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칸센 N700계 전동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칸센 N700계 전동차는 일본의 고속철도 차량으로, 2007년 7월 1일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 N700계는 기존 300계, 500계, 700계 열차를 대체하며, 최고 영업 속도 300km/h, 틸팅 시스템을 통해 곡선 구간에서도 270km/h로 주행 가능하다.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했으며, 이후 개량을 통해 N700A, N700S로 발전했다. 8량 또는 16량 편성으로 운행되며,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을 비롯해 산요·규슈 신칸센 직통 열차에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큐슈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800계 전동차
    큐슈 신칸센 개통에 맞춰 도입된 신칸센 800계 전동차는 700계를 기반으로 큐슈 지역 운행에 적합하게 설계되었으며, "화(和)"를 주제로 한 독창적인 디자인과 전통 소재를 활용한 6량 편성 열차로, 현재 규슈 신칸센 구간에서 "쓰바메"와 "사쿠라"로 운행 중이다.
  • 큐슈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N700S계 전동차
    신칸센 N700S계 전동차는 JR 도카이가 N700계를 기반으로 개발하여 2020년 7월 1일 영업 운전을 시작한 신칸센 차량으로, 에너지 효율 향상, 비상 제동 거리 단축, 좌석 콘센트 설치 등 승객 편의 시설을 강화하고 다양한 편성 구성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해외 수출을 고려한 것이 특징이다.
  • 2007년 도입 - 그루트
    그루트는 마블 코믹스에 등장하는 외계 식물 종족 플로라 콜로서스 출신 캐릭터로, "나는 그루트다"라는 문장만 반복하는 의사소통 방식과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멤버로서의 활약으로 알려져 있다.
  • 2007년 도입 -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의 기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의 기는 감청색 바탕에 프랑스 삼색기가 좌상단에, T.A.A.F. 약칭의 닻 모양 모노그램이 우하단에 있으며, 모노그램 주변의 다섯 개 흰색 별은 5개 지역 상징으로 해석되나 공식적인 의미는 아니고, 1958년 상징기에서 유래되었으며 초기에는 별이 3개였다.
  • 도카이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700계 전동차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의 고속화를 위해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한 신칸센 700계 전동차는 0계 및 100계 전동차를 대체하여 1999년부터 최고 속도 285km/h로 운행되었으며, 노조미, 히카리, 히카리 레일스타 등으로 운행된 다양한 모델이 있다.
  • 도카이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0계 전동차
    신칸센 0계 전동차는 1964년 도카이도 신칸센 개통과 함께 운행을 시작한 최초의 신칸센 차량으로, 흰색 차체에 파란색 줄무늬 디자인과 최고 속도 220km/h로 일본 고속철도 시대의 개막을 알렸으나 2008년 12월 퇴역하였다.
신칸센 N700계 전동차
기본 정보
2021년 9월 도카이도 신칸센의 N700계 F20 편성
2021년 9월 도카이도 신칸센의 N700계 F20 편성
서비스 시작2007년 7월 1일
제조사히타치
가와사키 중공업
긴키 차량
닛폰차량
교체 대상300계 신칸센
500계 신칸센
700계 신칸센
제작 기간2005년–2020년
후속N700S계 신칸센
편성16량 편성 (N700-7000/8000계는 8량 편성)
운영사JR 센트럴
JR 규슈
JR 서일본
노선규슈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
산요 신칸센
하카타미나미선
차체알루미늄
차량 길이25m (중간차), 27.35m (선두차)
차량 폭3.36m
차량 높이3.6m (중간차 및 선두차 연결부), 3.5m (선두차, 연결부 제외)
최고 속도285km/h (도카이도)
300km/h (산요)
260km/h (규슈)
중량715톤 (16량 편성)
가속도2.6km/h/s
구동 모터56 x 305kW
총 출력17.08MW
전력 공급25 kV 60 Hz AC 가선
집전 방식팬터그래프
궤간1435 mm
제동 장치공기 제동, 회생 제동
안전 장치ATC-NS, KS-ATC (R 및 S 편성만 해당)
수상2008
수량
제작 대수2,624량 (179개 편성) (2022년 4월 1일 기준)
보존 대수3량 (N700-9000계)
폐차 대수13량 (N700-9000계), 352량 (22개 편성, 화재 피해 1개 편성 포함)
차량 번호해당 없음
좌석
좌석 수도카이도/산요 16량 편성 (F, G, K/N, X/Z): 1,323석 (그린석 200석 + 일반석 1,123석)
산요/규슈 8량 편성 (R, S): 546석 (그린석 24석 + 일반석 522석)
기타
일본어 표기新幹線N700系電車 (신칸센 N700계 전차)

2. 개발에서 투입까지

N700계는 2007년 6월 16일, 6월 17일, 6월 24일 시승회를 거쳐, 같은 해 7월 1일에 있었던 운행 시간표 개정과 함께 6편성(도카이여객철도 5편성(Z1Z5), 서일본여객철도 1편성(N1))이 영업 운전을 개시했다. 당시 시나가와 ~ 하카타간 편도 왕복 1편성, 도쿄 ~ 하카타간 2.5왕복(하행 2편성·상행 3편성), 도쿄 ~ 신오사카 구간 1회 왕복 운행을 시작했다. 이후 순차별로 노조미로 투입될 계획이며, 연말에는 약 30편성의 노조미 등급에 사용될 예정이다.

영업 개시 당일에는 주요 역에서 출발식이 거행되었다. 도카이여객철도의 경우 시나가와 역(6:00발 노조미 99호)·신오사카 역(6:00발 100호)·나고야 역(6:50 발 100호), 서일본여객철도의 경우 하카타 역(12:28발 26호)·히로시마 역(13:30발 26호)·오카야마 역(14:06발 26호)에서 각각 출발식을 실시하였으며, 열차의 출발을 보류했다. 또, 도쿄역(6:00발 1호)에서는 꽃다발 증정식뿐이었다. 덧붙여 오사카 투입용으로서는 첫 번째 전동차인 노조미 100호의 1등차는, 발매 개시와 거의 동시에 매진되었다.

2. 1. 개발 배경

일본국유철도(현 JR)의 분할 민영화 이후, 신칸센의 서비스 향상을 위해 서일본여객철도(JR 서일본)는 최고 영업 속도 300km/h의 500계를 개발했다. 그러나 도카이도 신칸센은 선형이 좋지 않아 500계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어려웠고, 1편성(16량)당 약 50억 엔에 달하는 높은 비용이 문제가 되었다. 또한 300계와 비교하여 차량마다 정원이 달라 운용에 어려움이 있어 9편성만 생산되었다. 이후 도카이여객철도(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은 범용성을 중시하여 최고 영업 속도 285km/h의 700계를 공동 개발하였다. 700계는 100계를 대체하며 많은 편성이 제조되어 신칸센 고속화에 기여하였다.

하지만 JR 서일본은 항공기와의 경쟁에서 500계와 동등한 300km/h의 고속 성능을, JR 도카이는 시나가와역 개업에 따른 열차 증편 및 디지털 ATC(ATC-NS) 도입에 따라 더 높은 가감속 성능을 가진 신차량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한 차량이 바로 N700계이다.

N700계는 틸팅 시스템을 탑재하여 곡선 반경 2500m 구간(60곳)에서도 270km/h로 주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함께 가감속 성능 향상으로 도쿄 ~ 신오사카 구간의 운행 시간을 500계, 700계 노조미 열차보다 5분 단축했다. 신요코하마역에 추가 정차하는 노조미 100호의 경우에도 소요시간이 4분 단축(2시간 30분 → 2시간 26분)되었다.

2. 2. 사양 결정

2000년 4월부터 N700계 전동차의 공동 연구가,[56] 2002년 6월부터 공동 개발이 시작되어, 2003년 6월 27일에 N700계 기본 사양이 발표되었다.[57] N700계의 개발 목표는 다음과 같다.

500계·700계는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에서 270 km/h 운전을 실시했지만, 실시 구간은 전체 노선의 1/3에 해당하는 직선 및 곡선 반경이 큰 곡선 구간에 한정되었다. 노선 내 60곳에 존재하는 반경 2,500 m의 곡선 구간에서 270 km/h로 주행하면, 규정 허용치를 초과하는 횡가속도를 승객에게 가하게 되어 255 km/h로 제한되었다. N700계에서는 차체 경사 시스템을 탑재하여, 앞서 언급한 곡선 구간에서도 270 km/h로 주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써 도카이도 신칸센의 약 3분의 2 이상의 구간에서 270 km/h 주행이 가능해졌다.

기동 가속도는 신칸센으로는 높은 2.6 km/h/s이다.

이로 인해, 도쿄역 - 신오사카역 간 운행 시간은 기존의 500계·700계의 "노조미"에 비해 최대 5분 단축되어, 최속 열차의 소요 시간은 2시간 25분 (2007년 7월 1일 시간표 개정 시의 "노조미" 1・163・52호)이 되었다.

2. 3. 시작차 제작 및 양산

2005년 3월에 최초로 나온 시제차는 도카이 여객철도가 소유하고 있으며 도입 당시 Z0편성으로 도입했다.[237][239][247] 1호차부터 4호차까지 히타치 제작소, 5호차부터 14호차까지 일본차량제조, 15호차부터 16호차까지 가와사키 중공업이 제작되었다. 2005년 3월 4일에 일본차량제작・히타치 제작소・가와사키 중공업에 의해 선행 시작차(Z0편성)가 완성되어, 하마마츠 공장에서 보도진에게 공개되었다[58]。 같은 해 3월 10일 새벽에 공식 시운전으로 하마마츠 - 시즈오카 구간을 처음으로 본선을 주행했고[59], 4월 4일부터 주행 시험을 시작했으며[60], 7월 16일에는 미시마 - 하마마츠역 구간에서 주간 주행도 실시했다. 같은 달 24일에는 처음으로 도쿄 - 신오사카 구간을 주행했고, 29일에는 산요 신칸센에 진입하여 하카타까지 주행했으며, 그리고 9월 7일에는 속도 향상 시험에서 320 km/h를 기록했다. 이 선행 시작차에 의한 2년간의 실험 주행을 거쳐, 양산차(Z1편성 이후와 N편성)를 투입하게 되었다.

2006년 12월 7일, 일본차량제조 토요카와 제작소에서 양산차가 될 차체가 보도 관계자에게 공개되었다. 이 차체는 "Z1편성"의 것이며, 다음 2007년 3월부터 반입이 시작되었다. Z0편성은 지금까지 각종 기술 시험을 해온 300계의 양산 선행 시작차 "J1"편성이 폐차된 것, 객실의 콘센트가 적은 것[61][62], 흡연실의 유무, 11호차의 다목적실과 다목적 화장실의 설비, 현재는 서비스가 종료된 그린차의 오디오 서비스 음원이 아날로그식인 것, 덱 등에 방범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등 양산차와 다르며, 영업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양산화 개조는 보류되었고, J1편성의 후계가 되는 시험차로 운용하게 되었다.[61][62]

2007년 5월 23일에는 보도 관계자 약 300명 대상의 시승회가 실시되었다. 사용된 것은 Z2편성으로, 같은 해 7월 1일의 영업 운전 개시까지 JR 도카이가 준비하는 5개의 편성 중 하나였다. 도쿄 - 하카타 구간을 약 5시간 반에 주행했고, 도중 나고야교토・신오사카・오카야마・히로시마에 정차했다. 도쿄를 11시 46분에 출발하여, 가케가와 통과 직전에 차체 경사를 하고 있다는 차내 안내가 흘렀다.

2009년 11월 16일, JR 센트럴은 N700계 전동차 Z0편성을 사용하여 심야 고속 시운전을 실시하여, 마이바라와 교토 사이의 도카이도 신칸센에서 최고 속도 332km/h를 기록했다.[36][37]

2013년에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성능이 향상되었고 X편성에서 Z편성으로 도입되었고 '''N700A''' 로고가 추가되었다. Z0편성의 경우 도카이 여객철도의 시범 운행 열차로 운행하기 때문에 상용 운행을 하지 않으며 2014년에 X0편성으로 부여했으나 9000번대를 그대로 유지했다.[237][239][247] 2019년 2월에 퇴역 후 3량은 그대로 보존했다가 같은 해 7월 17일부터 아이치현 나고야시에 위치한 SC 말레브 철도 공원에서 전시되었다.

영업 운전 개시 후 2007년 8월 21일 - 9월 11일 사이, JR 서일본 소유의 N1편성이 10량으로 단축되어, 신시모노세키 - 신야마구치 구간을 시험 주행했다. 구체적으로는 1・5 - 12・16호차가 연결되었으며[63], 외주 호로의 제거에 따른 승차감의 변화 등이 테스트되었다. 9월 12일 이후에는 16량으로 되돌려져 통상 운행에 사용되고 있다.

차량 수송은 히타치 물류나 닛폰 통운 등이 하고 있다[64][65]

2. 4. 산요·큐슈 신칸센 직통 열차 투입

2011년 봄 큐슈 신칸센 가고시마 루트 전 구간 개통으로 운행 중인 산요 신칸센·큐슈 신칸센 직통열차 사쿠라미즈호로 운행하기 위해 N700계를 베이스로 만든 신형 차량을 JR 서일본과 JR 큐슈에서 공동으로 개발했다.[68][69] 8량 편성으로 JR 서일본이 19개 편성, JR 큐슈가 10개 편성으로 합계 29편성(232량)을 제조할 계획이었다.[74][75] 이는 종래의 산요 신칸센용 차량으로는 하카타역 - 신토스 역 간과 신야쓰시로 역 이남의 급구배 구간(최대 35‰)을 주행할 수 없기 때문으로, 신형 차량에서는 전차량 전동차가 되었다.

N700계 S1편성(오카야마역 - 아이오이 역, 2009년 4월 8일)


JR서일본 소속 차량의 편성 기호는 S(JR큐슈 소속의 편성 기호는 R)이다.[71] 2008년 10월 24일 하카타 역 - 신야마구치역간에서 공식 시운전이 실시되어[71] 11월 이후에는 산요신칸센 내에서의 주행시험이 실시되고 있다.[71]

차량은 더블스킨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며,[251] 차체, 도장, 성능, 전원, 제어장치, 대차, 내장, 설비, 좌석등 여러가지 면에서 Z·N편성과는 다른점을 보인다.

2010년 6월 15일에는 히메지역에서 S2 편성이 보도진에게 일반 공개되었고, 히메지역 - 하카타역 간에서 시운전을 하고 있는 동 차량에 대한 시승도 이루어졌다.[73]

JR 큐슈 소속차는 2010년 7월에 N700계 8000번대의 1개 편성인 8량이 구마모토 종합 차량기지에 반입되었고,[53] 같은 해 9월부터 큐슈 신칸센의 신규 개업 구간을 중심으로 시험 주행을 시작했다. 2011년 3월 12일에 큐슈 신칸센이 전선 개업하면서, 동시에 N700계 7000・8000번대는 "미즈호", "사쿠라"를 중심으로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

2012년 3월 17일까지, 소정의 본수가 갖춰졌지만, 같은 해 7월에 JR 큐슈가 산요・큐슈 신칸센 연선 상호 간에 수학 여행 등 대량 단체 이용 증가를 예상하여, 추가로 R 편성을 1개 더 증비하여, 긴키 차량으로부터 구마모토 종합 차량소에 반입되었다.[76][77] 증비된 R11 편성은 같은 해 8월 중에 운행을 시작했다.

산요・큐슈 신칸센용 편성은 철도 관련 국제 디자인 콩쿠르인 제11회 브루넬상을 수상했다.[55]

3. 보유 현황

신칸센 N700계 전동차는 여러 철도 회사에서 보유하고 있으며, 그 현황은 다음과 같다.

2021년 2월 7일 기준 신칸센 N700계 전동차의 도입 변천사는 다음과 같다.[252]

'''신칸센 N700계 전동차의 도입 변천사'''
회사도카이서일본큐슈비고
노선도카이도 & 산요산요 & 큐슈
년도Z편성G편성X편성N편성F편성K편성S편성R편성
2005년1       N700계 데뷔
2006년1        
2007년5+1  1    N700계 0번대 (Z 편성), 3000번대 (N 편성) 최초 도입
2008년17+1  8  1 7000번대 시제차 완료
2009년33+1  9  1  
2010년49+1  14  1 500계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 운행 종료[253]
2011년65+1  16  910큐슈신칸센 전 구간 개통 및 S편성 7000번대, R편성 8000번대 도입
2012년80+1  16  1910100계, 300계 운행 종료
2013년80+16 16  1911N700계 1000번대 (G 편성) 최초 도입
2014년481332+113131911N700계 4000번대 (F 편성) 최초 도입
N700계 0번대 (Z 편성) → 2000번대 (X 편성) 개조 시작
N700계 3000번대 (N 편성) → 5000번대 (K 편성) 개조 시작
2015년111969+151111911 
2016년 2580+1 5161911N700계 0번대 (Z 편성) → 2000번대 (X 편성) 개조 완료
N700계 3000번대 (N 편성) → 5000번대 (K 편성) 개조 완료
2017년 3180+1 9161911 
2018년 3980+1 13161911 
2019년 4680 17161911X0편성(9000번대) 편성이 폐차
2020년 5174 24161911X12~X17편성이 폐차
2021년 5169 24161911X19,X22,X23,X24,X25,X27,X28 편성이 폐차



2024년 4월 1일 현재, 각 철도 회사별 보유 현황은 다음과 같다.[16]


  • JR 도카이 (JR Central): 1,424량
  • 16량 편성(G 편성, 1000번대) × 26개 = 416량 (도쿄 차량기지 소속)
  • 16량 편성(X 편성, 2000번대) × 18개 = 288량 (도쿄 차량기지 소속)
  • 16량 편성(G 편성, 1000번대) × 25개 = 400량 (오사카 차량기지 소속)
  • 16량 편성(X 편성, 2000번대) × 20개 = 320량 (오사카 차량기지 소속)
  • JR 서일본 (JR West): 792량
  • 16량 편성(F 편성, 4000번대) × 24개 = 384량 (하카타 종합 차량소 소속)
  • 16량 편성(K 편성, 5000번대) × 16개 = 256량 (하카타 종합 차량소 소속)
  • 8량 편성(S 편성, 7000번대) × 19개 = 152량 (하카타 종합 차량소 소속)
  • JR 큐슈 (JR Kyushu): 88량
  • 8량 편성(R 편성, 8000번대) × 11개 = 88량 (구마모토 종합 차량소 소속)
  • 총 2,304량


2005년부터 2022년까지 JR 도카이(JR Central), JR 서일본(JR West), JR 규슈(JR Kyushu)가 소유한 차량 수(매년 4월 1일 기준)의 연간 총계는 다음과 같다.[16]

연도별 차량 수 합계
연도 JR 도카이 JR 서일본 JR 규슈합계
2005160016
2006160016
2007160016
20082721280400
20095281520680
20101,04023201,272
20111,040328801,448
20121,296368801,744
20131,392408881,888
20141,504424882,016
20151,600424882,112
20161,696488882,272
20171,808552882,448
20181,920616882,624
20192,016680882,784
20202,096792882,976
20211,952792882,832
20221,744792882,624



2019년에 X0편성이 폐차된 후, 2020년 7월 2일에 X12편성이 폐차 회송되어 양산차로서는 처음으로 폐차되었다.[78] G・F편성의 최종 증비차는 X0편성의 폐차 후에 완성되었기 때문에 시제차를 포함한 모든 차량이 동시에 재적된 적은 없다.[79]

4. 구조

4. 1. 차량 개요

N700계의 선두부 노즈(2007년 7월 22일, 도쿄역)


선두차량 천장의 단차


차량 연결부의 전주 다이어프램(2007년 5월 21일, 신오사카 역)


선두부는 700계의 '에어로 스트림'형태를 유전 알고리즘에 의해 개량한 '에어로 더블 윙'으로 불리는 형상으로, 길이는 10.7m이다.[81] 700계보다 확대된 9,620mm (500계는 15,000mm, 700계는 9,250mm)가 되었다. 선두 형상의 길이를 억제하면서, 미기압파 형장의 피크를 나누는 것으로 최대치를 억제하여 소음의 억제와 선두차량의 정원 확보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도장은 현행의 700계와 같지만 독자적인 엠블럼을 차체 측면에 내걸었다. 객실 창문은 경량화하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면적이 700계의 약 60% 정도로 소형화되었다. 행선지 표시기는 JR 도카이의 신칸센용 전동차로는 처음으로 전광식(풀컬러 LED)을 채용했다.

선두차량의 높이는 3,500mm인 부분과 3,600mm인 부분이 있다. 때문에 편성 중앙 근처의 승객용 출입문 부근에는 단차가 있다. 중간 차량은 3,600mm이다. 이 단차는 전두부 쪽의 형상에 더해 미기압파 경감과 공력저항 경감 등을 목적으로 한 공력상의 처리라 한다.[81]

또한 새롭게 개발한 고성능 세미 액티브 제진제어장치를 모든 차량에 설치하여 진동을 최대한 억제하였으며, 차량 간에는 댐퍼를 장비하고 있지만 지금까지처럼 링에 의한 연결이 아니라 댐퍼를 차량 간에서 비스듬하게 기울여 상하 방향으로 직접 차량에 연결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또 차량 사이에 전주(全周)다이어프램을 채용하여 연결부를 신축성 고무 소재로 거의 완전하게 가려버리는 것을 통해 차체 측면의 공기 저항과 차량 내외의 소음 경감을 달성했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에너지 절약에도 기여하게 되었다. 또, 형상을 바꾼 전주 다이어프램도 시험주행에서 테스트되고 있다. 이후에 등장한 신칸센 E5계 전동차·신칸센 E6계 전동차에도 전주 다이어프램이 채용되어 있다.

양 선두차의 운전석측에 있는 승무원용 출입문과 승객용 출입문만 플러그 도어이며, 그 외에는 모두 통상의 미닫이가 되어 있다.[82] 이것은 소음 대책과 비용 저감의 양립을 위한 구조이지만, 한 편성 안에서 플러그 도어와 미닫이가 혼재하는 드문 차량이 되었다.

팬터그래프도 0계 이래 기초중의 기초라고도 말할 수 있는 부분의 설계를 기본적으로 재검토하는 것을 통해 소형화·경량화를 도모했다. 또한 시제차량은 800계의 U-001편성과 같이 카메라, 센서, 투광기로 구성되는 가선검측장치를 갖추었다. 그리고 차체 경사시 가선과의 접촉 상황등의 확인을 한 뒤에 제거되었다.

또한 표지등도 JR 도카이의 신칸센 영업용 차량으로서는 처음으로 HID램프를 사용하고 있다.

차체는 700계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합금제의 중공 압출형재에 의한 더블 스킨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700계에서는 지붕 구조, 객실부의 측면 구조뿐이었지만, N700계에서는 사용 범위를 넓혀 차단부의 측면 구조나 처마 구조, 대차 상부의 기밀 바닥에도 사용하고 있다. 차체 단면은 700계보다 지붕 어깨가 각진 형태가 되었지만, 계속해서 막판 부분이 약간이나마 곡면을 이루고 있다.

와이퍼의 형상도, 공력상의 관점에서 고속 주행 시 소음 발생을 줄인 것이다. 운전실 부분의 창은 차체의 조임 부분에 걸리기 때문에, 700계보다 전면 창의 개구부 면적이 특히 좌우 방향으로 작아져, 전방 시야는 좁아졌다.

또한, 500계까지 승무원용 출입문 옆의 손잡이는 금속 손잡이를 매립하는 구조였지만, 700계부터는 주행 중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해 커버를 설치하고 주행 중에는 자동으로 올라오는 평활 손잡이를 채용했다. 본 계열도 마찬가지이지만, 700계에서는 5km/h에서 커버되는 것에 대해, 본 계열에서는 70km/h가 되었다. 이것은 홈을 출선할 때까지, 맨 뒤 차량의 승무원이 손잡이를 잡고 안전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4. 2. 선두 형상

신칸센 N700계 전동차의 선두부는 700계의 '에어로 스트림' 형태를 개량한 '에어로 더블 윙' 형상으로, 길이는 10.7m이다.[83] 미기압 파형장의 피크를 나누어 최대치를 억제함으로써 소음을 줄이고 선두차량의 정원을 확보하는 데 크게 기여한다. 독자적인 엠블럼을 차체 측면에 부착했으며, 객실 창문은 경량화와 강도 확보를 위해 700계보다 약 60% 정도 작아졌다. 행선지 표시기는 JR 도카이의 신칸센용 전동차 최초로 전광식(풀컬러 LED)을 채용했다.

모든 차량에는 고성능 세미 액티브 제진제어장치를 설치하여 진동을 최소화했다. 차량 간 댐퍼는 링 연결 방식이 아닌, 댐퍼를 비스듬하게 기울여 상하 방향으로 직접 차량에 연결하는 방식을 채용했다. 차량 사이에는 전주(全周)다이어프램을 채용하여 연결부를 신축성 고무 소재로 완전히 덮어 차체 측면의 공기 저항과 차량 내외부 소음을 줄였다.[85] 이는 에너지 절약에도 기여하며, 이후 신칸센 E5계 전동차·신칸센 E6계 전동차에도 채용되었다.

양 선두차의 운전석 측 승무원용 출입문과 승객용 출입문만 플러그 도어이며, 나머지는 미닫이문이다. 이는 소음 대책과 비용 절감을 위한 구조이다. 팬터그래프는 설계를 재검토하여 소형화·경량화를 꾀했다. 시제차량은 800계 U-001편성과 같이 가선검측장치를 갖추었으나, 차체 경사 시 가선과의 접촉 상황 확인 후 제거되었다. 표지등은 JR 도카이의 신칸센 영업용 차량 최초로 HID 램프를 사용한다.

선두차량 높이는 3,500mm와 3,600mm 부분이 있어 편성 중앙 근처 승객용 출입문 부근에 단차가 있다. 중간 차량은 3,600mm이다. 이 단차는 미기압파 및 공력저항 경감을 위한 처리이다.

N700계 선두차 개발은 300km/h 운전을 실현하면서도 700계 등 기존 16량 편성 차량과 동일한 운용(좌석 정원·배치·출입문 위치 등 완전 통일)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주 목적이었다. 노즈부 길이는 9620mm로,[83] 700계보다 370mm 길다(선두차 전장은 양쪽 모두 27350mm). 독수리가 날개를 펼친 모습으로 보여 '''에어로·더블 윙'''형이라고 불린다.

700계 선두차는 터널 미기압파 억제를 위해 "차량 단면적을 일정한 비율로 변화시키는 선두 형상이 가장 유효하다"는 이론에 따라 설계되었다. 그러나 최고 속도를 285km/h에서 300km/h(산요 구간)로 올릴 경우 700계 선두 형상으로는 터널 미기압파에 의한 소음이 약 1.26배가 된다. 도카이도 신칸센 주행 시와 동일한 소음 레벨을 위해서는 소단면 부분 길이가 13m 필요하다고 추산되었다.[84]

N700계 설계는 "기존 16량 편성 차량과 동일한 운용" 요건을 충족해야 했기에, 객실 공간을 희생하여 소단면부를 늘리면 선두차 정원이 감소하고, 정원 확보를 위해 선두차 전장을 늘리면 차량 한계나 건축 한계에 저촉되며, 차량 기지와 역 홈 운용에 문제를 야기하고, 특히 도쿄역 등에서는 대규모 개수가 필요하다. 그래서 선두 차량 형상 디자인을 재검토, 컴퓨터 계산 결과와 운전사 등 4명이 탈 수 있는 운전대, 연결기 등 공간 확보를 고려하여 최종 선두 형상이 결정되었다.

이 선두 형상은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한 약 5000 패턴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로 결정되었다. 선두부는 가로 방향으로 윙 단면 형상을, 운전실 중심 부분은 가장자리를 갖게 해 수직 꼬리날개 역할을 한다. 이는 맨 뒤 차량이 되었을 때 공기를 정류하여 주행 중 동요를 억제한다.[85] 700계보다 선단부 형상이 둥글며, 양 선두차 지붕 높이를 낮추고 단면을 작게 억제하여 터널 미기압파 피크를 700계와 동등하게 분산시켰다.

실제 설계에는 공력 검토 시뮬레이션 결과뿐 아니라 운전사 의견도 참고되었다. 전조등 시인성, 운전대 모니터 햇빛 배제 등 운전석 내장, 여성 운전사도 배려했다. 와이퍼와 작업용 손잡이도 음원 탐사 시험을 통해 위치와 형상이 결정되었다. "에어로·더블 윙형" 선두부의 승무원실 문 양쪽 잡는 손잡이는 차체 내부에 매립, 70km/h 이상에서 덮개판으로 자동 닫혀 면 일치가 된다. 1, 16호차 객용 문을 플러그 도어로 하고, 팬터그래프 형상 간소화, "전주 호로" 도입, 차량 전체 평활화 등 선두차에도 철저한 소음 대책을 강구했다.

4. 3. 주행 기기

N700계의 기동가속도는 신칸센 차량 최고 수준인 2.6km/h/s로, 약 3분에 270km/h까지 가속할 수 있다(300km/h까지는 4분 소요).[248] 영업 운행 최고 속도는 500계와 동일한 300km/h이다. 이를 위해 주전동기 출력을 275kW(700계)에서 305kW로 향상시키고, MT비(전동차(M차)와 부수차(T차)의 비율)를 12:4(700계)에서 14:2로 변경했다.

제동장치는 각 대차에 캘리퍼식 차륜 디스크 브레이크를 기본 제동장치로 장착한다. Z·N편성(기존 N700계)은 디스크 로터를 내주(内周)에서 체결하는 내주체결식을 채택했으나, G·X·F·K편성(개조 A를 포함한 N700A)은 중앙체결식을 채택했다. 중앙체결식은 제동 시 열변형을 줄여 제동력 저하를 막고, 장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249] MT비 변경에 따라 300계나 700계에서 사용되었던 T차의 와전류제동은 폐지되었고, 14량의 M차 회생제동장치가 제동력을 담당한다.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 노후화에 따라 디지털 ATC(ATC-NS) 차상 장치가 탑재되어 제동 거리와 폐색 간격이 최적화되었다. 선행 시제차량(Z0편성)은 당초 700계처럼 와전류제동을 채용할 예정이었으나, 제동 부담률 개선과 중량 증가를 피하기 위해 취소되었다.

N700계(왼쪽)과 500계(오른쪽)


내주(内周)체결식
(N700계 Z·N편성)


중앙체결식
(N700A G·X·F·K편성)


N700계 차체 하부 견인장치 센터피봇 부근에 설치된 비례전자변 릴리프 방식 무단계 감쇠력 조정식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


이전에는 255km/h로 감속해야 했던 도카이도 구간의 반경 2,500m 곡선을 최고 속도로 주행할 수 있도록, 신칸센 최초로 공기 용수철에 의한 차체 경사 장치(최대 경사각 1도)를 채용했다. 또한 700계에서 일부 차량에만 탑재되었던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을 모든 차량에 탑재하고 성능을 향상(700계: 4모드 선택 전환 제어→ N700계: 무단계 제어)하여 승차감을 개선했다.

비례전자식 릴리프 변(比例電磁式リリーフ弁일본어)에 의한 무단계 제어 방식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이 대차 견인장치와 센터피봇 부근 대차 프레임과 차체 사이에 침목 방향으로 설치되어, 감쇠력을 무단계로 제어한다.[250] 터널과 개활지 구간 선로 데이터 맵을 기반으로 각 구간에 최적화된 제어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차체 경사 기능은 대부분 반경 4000m 이상 커브인 산요 구간에서는 사용하지 않지만, 차체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제어(0도 제어 또는 수평 제어)로 활용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농형 3상 유도 전동기를 전동차 1량당 4기 탑재하며, 연속 정격 출력은 305kW로, 700계와 크기나 무게는 동일하게 제작되었다. 높이 60cm, 길이 69cm, 폭 71cm, 무게 396kg이다. 4000번대 주 전동기는 도요 전기 제조에서 제조되었다.[87][88][89] M'차에 주 변압기, M1차에 주 변환 장치 1대, M2차에 주 변환 장치 2대를 탑재한다. M1차는 자차 주 전동기 4개를 제어하고, M2차는 자차와 옆 M'차 주 전동기 8개를 제어한다.

4량을 1유닛으로 하여 제1 - 4 유닛을 구성, 16량 편성이며, 제1·4 유닛은 3M1T, 제2·3 유닛은 4M이다. 주 변압기를 유닛 전동차 수에 따라 구분하여 주 변환 장치와 전동기를 공통화했다. 3M용 주 변압기(형식명: TTM5/WTM208) 1차 용량은 4,350kVA, 4M용 주 변압기(형식명: TTM4/WTM207) 1차 용량은 5,600kVA이며, 4M용은 국내 최대 용량이다. 주 회로 기기는 도시바(→도시바 인프라 시스템즈), 미쓰비시 전기, 히타치 제작소, 후지 전기 시스템즈(→후지 전기) 4개사에서 제조했다.[90][91][92]

주 변환 장치 1대로 병렬 연결된 주 전동기 4대를 제어한다. 주 변환 장치 반도체 소자 냉각 방식은 크게 두 종류이다. 편성 중앙쪽 4량(7 - 10호차, 총 6대)은 주행풍 냉각 방식(형식명: TCI100/WPC203), 선두차쪽 6량(2·4·5·12·13·15호차, 총 8대)은 강제 풍냉 비등 냉각 방식(형식명: TCI3/WPC202)을 탑재한다.[54] 3차차 이후(Z43편성 이후)에는 5·12호차에 주행풍 냉각 방식 탑재가 확대되었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제어 응답성이 뛰어난 회생 브레이크 병용 전기 지령식 공기 브레이크 방식을 채용한다. 700계까지는 편성에 인입된 금속선을 순차 가압하여 가력·브레이크 지령을 했으나, 본 형식에서는 디지털 전송 장치에 의한 지령과 백업 지령으로 변경되었다.

4. 4. 전주 호로

(2007년 5월 21일 신오사카역)]]

새롭게 개발한 고성능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에 의한 세미 액티브 제진 제어 장치를 전 차량에 설치하여 진동을 최대한 억제함과 동시에, 차량 간에는 차단 댐퍼를 장비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링에 의한 연결이 아닌, 댐퍼를 차량 간에 비스듬히 상하 방향으로 직접 차량의 측면에 연결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http://www.jabara.co.jp/ 주식회사 자바라]와 개발한 「전주 호로」를 신칸센 영업 차량으로 처음 채용했다.[95] 차량의 연결면 간을 신축성 있는 고무 소재로 하부를 제외하고 거의 완전히 덮어씌움으로써 차체 측면의 공기 저항과 차량 내외부의 소음 감소를 달성하여 결과적으로 에너지 절약에도 기여하게 되었다. 또한, 형태를 바꾼 전주 호로도 시험 주행에서 테스트되고 있다.

과거 일본 국내의 예에서는, 오다큐 로망스카, 151계 전동차, 80계 기동차 등에서 「외호로」가 시도되었지만, 당시 재래선 특급 「고다마」의 최고 운전 속도였던 110km/h 정도에서는 효과가 작고, 오히려 유지 보수의 어려움 등의 단점이 더 크다고 판단되어 로망스카를 제외하고 본격적인 채용에는 이르지 못했다.

나중에 등장한 신칸센 E5계 전동차, 신칸센 E6계 전동차(JR 동일본)·신칸센 N700S계 전동차에서도 전주 호로가 채용되고 있다.

4. 5. 집전 장치

N700계의 팬터그래프는 0계 이래의 기초 설계를 완전히 재검토하여 소형·경량화를 이루었다.[96] 기본적으로 싱글암식이지만, 700계 등에서 보이는 타입보다 하부 암이 극단적으로 짧아지고, 관절부와 틀부분도 유선형 커버로 완전히 덮인 신개발 팬터그래프를 채용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 싱글암 팬터그래프보다 풍절음(바람 가르는 소리)이 줄어들었으며 가선 추종성이 더욱 향상되었다. 500계가 채용한 익형 팬터그래프와는 달리 검수 시간을 단축시켰다.

팬터그래프와 커버


팬터그래프 커버와 차음판의 형상은 700계와 거의 같다. 애자 덮개 양쪽에 대형 이면 측벽을 설치했으며, 이 이면 측벽의 전장은 700계보다 길고 경사각도 완만하다. 애자는 700계의 4개에서 3개로 감소했고, 케이블 헤드용 애자를 공유하여 팬터그래프 주변 공간 감소, 경량화, 소음원 감소를 실현했다.[81] 애자 덮개와 이면 측벽은 알루미늄 허니컴 패널,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패널을 사용하여 경량화를 이루었다.[81]

보호 접지 스위치(EGS) 투입 육안 확인용 작은 창은 없어지고, 대신 EGS 투입 상태를 감시하는 카메라가 애자 덮개 내에, 모니터가 각 팬터그래프 탑재 호차의 차내에 설치되었다. 700계에서는 16량 편성의 경우 4량마다 설치되었던 고압 인통선의 케이블 헤드는 편성 중간의 1곳에만 설치하도록 줄이고, 다른 차량 간에는 직결 조인트로 연결하였다.

시제 차량(Z0 편성)에는 800계 U001편성과 마찬가지로 카메라·센서·투광기로 구성된 가선 검측 장치가 설치되어 차체 경사 시 가선과의 접촉 상황 등을 확인했다.

4. 6. 행선 표시기 및 좌석 지정 표시기

JR 도카이 및 JR 서일본의 영업용 신칸센 차량에서는 처음으로 풀 컬러 LED식 행선 표시기가 채용되었다.[97] 행선 표시기는 모든 차량에 설치되며[98], 열차명·행선·지정석/자유석의 종류를 일본어, 영어 순으로 표시한다. 시발역에서는 정차역을 스크롤 표시하고, 중간역에서는 다음 정차역을 표시한다. 좌석 지정 표시기는 700계 C편성까지의 액정에서 LED로 변경되었으며[99], "지정석"은 녹색, "자유석"은 흰색으로 표시된다.[100] 열차 종류 표시의 바탕색은 지정된 열차 종류 색상에 준거하며, 노조미는 노란색, 히카리는 빨간색, 코다마는 파란색, 미즈호는 주황색, 사쿠라는 분홍색, 츠바메는 하늘색 바탕색으로 표시된다.

4. 7. 표지등



전조등은 도카이도·산요 신칸센 계통의 차량으로서는 처음으로 HID 램프를 채용하여[101], 이로 인해 700계보다 표지등의 개구부가 축소되었지만 충분한 광도를 얻는 것을 실현했다. 전조등은 좌우 각각 2기가 나란히 배치되어 둥근 전조등의 주위를 덮는 형태로 LED 미등이 배치되는데, 이것은 해당 형식에서 처음 사용된 구조이다. Z0편성 주행 시험 시, 전두부의 연결기 커버 하부에 보조 전조등(HID 램프)을 시험적으로 장착하여 한동안 시험 주행에 사용된 적이 있으나, 양산 차량 투입 전에 철거되었다.

4. 8. 차내 설비

세미 틸팅 장치 채용에 의해 전체 폭이 700계에 비해 20mm 좁아졌지만, 차체 벽면을 얇게 하는 등의 노력으로 700계와 같은 수준의 차내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반면 창문은 700계보다 작다.[105]

시트피치는 100계 이후 표준인, 보통차 1,040mm, 그린샤 1,160mm이다. 단 1호차(783형)와 16호차(784형)는 선두 형상 때문에 1,023mm로 줄어 있다.

300계 이후의 차량은 편성중량 경량화를 위해 우레탄을 적층시킨 구조의 좌석을 채용했지만, 안정감 측면에서 평판이 좋지 않기 때문에 복합 용수철 구조로 개량되었다.

보통차 좌석의 등받이는 새로 개발된 폴리에스테르 쿠션이다. 우레탄에 비해 약 20% 정도 가볍고, 투습성도 뛰어나다. 또한 통근형 전동차용 좌석보다 착석시 안정감이 향상되었다. 탄력성이 오래 가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폴리에스테르 소재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완전 순환형 리사이클 시스템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보통차의 경우 700계와 비교해서 좌석의 폭이 10mm 확대된 440mm로(중앙의 B자리를 제외), 그린차는 새롭게 개발된 '싱크로나이즈드 컴포트 시트'가 채용되었다. 이것은 리클라이닝과 함께 좌면 뒷부분이 내려가는 타입으로 안정감이 개선되었다. 그 밖에도 휘도를 높인 독서등이나 발밑을 따뜻하게 하는 기능(레그 워머)을 새로 채용했다.

좌석에는 쿠라레 그룹제 매직 테이프와 '세프톤 컴파운드'도 사용되었다. 매직 테이프는 그린·보통차의 헤드레스트 커버용(이전부터)·좌석 표피 모서리 부분 고정용(이전부터)·좌석 표피 고정용(신규)·쿠션 패드용(신규)으로 채용되었다. 또한 스위밍 고글의 밴드나 점프로프의 줄 부분에도 사용되고 있는 '세프톤 컴파운드'는 좌석의 팔걸이에 사용되었다. 종래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보다 부드러워져 촉감 향상이나 딱딱한 물체가 움직임으로써 발생하는 불쾌한 소리가 줄어들었다.

또한 테이블은 A4사이즈의 노트북 컴퓨터를 둘 수 있는 사이즈로 확대되어 양산차량에서는 그린차의 모든 좌석과 보통차의 창가(A, E자리)·맨 앞·맨 뒤 좌석에는 스마트 기기용 콘센트가 설치된다. 1편성의 정원인 1,323명의 약 60%에 해당하는 수가 준비된다.

지상 설비가 완성되는 2009년 봄부터 무선 LAN에 의한 인터넷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지상에서 차내에는 2Mbps, 차내에서 지상에는 1Mbps가 될 예정). 다만 산요 구간에서는 터널의 수가 많기 때문에 개량비용이 높아지며, JR 후쿠치야마 선 탈선사고를 계기로 안전 대책을 무엇보다 우선할 방침이어서 당장 개량 계획을 세울 수 없는 형편이기 때문에 일단은 도카이도 구간에서만 실시될 예정이다.

화장실은 모두 서양식으로 통일되는 것과 동시에 신칸센 차량으로는 처음으로 오스토메이트 대응 화장실이 설치되었다(11호차). 또한 일부 화장실에는 기저귀 교환대, 11호차의 다목적실에는 베이비 체어도 설치되어 있다.

국철 시절부터 흡연은 제일 큰 문제가 되어 왔다. 특히 300계 이후 차량은 고속 성능으로 인하여 차내에서 한 번 담배를 피우면 그 차량 한 량 전체로 퍼져 냄새가 번져 JR도카이·서일본·동일본에서 많은 민원이 들어왔다. 그래서 N700계 양산차량은 700계 이전의 차량과 달리 전좌석 금연이며, 강제배연장치·JR 도카이 코마키 연구시설이 개발한 광촉매 탈취 장치를 갖춘 흡연실(정원 24명)을 3·7·10·15호차의 데크 부분에 6개소 구비했다.[111] 흡연실에 가까운 좌석은 흡연 희망자를 우선해 지정석권을 발행한다.[111]

이 외에 철도차량으로서는 최초로 모든 승강구 부근과 운전실 출입구에 방범 카메라를 설치하여 승무원실의 모니터에서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었다. 이것은 승강구에 비치되어 있는 비상용 도어 콕이 장난으로 조작되는 경우가 많아 잦은 열차 지연의 원인이 되었으며, 전화실이나 흡연실 등의 개인실 부분이 증가하여 그런 공간을 악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이런 경우에 대해 방범 카메라에 의한 억제 효과를 도모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차내 조명에는 마쓰시타 전공제의 LED 조명도 채용되었다. 한 편성마다 그린차의 통로에 26개, 운전석에 12대가 각각 채용되어 있다.

내부적으로 좌석은 새로운 모켓 시트 커버를 사용하며, 화장실과 세면실에는 LED 조명이 사용된다.[14]

4. 8. 1. 공간과 창문

보통차는 TEIJIN제의 특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 창문을 채용하고 있다. 종래의 복층 유리 표면에 특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수지 시트를 붙여 맞춘 콤퍼짓(composite) 타입보다 내구성이 강하고, 부재 사용량을 반으로 줄이는 등 단위면적당 질량을 약 30% 정도 경량화하는데 성공했다.

보통석(2007년 9월 30일, 도쿄역에서 촬영)


차체 틸팅 장치 채용으로 전체 폭은 700계에 비해 20mm 좁아졌지만, 강도를 확보하면서 차체 벽을 얇게 하는 등의 결과로, 동계열과 동등한 차내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반면, 경량화하면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창문의 면적은 700계의 약 60%로 축소되었다(보통차에서 가로 세로 520 mm×폭 500 mm, 창틀 높이 780 mm). 이 때문에, 차내에서의 조망이 약간 희생되었으며, 통로 측의 좌석(특히 보통차 자유석과 N·Z 편성의 보통차 지정석의 C석)에서 바깥 풍경을 보는 것은 어렵다.

보통차의 창문에는 특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채용하고 있다. 기존의 복층 유리 표면에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제 시트를 접착한 컴포지트 타입과 비교하여, 돌 등에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경량인 동시에, 부재 사용량을 약 반으로 줄여, 단위 면적당 질량을 약 3할 경량화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차체 측의 개구부에 창문 재료가 끼워지는 듯한 형상으로 하여, 차체 표면과 창문과의 단차를 극력 작게 하도록 하고 있다[105].

4. 8. 2. 보안 대책

철도 차량으로는 처음으로 모든 승강구 출입문 상부와 운전실 출입구에 방범 카메라를 설치하여, 승무원실의 모니터에서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었다. 이는 승강구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용 도어 콕이 장난으로 조작되어 안전 확인 때문에 잦은 지연이 발생하고, 전화실이나 흡연실 등 개실 부분의 증가와 함께 그러한 공간이 악용될 우려가 있어 방범 카메라를 통한 억제 효과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또한, 방범 카메라를 설치함으로써 테러 발생이나 치한·불쾌 행위의 억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하였다.

데크부 방범 카메라


2015년에 도카이도 신칸센 화재 사건이 발생한 것을 계기로, 추가 대책으로서 데크 통로부 및 차내 (양 끝에 있는 차내 안내 표시 장치 옆)에도 방범 카메라를 증설하게 되었다. 사건 이후 추가로 신조하는 차량은 제조 시에 대응하며, 기존 차량에 대해서도 2018년까지 모든 차량에 추설한다고 한다[106]. 2016년 2월 23일부터 차내 등에 증설이 완료된 1개 편성의 운행이 시작되었다[108][109]. N700계 이후에 등장한 E5계·H5계 및 E6계, E7계·W7계 각 차량에서는 신조 시부터 데크부에 더하여 그린샤를 제외한 모든 객실 내에도 방범 카메라를 설치하고 있다.

이 외에도 도어 콕 장난 방지 대책으로서 주행 중에 도어 콕 덮개를 자동으로 잠가 열 수 없도록 하고, 덮개를 열면 경보 부저가 울리는 기능이 갖추어졌다. 추가로 신조하는 N700계는 제조 시에 설치하며, 기존의 N700계 및 잠금 기능만 추가하는 700계 및 500계에 대해서도 2009년 9월까지 모든 개수를 마쳤다.

4. 8. 3. 기타 설비

지상 설비가 완성되는 2009년 봄부터 무선 LAN에 의한 인터넷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지상에서 차내에는 2Mbps, 차내에서 지상에는 1Mbps가 될 예정). 다만 산요 구간에서는 터널의 수가 많기 때문에 개량비용이 높아지며, JR 후쿠치야마 선 탈선사고를 계기로 안전 대책을 무엇보다 우선할 방침이어서 당장 개량 계획을 세울 수 없는 형편이기 때문에 일단은 도카이도 구간에서만 실시될 예정이다.

화장실은 모두 서양식으로 통일되는 것과 동시에 신칸센 차량으로는 처음으로 오스토메이트 대응 화장실이 설치되었다(11호차). 또한 일부 화장실에는 기저귀 교환대, 11호차의 다목적실에는 베이비 체어도 설치되어 있다. 화장실은 2량에 1곳(홀수호차의 도쿄 방향)에 설치되어 있으며, 대변소 2곳(양식 변기 2곳)과 남성용 소변기 1곳, 세면소 2곳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 1호차(781형·783형)는 객실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세면소가 1곳으로 되어 있다.

국철 시절부터 흡연은 제일 큰 문제가 되어 왔다. 특히 300계 이후 차량은 고속 성능으로 인하여 차내에서 한 번 담배를 피우면 그 차량 한 량 전체로 퍼져 냄새가 번져 JR도카이·서일본·동일본에서 많은 민원이 들어왔다. 그래서 N700계 양산차량은 700계 이전의 차량과 달리 전좌석 금연이며, 강제배연장치·JR 도카이 코마키 연구시설이 개발한 광촉매 탈취 장치를 갖춘 흡연실(정원 24명)을 3·7·10·15호차의 데크 부분에 6개소 구비했다.[111] 흡연실에 가까운 좌석은 흡연 희망자를 우선해 지정석권을 발행한다.[111] 역 자동 방송에서도 본 계열로 운전되는 열차는 전 좌석 금연이라는 점과 흡연실이 몇 호차에 설치되어 있는지 안내되었다(2020년 3월에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의 전 열차에서 전 좌석 금연화가 완료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행해지지 않는다).

이 외에 철도차량으로서는 최초로 모든 승강구 부근과 운전실 출입구에 방범 카메라를 설치하여 승무원실의 모니터에서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었다. 이것은 승강구에 비치되어 있는 비상용 도어 코크가 장난으로 조작되는 경우가 많아 잦은 열차 지연의 원인이 되었으며, 전화실이나 흡연실 등의 개인실 부분이 증가하여 그런 공간을 악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이런 경우에 대해 방범 카메라에 의한 억제 효과를 도모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차내 조명에는 마쓰시타 전공제의 LED 조명도 채용되었다. 한 편성마다 그린차의 통로에 26개, 운전석에 12대가 각각 채용되어 있다.

|섬네일|250 px|산요신칸센 구간을 주행하는 N700계 Z28편성(오카야마역 - 아이오이 역, 2009년 4월 8일)]]

차내 안내 표시기는 신칸센에서는 처음으로 풀 컬러·2단 표시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신문사에서 배포되는 뉴스·광고와 "노조미", "히카리", "미즈호", "사쿠라"로 역을 통과할 때의 "지금 ●●역을 통과." 등 종래의 것에 더해, 역 정차 시의 출입문 개폐 방향도 표시되게 되었다. 실제 표시에 사용되는 색상은 Z·N 편성에서는 흰색·주황색·연두색·하늘색·빨간색의 5색이지만, 이 중 빨간색은 연결되는 재래선을 포함하여 대폭적인 지연이나 운휴·운전 중단 등이 발생했을 때의 고지에 사용된다. 기업 광고나 S·R 편성에서는, 연보라색이나 녹색 등 풀 컬러를 충분히 활용한 표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좌석 번호 표시 등도 포함하여, 차내외 모두 각종 표시의 문자가 종래 차량에 비해 대형화된 것도 본 계열의 특징이다.

운전실 및 차장실에는 승무원 연락용 PHS 단말이 탑재되어 있으며, 차장이 객실 내에 있어도 승무원 간의 연락이 가능하다. 또한, 이 PHS 단말에서 직접 차내 방송을 할 수도 있다.

5.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용 편성

F, G, K, X편성의 경우 6호차와 12호차에, R, S편성의 경우 2호차와 7호차에 팬터그래프가 존재한다.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용으로 제조된 N700계는 1개 편성(16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8 ~ 10호차가 그린샤, 그 외의 차량은 보통차이다.

== Z·N 편성 ==

2007년 4월에 최초로 도입된 도카이 여객철도 소유의 Z편성은 같은 해 7월 노조미 등급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2012년 2월가와사키 중공업에서 마지막 편성이 인도되었다.[20]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제동 시스템 개선 등의 마이너 체인지 작업을 거쳐 X편성으로 변경되었고, 차량 번호도 2000번대로 변경되었다.[238][239]

Z15편성, 2008년 6월


서일본 여객철도 소유의 N편성은 2007년 6월에 최초로 도입되어 같은 해 7월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2010년까지 순차적으로 도입되었다.[240]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마이너 체인지 작업을 거쳐 K편성으로 변경되었고, 차량 번호도 5000번대로 변경되었다.[240]

2009년 4월 산요 신칸센에서 운행 중인 JR-West N700계 N3편성(현 K3)


개조된 차량은 '''N700A''' 로고가 추가되었다.[141]

== 외관 ==

700계까지와는 달리, 대부분의 부분에서 JR東海와 JR西日本 소속 편성 간의 차이가 없어졌다. 몇 안 되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JR 마크는 처음에는 300계, 700계와 마찬가지로 1, 8, 16호차의 형식 번호 앞에 부착되어 있었다. 그 후 Z편성은 2010년경부터 JR東海 소유 차량과 JR西日本 소유 차량의 식별을 위해 전 차량의 형식 번호 앞에 부착되게 되었고, 조금 늦게 N편성도 정기 검사 시 재도색 시에 순차적으로 전 차량에 부착되게 되었다.
  • JR 마크의 색상과 차량 번호의 번대 구분 및 편성 번호의 알파벳이 다르다.


차체 도색은 700계 16량 편성처럼 창문 아래에 굵은 띠(상단)와 가는 띠(하단)가 나란히 있지만, 선두 부분의 라인이 비스듬하게 잘린 부분의 각도가 약간 작아졌다. 또한 700계와는 다른 "N700"의 로고 안에 차량의 실루엣이 들어간 독자적인 로고 타입을 차체 측면에 게시하고 있다.

양산 선행 시제차인 Z0편성은, 세부적인 외관 포인트로서 객실 출입문 옆의 호차 번호 표기와 금연 픽토그램이 가로로 나란히 있었던 반면, 양산차에서는 세로로 나란히 배치되었다. 그리고 최초의 정기 검사를 2009년 8월에 하마마츠 공장에서 출고했을 때, 차체 측면의 호차 표시나 신체 장애자 표시는 지금까지보다 한층 더 커졌고, 차체 표기나 그린샤(Green car)의 마크는 한층 더 작아지면서, 차체 외장의 픽토그램류가 Z1편성 이후의 양산차와 통일되었다. 그러나 양산차에서 설치된 흡연실 신설 등의 개조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흡연차의 금연 마크도 붙어 있지 않다. 출고 시운전 후 8월 5일에는 다시 하마마츠 공장으로 돌아갔다.[115]

== 대차 (Z·N 편성) ==

대차는 300계 이래 실적이 있는 코일스프링과 원통적층고무를 병용한 윙 용수철 식 저널박스 장치의 볼스터리스 대차이며, 저널박스의 상부와 대차 프레임 사이에 축 댐퍼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500계와 700계와는 달리 JR 서일본 편성이 되는 N편성 차량도 JR 도카이와 같은 원통고무병용 저널박스 지지방식을 채용했다.

700계에서는 선두차량 진행방향 측의 대차에만 공력저항 경감용 커버가 붙어 있었지만 N700계에서는 대차의 전동(轉動)음과 공력음을 저감하기 위해서 모든 대차에 대차 커버가 채용되었다. 선행 시제차량(Z0편성)에서 시험 도중 커버의 형상이 변경되어 변경 뒤의 것이 양산형 차량에도 채용되었다. 선두차량의 대차 커버도 700계의 그것보다 공기의 흐름을 고려한 3차원적인 모양으로 되어 있다. 경량화와 재활용 측면을 고려하여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가 채용되어 있다.

구동방식은 보통차는 신형 치형형상(歯型形状)의 채용과 치차 중심간 거리를 확대하여 백래시(Backlash)를 줄인 저소음형 WN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이, 그린샤의 경우 JR 도카이의 700계 C19편성 이후 그린차에서 실적이 있는 TD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이 본격적으로 채용되었다. JR 서일본의 700계는 그린차를 포함하여 모두 WN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이었지만, 이 계열(S편성을 제외)은 JR 도카이 소유 차량과 모두 공통이다. 이전에는 고속운전시 내구성의 측면에서 WN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이 채용되어 왔지만, TD 카르단에 이용되는 굴곡판의 내구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보수가 용이하고 소음이 적은 이 방식이 채용되었다.

대차는 300계 이후의 실적이 있는 코일 스프링과 원통 적층 고무를 병용한 윙 스프링식 축상 지지 장치의 앤티 요 댐퍼가 장착된 볼스터리스 대차를 채용하고 있으며, 축상 상부와 대차 프레임 사이에는 축 댐퍼가 장착되어 있다.

700계에서는 선두 차량 진행 방향 측 대차에만 공기 저항 감소용 커버가 부착되었지만, 본 계열부터는 대차 부분의 회전음·공력음을 저감하기 위해 모든 대차에 대차 커버가 채용되었다[116]

선행 시험 차량 (Z0 편성)에서는 시험 도중에 커버의 형상이 변경되었으며, 변경 후의 것이 양산차에도 채용되었다. 선두 차량의 대차 커버도 700계의 것보다 공기의 흐름을 고려한 3차원적인 조형으로 제작되었다. 경량화와 재활용성 측면에서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CFRP)이 채용되었다[116]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은 비례 전자식 릴리프 밸브에 의한 무단계 제어 방식을 채용하여, 대차의 견인 장치 중심핀 부근의 대차 프레임과 차체 사이의 침목 방향에 장착되어 감쇠력을 무단계로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터널과 개방 구간에서의 선로 데이터 맵을 바탕으로 각 구간에 최적의 제어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700계에서는 일부 차량에만 탑재되었지만, 본 계열에서는 전 차량에 탑재하여 승차감 개선을 도모했다.

양산차에서는 전동차에 TDT205/WDT207을, 부수차인 1·16호차에는 TTR7003/WTR7003을 탑재한다. 700계와는 달리 대차는 Z 편성 및 N 편성에서 공통으로 사용한다.

축상 지지 방식은 300계와 마찬가지로 코일 스프링+원통 적층 고무 병용 방식이며, 구동 방식은 일반 차량에서는 신형 치형(齒形) 채용과 톱니바퀴 중심 간 거리 확대를 통해 백래시를 저감한 저소음형 WN 이음매가, 그린샤에서는 JR 도카이 소유의 700계 C19 편성 이후와 마찬가지로 TD 이음매가 계속 채용되었다[81]

300 km/h에서의 주행에 대응하기 위해 700계에서 기어비가 변경되었다[81]

선내 60곳의 곡선 반경 2,500 m의 곡선 구간을 270 km/h로 주행할 수 있도록, 신칸센 차량에서는 처음으로 공기 스프링에 의한 차체 경사 장치 (최대 경사각 1도)를 채용하고 있다. 이는 자차의 위치를 차량에 기록된 선로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상 측에서 전송되는 절대 위치 정보에 의해 보정하면서 위치를 특정하고, 곡선 구간에서 차체를 경사시키는 것으로, 곡선의 선로의 바깥쪽 레일 측 공기 스프링을 상승시키는 시스템이다. 또한 차체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LV 제어 (0도 제어 또는 수평 제어)로 기능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있다.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차체 경사 장치의 제어 계통은 이중화되어 있다[119]。 이 두 계통 모두 문제 발생 시 차체 경사 장치 사용을 중지하고 700계와 동일한 운전 패턴으로 변경되는 백업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119]

== 차내 설비 ==

좌석은 새로운 모켓 시트 커버를 사용하며, 화장실과 세면실에는 LED 조명이 사용된다.[14]

이 열차는 객차 1량의 절반(6호차)에 24석(6열)의 2+2 배열 좌석으로 구성된 그린샤를 갖추고 있으며, 좌석 너비는 480mm이며 좌석 간 간격은 1160mm이다. 4호차부터 8호차(6호차 절반 포함)는 2+2 배열, 좌석 너비 465 mm, 좌석 간 간격 1,040 mm의 "지정석" 객차로 지정되어 있다. 1호차부터 3호차는 2+3 배열, 좌석 너비 440 mm(3석 열 중간 좌석은 460 mm), 좌석 간 간격 1,040 mm의 "자유석" 객차이다.[26]

JR 서일본 N700-7000계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R편성은 1량의 절반(6호차)에 2+2 배열로 24석(6열)의 그린샤 객실을 갖추고 있다. 4호차에서 8호차(6호차 절반 포함)까지는 2+2 배열의 "지정석" 차량으로 지정되어 있다. 1호차에서 3호차는 2+3 배열의 "자유석" 차량이다.[31]

그린샤(Green car)는 도쿄 방향(775·776형) 또는 하카타 방향(777형) 차량 단부의 1곳에, 보통차는 각 차량 단부의 2곳에 객실 출입문과 데크를 설치했다. 차내 판매 준비실을 갖춘 차량(786형 700번대·3700번대, 787형 400번대·3400번대)에는 객실 출입문과 동일한 문이 있지만, 업무용이기 때문에 승객의 승강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11호차에는 오스토메이트 대응 화장실과 아기 의자가 있는 다목적실이 설치되어 있다.

흡연실을 3·7·10·15호차의 데크 부분에 총 6곳 설치했다.

== X·K 편성으로의 개조 ==

2013년부터 2015년까지 Z편성이 X편성으로 개조되면서 2000번대로 부여된 전동차는 도카이 여객철도가 보유하고 있다. 서일본 여객철도가 소유하고 있는 N700계 5000번대 전동차는 2013년 10월에 마이너 체인지 작업으로 기존 N편성 차량이 K편성으로 개조된 차량이다. 두 차량 모두 '''N700A''' 로고가 새롭게 추가되었다.[238][239][240]

2012년 4월, 도카이 여객철도는 보유한 Z편성(0번대) 80편성에 대해 N700A에 채용된 기능을 일부 반영하는 개조 공사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133] 같은 해 12월, 서일본 여객철도도 보유한 N편성(3000번대) 16편성에 대해 동일한 개조 공사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134]

개조 내용은 다음과 같다:[136][137][138]

  • 브레이크 디스크 볼트 체결 방식을 중앙 체결식으로 변경 (제동력 약 15% 향상)
  • 정속 주행 장치 탑재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에서만 사용)
  • 지진 브레이크 탑재 (정지 거리 10% 단축)
  • 공기 탱크 증설


개조 후 Z편성은 X편성(2000번대), N편성은 K편성(5000번대)으로 변경되었다. Z0편성은 X편성으로 변경되었지만 9000번대는 유지되었다. Z편성은 하마마츠 공장에서,[133][137] N편성은 하카타 종합 차량소에서 개조되었다.[138]

개조 작업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진행되었다. 서일본 여객철도의 K4 (구 N4)편성은 2013년 10월 하순부터 운용을 시작했다. 2016년 3월 7일 K9 (구 N9)편성의 출고를 끝으로 완료되었고, 2015년 8월 5일, 하마마츠 공장에서 개조 공사 완료식이 거행되었다.[140]

개조된 차량은 기존 로고에 "A" 문자가 추가된 새로운 로고가 부착되었다.[141] 개조 후의 차량은 "스몰 A", "N700typeA"라고도 불린다.[142][143]

차호도입 시기개조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K1호2007년2014년운행 중
K2호2015년운행 중
K3호운행 중
K4호2013년운행 중
K5호운행 중2017년 12월 나고야역에서 신칸센 대차 균열 사건으로 인해 잠시 운행이 중단되었다.
K6호2015년운행 중
K7호운행 중
K8호2008년2014년운행 중
K9호2016년운행 중
K10호2009년2014년운행 중
K11호2015년운행 중
K12호2010년2014년운행 중
K13호2009년운행 중
K14호2010년운행 중
K15호운행 중
K16호2015년운행 중



차호도입 시기개조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X0호2005년2014년2019년도입 초기 Z0호로 도입했다.
X1호2007년2015년2021년
X2호
X3호
X4호2022년
X5호
X6호
X7호2013년
X8호
X9호
X10호
X11호
X12호2008년2014년2020년
X13호
X14호
X15호
X16호
X17호
X18호2023년
X19호2021년
X20호2023년
X21호
X22호2021년
X23호
X24호
X25호
X26호
X27호
X28호
X29호2015년
X30호2009년2014년2023년
X31호2024년
X32호2015년2024년
X33호2024년
X34호2024년
X35호2024년
X36호2013년2024년
X37호2015년2024년
X38호2013년2024년
X39호2022년
X40호2024년
X41호2022년
X42호2024년
X43호2022년
X44호2014년
X45호2010년
X46호2023년
X47호
X48호
X49호
X50호운행 중
X51호운행 중
X52호운행 중
X53호운행 중
X54호운행 중
X55호운행 중
X56호운행 중
X57호운행 중
X58호운행 중
X59호운행 중2015년 6월 30일 도카이도 신칸센 화재 사건으로 인해 1호차가 폐차 및 신조되었다.[259]
X60호운행 중
X61호2011년2015년운행 중
X62호운행 중
X63호운행 중
X64호운행 중
X65호2013년운행 중
X66호운행 중
X67호운행 중
X68호운행 중
X69호운행 중
X70호운행 중
X71호운행 중
X72호운행 중
X73호운행 중
X74호운행 중
X75호운행 중
X76호운행 중
X77호2014년운행 중
X78호2012년운행 중
X79호운행 중
X80호운행 중



JR Central N700-2000 series set X50, 2014년 9월


JR-West N700-5000계 K6편성, 2016년 1월


== 형식·차종 (Z·N→X·K 편성) ==

2013년부터 2015년까지 Z편성이 X편성으로 개조되면서 2000번대로 부여된 전동차는 도카이 여객철도가 보유하고 있다. 마이너 체인지 모델의 경우 '''N700A''' 로고가 새롭게 추가되었다.[238][239]

2013년 10월에 마이너 체인지 작업으로 기존 N편성 차량이 K편성으로 개조된 차량은 서일본 여객철도가 소유하고 있다. 신칸센 N700계 2000번대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N700A''' 로고가 새롭게 추가되었다.[240]

호차12345678910111213141516
명칭TcM2M'wM1M1wM'M2kM1sM'sM2sM'hM1M1wM'M2wT'c
번호783-2000787-2000786-2500785-2000785-2300786-2000787-2400775-2000776-2000777-2000786-2700785-2600785-2500786-2200787-2500784-2000
좌석6510085100901007568646863100901008075



호차12345678910111213141516
명칭TcM2M'wM1M1wM'M2kM1sM'sM2sM'hM1M1wM'M2wT'c
번호783-5000787-5000786-5500785-5000785-5300786-5000787-5400775-5000776-5000777-5000786-5700785-5600785-5500786-5200787-5500784-5000
좌석6510085100901007568646863100901008075


  • 81개 편성, 16량 1편성, X0~X80 (N700-0계에서 개조)
  • 16개의 16량 편성, K1~K16 (N700-

5. 1. Z·N 편성

2007년 4월에 최초로 도입된 도카이 여객철도 소유의 Z편성은 같은 해 7월 노조미 등급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2012년 2월가와사키 중공업에서 마지막 편성이 인도되었다.[20]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제동 시스템 개선 등의 마이너 체인지 작업을 거쳐 X편성으로 변경되었고, 차량 번호도 2000번대로 변경되었다.[238][239]

서일본 여객철도 소유의 N편성은 2007년 6월에 최초로 도입되어 같은 해 7월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2010년까지 순차적으로 도입되었다.[240]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마이너 체인지 작업을 거쳐 K편성으로 변경되었고, 차량 번호도 5000번대로 변경되었다.[240]

개조된 차량은 '''N700A''' 로고가 추가되었다.[141]

5. 1. 1. 외관

700계까지와는 달리, 대부분의 부분에서 JR東海와 JR西日本 소속 편성 간의 차이가 없어졌다. 몇 안 되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JR 마크는 처음에는 300계, 700계와 마찬가지로 1, 8, 16호차의 형식 번호 앞에 부착되어 있었다. 그 후 Z편성은 2010년경부터 JR東海 소유 차량과 JR西日本 소유 차량의 식별을 위해 전 차량의 형식 번호 앞에 부착되게 되었고, 조금 늦게 N편성도 정기 검사 시 재도색 시에 순차적으로 전 차량에 부착되게 되었다.
  • JR 마크의 색상과 차량 번호의 번대 구분 및 편성 번호의 알파벳이 다르다.


차체 도색은 700계 16량 편성처럼 창문 아래에 굵은 띠(상단)와 가는 띠(하단)가 나란히 있지만, 선두 부분의 라인이 비스듬하게 잘린 부분의 각도가 약간 작아졌다. 또한 700계와는 다른 "N700"의 로고 안에 차량의 실루엣이 들어간 독자적인 로고 타입을 차체 측면에 게시하고 있다.

양산 선행 시제차인 Z0편성은, 세부적인 외관 포인트로서 객실 출입문 옆의 호차 번호 표기와 금연 픽토그램이 가로로 나란히 있었던 반면, 양산차에서는 세로로 나란히 배치되었다. 그리고 최초의 정기 검사를 2009년 8월에 하마마츠 공장에서 출고했을 때, 차체 측면의 호차 표시나 신체 장애자 표시는 지금까지보다 한층 더 커졌고, 차체 표기나 그린샤(Green car)의 마크는 한층 더 작아지면서, 차체 외장의 픽토그램류가 Z1편성 이후의 양산차와 통일되었다. 그러나 양산차에서 설치된 흡연실 신설 등의 개조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흡연차의 금연 마크도 붙어 있지 않다. 출고 시운전 후 8월 5일에는 다시 하마마츠 공장으로 돌아갔다.[115]

5. 1. 2. 대차 (Z·N 편성)



대차는 300계 이래 실적이 있는 코일스프링과 원통적층고무를 병용한 윙 용수철 식 저널박스 장치의 볼스터리스 대차이며, 저널박스의 상부와 대차 프레임 사이에 축 댐퍼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500계와 700계와는 달리 JR 서일본 편성이 되는 N편성 차량도 JR 도카이와 같은 원통고무병용 저널박스 지지방식을 채용했다.

700계에서는 선두차량 진행방향 측의 대차에만 공력저항 경감용 커버가 붙어 있었지만 N700계에서는 대차의 전동(轉動)음과 공력음을 저감하기 위해서 모든 대차에 대차 커버가 채용되었다. 선행 시제차량(Z0편성)에서 시험 도중 커버의 형상이 변경되어 변경 뒤의 것이 양산형 차량에도 채용되었다. 선두차량의 대차 커버도 700계의 그것보다 공기의 흐름을 고려한 3차원적인 모양으로 되어 있다. 경량화와 재활용 측면을 고려하여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가 채용되어 있다.

구동방식은 보통차는 신형 치형형상(歯型形状)의 채용과 치차 중심간 거리를 확대하여 백래시(Backlash)를 줄인 저소음형 WN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이, 그린샤의 경우 JR 도카이의 700계 C19편성 이후 그린차에서 실적이 있는 TD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이 본격적으로 채용되었다. JR 서일본의 700계는 그린차를 포함하여 모두 WN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이었지만, 이 계열(S편성을 제외)은 JR 도카이 소유 차량과 모두 공통이다. 이전에는 고속운전시 내구성의 측면에서 WN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이 채용되어 왔지만, TD 카르단에 이용되는 굴곡판의 내구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보수가 용이하고 소음이 적은 이 방식이 채용되었다.

대차는 300계 이후의 실적이 있는 코일 스프링과 원통 적층 고무를 병용한 윙 스프링식 축상 지지 장치의 앤티 요 댐퍼가 장착된 볼스터리스 대차를 채용하고 있으며, 축상 상부와 대차 프레임 사이에는 축 댐퍼가 장착되어 있다.

700계에서는 선두 차량 진행 방향 측 대차에만 공기 저항 감소용 커버가 부착되었지만, 본 계열부터는 대차 부분의 회전음·공력음을 저감하기 위해 모든 대차에 대차 커버가 채용되었다[116]

선행 시험 차량 (Z0 편성)에서는 시험 도중에 커버의 형상이 변경되었으며, 변경 후의 것이 양산차에도 채용되었다. 선두 차량의 대차 커버도 700계의 것보다 공기의 흐름을 고려한 3차원적인 조형으로 제작되었다. 경량화와 재활용성 측면에서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CFRP)이 채용되었다[116]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은 비례 전자식 릴리프 밸브에 의한 무단계 제어 방식을 채용하여, 대차의 견인 장치 중심핀 부근의 대차 프레임과 차체 사이의 침목 방향에 장착되어 감쇠력을 무단계로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터널과 개방 구간에서의 선로 데이터 맵을 바탕으로 각 구간에 최적의 제어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700계에서는 일부 차량에만 탑재되었지만, 본 계열에서는 전 차량에 탑재하여 승차감 개선을 도모했다.

양산차에서는 전동차에 TDT205/WDT207을, 부수차인 1·16호차에는 TTR7003/WTR7003을 탑재한다. 700계와는 달리 대차는 Z 편성 및 N 편성에서 공통으로 사용한다.

축상 지지 방식은 300계와 마찬가지로 코일 스프링+원통 적층 고무 병용 방식이며, 구동 방식은 일반 차량에서는 신형 치형(齒形) 채용과 톱니바퀴 중심 간 거리 확대를 통해 백래시를 저감한 저소음형 WN 이음매가, 그린샤에서는 JR 도카이 소유의 700계 C19 편성 이후와 마찬가지로 TD 이음매가 계속 채용되었다[81]

300 km/h에서의 주행에 대응하기 위해 700계에서 기어비가 변경되었다[81]

선내 60곳의 곡선 반경 2,500 m의 곡선 구간을 270 km/h로 주행할 수 있도록, 신칸센 차량에서는 처음으로 공기 스프링에 의한 차체 경사 장치 (최대 경사각 1도)를 채용하고 있다. 이는 자차의 위치를 차량에 기록된 선로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상 측에서 전송되는 절대 위치 정보에 의해 보정하면서 위치를 특정하고, 곡선 구간에서 차체를 경사시키는 것으로, 곡선의 선로의 바깥쪽 레일 측 공기 스프링을 상승시키는 시스템이다. 또한 차체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LV 제어 (0도 제어 또는 수평 제어)로 기능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있다.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차체 경사 장치의 제어 계통은 이중화되어 있다[119]。 이 두 계통 모두 문제 발생 시 차체 경사 장치 사용을 중지하고 700계와 동일한 운전 패턴으로 변경되는 백업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119]

5. 1. 3. 차내 설비

좌석은 새로운 모켓 시트 커버를 사용하며, 화장실과 세면실에는 LED 조명이 사용된다.[14]

이 열차는 객차 1량의 절반(6호차)에 24석(6열)의 2+2 배열 좌석으로 구성된 그린샤를 갖추고 있으며, 좌석 너비는 480mm이며 좌석 간 간격은 1160mm이다. 4호차부터 8호차(6호차 절반 포함)는 2+2 배열, 좌석 너비 465 mm, 좌석 간 간격 1,040 mm의 "지정석" 객차로 지정되어 있다. 1호차부터 3호차는 2+3 배열, 좌석 너비 440 mm(3석 열 중간 좌석은 460 mm), 좌석 간 간격 1,040 mm의 "자유석" 객차이다.[26]

JR 서일본 N700-7000계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R편성은 1량의 절반(6호차)에 2+2 배열로 24석(6열)의 그린샤 객실을 갖추고 있다. 4호차에서 8호차(6호차 절반 포함)까지는 2+2 배열의 "지정석" 차량으로 지정되어 있다. 1호차에서 3호차는 2+3 배열의 "자유석" 차량이다.[31]

그린샤(Green car)는 도쿄 방향(775·776형) 또는 하카타 방향(777형) 차량 단부의 1곳에, 보통차는 각 차량 단부의 2곳에 객실 출입문과 데크를 설치했다. 차내 판매 준비실을 갖춘 차량(786형 700번대·3700번대, 787형 400번대·3400번대)에는 객실 출입문과 동일한 문이 있지만, 업무용이기 때문에 승객의 승강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11호차에는 오스토메이트 대응 화장실과 아기 의자가 있는 다목적실이 설치되어 있다.

흡연실을 3·7·10·15호차의 데크 부분에 총 6곳 설치했다.

5. 1. 4. X·K 편성으로의 개조

2013년부터 2015년까지 Z편성이 X편성으로 개조되면서 2000번대로 부여된 전동차는 도카이 여객철도가 보유하고 있다. 서일본 여객철도가 소유하고 있는 N700계 5000번대 전동차는 2013년 10월에 마이너 체인지 작업으로 기존 N편성 차량이 K편성으로 개조된 차량이다. 두 차량 모두 '''N700A''' 로고가 새롭게 추가되었다.[238][239][240]

2012년 4월, 도카이 여객철도는 보유한 Z편성(0번대) 80편성에 대해 N700A에 채용된 기능을 일부 반영하는 개조 공사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133] 같은 해 12월, 서일본 여객철도도 보유한 N편성(3000번대) 16편성에 대해 동일한 개조 공사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134]

개조 내용은 다음과 같다:[136][137][138]

  • 브레이크 디스크 볼트 체결 방식을 중앙 체결식으로 변경 (제동력 약 15% 향상)
  • 정속 주행 장치 탑재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에서만 사용)
  • 지진 브레이크 탑재 (정지 거리 10% 단축)
  • 공기 탱크 증설


개조 후 Z편성은 X편성(2000번대), N편성은 K편성(5000번대)으로 변경되었다. Z0편성은 X편성으로 변경되었지만 9000번대는 유지되었다. Z편성은 하마마츠 공장에서,[133][137] N편성은 하카타 종합 차량소에서 개조되었다.[138]

개조 작업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진행되었다. 서일본 여객철도의 K4 (구 N4)편성은 2013년 10월 하순부터 운용을 시작했다. 2016년 3월 7일 K9 (구 N9)편성의 출고를 끝으로 완료되었고, 2015년 8월 5일, 하마마츠 공장에서 개조 공사 완료식이 거행되었다.[140]

개조된 차량은 기존 로고에 "A" 문자가 추가된 새로운 로고가 부착되었다.[141] 개조 후의 차량은 "스몰 A", "N700typeA"라고도 불린다.[142][143]

차호도입 시기개조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K1호2007년2014년운행 중
K2호2015년운행 중
K3호운행 중
K4호2013년운행 중
K5호운행 중2017년 12월 나고야역에서 신칸센 대차 균열 사건으로 인해 잠시 운행이 중단되었다.
K6호2015년운행 중
K7호운행 중
K8호2008년2014년운행 중
K9호2016년운행 중
K10호2009년2014년운행 중
K11호2015년운행 중
K12호2010년2014년운행 중
K13호2009년운행 중
K14호2010년운행 중
K15호운행 중
K16호2015년운행 중



차호도입 시기개조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X0호2005년2014년2019년도입 초기 Z0호로 도입했다.
X1호2007년2015년2021년
X2호
X3호
X4호2022년
X5호
X6호
X7호2013년
X8호
X9호
X10호
X11호
X12호2008년2014년2020년
X13호
X14호
X15호
X16호
X17호
X18호2023년
X19호2021년
X20호2023년
X21호
X22호2021년
X23호
X24호
X25호
X26호
X27호
X28호
X29호2015년
X30호2009년2014년2023년
X31호2024년
X32호2015년2024년
X33호2024년
X34호2024년
X35호2024년
X36호2013년2024년
X37호2015년2024년
X38호2013년2024년
X39호2022년
X40호2024년
X41호2022년
X42호2024년
X43호2022년
X44호2014년
X45호2010년
X46호2023년
X47호
X48호
X49호
X50호운행 중
X51호운행 중
X52호운행 중
X53호운행 중
X54호운행 중
X55호운행 중
X56호운행 중
X57호운행 중
X58호운행 중
X59호운행 중2015년 6월 30일 도카이도 신칸센 화재 사건으로 인해 1호차가 폐차 및 신조되었다.[259]
X60호운행 중
X61호2011년2015년운행 중
X62호운행 중
X63호운행 중
X64호운행 중
X65호2013년운행 중
X66호운행 중
X67호운행 중
X68호운행 중
X69호운행 중
X70호운행 중
X71호운행 중
X72호운행 중
X73호운행 중
X74호운행 중
X75호운행 중
X76호운행 중
X77호2014년운행 중
X78호2012년운행 중
X79호운행 중
X80호운행 중



5. 1. 5. 형식·차종 (Z·N→X·K 편성)

2013년부터 2015년까지 Z편성이 X편성으로 개조되면서 2000번대로 부여된 전동차는 도카이 여객철도가 보유하고 있다. 마이너 체인지 모델의 경우 '''N700A''' 로고가 새롭게 추가되었다.[238][239]

2013년 10월에 마이너 체인지 작업으로 기존 N편성 차량이 K편성으로 개조된 차량은 서일본 여객철도가 소유하고 있다. 신칸센 N700계 2000번대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N700A''' 로고가 새롭게 추가되었다.[240]

호차12345678910111213141516
명칭TcM2M'wM1M1wM'M2kM1sM'sM2sM'hM1M1wM'M2wT'c
번호783-2000787-2000786-2500785-2000785-2300786-2000787-2400775-2000776-2000777-2000786-2700785-2600785-2500786-2200787-2500784-2000
좌석6510085100901007568646863100901008075



호차12345678910111213141516
명칭TcM2M'wM1M1wM'M2kM1sM'sM2sM'hM1M1wM'M2wT'c
번호783-5000787-5000786-5500785-5000785-5300786-5000787-5400775-5000776-5000777-5000786-5700785-5600785-5500786-5200787-5500784-5000
좌석6510085100901007568646863100901008075


  • 81개 편성, 16량 1편성, X0~X80 (N700-0계에서 개조)
  • 16개의 16량 편성, K1~K16 (N700-3000계에서 개조)


이들은 2013년에서 2015년 8월 사이에 후기 N700A계 열차에 적용된 일부 설계 개선 사항을 통합하기 위해 개조된 이전의 N700계 Z편성이다. 차량은 -2000 서브시리즈로 재번호가 매겨졌으며, X0편성을 제외하고는 여전히 -9000 서브시리즈로 번호가 매겨져 있다. 또한 차체 측면의 "N700" 로고 오른쪽에 작은 "A"가 추가되어 식별된다.[18]

프로토타입 16량 편성(Z0)은 광범위한 테스트와 내구력 운전을 위해 2005년 3월에 인도되었다. 1~4호차는 히타치에서, 5~14호차는 일본 차량에서, 15~16호차는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제작되었다.[15] 처음에는 선두차 하단에 2개의 보조 헤드라이트가 장착되었다.[16]

2013년 회계 연도부터 Z편성은 후기 N700A계 열차에 적용된 일부 개선 사항을 통합하기 위한 개조를 받았다. 개조된 편성에는 차량 번호가 -2000 서브시리즈로 재지정되어 "X"편성으로 변경되었다. 개조된 편성 역시 차체 측면의 "N700" 로고 오른쪽에 작은 "A"가 추가되어 식별된다.[18] 최초의 "Z"편성인 Z65편성은 2013년 5월 X65편성으로 개조되었으며, 마지막 "Z"편성인 Z4편성은 2015년 8월 X4편성으로 개조되었다.[19]

프로토타입 Z0편성은 JR 도카이의 시험 열차로 사용되었으며, 차량 번호는 -9000시리즈였으며, 영업 운행에 사용되지 않았다. 2014년에 X0편성으로 재번호를 매겼지만, 차량 번호는 -9000 서브시리즈로 유지되었다.[20] 이 편성은 2019년 2월에 공식적으로 운행 중단되었다.

차량 번호는 X0 편성이 9000번대, Z편성 양산차가 0번대, N편성이 3000번대, X편성이 2000번대, K편성이 5000번대를 사용한다. Z0 편성(현・X0 편성)의 양산차 편입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100계 신칸센, 300계, 700계와는 달리[144], 편성 번호와 차량 번호의 끝 2자리가 일치하지 않는다.

5. 2. G·F 편성 (N700A)

신칸센 N700계 1000번대 전동차는 2012년 8월도카이 여객철도에서 도입했으며, 기존 신칸센 700계 전동차를 대체하기 위해 6편성이 우선 도입되었고 G편성으로 운행하고 있다.[236][237] 2013년 2월 8일에 최초로 운행에 들어갔다.[20] 기존 신칸센 N700계 2000번대 전동차와 달리 '''N700A''' 로고가 추가되었다.[9] 개선된 점은 ATC, 대차 진동 감지 및 열차 제동이 개선되었다.[10] 도카이 여객철도2016년부터 2020년까지 순차별로 기존 신칸센 700계 전동차를 교체했다.[11][12]

신칸센 N700계 4000번대 전동차는 2013년 12월부터 서일본여객철도가 도입하여 F편성으로 운행한다.[241][242] 신칸센 N700계 1000번대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N700A''' 로고가 추가되었다. 2014년 2월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2019년까지 12편성이 추가로 도입되었다.[22][23]

2011년 5월, JR 도카이는 700계 노후 교체 차량으로 개량형인 N700계 1000번대(통칭 '''N700A''', "A"는 Advanced의 머리글자)를 투입한다고 발표했다.[154] 2012년 8월 21일에 완성된 제1편성이 공개되었다. 안전성, 정시성, 환경 성능, 승차감의 관점에서 여러 개선이 이루어졌다. 영업 운전 개시는 2013년 2월 8일이다. JR 서일본도 2013년 11월에 자사 소속 차량 투입을 시작했다.

주요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 차체 구조
  • * 캘리퍼식 차륜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디스크 볼트 체결 방식을 중앙 체결식으로 변경하여 제동 거리를 단축 (700계 대비 20%, N700계 대비 10% 단축)[155][156]
  • * 대차 진동 감지 시스템 채용[157][156]
  • * 차체 경사 장치의 동작 범위를 곡선 반경 5,000m 미만의 곡선까지 확대하여 승차감을 개선하고[158], 곡선부에서의 최고 운전 속도를 향상(반경 2,500m에서 275km/h, 반경 3,000m에서 4,500m에서도 동작시켜 285km/h)[159]
  • * 재활용성의 관점에서 대차 커버를 스테인리스강으로 변경[160]
  • * 전동 차량 전체의 주 변환 장치를 주행풍을 이용하여 반도체 소자의 냉각을 실시, 소형 경량화를 도모한 블로어리스 주 변환 장치(TCI101)로 통일[160][161]
  • * 모니터 중앙 장치와 각 차량의 모니터 단말기를 연결하는 통신 회선 전송 용량을 100Mbps에서 1Gbps로 향상시키고, 새롭게 탑재된 모니터 간선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응[162]
  • * ATC 정보를 활용한 정속 주행 장치를 탑재[156]
  • 접객 설비
  • * 그린차에만 채용되었던 흡음 바닥 구조를 보통차에도 채용. 그린차의 내벽에는 새롭게 제진 패널을 탑재하여 소음 저감을 도모.
  • * 좌석의 무늬를 옅은 색으로 변경하여 "보통차는 더 밝게, 그린차는 더 차분한" 분위기로 변경[165]
  • * 좌석 등받이 헤드레스트 개량.
  • * 화장실 및 세면실의 전등을 조광 기능이 있는 LED 조명으로 변경. 차내 조명의 전력을 20% 절감[165]
  • * 자동판매기 폐지(2013년 말 투입분부터)[166]
  • * 출입문 상단의 도어 개폐 예고등 장착
  • * 데크에 승무원과 통화할 수 있는 긴급 통보 장치가 부착됨


외관 구분을 위해 차체 옆에는 Advanced의 "A"를 나타내는 로고 마크가 새겨진다[165]。 편성 기호는 G편성과 F편성이 있다.

JR 도카이는 2012년도에 6편성, 2013년에 7편성, 총 13편성을 투입하여 700계를 대체했다. JR 서일본도 2013년 11월 하순에 N700A (N700계 4000번대)를 1편성 투입했다.[171]

JR 도카이는 2014년도부터 2016년도 말까지 매년 6편성씩, 총 18편성을 추가 투입했다. 새롭게 화장실 변기에 온수 세척 기능이 추가되었다. JR 서일본도 2015년도, 2016년도에 4편성씩 투입했다[195]

JR 도카이는 2016년도부터 2019년도에 걸쳐 총 20편성을 추가 투입하여, 2019년도 말에는 모든 차량을 N700A 타입으로 했다(2015년 10월 계획 발표)[50]。 JR 서일본도 2017년도부터 2019년도에 걸쳐 15편성을 추가 투입했다(2016년 12월 계획 발표)[196]

추가 편성의 주요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 새로운 브레이크 라이닝 개발에 의해, 지진 브레이크의 정지 거리를 종래의 N700A 타입과 비교하여 약 5% 단축
  • 팬터그래프의 상태 감시 기능 추가
  • 대차 진동 감지 시스템 강화
  • ATC 상태 감시 기능 강화


기존 N700A 타입에도 이러한 기능을 반영하는 개조 공사가 2017년도부터 2019년도에 걸쳐 실시되었다[50][196]

JR 도카이는 2021년도부터 2023년도에 걸쳐 보유하고 있는 N700A 타입에 대해, N700S의 일부 기능을 추가하는 개조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대상은 이 사이에 폐차 예정인 편성을 제외한 86편성에 실시한다[174]。 주요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 N700S에서 채용하고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탑재 (지진 브레이크의 정지 거리를 N700A 타입 (3차차) 대비 약 5% 단축)
  • 이상 시에 승객이 사령소의 직원과 통화할 수 있는 '차내 통화 장치'의 객실 양단부로의 설치 확충
  • 차량에서 가동하는 기기의 상태 감시 기능 강화


JR 서일본도 2024년도부터 2026년도에 걸쳐 보유하고 있는 N700A 타입 40편성에 대해, N700S의 일부 기능을 반영하는 개조를 실시한다고 발표하고[175], 안전성, 안정성을 향상시킨다고 한다. 주요 개조 내용은 다음과 같다.

  • ATC와 브레이크 시스템의 개량에 의해, 지진 시의 브레이크 정지 거리를 N700A 타입에서 약 5% 단축
  • 차량의 상태 감시 기능을 강화 (대용량의 데이터 통신을 실현함으로써, 지금까지 이상으로 상세한 기기 데이터의 취득 및 분석이 가능)
  • 팬터그래프와 브레이크 장치의 마모 부품의 장수명화를 도모하고,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


호차12345678910111213141516
명칭TcM2M'wM1M1wM'M2kM1sM1swM2sM'hM1M1wM'M2wT'c
번호783-1000787-1000786-1500785-1000785-1300786-1000787-1400775-1000776-1000777-1000786-1700785-1600785-1500786-1200787-1500784-1000
좌석6510085100901007568646863100901008075



호차12345678910111213141516
명칭TcM2M'wM1M1wM'M2kM1sM1swM2sM'hM1M1wM'M2wT'c
번호783-4000787-4000786-4500785-4000785-4300786-4000787-4400775-4000776-4000777-4000786-4700785-4600785-4500786-4200787-4500784-4000
좌석6510085100901007568646863100901008075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F1호2013년운행 중
F2호2015년운행 중
F3호운행 중
F4호운행 중
F5호2016년운행 중
F6호운행 중
F7호운행 중
F8호운행 중
F9호운행 중
F10호2017년운행 중
F11호운행 중
F12호운행 중
F13호2018년운행 중
F14호운행 중
F15호운행 중
F16호운행 중
F17호운행 중
F18호2019년운행 중
F19호운행 중
F20호운행 중
F21호운행 중
F22호운행 중
F23호2020년운행 중
F24호운행 중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G1호2012년운행 중
G2호운행 중
G3호운행 중
G4호2013년운행 중
G5호운행 중
G6호운행 중
G7호운행 중
G8호운행 중
G9호운행 중
G10호운행 중
G11호운행 중
G12호2014년운행 중
G13호운행 중
G14호운행 중
G15호운행 중
G16호운행 중
G17호운행 중
G18호운행 중
G19호2015년운행 중
G20호운행 중
G21호운행 중
G22호운행 중
G23호운행 중
G24호운행 중
G25호2016년운행 중
G26호운행 중
G27호운행 중
G28호운행 중
G29호운행 중
G30호운행 중
G31호운행 중
G32호2017년운행 중
G33호운행 중
G34호운행 중
G35호운행 중
G36호운행 중
G37호운행 중
G38호운행 중
G39호2018년운행 중
G40호운행 중
G41호운행 중
G42호운행 중
G43호운행 중
G44호운행 중
G45호2019년운행 중
G46호운행 중
G47호운행 중
G48호운행 중
G49호운행 중
G50호운행 중
G51호2020년운행 중



G15편성, 2015년 12월


5. 3. 운용 (16량 편성)

과밀 다이어의 영향으로 이전에는 고속화에 따른 소요시간 단축 효과가 이른 아침·심야 열차에만 한정되었지만, 개정을 통해 하루 종일 N700계 전용 다이어가 짜여져 그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N700계로 운행하는 도쿄역 - 하카타 역간 직통 노조미는 낮에도 도쿄역 - 신오사카 역 간을 4역 정차하면서도 기존 3역 정차 노조미 일부와 같은 2시간 33분에 주파하여, 낮 시간대 노조미의 표준 소요시간을 연장하지 않고 시나가와 역과 신요코하마 역 양 역에 모든 열차를 정차시킬 수 있게 되었다.
N700계 전동차는 '노조미' 열차 운행에서 300계, 500계700계 열차를 점진적으로 대체했으며, 2009년 2월 말까지 N700계가 하루 74편의 '노조미' 열차를 담당했다.[3] 모든 '노조미' 직통 운행(도쿄와 하카타 간의 전체 노선)은 2009년까지 N700계 전동차를 독점적으로 사용하도록 예정되었다. 2012년 3월 17일 시간표 개정부터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만 운행하는 열차를 포함한 모든 정기 '노조미' 열차는 N700계 열차로 운행되었다.[4]

2017년 3월 4일부터 N700계는 주간 정기 '히카리' 운행에도 사용되며, 2020년 3월부터는 도카이도 신칸센의 모든 '고다마' 열차에도 사용된다.

2009년 3월부터 N700계 전동차는 도쿄와 신오사카 사이에서 사용 가능한 무선 인터넷을 갖추게 되었다.[5]

5. 3. 1. 운용 변천

N700계 전동차는 노조미 운행에서 300계, 500계, 700계 열차를 점진적으로 대체했다. 2009년 2월 말까지 N700계는 하루 74편의 노조미 열차를 담당했다.[3] 2009년까지 도쿄와 하카타 간의 모든 노조미 직통 운행은 N700계로만 운행될 예정이었고,[4] 2012년 3월 17일 시간표 개정으로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만 운행하는 열차를 포함한 모든 정기 노조미 열차가 N700계로 운행되었다.[4]

2017년 3월 4일부터 N700계는 주간 정기 히카리 운행에도 사용되었으며, 2020년 3월부터는 도카이도 신칸센의 모든 코다마 열차에도 사용되고 있다.

2009년 3월부터 N700계는 도쿄와 신오사카 사이에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했다.[5]

2023년 10월 17일, JR 도카이, JR 서일본, JR 규슈는 2024년 2분기까지 도카이도, 산요, 규슈 신칸센 열차 내 모든 흡연실을 폐지한다고 발표했다.[6]

2024년 2월 14일, JR 서일본은 500계 신칸센 4개 편성을 대체하기 위해 기존 16량 편성 N700계 4개 편성을 8량 편성으로 개조할 계획을 발표했다.[7] 첫 4개 편성 개조는 2024년부터 2026년 말까지 진행될 예정이다.[7] JR 서일본은 2024년 7월 24일에 16량 편성 N700계 10개 편성을 2026년부터 2029년까지 8량 편성으로 추가 개조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8]

다이야 개정노조미히카리고다마도카이서일본비고
Z편성X편성G편성N편성K편성F편성
2007년 7월 1일800Z1 - Z5N1N700계 데뷔
2008년 3월 15일4124Z1 - Z16N1 - N8
2009년 3월 14일8152Z1 - Z32N1 - N9
2010년 3월 13일[254]12077Z1 - Z48N1 - N14500계 노조미 운행 종료,
노조미 운행 시 N700계로 운행
2011년 3월 12일[255]14977Z1 - Z64N1 - N16
2012년 3월 17일[256]1631818Z1 - Z80N1 - N16100계, 300계 운행 종료
2013년 3월 16일[257]1631926Z1 - Z80G1 - G6N1 - N16N700계 1000번대 (G 편성) 최초 도입
2014년 3월 15일[258]1633941Z1 - Z5,
Z15 - Z35, Z37,
Z48 - Z64,
Z66, Z67,
Z79, Z80
X6 - X14,
X36,
X38 - X47,
X65,
X68 - X78
G1 - G13N1 - N3,
N6 - N12,
N14 - N16
K4, K5, K13F1N700계 4000번대 (F 편성) 최초 도입,
N700계 0번대 (Z 편성) → 2000번대 (X 편성) 개조 시작,
N700계 3000번대 (N 편성) → 5000번대 (K 편성) 개조 시작
2015년 3월 14일1644443Z1 - Z5,
Z33, Z35, Z37,
Z64, Z66, Z67
X6 - X32,
X34, X36,
X38 - X63,
X65, X68 - X80
G1 - G19N6, N7, N9,
N11, N16
K1 - K4,
K5, K8, K10,
K12 - K15
F1
2016년 3월 26일1644845X1 - X80G1 - G25K1 - K16F1 - F5N700계 0번대 (Z 편성) → 2000번대 (X 편성) 개조 완료,
N700계 3000번대 (N 편성) → 5000번대 (K 편성) 개조 완료
2017년 3월 4일1646550X1 - X80G1 - G31K1 - K16F1 - F9
2018년 3월 17일1646563X1 - X80G1 - G39K1 - K16F1 - F12
2020년 3월 14일X1 - X80G1 - G51K1 - K16F1 - F22, F24700계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에서 운행 종료



2009년 말까지 도쿄역 - 하카타역 간 운행 정기 노조미를 모두 포함한 110편 이상, 2011년 말까지 모든 노조미가 N700계로 운행되었다.[182][183] 이로 인해 500계는 16량에서 8량으로 단축되어 코다마로, 700계는 순차적으로 히카리, 코다마로 각각 전용되었고, 300계, 100계는 순차적으로 대체되었다.

6. 산요·큐슈 신칸센용 편성

2011년 봄 큐슈 신칸센 가고시마 루트 전 구간 개통으로 운행 중인 산요 신칸센·큐슈 신칸센 직통열차 사쿠라미즈호로 운행하기 위해 N700계를 베이스로 만든 신형 차량을 JR 서일본과 JR 큐슈에서 공동으로 개발하였다. 8량 편성으로 JR 서일본이 19개 편성, JR 큐슈가 10개 편성으로 합계 29편성(232량)을 제조하게 되었다. 이는 종래의 산요 신칸센용 차량으로는 하카타역 - 신토스 역 간과 신야쓰시로 역 이남의 급구배 구간(최대 35‰)을 주행할 수 없기 때문으로 신형 차량에서는 전차량 전동차가 된다. 히카리 레일스타로 쓰이고 있는 700계 7000번대는 큐슈 신칸센 전 구간 개업 후에는 산요 신칸센의 고다마로 전용될 예정이다. JR큐슈 측에서도 2010년 이후는 신칸센의 신조 차량을 800계에서 N700계로 이행한다.

2008년 10월에는 JR서일본 소속 양산 선행 차량으로 N700계 7000번대가 되는 1편성 8량이 하카타 종합 차량소에 반입되었다.

JR서일본 소속 차량의 편성 기호는 S(JR큐슈 소속의 편성 기호는 R)이다. 2008년 10월 24일 하카타역 - 신야마구치역간에서 공식 시운전이 실시되어 11월 이후에는 산요신칸센 내에서의 주행시험이 실시되고 있다.

Z·N편성과의 공통 항목에 대해서는 앞서 서술한 각 항목도 참조.

=== 차체 구조 ===

Z·N편성과 같은 알루미늄 합금제 더블스킨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251]. 차체 천장 중앙부에 있는 고압인통선의 덮개를 차체 지붕 중앙부의 형재와 일체화 구조로 하여 인통선 자체는 형재 안을 관통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4 - 5호차간에는 고압인통선 케이블 헤드가 탑재되고 있다. 그 케이블 헤드의 경사각이 소음을 줄이기 위해 5도로 되어 있다(Z·N편성의 것과는 형상이 다르다). 때문에 전집막(全集幌)과 케이블이 닿아 버리므로 절연 관계상 4 - 5호차 간의 전집막의 천정 부분이 철거되어 있다.

=== 도장 ===

바디 칼라에는 도자기의 청자를 연상시키는 흰색 남색을 사용하였으며, 감색 남색과 금빛의 측면 라인이 1개 있다.

양 선두차량과 홀수 호차의 측면에는 로고 마크가 붙여져 있다. 이는, JR 서일본과 JR 큐슈 등 두 양사가 상호 협력하에 산요·큐슈 신칸센을 직결 운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 성능 ===

큐슈 구간에서의 35‰ 상구배 유닛 컷 기동시, 보통 차량 성능으로는 기동이 불가능하다. 때문에 구배 기동시에만 견인력을 증가시키는(큐슈 구간에서만 사용 가능) 것을 통해 구배 기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최고속도는 Z·N편성과 같이 300km/h로, 큐슈 신칸센내에서는 260km/h가 될 예정이지만, 큐슈 신칸센에서의 증속도 검토되고 있다.

=== 전원·제어장치 ===

4량 1유닛으로 구성된다(MC+M1+M'+M2). M'차에 주변환 장치, M1, M2차에 주변환 장치를 2대씩 탑재하고 있다. 각 차량의 형식에 대해서는 '''#형식 및 차종'''을 참조.

가고시마츄오N700계 S, R편성표신오사카
편성1호차
781형(MC)
2호차
788형(M1)
3호차
786형(M')
4호차
787형(M2)
5호차
787형(M2w)
6호차
766형(M'hS)
7호차
788형(M1h)
8호차
782형(M'C)
S1보통차
7001
60명
보통차
7001
100명
보통차
7001
80명
보통차
7001
80명
보통차
7501
72명
보통·그린차
7001
60명
보통차
7701
38명
보통차
7001
56명



전(全) 전동차가 되어, 양 선두차량이 전동 제어차가 되었다. 때문에 ATC 소음 대책으로 선두 대차용 주전동기에 실드 커버와 지퍼 튜브가 설치되어 있다.

=== 대차 ===

800계 기준으로 되어 있는 JR 큐슈의 검수설비 문제상 500계, 700계 E·B편성, 800계의 대차를 베이스로 축량식(軸梁式) 저널박스 지지방식 WDT208 대차를 탑재하여 구동 방식도 기존대로 WN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을 채용한다.


  • 모든 호차에 세미 액티브 댐퍼의 채용
  • * 세미 액티브 댐퍼의 제어는 Z·N편성과 같이 비례 전자식 릴리프 밸브에 의한 무단제어의 것을 채용하여 감쇠력을 무단계로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터널과 일반 구간에서의 선로 데이터 맵을 바탕으로 각각의 구간에서 최적의 제어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기능이 있다.
  • 차축 베어링의 직경을 130mm로 확대
  • * 베어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차축 외경을 확대했다. 또한 베어링의 하중 분포를 최적화하기 위해 저널박스의 형상을 변경했다.
  • 큐슈 구간에서의 주행을 고려한 화산재 대책
  • * WN 구동부의 먼지 제거를 수세식으로 변경하는 것을 통해 화산재가 많은 큐슈 구간에서의 방진 성능을 강화하고 있다.

등을 들 수 있다.

도카이도 신칸센에는 진입하지 않기 때문에 차체 경사 장치는 탑재되지 않았으며 설치하기 위한 준비는 되어 있다.

=== 내장·설비 ===

편성은 그린차(6호차 반실은 정원 24명)·보통차 지정석(4 - 8호차 합계 282명)·자유석(1 - 3호차 합계 240명)로 구성되며 차내는 모두 목조 디자인이 이용되어 침착한 분위기의 내장이 되어 있다. 흡연룸의 설치나 6호차의 반실 그린차화에 의한 정원 감소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실내 기기 배치에 있어서 최적화가 실시되었다.

7호차는 휠체어 대응 좌석을 갖추고 있으며 화장실 설비도 넓다. 3·7호차에는 흡연룸이 있다. 5호차에는 여성 전용 화장실과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다.

=== 좌석 ===

좌석 비교[251]
항목보통차 자유석보통차 지정석그린석
시트피치1,040mm1,040mm1,160mm
시트폭430mm(D·E석)
440mm(A·C석)
460mm(B석)
460mm475mm
시트 배열2열+3열2열+2열2열+2열
부대 설비배면 테이블배면 테이블
드링크 홀더
배면 테이블
인 암 테이블
레그 레스트
LED 독서등
오디오 설비



좌석은 그린차와 보통차 지정석은 통로를 사이에 두고 좌우 각 2열, 자유석은 2열+3열 배치다. 보통차의 시트피치는 1,040mm로 통일되어 있기 때문에 양 선두차의 좌석 열수가 Z·N편성에 비해 1열씩 줄어들어 있다.

보통차 자유석은 Z·N편성 보통석을 베이스로 하고 있다.

6. 1. S·R 편성

## S·R 편성

'''신칸센 N700계 7000번대 전동차'''(新幹線N700系電車7000番台일본어)는 서일본 여객철도가 소유하고 있으며 2011년 3월 12일큐슈신칸센산요 신칸센간 상호 직결 운행의 일환으로 도입된 차량으로 8량으로 구성되었다. S편성으로 운행하고 있으며 2008년 10월에 최초로 하카타 종합차량사업소로 인도되었고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순차별로 도입했다.[243][244]

'''신칸센 N700계 8000번대 전동차'''(新幹線N700系電車8000番台일본어)는 큐슈여객철도가 소유하고 있으며 2011년 3월 12일큐슈신칸센산요 신칸센간 상호 직결 운행의 일환으로 도입된 차량으로 8량으로 구성되었다. R편성으로 운행하고 있으며 2010년 7월에 최초로 인도되었고 같은 해 8월부터 시험 운행을 시작했다.[245][246]

호차12345678
명칭McM1M'M2M2wM'sM1hM'c
번호781-8000788-8000786-8000787-8000787-8500766-8000788-8700782-8000
좌석6010080807236+243856



호차12345678
명칭McM1M'M2M2wM'sM1hM'c
번호781-7000788-7000786-7000787-7000787-7500766-7000788-7700782-7000
좌석6010080807236+243856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R1호2010년운행 중
R2호운행 중
R3호운행 중
R4호운행 중
R5호운행 중
R6호2011년운행 중
R7호운행 중
R8호운행 중
R9호운행 중
R10호운행 중
R11호2012년운행 중
R12호운행 중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S1호2008년운행 중
S2호2010년운행 중
S3호운행 중
S4호운행 중
S5호운행 중
S6호운행 중
S7호운행 중
S8호2011년운행 중
S9호운행 중
S10호운행 중
S11호운행 중
S12호운행 중
S13호운행 중
S14호운행 중
S15호운행 중
S16호운행 중
S17호운행 중
S18호2012년운행 중
S19호운행 중
S20호운행 중



N700-7000계는 JR 서일본에서 운행하는 8량 편성으로, 2011년 3월 12일부터 와 구간의 규슈 신칸센에서 직통 운행하는 ''사쿠라'' 및 ''미즈호'' 열차에 투입되었다.[26] 초기 양산형 편성(S1)은 2008년 10월 하카타 차량기지에 반입되었다. 이 열차들은 도카이도 신칸센을 운행하지 않기 때문에, 이전 N700계 열차의 틸팅 기구를 갖추고 있지 않다.[27]

차체 외부 도색은 전통적인 도자기 색상을 연상시키는 시라아이/白藍일본어 옅은 파란색이며, 남색과 금색의 차체 측면 줄무늬가 특징이다.[26]

정식 생산된 JR 서일본 편성들은 2010년 4월 초부터 하카타 차량기지에 반입되었다.[28] 마지막 S편성인 S19는 2012년 2월 하카타 차량기지에 반입되었다.[17]

8량 편성 S편성, S1~S19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차량 번호12345678
형식McM1M'M2M2wM'sM1hM'c
차량 번호781-7000788-7000786-7000787-7000787-7500766-7000788-7700782-7000
좌석 정원60100807236+243856



2호차와 7호차에는 각각 싱글 암 팬터그래프가 1개씩 장착되어 있다.

JR 큐슈 N700-8000계 R2편성, 2015년 10월


11개 x 8량 편성, R1~R11은 2011년 3월 12일부터 신오사카와 가고시마추오 간의 규슈 신칸센에서 JR 큐슈가 JR 서일본 N700-7000계 "S"편성과 함께 운행하는 8량 편성 N700계 열차이다. 이 열차는 ''사쿠라'' 및 ''미즈호'' 직통 열차에 투입된다. 외부 도색은 N700-7000계 "S"편성과 동일하다.

첫 번째 편성인 R1편성은 2010년 7월 구마모토 차량기지에 반입되었다.[29] 규슈 신칸센 미개통 구간에서의 시운전은 2010년 8월 31일에 시작되었다.[30]

8량 편성의 R편성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20]

차량 번호12345678
형식McM1M'M2M2wM'sM1hM'c
차량 번호781-8000788-8000786-8000787-8000787-8500766-8000788-8700782-8000
좌석 정원60100807236+243856



2호차와 7호차에는 각각 싱글 암 팬터그래프가 1개씩 설치되어 있다.[20]

{|style="text-align:center; float:right; margin:0em 0em 2em 3em; border:solid 1px #999;"

|-

|style="background:#eee; border-bottom:solid 4px #003f6c;"|N700계 8량 편성 유닛 구성

|-

|style="font-size:80%;"|

|-

|

호차12345678
형식781형
(Mc)
788형
(M1)
786형
(M'w)
787형
(M2)
787형
(M2w)
766형
(M'hs)
788형
(M1h)
782형
(M'c)
좌석보통차 3+2열보통차 2+2열그린차・보통차
2+2열
보통차 2+2열
유닛1유닛2유닛



|}

번대로는 JR 서일본의 S편성이 7000번대, JR 큐슈의 R편성이 8000번대를 사용하며, 차량의 사양과 컬러링은 같지만, 차체 측면에 그려진 JR의 로고가 전자는 파란색, 후자는 빨간색으로 그려져 있는 점이 다르다. 4량으로 1유닛(Mc+M1+M'+M2)을 구성하며, M'차에 주 변압기, M1, M2차에 주 변환 장치를 2대씩 탑재하고 있다. 본 번대 구분에 속하는 각 형식명과 그 차종은 다음과 같다. 편성 정원은 S편성·R편성 모두 546명이다.

; 766형 (M'hS)

: 그린석과 보통석을 갖춘 중간 전동차. 6호차로 사용. 차장실을 갖추고 주 변압기·보조 전원 장치 등을 탑재한다. 정원 60명(그린석 24명·보통석 36명).

; 781형 (MC)

: 보통석을 갖춘 제어 전동차. 1호차로 사용. 가고시마 중앙 방향 운전대, 변소·세면소를 갖추고 공기 압축기 등을 탑재한다. 정원 60명.

; 782형 (M'C)

: 보통석을 갖춘 제어 전동차. 8호차로 사용. 신오사카 방향 운전대, 공중전화를 갖추고 공기 압축기, 보조 전원 장치 등을 탑재한다. 정원 56명.

; 786형 7000, 8000번대 (M')

: 보통석을 갖춘 중간 전동차. 3호차로 사용. 공중전화·변소·세면소(모두 신오사카 방향), 흡연실·자동 판매기(가고시마 중앙 방향) 등을 갖추고 주 변압기, 보조 전원 장치 등을 탑재한다. 정원 80명.

; 787형 (M2,M2w)

: 보통석을 갖춘 중간 전동차. 주 변환 장치를 탑재한다.

:; 7000, 8000번대 (M2)

:: 4호차로 사용. 공기 압축기 등을 탑재한다. 정원 80명.

:; 7500, 8500번대 (M2w)

:: 5호차로 사용. 변소·세면소·파우더룸을 갖춘다. 정원 72명.

; 788형 (M1)

: 보통석을 갖춘 중간 전동차. 주 변환 장치를 탑재한다.

:; 7000, 8000번대

:: 2호차로 사용. 정원 100명.

:; 7700, 8700번대

:: 7호차로 사용. 변소·세면소·휠체어 대응 설비·다목적실(모두 신오사카 방향), 흡연실·차내 판매 준비실·자동 판매기(가고시마 중앙 방향) 등을 갖춘다. 정원 38명.

편성명낙성일제조 회사편성명 삭제비고
S12008년 10월 24일가와사키 중공업
일본 차량 제조
긴키 차량
양산 선행차[206]
S22010년 4월 20일가와사키 중공업
S32010년 7월 12일일본 차량 제조
S42010년 6월 22일가와사키 중공업
S52010년 8월 4일
S62010년 9월 14일
S72010년 11월 17일긴키 차량
S82011년 1월 14일
S92011년 2월 16일일본 차량 제조
S102011년 4월 12일
S112011년 5월 30일가와사키 중공업
S122011년 6월 24일
S132011년 7월 11일
S142011년 8월 1일
S152011년 10월 3일
S162011년 10월 23일
S172011년 11월 15일일본 차량 제조
S182012년 1월 23일가와사키 중공업
S192012년 2월 27일히타치 제작소



편성명낙성일제조 회사편성명 삭제비고
R12010년 12월 11일히타치 제작소
R22010년 11월 23일
R32010년 12월 6일
R42010년 11월 27일가와사키 중공업
R52010년 12월 18일
R62011년 1월 31일히타치 제작소
R72011년 1월 12일가와사키 중공업
R82011년 2월 4일
R92011년 2월 18일
R102011년 2월 11일긴키 차량
R112012년 7월 6일2021년에 발생한 신칸센 방화 사건 해당 편성



=== 차체 구조 ===

주요 구조는 Z·N편성과 동일한 알루미늄 합금제 더블 스킨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소음 저감을 위해 차체 천장 중앙부에 있는 특고압 인통선의 덮개를 차체 지붕 중앙부의 형재와 일체화 구조로 하고, 인통선 자체는 형재 내를 관통하는 구조로 했다[197]

4 - 5호차 사이에는 이상 시 회로 분리가 가능한 특고압 인통 케이블 헤드가 장비되어 있다[197]。그 케이블 헤드의 경사각이 소음과의 관계에서 5도로 되어 있으며, Z·N편성의 것과는 형상이 다르다[197]。그 때문에 전주 포르와 케이블이 접근하여, 절연 간격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4 - 5호차 사이의 전주 포르의 천장 부분이 잘려져 있다[197]

=== 도장 ===

차체 색상에는 도자기의 청자를 연상시키는 흰색과 남색을 섞은 듯한 백람색(■)을 사용하고, 감람색(■)과 금색(■)의 측면 라인이 한 줄 들어가 있다.

양쪽 선두 차량과 홀수 호차의 측면에는 로고 마크가 부착되어 있다. 이는 JR 서일본JR 큐슈가 상호 협력하여 산요·큐슈 신칸센의 상호 운행을 실현하는 것을, 손을 맞잡고 교차하는 듯한 곡선으로 표현하고 있다. 단, 차체의 좌우에서는 로고의 알파벳 위치가 다르다(어느 쪽도 KYUSHU의 문자가 하행 방향으로, WEST JAPAN의 문자가 상행 방향으로 그려져 있다).

=== 주요 기기 ===

Z・N 편성을 기반으로, 구배(勾配) 대응을 위해 전동차 편성으로 하여, 큐슈 신칸센(九州) 구간에서의 35‰ 구배의 오르막에서 유닛 컷 기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인장력을 증가시켜[198], 구배 기동을 가능하게 하였다[199] 또한, 단편성화를 통한 중복성 확보를 위해 유닛 해방 시의 제한 전류 값 증가 기능을 갖추고 있다[199]

최고 속도는 Z・N 편성와 마찬가지로 300 km/h이며, 큐슈 신칸센(九州新幹線) 내에서는 현재 260 km/h로 운행되고 있다[71]

=== 전원·제어 장치 ===

주 변압기는 단상 외철형 송유풍냉식(정격 용량 5,650 kVA)을 채용하여 소형·경량화를 실현했다[199]

주 변환 장치는 3레벨 PWM 컨버터 + 3레벨 VVVF 인버터로 구성되어 있다[199]。 내장된 송풍기를 사용한 냉각 방식의 강제 풍냉 비등 냉각 방식을 채택하여 차체 측면에서 제어 장치를 꺼내 점검할 수 있는 구조의 WPC204를 탑재했다[54][199]

주 전동기는 WMT207, WMT208, WMT209를 탑재한다. WMT207은 중간 차량용, WMT208은 고주파 노이즈 저감 대책으로 회로에 코어를 삽입한 선두 차량 연결면용, WMT209는 고주파 노이즈 대책 코어와 ATC 노이즈 대책으로 쉴드 커버와 지퍼 튜브를 부착한 선두 차량 운전대 측용이다[200][201]

=== 대차 ===

대차는 300계 신칸센 이래 실적이 있는 코일스프링과 원통적층고무를 병용한 윙 용수철 식 저널박스 장치의 볼스터리스 대차이며, 저널박스의 상부와 대차 프레임 사이에 축 댐퍼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500계 신칸센과 700계 신칸센과는 달리 JR 서일본 편성이 되는 N편성 차량도 JR 도카이와 같은 원통고무병용 저널박스 지지방식을 채용했다.

700계 신칸센에서는 선두차량 진행방향 측의 대차에만 공력저항 경감용 커버가 붙어 있었지만 N700계에서는 대차의 전동(轉動)음과 공력음을 저감하기 위해서 모든 대차에 대차 커버가 채용되었다. 선행 시제차량(Z0편성)에서 시험 도중 커버의 형상이 변경되어 변경 뒤의 것이 양산형 차량에도 채용되었다. 선두차량의 대차 커버도 700계 신칸센의 그것보다 공기의 흐름을 고려한 3차원적인 모양으로 되어 있다. 경량화와 재활용 측면을 고려하여 CFRP가 채용되어 있다.

구동방식은 보통차는 신형 치형형상(歯型形状)의 채용과 치차 중심간 거리를 확대하여 백래시(Backlash)를 줄인 저소음형 WN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이, 그린차의 경우 JR 도카이의 700계 C19편성 이후 그린차에서 실적이 있는 TD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이 본격적으로 채용되었다. JR 서일본의 700계 신칸센은 그린차를 포함하여 모두 WN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이었지만, 이 계열(S편성을 제외)은 JR 도카이 소유 차량과 모두 공통이다. 이전에는 고속운전시 내구성의 측면에서 WN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이 채용되어 왔지만, TD 카르단에 이용되는 굴곡판의 내구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보수가 용이하고 소음이 적은 이 방식이 채용되었다.

JR 큐슈의 검수 설비 관계상 500계 신칸센, 700계 신칸센 E・B편성, 800계의 대차를 기반으로 한 볼스터리스 대차 「WDT208」을 탑재하고 있다.[197] 이는 축상 지지 방식을 축량식으로 하고, 축상 측 단부와 대차 틀 사이에 축 댐퍼가 장착되어 있다. 구동 방식도 전 차량 WN 드라이브를 채용하고 있지만, 차체 경사 장치는 도카이도 구간에는 운행하지 않기 때문에 미탑재이며, 준비 공사에 그치고 있다.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은 점이 있다.


  • 축받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차축의 축받이 크기를 직경 130 mm로 확대[197][202]
  • 축받이의 하중 분포를 최적화하기 위해 축상체의 형상을 변경[197]
  • WN 구동부의 먼지 제거를 방수 처리로 변경함으로써 화산재가 많은 큐슈 구간 (특히 사쿠라지마를 품은 가고시마현 내)에서의 방진 성능을 강화[197]
  • 세미 액티브 댐퍼를 탑재[197]


=== 보안 장치 ===

동해, 산요, 규슈 구간에서 열차 무선의 사양이 다르기 때문에, 이 모든 사양에 대응하는 설비를 갖추고 있다.[200]

또한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는, 도입 초창기에는 도카이도, 규슈 구간에서 디지털 ATC(ATC-NS, KS-ATC), 산요 구간에서 아날로그 ATC(ATC-1형)였기 때문에, 각각에 대응하는 설계로 제작되었다.[200] 도카이도 구간에는 영업 운행으로의 운행은 없지만, 토리카이 차량 기지로의 회송산요 구간의 미래 ATC-NS화를 고려하여 설치되었다. 2017년 2월 19일 산요 구간(하카타미나미선 포함)이 모두 디지털 ATC(ATC-NS)로 변경되었다.[203]

=== 차내 설비 ===

좌석은 새로운 모켓 시트 커버를 사용하며, 화장실과 세면실에는 LED 조명이 사용된다.[14]

객차 1량의 절반(6호차)에 24석(6열)의 2+2 배열 좌석으로 구성된 그린샤는 좌석 너비가 480mm이며 좌석 간 간격은 1160mm이다. 4호차부터 8호차(6호차 절반 포함)는 2+2 배열, 좌석 너비 465mm, 좌석 간 간격 1,040mm의 "지정석" 객차이다. 1호차부터 3호차는 2+3 배열, 좌석 너비 440mm(3석 열 중간 좌석은 460mm), 좌석 간 간격 1,040mm의 "자유석" 객차이다.[26]

JR 서일본 N700-7000계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R편성은 1량의 절반(6호차)에 2+2 배열로 24석(6

6. 1. 1. 차체 구조

주요 구조는 Z·N편성과 동일한 알루미늄 합금제 더블 스킨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소음 저감을 위해 차체 천장 중앙부에 있는 특고압 인통선의 덮개를 차체 지붕 중앙부의 형재와 일체화 구조로 하고, 인통선 자체는 형재 내를 관통하는 구조로 했다[197]

4 - 5호차 사이에는 이상 시 회로 분리가 가능한 특고압 인통 케이블 헤드가 장비되어 있다[197]。그 케이블 헤드의 경사각이 소음과의 관계에서 5도로 되어 있으며, Z·N편성의 것과는 형상이 다르다[197]。그 때문에 전주 포르와 케이블이 접근하여, 절연 간격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4 - 5호차 사이의 전주 포르의 천장 부분이 잘려져 있다[197]

6. 1. 2. 도장

차체 색상에는 도자기의 청자를 연상시키는 흰색과 남색을 섞은 듯한 백람색(■)을 사용하고, 감람색(■)과 금색(■)의 측면 라인이 한 줄 들어가 있다.

양쪽 선두 차량과 홀수 호차의 측면에는 로고 마크가 부착되어 있다. 이는 JR 서일본과 JR 큐슈가 상호 협력하여 산요·큐슈 신칸센의 상호 운행을 실현하는 것을, 손을 맞잡고 교차하는 듯한 곡선으로 표현하고 있다. 단, 차체의 좌우에서는 로고의 알파벳 위치가 다르다(어느 쪽도 KYUSHU의 문자가 하행 방향으로, WEST JAPAN의 문자가 상행 방향으로 그려져 있다).

6. 1. 3. 주요 기기

Z・N 편성을 기반으로, 구배(勾配) 대응을 위해 전동차 편성으로 하여, 큐슈(九州) 구간에서의 35‰ 구배의 오르막에서 유닛 컷 기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인장력을 증가시켜[198], 구배 기동을 가능하게 하였다[199] 또한, 단편성화를 통한 중복성 확보를 위해 유닛 해방 시의 제한 전류 값 증가 기능을 갖추고 있다[199]

최고 속도는 Z・N 편성와 마찬가지로 300 km/h이며, 큐슈 신칸센(九州新幹線) 내에서는 현재 260 km/h로 운행되고 있다[71]

6. 1. 4. 전원·제어 장치

주 변압기는 단상 외철형 송유풍냉식(정격 용량 5,650 kVA)을 채용하여 소형·경량화를 실현했다[199]

주 변환 장치는 3레벨 PWM 컨버터 + 3레벨 VVVF 인버터로 구성되어 있다[199]。 내장된 송풍기를 사용한 냉각 방식의 강제 풍냉 비등 냉각 방식을 채택하여 차체 측면에서 제어 장치를 꺼내 점검할 수 있는 구조의 WPC204를 탑재했다[54][199]

주 전동기는 WMT207, WMT208, WMT209를 탑재한다. WMT207은 중간 차량용, WMT208은 고주파 노이즈 저감 대책으로 회로에 코어를 삽입한 선두 차량 연결면용, WMT209는 고주파 노이즈 대책 코어와 ATC 노이즈 대책으로 쉴드 커버와 지퍼 튜브를 부착한 선두 차량 운전대 측용이다[200][201]

6. 1. 5. 대차

대차는 300계 이래 실적이 있는 코일스프링과 원통적층고무를 병용한 윙 용수철 식 저널박스 장치의 볼스터리스 대차이며, 저널박스의 상부와 대차 프레임 사이에 축 댐퍼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500계와 700계와는 달리 JR 서일본 편성이 되는 N편성 차량도 JR 도카이와 같은 원통고무병용 저널박스 지지방식을 채용했다.

700계에서는 선두차량 진행방향 측의 대차에만 공력저항 경감용 커버가 붙어 있었지만 N700계에서는 대차의 전동(轉動)음과 공력음을 저감하기 위해서 모든 대차에 대차 커버가 채용되었다. 선행 시제차량(Z0편성)에서 시험 도중 커버의 형상이 변경되어 변경 뒤의 것이 양산형 차량에도 채용되었다. 선두차량의 대차 커버도 700계의 그것보다 공기의 흐름을 고려한 3차원적인 모양으로 되어 있다. 경량화와 재활용 측면을 고려하여 CFRP가 채용되어 있다.

구동방식은 보통차는 신형 치형형상(歯型形状)의 채용과 치차 중심간 거리를 확대하여 백래시(Backlash)를 줄인 저소음형 WN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이, 그린차의 경우 JR 도카이의 700계 C19편성 이후 그린차에서 실적이 있는 TD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이 본격적으로 채용되었다. JR 서일본의 700계는 그린차를 포함하여 모두 WN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이었지만, 이 계열(S편성을 제외)은 JR 도카이 소유 차량과 모두 공통이다. 이전에는 고속운전시 내구성의 측면에서 WN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이 채용되어 왔지만, TD 카르단에 이용되는 굴곡판의 내구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보수가 용이하고 소음이 적은 이 방식이 채용되었다.

JR 큐슈의 검수 설비 관계상 500계, 700계 E・B편성, 800계의 대차를 기반으로 한 볼스터리스 대차 「WDT208」을 탑재하고 있다.[197] 이는 축상 지지 방식을 축량식으로 하고, 축상 측 단부와 대차 틀 사이에 축 댐퍼가 장착되어 있다. 구동 방식도 전 차량 WN 드라이브를 채용하고 있지만, 차체 경사 장치는 도카이도 구간에는 운행하지 않기 때문에 미탑재이며, 준비 공사에 그치고 있다.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은 점이 있다.

  • 축받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차축의 축받이 크기를 직경 130 mm로 확대[197][202]
  • 축받이의 하중 분포를 최적화하기 위해 축상체의 형상을 변경[197]
  • WN 구동부의 먼지 제거를 방수 처리로 변경함으로써 화산재가 많은 큐슈 구간 (특히 사쿠라지마를 품은 가고시마현 내)에서의 방진 성능을 강화[197]
  • 세미 액티브 댐퍼를 탑재[197]

6. 1. 6. 보안 장치

동해, 산요, 규슈 구간에서 열차 무선의 사양이 다르기 때문에, 이 모든 사양에 대응하는 설비를 갖추고 있다.[200]

또한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는, 도입 초창기에는 도카이도, 규슈 구간에서 디지털 ATC(ATC-NS, KS-ATC), 산요 구간에서 아날로그 ATC(ATC-1형)였기 때문에, 각각에 대응하는 설계로 제작되었다.[200] 도카이도 구간에는 영업 운행으로의 운행은 없지만, 토리카이 차량 기지로의 회송과 산요 구간의 미래 ATC-NS화를 고려하여 설치되었다. 2017년 2월 19일 산요 구간(하카타미나미선 포함)이 모두 디지털 ATC(ATC-NS)로 변경되었다.[203]

6. 1. 7. 차내 설비

좌석은 새로운 모켓 시트 커버를 사용하며, 화장실과 세면실에는 LED 조명이 사용된다.[14]

객차 1량의 절반(6호차)에 24석(6열)의 2+2 배열 좌석으로 구성된 그린샤는 좌석 너비가 480mm이며 좌석 간 간격은 1160mm이다. 4호차부터 8호차(6호차 절반 포함)는 2+2 배열, 좌석 너비 465mm, 좌석 간 간격 1,040mm의 "지정석" 객차이다. 1호차부터 3호차는 2+3 배열, 좌석 너비 440mm(3석 열 중간 좌석은 460mm), 좌석 간 간격 1,040mm의 "자유석" 객차이다.[26]

JR 서일본 N700-7000계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R편성은 1량의 절반(6호차)에 2+2 배열로 24석(6열)의 그린샤 객실을 갖추고 있다. 4호차에서 8호차(6호차 절반 포함)까지는 2+2 배열의 "지정석" 차량으로 지정되어 있다. 1호차에서 3호차는 2+3 배열의 "자유석" 차량이다.[31]

편성은 그린샤(6호차의 반실로 정원 24명), 보통차 지정석(4 - 8호차로 총 282명), 자유석(1 - 3호차로 총 240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내는 모두 나무 무늬 디자인을 사용하여 차분한 내장으로 되어 있다[71]。흡연실 설치 및 6호차 반실 그린샤화에 따른 정원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내 기기 배치의 최적화가 이루어졌다.

7호차에는 휠체어 대응 좌석을 갖추고 있으며, 화장실 설비도 넓게 설계했다. 그 외에도 3・7호차에는 흡연실[204], 5호차에는 여성 전용 화장실과 파우더룸[71], 3호차에는 2호차쪽 데크부에 16량 편성에서 폐지된 음료 자동 판매기를 각각 설치했다.

차내 멜로디는 S편성은 N편성과 마찬가지로 『좋은 날 여행을』, R편성이 무카이야 미노루 작곡의 오리지널 멜로디를 사용한다. R편성에서는 하카타역, 구마모토역, 가고시마추오역 발착 시 특별히 편곡된 멜로디가 울린다[205]

좌석 비교
항목일반실 자유석일반실 지정석그린샤
시트 간격1,040mm1,040mm1,160mm
시트 폭430mm (D・E석)
440mm (A・C석)
460mm (B석)
460mm475mm
시트 배열2열 + 3열2열 + 2열2열 + 2열
부대 설비등받이 테이블등받이 테이블
음료 홀더
등받이 테이블
인 암 테이블
레그 레스트
LED 독서등
오디오 설비



객실 내부는 화이트 베이지를 기조로 한 천 무늬로, 그린샤는 칸막이 벽과 짐 선반 선단부는 '''고대 벚꽃 무늬'''의 나무 무늬 화장 시트 마감으로 되어 있다. 통로 부분의 융단에는 자색과 금빛 갈색의 꽃당초 문양이나 담쟁이덩굴 무늬를 사용했다[71]. 일반실 자유석의 칸막이 벽과 짐 선반 선단부는 '''어린 벚꽃 무늬'''의 나무 무늬 화장 시트 마감, 지정석의 칸막이 벽과 짐 선반 선단부는 '''주홍 벚꽃 무늬'''의 나무 무늬 화장 시트 마감으로 되어 있다.

좌석은 그린샤와 일반실 지정석은 통로를 사이에 두고 좌우 각 2열, 자유석은 2열 + 3열의 배치이다[71]. 일반실의 시트 간격은 1,040mm로 통일되어 있기 때문에, 양쪽 선두차의 좌석 열 수가 Z・N 편성보다 1열씩 감소했다. 따라서 양쪽 선두차의 측면 창이 하나 줄었다.

일반실 자유석은 Z・N 편성 일반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모켓의 기본 색상은 3열 측이 "감색", 2열 측이 "다홍색"이며, 표면의 무늬는 격자 무늬를 주체로 한다.

일반실 지정석은 모켓의 색상은 진한 유채색을 기반으로 하고, 원산 문양을 어레인지한 문양을 채용했다. 등받이 테이블 등에 나무 무늬의 목재를 채용. 좌석 중앙의 팔걸이가 가동화되었다. 좌석의 치수는 700계 "히카리 레일스타"의 지정석 "살롱 시트"와 마찬가지로 팔걸이의 폭도 넓게 확보되어 있으며, 실질적인 좌석 폭은 600mm 이상으로 그린샤 수준의 기본 치수를 갖추고 있다.

그린샤는 Z・N 편성 그린샤에 새롭게 탑재된 싱크로 리클라이닝 기구에 에어 실린더 구동 방식의 레그 레스트를 새롭게 탑재하고, 필로우를 부착하는 등 실질적인 좌석 폭이 거의 같은 일반실 지정석과의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모켓에는 진한 자색 꽃당초 무늬의 평직 천을 채용하고, 테이블 등에 나무 무늬의 목재를 사용하고 있다.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을 달리는 N700과 마찬가지로, 그린샤 전 좌석과 지정석・일반석의 전후방과 창가에 PC나 휴대폰을 충전하기 위한 AC 전원이 갖춰져 있다. 선반은 깊이가 400mm. 높이는 앞쪽이 390mm, 호를 그리면서 낮아져 가장 안쪽에서는 250mm가 된다.

N700계 그린샤의 오디오 설비는 과거에 라디오를 들을 수 있었지만, 2013년을 기점으로 폐지되었다.

7. 산요 신칸센용 편성 (개조차)

JR 서일본은 2024년부터 2026년까지 N700계 4개 편성을, 2026년부터 2029년까지 10개 편성을 하카타 종합 차량소에서 8량 편성으로 개조하여 산요 신칸센의 "코다마"에 사용되고 있는 500계 V편성의 잔존 편성 및 700계 7000번대 8개 편성을 순차적으로 교체할 예정이다.[215] 8량 1개 편성으로 구성되어 산요 신칸센의 "코다마"용으로 투입된다.[215]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용 편성으로 운용되던 16량 편성의 5000번대(K편성)를 개조할 예정이다.[214]

K편성의 1·2·3·8·9·10·11·16호차를 사용하여 8량 편성을 조성하며, 최고 운전 속도는 285km/h로 설정되었다.[214] 편성 기호는 P편성이 되며, 100계 이래의 편성 기호가 된다.

8. 폐차 및 재활용

JR 도카이 X59편성 783-2059호 (1호차)는 2015년 6월 30일에 발생한 방화로 인한 화재 피해로 폐차되었다. 동일한 차량 번호의 대체 차량이 2016년에 닛폰 차량에서 제작되었다. 선행 시작차인 X0편성은 N700S의 확인 시험차인 J0편성의 완성으로 시험용 차량으로서의 용도를 마치고, 2019년 2월 6일에 하마마츠 공장으로 폐차 회송되어, 3량이 리니어·철도관에 전시되어 있다(후술]).[216]

2020년부터 N700S의 증비에 따라, 순차적으로 2000번대(X편성)가 폐차되고 있다.[217] 폐차된 차량의 알루미늄 합금은 재활용되어,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퇴역 차량에서 재활용된 건축 자재를 사용하여 건설된 이다선 시모지 역 역舎

9. 보존 차량

2019년 7월 17일부터 아이치현 나고야시에 위치한 SC 말레브 철도 공원에서 783-9001, 775-9001, 786-9201(X0편성)이 보존 중이다.[271]

2020년 2월 보존된 N700 X0편성


X0편성은 2005년 히타치 제작소에서 제작한 783-9001, 일본 차량 제조에서 제작한 775-9001, 786-9201로 구성된다.

리니어・철도관에 2019년 7월 17일 X0편성 3량이 117계 전동차와 교체되어 옥외 전시될 계획이 세워졌다.[227] 같은 해 6월 19일부터 반입되어 1호차(783-9001)・14호차(786-9201)・8호차(775-9001)의 순서로 보존되었으며,[228] 같은 해 7월 17일부터 견학과 휴게 공간으로 일반 공개되었다.[229][43]

10. N700-I (국제 사양)

N700-I 볼리트(N700-I Bullet영어)는 신칸센 N700계 전동차의 수출형 모델이다. 2009년 11월 16일 나고야에서 개최된 국제 고속철도 심포지엄에서 도카이여객철도(당시 대표 요시우키 카사이)가 발표했다.[32] 최고 영업 속도는 시속 330km/h로[261] 신칸센 N700계 전동차 모델과 동일하게 적용되었으며, 6량 편성부터 16량 편성까지 세부 모델이 존재한다.[262] 모델명 마지막의 B는 '''볼리트'''(Bullet영어)를 의미한다.

미국, 영국, 인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이집트 6개국 주일 대사관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N700-I는 각국 실정에 맞춘 시스템을 통합한 "N700-I Bullet"(N700계를 국제 사양으로 한 N700-I를 중심으로 한 도카이도 신칸센 운행 시스템의 총칭[230])으로 발표되었다. N700-I는 유럽 고속 철도에서 자주 보이는 200m(8량 편성)를 기본으로 하며, 수송량에 따라 편성 길이를 자유롭게 재구성할 수 있다.[33][34]

같은 날 심야에 Z0편성을 사용하여 마이바라역 - 교토역 간 하행선에서 330km/h 주행 시험이 실시되어, 332km/h를 기록했다.[231] 이는 도카이여객철도가 일본 국외로 신칸센을 판매하기 위해 실시한 것으로, 주일 대사관 관계자 등이 동승했다. 이 속도는 당시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에서 영업용 차량의 최고 기록이다(1991년 300계 차량이 같은 구간에서 기록한 325.7km/h).

이후 텍사스 중앙 철도에서 동일 모델이 검토되었으나, 모듈식 구조를 가지고 최고 속도가 더 높은 N700S로 초점이 변경되었다.[35]

11. 대한민국 고속철도에 미친 영향

12.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Epic journey of 500 Series, bullet train with a nose for adventure http://www.asahi.com[...] The Asahi Shimbun 2018-06-13
[2] 간행물 N700系量産車 Koyusha Co., Ltd. 2007-08
[3] 웹사이트 Winter 2008/2009 Train Schedule Update (JR Central) http://jr-central.co[...] 2008-10-17
[4] 웹사이트 N700 Series Delivery Schedule http://jr-central.co[...] 2007-09-26
[5] 웹사이트 Shinkansen bullet trains get wireless LAN with 2Mbps http://www.crunchgea[...] 2009-03-09
[6] 웹사이트 東海道・山陽・九州新幹線の車内喫煙ルーム、2024年春にすべて廃止 https://news.mynavi.[...] 2023-10-17
[7] 웹사이트 JR西日本、N700系16両編成を8両編成化 - 500系は4編成を用途廃止に https://news.mynavi.[...] 2024-02-14
[8] 웹사이트 JR西日本のN700Sも個室を導入、2026年度から - N700系8両化も実施 https://news.mynavi.[...] 2024-07-24
[9] 웹사이트 http://jr-central.co[...] Central Japan Railway Company 2012-07-25
[10] 웹사이트 http://jr-central.co[...] Central Japan Railway Company 2011-05-30
[11] 웹사이트 JR東海 N700Aを追加投入 http://rail.hobidas.[...] Neko Publishing 2013-02-21
[12] 웹사이트 http://jr-central.co[...] Central Japan Railway Company 2015-10-22
[13] 웹사이트 N700Aが試運転で東京へ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2-09-16
[14] 간행물 新形新幹線「N700A」 Koyusha Co., Ltd. 2012-11
[15] 서적 JRR 2009-06
[16] 간행물 Koyusha Co., Ltd. 2016-12
[17] 웹사이트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2-02-09
[18] 간행물 Koyusha Co., Ltd. 2013-12
[19] 서적 Kotsu Shimbunsha 2016-05-20
[20] 서적 Kotsu Shimbunsha 2015-05-20
[21] 서적 JR電車編成表 Kotsu Shimbunsha 2023
[22] 웹사이트 東海道・山陽新幹線車両 N700Aの追加投入 http://www.westjr.co[...] West Japan Railway Company 2014-11-19
[23] 웹사이트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6-12-22
[24] 간행물 Kōtsū Shimbun 2016-09
[25] 간행물 Koyusha Co., Ltd. 2014-01
[26] 웹사이트 新幹線の列車名決定!! http://www.jrkyushu.[...] 2009-09-19
[27] 간행물 山陽・九州新幹線直通用車両 量産先行車 2008-12
[28] 뉴스 山陽・九州新幹線直通用車両の量産車について http://www.westjr.co[...] JR-West 2010-03-23
[29] 웹사이트 N700系8000番台が熊本総合車両基地に搬入される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0-07-05
[30] 웹사이트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0-09-01
[31] 간행물 N700系8000番台 Koyusha Co., Ltd. 2010-11
[32] 뉴스 Bullet train export a JR Tokai priority http://www.asahi.com[...] 2009-12-08
[33] 웹사이트 About the N700-I Bullet Train http://www.usjhsr.co[...] 2013-07-09
[34] 웹사이트 Introduction of the N700-I Bullet Train, The World's Safest and Most Efficient High Speed Rail System http://www.jterc.or.[...] Japan Transport Research Institute 2012-01-13
[35] 웹사이트 The Project - Texas Central https://www.texascen[...]
[36] 뉴스 東海道新幹線、332キロで試験運転 各国関係者にPR http://www.asahi.com[...] 2009-11-18
[37] 뉴스 Foreign rail interests given high-speed run http://search.japant[...] 2009-11-18
[38] 웹사이트 N700系X59編成 試運転 http://rail.hobidas.[...] 2016-09-19
[39] 뉴스 Shinkansen halted in Nagoya after oil leak and cracked frame found https://www.japantim[...] 2017-12-13
[40] 뉴스 Japan bullet train safety scare embroils manufacturers https://www.ft.com/c[...] 2017-12-30
[41] 뉴스 Outer frame under running bullet train was close to breaking http://www.asahi.com[...] 2017-12-20
[42] 뉴스 品質不良で台車亀裂=鋼材削り、厚さ足りず-川重製、100台で基準未満・JR西 https://www.jiji.com[...] 2018-02-28
[43] 웹사이트 リニア・鉄道館 N700系車両の展示について https://jr-central.c[...] Central Japan Railway Company 2019-07-14
[44] 문서 R編成を除く
[45] 문서 G・F編成を除く
[46] 문서 N・S・R編成
[47] 문서 S・R編成を除く
[48] 웹사이트 N700系という実力。N700Aという革新。 http://n700.jp/know/[...]
[49] 웹사이트 新型車両「N700S」 現在の車両との違いや歴史は https://web.archive.[...] 2020-06-18
[50] 간행물 N700Aの追加投入について~全ての東海道新幹線が「N700Aタイプ」になります~ http://jr-central.co[...] 東海旅客鉄道 2019-01-26
[51] 웹사이트 安全で快適、全ての面で「最高」…N700Sデビュー : 経済 : ニュース https://www.yomiuri.[...] 2020-10-17
[52] 문서 車両番号はグリーン車が「777-30」、普通車が「785-3505」、グリーン・普通合造車が「766-7001」など。
[53] 뉴스 N700系8000番台が熊本総合車両基地に搬入される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0-07-05
[54] 웹사이트 国内新幹線向け 車両システムと電気品 https://www.global.t[...] 東芝 2014-11-20
[55] 간행물 N700系7000/8000番代 「第11回ブルネル賞」を受賞 http://www13.jrkyush[...] 九州旅客鉄道 2011-08-10
[56] 서적 最速への挑戦 新幹線N700系開発 東方出版
[57] 간행물 東海道・山陽新幹線 次世代新幹線車両(N700)の概要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03-08-11
[58] 서적 最速への挑戦 新幹線N700系開発 東方出版
[59] 서적 最速への挑戦 新幹線N700系開発 東方出版
[60] 서적 最速への挑戦 新幹線N700系開発 東方出版
[61] 웹사이트 N700系とその量産先行試作車、『細かすぎる』違いとは? https://web.archive.[...]
[62] 문서 交友社「鉄道ファン」2007年6月号新車速報「N700系量産車」pp.72 - 73。
[63] 문서 この番号は16両編成時の号車番号。
[64] 웹사이트 重量品・プラント輸送サービス http://www.hitachi-h[...]
[65] 웹사이트 その他の輸送・据付工事 http://www.nittsu.co[...]
[66] 간행물 平成19年春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07-01-06
[67] 간행물 「N700系」新幹線出発式の開催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07-06-26
[68] 뉴스 九州新幹線・鹿児島ルート 来年3月12日に開業 http://sankei.jp.msn[...] 産業経済新聞社 2010-09-15
[69] 뉴스 新幹線デザイン競う 「こまち」「はやぶさ」華麗で快適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11-02-19
[70] 뉴스 山陽・九州新幹線相互直通運転用車両が陸送される http://railf.jp/news[...] 交友社 2008-10-04
[71] 간행물 JR西日本 N700系7000番台(山陽・九州新幹線直通用車両量産先行車) 交通新聞社 2008-12
[72] 뉴스 N700系7000番台S1編成、試運転で新大阪へ http://railf.jp/news[...] 交友社 2009-05-18
[73] 뉴스 山陽・九州新幹線:「さくら」公開 N700系を基に開発 http://mainichi.jp/s[...] 毎日新聞社 2010-06-15
[74] 간행물 山陽新幹線と九州新幹線の相互直通運転の実施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07-10-17
[75] 웹사이트 vol.12 N700系「さくら」情報も! 新幹線大図鑑 Part2(2ページ) http://www.toretabi.[...] 2009-09-16
[76] 뉴스 未明の熊本、新幹線を輸送 JR九州の新車両 http://sankei.jp.msn[...] 産業経済新聞社 2012-06-15
[77] 서적 新幹線50年史 財団法人交通協力会 2015
[78] 웹사이트 N700系X12編成が浜松工場へ|鉄道ニュース|2020年7月3日掲載|鉄道ファン・railf.jp https://railf.jp/new[...] 2020-07-04
[79] 문서 これは新幹線車両としては0系に続いて2例目で、後に[[新幹線E7系・W7系電車|E7系・W7系]]も該当している。ただしE7系・W7系は水没等の事故廃車のため。
[80] 서적 JR電車編成表 2010夏 交通新聞社
[81] 문서 '[http://www.jorsa.or.jp/jp/kumiai/data/236/236p2.pdf 営・業・に・役・立・つ鉄道講座【特 集】N700系新幹線について]' http://www.jorsa.or.[...]
[82] 문서 500系は全車プラグドアのため例外。
[83] 서적 新幹線車両大全2023-2024 イカロスMOOK イカロス出版 2023-03-31
[84] 웹사이트 新型新幹線「N700系」の“顔”を生んだ「遺伝的アルゴリズム」の秘密【その2】 https://xtech.nikkei[...] 2007-07-06
[85] 서적 鉄道のテクノロジー 13 新幹線2012 三栄書房
[86] 서적 最速への挑戦 新幹線「N700系」開発 東方出版
[87] 서적 全閉内扇形鉄道車両用誘導主電動機の開発 東洋電機製造株式会社
[88] 서적 東洋電機技報 第122号 東洋電機製造
[89] 문서 001-004 総集編_交通事業部編 https://web.archive.[...]
[90] 간행물 東海旅客鉄道(株)及び西日本旅客鉄道(株)向け 新型新幹線用電機品 https://www.global.t[...] 東芝 2007-10
[91] 간행물 国内新幹線向け 車両システムと電気品 https://www.global.t[...] 東芝 2009-09
[92] 간행물 N700系新幹線車両用主回路システム https://web.archive.[...] 富士電機 2006
[93] 간행물 JR東海・西日本 N700系新幹線電車(量産車) 日本鉄道車輌工業会 2008-03
[94] 서적 JREA VOL.52 No.5「走行風冷却主変換装置のN700系新幹線電車への適用[特集 車両技術]」 日本鉄道技術協会
[95] 문서 新幹線の試作電車や試験車両での採用例は過去に[[新幹線1000形電車|1000形]]や[[新幹線952形・953形電車|952・953形]]などがある。
[96] 서적 鉄道のテクノロジーVol.1 新幹線 三栄書房
[97] 문서 西日本の在来線車両でのフルカラーは225系100番台・227系・323系が最初、東海は313系(2006年度以降)が最初
[98] 문서 700系までの車両は東京寄り先頭車(16号車)に行先表示器は設置されていなかった。
[99] 문서 JR西日本所属車では、500系ですでにLED化されている。
[100] 문서 行先表示器の指定席/自由席表示の色も同じ。
[101] 문서 西日本の在来線車両では225系から。
[102] 문서 最高起動加速度は500系が1.92 km/h/s、700系が2.0 km/h/s、800系が2.5 km/h/s。
[103] 문서 700系が270 km/h走行時14.7 kWh、100系の220 km/h走行時が13.9 kWh。
[104] 뉴스 のぞみN700系デビュー JR岡山駅で出発式 最新技術と省エネ装備 http://www.okanichi.[...] 岡山日日新聞社 2007-07-02
[105] 서적 鉄道ファン2005年8月号 交友社
[106] PDF 東海道・山陽新幹線車内の防犯カメラの増設について https://jr-central.c[...] 東海旅客鉄道ニュースリリース 2015-07-06
[108] 뉴스 JR東海 新幹線客室内、デッキ通路部に防犯カメラ増設 교통新聞社 2016-02-25
[109] 뉴스 東海道新幹線、客室内の常時録画開始 放火事件受け http://www.asahi.com[...] 日本経済新聞社 2016-02-23
[111] 웹사이트 N700系の完全分煙化と既存車両の禁煙車拡大について https://web.archive.[...] JR東海ニュースりリ-ス 2005
[113] 간행물 鉄道ピクトリアル 鉄道図書刊行会 2008-10
[115] 간행물 RailMagazine 2009年10月号 네코・パブリッシング
[116] 서적 鉄道のテクノロジーVol.1 新幹線 삼영서방
[119] 서적 鉄道のテクノロジーVol.1 新幹線 삼영서방
[121] 서적 最速への挑戦 新幹線N700系開発 동방출판
[122] 웹사이트 製造事業 https://kilt.co.jp/b[...] キルト工芸
[124] 웹사이트 次世代新幹線車両・N700系(量産車)に、車両用LED照明器具を納入 http://www.mew.co.jp[...] 松下電工 2007-07-04
[125] 웹사이트 「N700系新幹線」にLED照明を納入 〜読書灯・側補助灯などが次世代新幹線に大規模採用〜 https://web.archive.[...] 東芝ライテックプレスリリース 2007-07-20
[126] 웹사이트 N700系でインターネット接続サービス開始!(無線LAN) http://railway.jr-ce[...] 東海旅客鉄道ニュースリリース
[127] 웹사이트 公衆無線LANサービスのご案内 N700A・N700系、車内公衆無線LANサービスについて http://railway.jr-ce[...] 東海旅客鉄道
[128] 간행물 東海道新幹線における無料 Wi-Fi サービス等につい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2021-08-19
[129] 뉴스 東海道・山陽・九州新幹線で、docomo Wi-Fiやau Wi-Fi SPOTが利用可能に https://k-tai.watch.[...] 임프레스 2019-01-08
[132] 웹사이트 「会いにいこう」キャンペーンの展開について https://jr-central.c[...] 東海旅客鉄道 2023-03-21
[133] 간행물 N700系の改造について http://jrcentral.co.[...]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2020-11-10
[134] 간행물 東海道・山陽新幹線車両 N700Aの投入およびN700系改造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2020-11-10
[135] 뉴스 新幹線「N700系」、230億円かけ改造へ JR東海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社 2012-04-23
[136] 간행물 N700系改造の進捗および計画について http://jr-central.co[...]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2020-11-10
[137] 간행물 東海道新幹線N700系車両の改造工事完遂について http://jr-central.co[...]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2020-11-10
[138] 간행물 東海道・山陽新幹線車両N700系の改造工事完遂につい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2020-11-10
[139] 서적 鉄道のテクノロジーアーカイブス vol.1 新幹線のすべて(SAN-EI MOOK) 삼영서방 2012-08-31
[140] 뉴스 新幹線N700系全車改造 JR東海、浜松で完遂式 http://www.at-s.com/[...] 2015-08-26
[141] 웹사이트 N700系改造車に新しいロゴ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8-03-07
[142] 서적 新幹線車両図鑑 海側・山側 全イラスト掲載 東海道新幹線 講談社ビーシー 2014
[143] 웹사이트 プラレール「ライト付 パパとぼくの300系&N700typeAのぞみダブルセット」 https://takaratomyma[...] 2019-03-31
[144] 문서
[145] 간행물 東海道新幹線の雪対策について http://jr-central.co[...] 東海旅客鉄道 2019-01-26
[146] 문서
[147] 서적 JR電車編成表 ジェー・アール・アール、交通新聞社 2022
[148] 서적 JR電車編成表 ジェー・アール・アール、交通新聞社 2022
[149] 서적 JR電車編成表 ジェー・アール・アール、交通新聞社 2020
[150] 서적 JR電車編成表 交通新聞社 2021
[151] 서적 JR電車編成表 交通新聞社 2021
[152] 웹사이트 X48編成が廃車回送 http://www.tetsuyash[...] 2023-02-01
[153] 웹사이트 X48編成が廃車回送 http://www.tetsuyash[...] 2023-02-01
[154] 간행물 東海道・山陽新幹線車両 N700Aの概要及び投入計画について https://jr-central.c[...] 東海旅客鉄道 2020-07-19
[155] 논문 鉄道ジャーナル 鉄道ジャーナル社 2013-05
[156] 논문 鉄道ジャーナル 鉄道ジャーナル社 2013-05
[157] 문서
[158] 논문 鉄道ジャーナル 鉄道ジャーナル社 2013-05
[159] 웹사이트 東海道新幹線、車体傾斜区間を拡大 スピードアップへ http://trafficnews.j[...] メディア・ヴァーグ 2019-01-26
[160] 논문 鉄道ジャーナル 鉄道ジャーナル社 2013-05
[161] 논문 技術成果と展望-電気エネルギー技術 http://www.fujielect[...] 富士電機 2019-01-26
[162] 논문 東海旅客鉄道 N700A新幹線電車用電機品 https://www.global.t[...] 東芝 2019-01-26
[163] 문서
[164] 문서
[165] 뉴스 新型新幹線「N700A」のデザイン、ロゴも「進化」 JR東海が公開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社 2019-01-26
[166] 간행물 東海道・山陽新幹線 車内サービスの変更について http://company.jr-ce[...] 東海旅客鉄道 2019-01-26
[167] 간행물 “冬”の臨時列車のお知らせ https://jr-central.c[...] 東海旅客鉄道 2020-11-10
[168] 간행물 N700A出発式について https://jr-central.c[...]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2020-11-10
[169] 웹사이트 JR東海テレフォンセンター https://jr-central.c[...]
[170] 간행물 東海道・山陽新幹線車両 N700Aの概要及び投入計画について https://jr-central.c[...] 東海旅客鉄道 2019-01-26
[171] 간행물 N700Aの投入およびN700系改造につい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0-11-10
[172] 웹사이트 JR西日本N700系4000番台「N700A」が陸送される https://railf.jp/new[...] 鉄道ファン 2013-11-03
[173] 간행물 【社長会見】N700Aの追加投入について http://jr-central.co[...] 東海旅客鉄道 2019-01-26
[174] 뉴스 JR東海が86編成を対象に改装工事へ、ブレーキなどに新機能 https://newswitch.jp[...] 日刊工業新聞 2021-04-02
[175] 간행물 東海道・山陽新幹線車両 N700Sの追加投入および、N700Aタイプの機能向上につい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3-06-16
[176] 간행물 平成22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jr-central.c[...] 東海旅客鉄道 2014-12-11
[177] 간행물 平成23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jr-central.c[...] 東海旅客鉄道 2014-12-11
[178] 간행물 平成24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jr-central.c[...] 東海旅客鉄道 2014-12-11
[179] 간행물 平成25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jr-central.c[...] 東海旅客鉄道 2014-12-11
[180] 간행물 平成26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jr-central.co[...] 東海旅客鉄道 2014-12-11
[181] 간행물 平成29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jr-central.co[...] 東海旅客鉄道 2016-12-19
[182] 뉴스 平成20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eb.archive.[...] 東海旅客鉄道 2007-12-20
[183] 뉴스 平成20年春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eb.archive.[...] 西日本旅客鉄道 2007-12-20
[184] 문서 ただし、上り「のぞみ」30号・34号は2時間36分で運転する。
[185] 간행물 平成22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jr-central.co[...] 東海旅客鉄道 2019-01-26
[186] 뉴스 JR時刻表 交通新聞社 2010-02
[187] 웹사이트 平成29年春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16-12-20
[188] 간행물 2020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のぞみ12本ダイヤ」をスタートします!~ https://jr-central.c[...] 東海旅客鉄道 2020-08-11
[189] 문서 意図的に火を点けているため厳密には事故ではなくテロ行為だが、国土交通省は「新幹線初の列車火災事故」と認定している。
[190] 웹사이트 N700系X59編成 試運転 http://rail.hobidas.[...] 네코・パブリッシング 2019-01-26
[191] 문서 詳細は不明だが「新幹線EX」2016年9月号によると部品取り台車など機器類を被災車から流用した可能性もある。その場合は修理復旧扱いとなる。実際に旧車番である783-2059で製造されたことからも、修理復旧扱いされた可能性が高い。
[192] 뉴스 N700系量産車の投入計画について https://web.archive.[...] JR東海
[193] 뉴스 N700系の投入計画について https://web.archive.[...] 西日本旅客鉄道 2007-09-26
[194] 간행물 東海道・山陽新幹線車両 N700Aの投入およびN700系改造につい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0-05-20
[195] 간행물 東海道・山陽新幹線車両 N700Aの追加投入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2020-11-10
[196] 간행물 東海道・山陽新幹線車両 N700Aを3年間で15編成投入(安全安定輸送の実現、快適性の向上を図ります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19-01-26
[197] 문서 『鉄道ファン』通巻573号、p.62
[198] 문서 この機能は九州新幹線区間内のみで使用可。
[199] 문서 『鉄道ファン』通巻573号、p.66
[200] 문서 『鉄道ファン』通巻573号、p.67
[201] 서적 鉄道のテクノロジーVol.9 新幹線と高速鉄道 三栄書房 2010
[202] 문서 軸受けは、500系以降で実績のある密封グリース式の円錐コロ軸受けを採用している。
[203] 웹사이트 山陽新幹線における新ATCの使用開始について:JR西日本 https://www.westjr.c[...] 2024-10-22
[204] 문서 博多南線内は全面禁煙のため、喫煙ルームでも喫煙できない。
[205] 문서 一方で、JR東海・西日本保有車のような始発・終着チャイムは設定されていない。
[206] 문서 S1編成は1・2・7・8号車を川崎重工業、3・4号車を日本車輌製造、5・6号車を近畿車輛が製造した。
[207] 웹사이트 九州縦断イベント(九州旅客鉄道) http://www.shuku9.co[...] 20110720
[208] 웹사이트 N700系に「くまモン」「くろちゃん」ラッピング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9-01-26
[209] 간행물 ユニバーサル・スタジオ・ジャパンの大人気エリア「ウィザーディング・ワールド・オブ・ハリー・ポッター」をモチーフにデザインされたラッピング新幹線 2015年2月14日(土曜日)より運行スタート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ユー・エス・ジェイ 2019-01-26
[210] 문서 800系U001編成も同年7月15日から実施。
[211] 문서 向かって左からエコトン・壺侍・がんばくん・らんばちゃん・[[めじろん]]・くまモン・[[ぐりぶー]]・[[みやざき犬]](ひぃくん・むぅちゃん・かぁくん)。
[212] 웹사이트 九州各県のキャラクターが登場「元気に!九州」ラッピング新幹線運行中! http://www.jrkyushu.[...]
[213] 뉴스 N700系8000番台R7編成に「元気に!九州」ラッピング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交友社 railf.jp鉄道ニュース 2016-07-10
[214] 웹사이트 N700Aまさかの「8両化」実際どうなる? JR西「かなり大がかりな改造」 新幹線屈指の“神席”も誕生!? https://trafficnews.[...] 2024-02-15
[215] 간행물 2024年2月社長会見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2-14
[216] 웹사이트 試運転用「N700S」は営業運転に使わないのか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18-07-14
[217] 웹사이트 N700系X12編成が浜松工場へ|鉄道ニュース|2020年7月3日掲載|鉄道ファン・railf.jp https://railf.jp/new[...]
[218] 간행물 新幹線から新幹線へ「車両構体から車両構体へのアルミ水平リサイクル」について https://www.nikkeiki[...] 日本軽金属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日軽金アクト株式会社 2022-05-27
[219] 간행물 東海道新幹線 N700Sの追加投入について https://jr-central.c[...] 東海旅客鉄道 2022-05-27
[220] 웹사이트 相鉄・東急新横浜線 新横浜駅待合室「Shin-Yoko Gateway Spot」をオープン!~相模鉄道・東急電鉄・JR東海3社の歴史を象徴する素材を内装に使用~ https://www.tokyu.co[...] 東急電鉄 2023-03-09
[221] 웹사이트 東海道新幹線再生アルミの駅舎等への活用について https://jr-central.c[...] JR東海 2023-03-09
[222] 뉴스 JR東海とジェイアール東海商事、大建工業・相模原市と共同で東海道新幹線再生アルミと間伐材を活用した内装用ルーバーを開発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4-03-25
[223] 웹사이트 東海道新幹線再生アルミと間伐材を活用した内装用ルーバーを共同開発 ~循環型社会の形成に向けたJR東海グループ・大建工業・相模原市の取組み~ https://jr-central.c[...] JR東海・[[大建工業]]・[[相模原市]]・[[ジェイアール東海商事]] 2024-03-25
[224] 웹사이트 東海道新幹線60周年記念 JR東海とミズノが初のサステナブル共同開発 東海道新幹線車両のアルミが生まれ変わって子供用野球バットに https://jr-central.c[...] JR東海・ミズノ・ジェイアール東海商事 2023-08-01
[225] 웹사이트 東海道新幹線60周年記念 JR東海と東海楽器が共同開発 東海道新幹線車両のアルミが生まれ変わってエレキギターに https://jr-central.c[...] JR東海・東海楽器製造・ジェイアール東海商事 2024-12-20
[226] 웹사이트 東海道新幹線の車体を再利用したタルボ!「Re:A-700 Talbo」発売 https://tokaigakki.c[...] 東海楽器製造 2024-12-19
[227] 간행물 リニア・鉄道館 N700系車両の展示について~初めて屋外に新幹線車両を展示します!~ https://jr-central.c[...] 東海旅客鉄道 2019-05-17
[228] 웹사이트 N700系量産先行車783-9001がリニア・鉄道館へ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9-06-19
[229] 웹사이트 リニア・鉄道館でN700系先行試作車の屋外展示開始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9-07-18
[230] 웹사이트 高速鉄道の海外事業展開について https://jr-central.c[...] 東海旅客鉄道ニュースリリース 2010-01-25
[231] 뉴스 東海道新幹線、332キロで試験運転 各国関係者にPR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09-11-17
[232] 웹사이트 地球環境保全への貢献 https://company.jr-c[...] 2023-11-29
[233] 웹인용 N700 Series Delivery Schedule http://jr-central.co[...] 2007-09-26
[234] 웹인용 Winter 2008/2009 Train Schedule Update (JR Central) http://jr-central.co[...] 2008-10-17
[235] 웹인용 Shinkansen bullet trains get wireless LAN with 2Mbps http://www.crunchgea[...] 2009-03-09
[236] 웹인용 Details of N700A design http://jr-central.co[...] Central Japan Railway Company 2012-07-25
[237] 웹인용 Outline of N700A Tokaido/Sanyo Shinkansen trains http://jr-central.co[...] Central Japan Railway Company 2011-05-30
[238] 서적 JR EMU Formations - Summer 2009 JRR 2009-06
[239] 서적 The 700 series trajectory Koyusha Co., Ltd. 2016-12
[240] 서적 N700-0 and N700-3000 series to be modified as "N700A" type Koyusha Co., Ltd. 2014-01
[241] 웹인용 Additional N700A series trains to be introduced on Tokaido & Sanyo Shinkansen http://www.westjr.co[...] West Japan Railway Company 2014-11-19
[242] 웹인용 JR West to introduce 15 more N700A sets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6-12-22
[243] 문서 Japan Railfan Magazine, December 2008 issue: "山陽・九州新幹線直通用車両 量産先行車", p.64-67
[244] 웹사이트 "新幹線の列車名決定!!" http://www.jrkyushu.[...] JR Kyushu 2009-02-26
[245] 웹인용 Test-running on Kyushu Shinkansen Between Kumamoto and Chikugo-Funagoya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0-09-01
[246] 웹인용 N700系8000番台が熊本総合車両基地に搬入される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0-07-14
[247] 웹인용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2-02-10
[248] 문서
[249] 문서
[250] 문서
[251] 간행물
[252] 서적 JR電車編成表 2016夏 交通新聞社
[253] 서적 JR電車編成表 2010夏 交通新聞社
[254] 웹인용 平成22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jr-central.co[...] 東海旅客鉄道 2014-12-11
[255] 웹인용 平成23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jr-central.co[...] 東海旅客鉄道 2014-12-11
[256] 웹인용 平成24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jr-central.co[...] 東海旅客鉄道 2014-12-11
[257] 웹인용 平成25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jr-central.co[...] 東海旅客鉄道 2014-12-11
[258] 웹인용 平成26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jr-central.co[...] 東海旅客鉄道 2014-12-11
[259] 웹인용 http://rail.hobidas.[...] 2016-09-19
[260] 웹인용 東海道新幹線 次期軌道状態監視システムの開発について http://jr-central.co[...] 도카이여객철도 2018-06-02
[26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usjhsr.co[...] 2017-06-25
[26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jterc.or.[...] 2017-06-25
[263] 웹인용 http://www.asahi.com[...] 2009-11-18
[264] 웹인용 Foreign rail interests given high-speed run http://search.japant[...] 2009-11-18
[265] Youtube 東海道新幹線の車内で火災 男女2人死亡 http://www3.nhk.or.j[...] NHK 2015-06-30
[266] 웹인용 平成27年6月30日に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東海道新幹線で発生した列車火災事故 http://jtsb.mlit.go.[...] 運輸安全委員会 2015-01-03
[267] 웹인용 東海道新幹線火災:71歳男、焼身自殺 女性、巻き添え死亡 重軽傷26人に 2015-07-01
[268] 웹인용 Shinkansen halted in Nagoya after oil leak and cracked frame found https://www.japantim[...] 2017-12-13
[269] 웹인용 Japan bullet train safety scare embroils manufacturers https://www.ft.com/c[...] 2017-12-30
[270] 웹인용 Outer frame under running bullet train was close to breaking http://www.asahi.com[...] 2017-12-20
[271] 웹인용 https://jr-central.c[...] Central Japan Railway Company 2019-07-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