를 더욱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가선(전차선)의 마모 측정에서는 레이저 조사가 922형보다 증가했으며, 측정 간격이 줄어들어 정밀도가 높아졌다.
== 대차 ==
700계와 마찬가지로, 전동차는 T4편성은 TDT204형, T5편성은 WDT206형 볼스터리스 대차이며, 양쪽 선두차에는 세미 액티브 제어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1호차·2호차의 하카타 쪽과 7호차의 도쿄 쪽 대차는 측정 장치가 부착된 전용 대차(TDT204A(T4편성), WDT206A(T5편성))가 장착되어 있다.
4호차의 궤도 검측차는, 검측 틀 등 각종 측정 기능이 부착된 TTR8001형(T4편성) 또는 WTR8001형(T5편성) 측정 대차이다. 이 대차는 요 댐퍼를 1대차당 4개로 하고, 검측 장치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ECB 장치를 장비하지 않았다.
== 집전 장치 ==
2호차와 6호차에는 각각 집전용 1기, 검측용 1기의 팬터그래프가 탑재되어 있다.[17] 1량에 2기의 싱글 암 팬터그래프(TPS302)가 같은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차체 길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팬터그래프 커버에 수납되어 있다.
측정 주행 시에는 측정용 팬터그래프는 진행 전방 차량, 집전용 팬터그래프는 진행 후방 차량의 것을 사용하며, 동일 차량의 2기 팬터그래프를 동시에 올려 주행하는 일은 없다(시운전 등, 측정 이외의 특수한 운전의 경우는 제외).
3호차와 5호차에는 차량용과는 별도로 측정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측정용 정지형 변환 장치가 1대씩 설치되어 있다. 정격 출력은 60kVA이며, 각 측정 장치에 AC100V가 공급된다.
정전 시에도 측정 장치가 10분간 구동될수 있도록 3·4·5호차에 배터리가 분산 배치되어 있다.
== 차내 구성 ==
각 차량은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되며, 1 - 3호차와 6호차는 전기 측정 관련, 4호차는 궤도 측정 관련 차량이다.[16] 장시간 측정을 고려하여 인체공학에 기반, 측정원이 피로를 덜 느끼도록 디자인되었으며, 측정실은 밝은 내추럴 그레이 계열의 모노톤으로 측정 장치와 색조를 맞추고, 실내 색상이 단조롭지 않도록 손잡이는 파란색, 창문 아래 공조 배출구는 짙은 회색으로 포인트를 주어 측정원의 눈의 피로를 방지한다. 영업용 차량과는 달리 차내 방음 설비는 별로 없으며, 연결부 덮개 안쪽은 케이블이 노출되어 있다.[5][17]
조작 계통, 스위치류, 계기류, 레카로사(Recaro)의 세미 버킷 시트 등은 베이스 차량인 700계에 준하지만, 측정용 팬터그래프 승강 스위치 등 측정 장치 일부 기기에 대한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1호차는 전기 검측실로, 전기, 신호, 통신 관계 측정대가 있으며, 주행 중 모니터에 표시되는 신호·통신·변전소·전차선 각 상태의 측정 결과를 검측원이 확인한다.[16] 객실 바닥에는 융단이 깔려 있고, 좌우 중앙부에 앞뒤로 나뉜 콘솔이 배치, 막다른 벽면에는 2대의 비디오 데크가 매립되어 있다. 2호차는 전력·집전 상태(가선 마모) 측정을 실시하며, 팬터그래프 등 전기 설비 측정 데이터를 제작하는 고압실 등이 있고,[5][16] 측정원이 탑승할 공간은 없다. 차내에 탑재된 "가선 마모 레이저 장치"는 차내에서 가선(전차선)을 향해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 강도와 폭으로 가선의 잔존 직경을 계측한다.
3호차는 전력 관계 측정을 수행하며, 지붕에 팬터그래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관측 돔이 설치, 전용 좌석이 있다.[5] 카메라는 비디오로 녹화되어 1호차 "전기 검측실" 모니터로 전송되며, 관측 돔에는 와이퍼 등의 스위치도 있다.[16] 관측 돔 반대편에는 측정용 전원과 대용량 배터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관측 돔을 유선형으로 만들어 소음 감소를 꾀하고 있다. 데이터 정리실은 테이블, 의자, 로커가 있으며, 도쿄 쪽 차단부에는 700계와 같은 양식 변소와 세면대가 설치, 차체 하부에는 오물 처리 장치와 급수 장치가 각각 탑재되어 있다.
4호차는 궤도 검측차량으로, 궤도 검측실이 있다. 측정용 대차를 장착하기 때문에 유일하게 부수차이며, 바닥도 다른 차량보다 약간 높고,[17] 승강구에 계단이 설치되어 있다.[5] 차량 중앙부 해안 쪽으로 넓은 콘솔이 배치, 궤도 상황을 측정·분석하며, 전방 감시 장치 영상도 확인, 후면 벽 상부에는 영업용 차량과 같은 LED식 스크롤 표시기가 있어 현재 위치와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5][16] 4호차에도 데이터 정리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산 쪽에 원탁 모양 책상이 배치되어 있다.[18] 4호차만 열에 의한 검측에 영향을 막기 위해, 지붕은 태양광을 흡수하기 어려운 흰색으로 칠해져 있다.
5호차는 3호차와 마찬가지로 관측 돔이 설치되어 있지만,[16] 계단 주변 구조가 약간 다르다. 휴게실은 등받이를 젖히고 보조 의자를 사용하면 눕는 것도 가능하다. 이쪽도 3호차와 마찬가지로 도쿄 방면 차량 단부에 화장실과 세면대가 설치되어 있다.
6호차에는 미팅룸이 설치되어 각종 회의 등에 사용되며, 팬터그래프 등 교환용 부품과 검사 작업에 필요한 도구, 비상시 복구 자재를 싣는 길이 7.4m에 달하는 자재 탑재 공간이 있다. 자재를 쉽게 싣고 내릴 수 있도록 승강구 문 폭이 넓어져 있으며,[5] 레일이나 크레인과 같은 중량물을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16] 그 외에, 전력 관계 측정 기기실과 고압 기기실이 설치되어 있다.
7호차는 각종 시승, 시찰 등에 대응하는 승무원실로, 700계에 준하는 "3-2" 배열 좌석이 10열 배치되어 있으며,[5] 정원은 50명이다. 또한 대형 모니터도 설치되어 있다.[16]
3. 1. 차량 외관
차체 색상은 노란색을 기본으로 하며 파란색(청15호) 스트라이프가 배치되어 있다. 차체 색상이 노란색인 이유는 어두운 곳에서도 인식되어 점검차임을 알리기 위함이다.[6] 또한 차체 색상의 노란색은 T3편성까지의 카나리아색(황5호)에서 더 밝고 선명한 프레시 옐로우로 변경되었다.선두부는 700계와 마찬가지로 에어로 스트림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전조등 하부, 차체 중앙에 전방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미등이 이 카메라의 좌우에 배치되어 있으며, 영업용 700계에서는 미등인 좌우 2등도 전조등(이 등화만, 제논 또는 HID 라이트라고도 불리는, 흰색의 디스차지 헤드 램프)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조등은 700계의 4등에 비해 6등으로, 시인성 향상을 꾀했다.
측면 미닫이 문이 넓어졌고, 기존 차량에 있던 기기 반입구가 폐지되었으며, 창문 수는 필요 최소한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에 측면 창문이 어긋난 배치로 되어 있다.
3. 2. 주행 장치
923형 전동차의 주행 장치는 기본적으로 700계를 기반으로 하며, 가감속도 역시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4량 1유닛(T+M2+M'+M1)을 기본으로 구성하지만, 편성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1호차부터 3호차까지의 제1유닛은 3량(M1c+M'+M2)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양쪽 선두차에는 새로운 제어 전동차(M1c)가 설정되었고, 기존에 부수차에 탑재되던 공기 압축기 및 보조 전원 장치 등의 보조 기기들이 전동차에 통합되어 탑재되었다.[2] 또한, 계측 기기 등의 전원 공급 및 정전 대책을 위해 M'차 차내에는 210kVA 전원 장치와 납축전지가 탑재되었다.[2]T4 편성은 제조사에 따라 전기 부품이 나뉘어져 있는데, 주 변압기는 미쓰비시 전기제, 주 변환 장치는 후지 전기, 도시바, 히타치 제작소제, 주 전동기는 미쓰비시 전기, 도시바, 도요 전기 제조 제품이다.[2]
0계를 기반으로 제작된 922형의 최고 속도는 210km/h였으나, 700계를 기반으로 한 923형은 최고 속도가 270km/h로 향상되어 열차 운행에 대한 지장을 줄였다.
3. 3. 검측 장치
923형 전동차에는 신형 측정 장비 및 표시 장치 등이 탑재되어 있으며, 배치 및 구획실 등도 922형과는 다르다.T4편성 이후에는 차체 하부에 설치된 레이저 기준선과 대차의 광학식 레일 센서와의 상대 변위 검출 방식으로 개선되었다. 궤도 검측차(부수차)는 다른 차량과 같은 2개의 대차에 차체 길이도 25m로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형식도 다른 호차와 마찬가지로 923형에 포함되어 있다. 2개의 대차 방식의 궤도 검측에 대응하기 위해, 대차나 차체에 주행 중의 진동이나 변형이 전달되지 않도록 부착 방식이 연구되었다.
궤도의 변위를 측정하는 레일 변위 센서는 속도 증가에 따른 상하 진동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922형에 비해 틀의 강성을 높이고 진동 감쇠율을 높였다. 센서 자체도 PSD(반도체 위치 검출 소자) 등이 사용되어 경량화되었다. 궤도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선은 레이저 광선을 통과시켜 이를 기준선으로 삼았다. 이를 통해 270km/h에서의 측정에서도 측정 정밀도를 유지하고 선로의 왜곡을 밀리미터 단위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가속도계 증설로 922형보다 궤도와 차량의 움직임의 관계를 더욱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가선(전차선)의 마모 측정에서는 레이저 조사가 922형보다 증가했으며, 측정 간격이 줄어들어 정밀도가 높아졌다.
3. 4. 대차
700계와 마찬가지로, 전동차는 T4편성은 TDT204형, T5편성은 WDT206형 볼스터리스 대차이며, 양쪽 선두차에는 세미 액티브 제어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1호차·2호차의 하카타 쪽과 7호차의 도쿄 쪽 대차는 측정 장치가 부착된 전용 대차(TDT204A(T4편성), WDT206A(T5편성))가 장착되어 있다.4호차의 궤도 검측차는, 검측 틀 등 각종 측정 기능이 부착된 TTR8001형(T4편성) 또는 WTR8001형(T5편성) 측정 대차이다. 이 대차는 요 댐퍼를 1대차당 4개로 하고, 검측 장치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ECB 장치를 장비하지 않았다.
3. 5. 집전 장치
2호차와 6호차에는 각각 집전용 1기, 검측용 1기의 팬터그래프가 탑재되어 있다.[17] 1량에 2기의 싱글 암 팬터그래프(TPS302)가 같은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차체 길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팬터그래프 커버에 수납되어 있다.측정 주행 시에는 측정용 팬터그래프는 진행 전방 차량, 집전용 팬터그래프는 진행 후방 차량의 것을 사용하며, 동일 차량의 2기 팬터그래프를 동시에 올려 주행하는 일은 없다(시운전 등, 측정 이외의 특수한 운전의 경우는 제외).
3호차와 5호차에는 차량용과는 별도로 측정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측정용 정지형 변환 장치가 1대씩 설치되어 있다. 정격 출력은 60kVA이며, 각 측정 장치에 AC100V가 공급된다.
정전 시에도 측정 장치가 10분간 구동될수 있도록 3·4·5호차에 배터리가 분산 배치되어 있다.
3. 6. 차내 구성
각 차량은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되며, 1 - 3호차와 6호차는 전기 측정 관련, 4호차는 궤도 측정 관련 차량이다.[16] 장시간 측정을 고려하여 인체공학에 기반, 측정원이 피로를 덜 느끼도록 디자인되었으며, 측정실은 밝은 내추럴 그레이 계열의 모노톤으로 측정 장치와 색조를 맞추고, 실내 색상이 단조롭지 않도록 손잡이는 파란색, 창문 아래 공조 배출구는 짙은 회색으로 포인트를 주어 측정원의 눈의 피로를 방지한다. 영업용 차량과는 달리 차내 방음 설비는 별로 없으며, 연결부 덮개 안쪽은 케이블이 노출되어 있다.[5][17]조작 계통, 스위치류, 계기류, 레카로사(Recaro)의 세미 버킷 시트 등은 베이스 차량인 700계에 준하지만, 측정용 팬터그래프 승강 스위치 등 측정 장치 일부 기기에 대한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1호차는 전기 검측실로, 전기, 신호, 통신 관계 측정대가 있으며, 주행 중 모니터에 표시되는 신호·통신·변전소·전차선 각 상태의 측정 결과를 검측원이 확인한다.[16] 객실 바닥에는 융단이 깔려 있고, 좌우 중앙부에 앞뒤로 나뉜 콘솔이 배치, 막다른 벽면에는 2대의 비디오 데크가 매립되어 있다. 2호차는 전력·집전 상태(가선 마모) 측정을 실시하며, 팬터그래프 등 전기 설비 측정 데이터를 제작하는 고압실 등이 있고,[5][16] 측정원이 탑승할 공간은 없다. 차내에 탑재된 "가선 마모 레이저 장치"는 차내에서 가선(전차선)을 향해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 강도와 폭으로 가선의 잔존 직경을 계측한다.
3호차는 전력 관계 측정을 수행하며, 지붕에 팬터그래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관측 돔이 설치, 전용 좌석이 있다.[5] 카메라는 비디오로 녹화되어 1호차 "전기 검측실" 모니터로 전송되며, 관측 돔에는 와이퍼 등의 스위치도 있다.[16] 관측 돔 반대편에는 측정용 전원과 대용량 배터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관측 돔을 유선형으로 만들어 소음 감소를 꾀하고 있다. 데이터 정리실은 테이블, 의자, 로커가 있으며, 도쿄 쪽 차단부에는 700계와 같은 양식 변소와 세면대가 설치, 차체 하부에는 오물 처리 장치와 급수 장치가 각각 탑재되어 있다.
4호차는 궤도 검측차량으로, 궤도 검측실이 있다. 측정용 대차를 장착하기 때문에 유일하게 부수차이며, 바닥도 다른 차량보다 약간 높고,[17] 승강구에 계단이 설치되어 있다.[5] 차량 중앙부 해안 쪽으로 넓은 콘솔이 배치, 궤도 상황을 측정·분석하며, 전방 감시 장치 영상도 확인, 후면 벽 상부에는 영업용 차량과 같은 LED식 스크롤 표시기가 있어 현재 위치와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5][16] 4호차에도 데이터 정리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산 쪽에 원탁 모양 책상이 배치되어 있다.[18] 4호차만 열에 의한 검측에 영향을 막기 위해, 지붕은 태양광을 흡수하기 어려운 흰색으로 칠해져 있다.
5호차는 3호차와 마찬가지로 관측 돔이 설치되어 있지만,[16] 계단 주변 구조가 약간 다르다. 휴게실은 등받이를 젖히고 보조 의자를 사용하면 눕는 것도 가능하다. 이쪽도 3호차와 마찬가지로 도쿄 방면 차량 단부에 화장실과 세면대가 설치되어 있다.
6호차에는 미팅룸이 설치되어 각종 회의 등에 사용되며, 팬터그래프 등 교환용 부품과 검사 작업에 필요한 도구, 비상시 복구 자재를 싣는 길이 7.4m에 달하는 자재 탑재 공간이 있다. 자재를 쉽게 싣고 내릴 수 있도록 승강구 문 폭이 넓어져 있으며,[5] 레일이나 크레인과 같은 중량물을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16] 그 외에, 전력 관계 측정 기기실과 고압 기기실이 설치되어 있다.
7호차는 각종 시승, 시찰 등에 대응하는 승무원실로, 700계에 준하는 "3-2" 배열 좌석이 10열 배치되어 있으며,[5] 정원은 50명이다. 또한 대형 모니터도 설치되어 있다.[16]
4. 세부 모델
4. 1. 923형 0번대 (T4 편성)
(M1c)(M')
(M2)
(T)
(M2)
(M')
(M1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