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동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동신은 심달원의 10대손이자 심전의 9대손이며, 윤선도의 외손인 심단의 5대손이다. 그는 병조참판, 지춘추관사, 대사헌을 역임했으며, 승지 심동헌의 형이다. 1850년 증광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 제주 암행어사, 홍문관 부교리 등을 거쳐 1888년 대사헌에 이르렀다. 심동신 금관조복은 국가민속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어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2. 가계

심달원(沈達源)의 10대손이자 청파부원군 심전(沈銓)의 9대손이며, 고산 윤선도(尹善道)의 외손자인 이조판서 심단(沈檀)의 5대손이다. 병조참판 심영석(沈英錫)의 손자, 증 이조판서 심문(沈雯)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병조판서 홍명주(洪命周)의 외손자이자 승지 심동헌(沈東獻)의 형이다.


  • 심달원 (승문원 판교, 증이조판서)
  • * 심전 (沈銓, 경기도 관찰사, 증영의정, 청파부원군)
  • ** 심우승 (沈友勝, 호조참판, 경기도 관찰사, 호성공신 2등, 증영의정, 청계부원군)
  • ** 심우준 (진사, 증이조참판)

심액 (심우승에 입양됨, 이조판서, 판의금부사, 청송군, 기로소)
심서 (평시서령, 증이조판서)
* 심광면 (증영의정)
** 심단 (이조판서, 판의금부사, 판중추부사, 기로소, 봉조하)
*** 심득성 (생원, 증이조참의)
심치 (증이조참판)
* 심영석 (병조참판)
** 심문 (제릉참봉, 증이조판서)
*** 심동신 (병조참판, 지춘추관사, 대사헌)
*** 심동헌 (승지)

2. 1. 직계

심달원(沈達源)의 10대손이자 청파부원군 심전(沈銓)의 9대손이며, 고산 윤선도(尹善道)의 외손자인 이조판서 심단(沈檀)의 5대손이다. 병조참판 심영석(沈英錫)의 손자, 증 이조판서 심문(沈雯)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병조판서 홍명주(洪命周)의 외손자이자 승지 심동헌(沈東獻)의 형이다.

  • 심달원 (승문원 판교, 증이조판서)
  • * 심전 (沈銓, 경기도 관찰사, 증영의정, 청파부원군)
  • ** 심우승 (沈友勝, 호조참판, 경기도 관찰사, 호성공신 2등, 증영의정, 청계부원군)
  • ** 심우준 (진사, 증이조참판)

심액 (심우승에 입양됨, 이조판서, 판의금부사, 청송군, 기로소)
심서 (평시서령, 증이조판서)
* 심광면 (증영의정)
** 심단 (이조판서, 판의금부사, 판중추부사, 기로소, 봉조하)
*** 심득성 (생원, 증이조참의)
심치 (증이조참판)
* 심영석 (병조참판)
** 심문 (제릉참봉, 증이조판서)
*** 심동신 (병조참판, 지춘추관사, 대사헌)
*** 심동헌 (승지)

2. 2. 조상

기묘명현 심달원(沈達源)의 10대손이자 청파부원군 심전(沈銓)의 9대손이다. 고산 윤선도(尹善道)의 외증손이자 이조판서 심단(沈檀)의 5대손으로, 병조참판 심영석(沈英錫)의 손자, 증 이조판서 심문(沈雯)의 아들이다. 병조판서 홍명주(洪命周)의 외손자이고, 승지 심동헌(沈東獻)의 형이다.

심달원 (승문원 판교, 증이조판서)의 후손으로, 그의 10대손이다.

  • 심전 (沈銓, 경기도 관찰사, 증영의정, 청파부원군(靑坡府院君))의 9대손이다.
  • 심우준 (진사, 증이조참판)의 후손
  • 심액 (심우승에 입양됨, 이조판서, 판의금부사, 청송군, 기로소)의 후손
  • 심서 (평시서령, 증이조판서)의 후손
  • 심광면 (증영의정)의 후손
  • 심단 (이조판서, 판의금부사, 판중추부사, 기로소, 봉조하)의 5대손
  • 심우승 (沈友勝, 호조참판, 경기도 관찰사, 호성공신 2등, 증영의정, 청계부원군(靑溪府院君))의 후손
  • 심액 (沈詻, 심우준의 아들, 이조판서, 판의금부사, 청송군(靑松君), 기로소)의 후손
  • 심광수 (沈光洙, 남인 산림(南人 山林), 세자시강원 진선, 공조참의, 증이조참판, 청안군(靑安君))의 후손
  • 심광사 (沈光泗, 종친부 전부, 증이조참판, 다섯 아들이 모두 문과에 급제)의 후손
  • 해남 윤씨(海南 尹氏) 고산 윤선도(尹善道)의 손자 종친부 전부 윤이석(尹爾錫)의 외증손
  • 윤두서(尹斗緖)의 외4대조
  • 심액의 사위 오단의 후손
  • 오단의 외손 인평대군의 후손
  • 복녕군, 복창군, 복선군, 복평군의 7대조
  • 심우선 (장수현감)의 후손
  • 심양 (사헌부 감찰)의 후손
  • 심광한 (증이조참판)의 후손
  • 심상 (심광사의 아들, 사간원 정언, 증이조판서)의 후손
  • 심득량 (순흥부사, 증좌찬성)의 후손
  • 심각 (예조판서, 판의금부사, 판중추부사, 기로소)의 후손
  • 심우단 (사헌부 감찰)의 후손
  • 심선 (단천부사)의 후손

2. 3. 기타 친인척

기묘명현 심달원의 10대손이자, 청파부원군 심전의 9대손이다. 고산 윤선도의 외증손이자 이조판서 심단의 5대손으로, 병조참판 심영석(沈英錫)의 손자이고, 증 이조판서 심문(沈雯)의 아들이다. 병조판서 홍명주(洪命周)의 외손자이고, 승지 심동헌(沈東獻)의 형이다.

3. 생애

3. 1. 철종 재위 기간 (1849년 - 1863년)

1850년(철종 1년)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1] 1855년 성균관 전적에 제수되었다.[1] 1858년 사헌부 지평,[1] 1860년 제주 암행어사[1] 및 홍문관 부교리,[1] 1862년 사헌부 장령에 제수되었다.[1]

3. 2. 고종 재위 기간 (1863년 - 1907년)

심동신은 1864년 홍문관 부응교, 봉상시정, 우부승지에 제수되었다.[2] 1865년 안동부사, 1866년 우부승지에 제수되었다. 1867년 좌부승지, 우승지에 제수되었으며, 1870년 돈녕부 도정, 좌승지에 제수되었다. 1871년 예조참의, 대사성, 우승지, 병조참의에 제수되었다.[2] 1873년 봉산군수에 제수되었다. 1874년1877년에는 우승지에 제수되었고, 1875년 병조참의에 제수되었다. 1876년 병조참지, 병조참의, 이조참의, 형조참의, 좌승지에 제수되었다.[3][4]

1878년 전라좌도 암행어사로 활동하였으며,[5] 1879년 동래부사[6][7], 1880년 좌부승지, 1881년 좌승지에 제수되었다. 1882년 오위도총부 부총관, 한성부 좌윤, 병조참판, 동지돈녕부사, 지춘추관사, 황해도 관찰사를 역임했다.[8] 1883년1885년 동지의금부사에 제수되었고,[9] 1884년 좌승지, 동지춘추관사, 동지경연관사, 한성부 우윤, 동지돈녕부사를 역임했다. 1887년 한성부 좌윤, 1888년 대사헌에 제수되었다.[10]

4. 심동신 금관조복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심동신 금관조복이 전시되어 있다.[11] 심동신 금관조복은 1964년 12월 7일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다.[11]

참조

[1] 역사기록 철종실록 12권, 철종 11년 2월 28일 계해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2] 역사기록 고종실록 8권, 고종 8년 5월 19일 무신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3] 역사기록 고종실록 13권, 고종 13년 5월 18일 무신 5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4] 역사기록 고종실록 13권, 고종 13년 10월 7일 갑오 4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5] 역사기록 고종실록 15권, 고종 15년 4월 4일 계미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6] 역사기록 고종실록 16권, 고종 16년 6월 10일 임자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7] 역사기록 고종실록 17권, 고종 17년 4월 10일 정미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8] 역사기록 고종실록 19권, 고종 19년 7월 9일 계사 4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9] 역사기록 고종실록 22권, 고종 22년 8월 26일 임진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0] 역사기록 고종실록 25권, 고종 25년 8월 17일 병신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1] 웹사이트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심동신 금관조복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