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복녕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녕군은 조선 인조의 손자이자 인평대군의 장남으로, 효종 즉위 후 복녕군에 봉해졌다. 그는 현종과 명성왕후의 온양온천 행차를 수행했으며, 32세에 사망했다. 현종은 장례를 후하게 치렀으나, 서인 세력은 복녕군과 그의 형제들이 사치스럽고 방자하다고 비판했다. 복녕군은 예송논쟁과 삼복의 옥에는 연루되지 않았으며, 고종 즉위 후 효헌의 시호를 받았다. 그의 후손 중에는 고종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39년 출생 - 숭선군
    숭선군은 조선 인조의 아들로, 1639년에 태어나 숭선군에 봉해졌으며, 귀인 조씨의 역모 혐의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보사원종공신에 책록되었고, 효경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639년 출생 - 사카이 다다쓰네 (1639년)
    사카이 다다쓰네는 1639년에 태어나 데와 쇼나이번 번주 사카이 타다카츠의 아들로, 마쓰야마번을 개척하고 슨푸성, 에도성 니노마루 성벽 축조, 심광사 창건에 기여했으며, 1675년에 사망했다.
  • 1670년 사망 - 요한 루돌프 글라우버
    요한 루돌프 글라우버는 독일의 약사이자 화학자, 초기 화학 공학자로서 황산나트륨을 발견하고 염산 등을 합성했으며, 케미컬 가든을 최초로 관찰, 기록하고 40권의 책을 저술했다.
  • 1670년 사망 - 페르디난도 2세 데 메디치
    페르디난도 2세 데 메디치는 1621년부터 1670년까지 토스카나 대공으로 재위했으며, 과학과 예술을 후원하고 과학 아카데미를 설립하여 과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뇌졸중과 수종으로 사망하여 산 로렌초 성당에 안치되었다.
  • 인천광역시 출신 - 신태환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관료인 신태환은 경성고등상업학교와 도쿄상과대학을 졸업하고 연희전문학교, 서울대학교 교수를 지냈으며, 한국경제학회 설립에 기여했고 건설부 장관, 서울대학교 총장, 초대 국토통일원 장관 등을 역임하며 경제 발전과 국토 통일에 힘썼다.
  • 인천광역시 출신 - 박남춘
    박남춘은 행정고시 합격 후 공직 생활을 거쳐 국회의원과 인천광역시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복녕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복녕군
추존효헌
한글 (칭호)복녕군
한자 (칭호)福寧君
한글 (추존)효헌
한자 (추존)孝獻
로마자 표기 (칭호)Boknyeong-gun
로마자 표기 (추존)Hyoheon
이유 (李栯)
원래 이름복녕군
작위조선의 왕족
시호효헌(孝獻)
출생일 (양력)1639년 2월 9일
사망일 (양력)1670년 10월 15일
아버지인평대군
어머니복천부부인 동복 오씨
배우자군부인 양천 허씨
자녀2남 5녀

2. 생애

이욱(李栯)[2]은 1639년(인조 17년)[3] 인열왕후의 셋째 아들 인평대군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우의정을 지낸 오단의 차녀 복천 오씨이다[4]. 소현세자와 효종의 친조카이며, 현종과는 사촌이고, 숙종 때 "삼복(三福)"으로 불린 복창군, 복선군, 복평군의 친형이다[3].

1651년(효종 2년) 효종 즉위 후 '''복녕군'''(福寧君)에 봉해졌다.[5] 1655년(효종 4년) 종실 시험에서 합격하여 특별히 가자되었고,[6] 1662년(현종 3년)에는 소덕대부(昭德大夫)가 가자되었다.[7] 1666년(현종 7년)과 1667년(현종 8년) 현종이 온양온천으로 행차할 때 어가를 수행하기도 하였다.[8][9]

1670년(현종 11년) 32세로 사망했다. 현종은 복녕군과 어릴 적부터 친하게 지낸 것을 감안하여 장례를 관례대로 지내고 물품을 넉넉히 지급하도록 명하였다. 《현종개수실록》[10]에서는 복녕군을 비롯한 인평대군의 아들들이 무뢰하고 왕의 총애만 믿고 못된 짓을 했다고 비판하며, 이들 형제가 외가 식구인 오정일 등과 무리를 지어 "흉역의 싹"이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11]

복녕군은 예송논쟁과 삼복의 옥에는 휘말리지 않고 요절했다.

복녕군의 형제들은 남인 편에 섰으나, 1680년 경신환국으로 서인에게 밀려 복평군을 제외한 두 형제는 사형당했다.[3] 1864년(고종 원년), 고종이 복녕군의 7세손이었기 때문에 효헌(孝獻)이라는 시호를 받았다.[12]

복녕군의 사위 김석달(金錫達)은 판관을 역임했지만 자녀가 없어 양자 김도협(金道浹)을 들였다. 김도협은 목사가 되었고, 그의 둘째 사위가 암행어사로 유명한 박문수이다.

2. 1. 출생과 가계

(李), 이름은 욱 또는 유(栯)[2], 본관전주이다.

1639년(인조 17년)[3] 인조와 인열왕후 한씨의 셋째 아들 린평대군의 적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우의정을 지낸 동복 오씨(복천 오씨) 오단의 차녀 복천부부인 오씨이다[4]. 소현세자와 효종 등의 친조카이며, 현종과는 친사촌간이다. 숙종 때 "삼복(三福)"으로 불리며 정치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치고, 역모의 혐의를 뒤집어 쓰고 마침내 사형까지 당하게 되는 복창군, 복선군, 복평군의 친형이다[3].

아버지 인평대군은 자녀 없이 죽은 삼촌 능창대군의 양자로 사후 입양되었다. 따라서 친조부였던 인조는 혈통상 종조부가 되었다.

2. 2. 왕족 시절

1651년(효종 2년) 음력 6월 20일 백부 효종이 즉위한 후 정식으로 '''복녕군'''(福寧君)에 봉작되었다.[5] 1655년(효종 4년) 음력 4월 22일 종실들에게 시행한 시험에서 합격하여 특별히 가자되고,[6] 1662년(현종 3년) 음력 2월 14일에는 소덕대부(昭德大夫)가 가자되었다.[7] 1666년(현종 7년)과 1667년(현종 8년) 현종과 명성왕후 김씨온양온천으로 거둥할 때에는 그 어가를 수행하는 일원이 되기도 하였다.[8][9]

1670년(현종 11년) 음력 10월 15일 32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 복녕군의 사망 소식을 들은 현종은 관례에 따라 장례를 지내고 필요한 물품들은 넉넉히 지급하도록 명하였다. 당시 서인 세력이 주도하여 기록한 《현종개수실록》[10]에서는, 이러한 현종의 명에 대해서 현종과 복녕군이 어릴 때부터 서로 친하게 지냈으니 당연하다고 하면서도, 복녕군을 비롯한 인평대군의 아들들에 대해서는 무뢰하고 왕의 총애만을 믿고 못된 짓을 자행한 인물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또 복녕군 형제가 외가 식구인 오정일 등과 함께 무리를 짓고 친분을 맺는 바람에, "흉역의 싹"이 되어 화란이 일어날 뻔 하였다고도 하고 있다. 당시 사람들은 이러한 복녕군 형제들을 보며 항상 눈을 흘기고 이를 갈았다고 한다.[11]

복녕군은 일찍 요절하여 예송논쟁과 삼복의 옥에는 휘말리지 않았다.

2. 3. 사후

복녕군의 형제들은 남인 편에 서서 정치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1680년(경신환국) 서인들에게 밀려 복평군을 제외한 나머지 두 형제는 모두 사형당했다.[3] 고종 즉위 후인 1864년(고종 원년) 음력 7월 9일 복녕군은 효헌(孝獻)이라는 시호를 받았다.[12] 이는 고종이 복녕군의 직계 7세손이기 때문이다.[12]

복녕군의 사위 김석달(金錫達)은 판관을 역임했지만 자녀가 없어 양자 김도협(金道浹)을 들였다. 김도협은 목사가 되었고, 김도협의 둘째 사위가 암행어사로 유명한 영성군 박문수이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조부인조1595년1649년조선 제16대 국왕
조모인열왕후1594년1635년
인평대군1622년1658년
복천부부인 오씨1622년1658년오단의 딸
동생복창군1641년1680년
동생복선군1647년1680년
동생복평군1648년1700년
동생이금온1654년?
동생이씨??정중만의 처
부인군부인 양천 허씨?1688년
장남양원군 이환1658년1724년
차남의원군 이혁1661년1722년고종의 6대조
장녀이씨??김석달의 처, 명성왕후의 남동생
차녀이씨??심종한의 처
3녀이씨??최현제의 처
4녀이씨??심일회의 처
5녀이씨??최수온의 처


4. 가계도

인조
린평대군
복녕군
의원군
안흥군


참조

[1] 기타
[2] 웹사이트 栯 http://hanja.naver.c[...] 네이버 한자사전
[3] 서적 숙종, 조선의 지존으로 서다 해냄 2007-08-30
[4] 웹사이트 《국조인물고》〈인평대군 이요〉 https://terms.naver.[...]
[5] 간행물 《조선왕조실록》효종 6권, 2년(1651 신묘 / 청 순치(順治) 8년) 6월 20일(을축) 1번째기사
[6] 간행물 《조선왕조실록》효종 14권, 6년(1655 을미 / 청 순치(順治) 12년) 4월 22일(병자) 1번째기사
[7] 간행물 《조선왕조실록》현종 5권, 3년(1662 임인 / 청 강희(康熙) 1년) 2월 14일(무오) 1번째기사
[8] 간행물 《조선왕조실록》현개 15권, 7년(1666 병오 / 청 강희(康熙) 5년) 3월 26일(병오) 1번째 기사
[9] 간행물 《조선왕조실록》현개 17권, 8년(1667 정미 / 청 강희(康熙) 6년) 4월 11일(을묘) 1번째기사
[10]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현종개수실록》 https://terms.naver.[...]
[11] 간행물 《조선왕조실록》현개 23권, 11년(1670 경술 / 청 강희(康熙) 9년) 10월 15일(기해) 1번째기사
[12] 간행물 《조선왕조실록》고종 1권, 1년(1864 갑자 / 청 동치(同治) 3년) 7월 9일(정미) 3번째기사
[13] 기타
[14] 서적 풍수비급 경덕출판사 2006-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