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네21 영화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씨네21 영화상은 영화 잡지 씨네21이 주최하는 영화 시상식이다. 1995년 작품을 대상으로 1996년 제1회 시상식이 개최되었으며, 매년 주요 부문별 수상작(자)을 선정한다. 시상식 부문과 씨네21 송년호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하며, 송년호 부문은 해당 해에 주목할 만한 영화, 감독, 배우 등을 선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씨네21 영화상 - 버닝 (2018년 영화)
이창동 감독의 2018년 영화 《버닝》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소설 〈헛간을 태우다〉를 모티브로 유아인, 스티븐 연, 전종서 주연으로 소설가를 꿈꾸는 청년 종수와 어린 시절 친구 해미, 수상한 남자 벤의 미스터리하고 불확실한 이야기를 그리며 칸 영화제에서 주목받고 국내외 유수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 씨네21 영화상 - 박하사탕 (영화)
이창동 감독의 1999년 영화 《박하사탕》은 1979년부터 1999년까지 20년의 세월을 역순으로 구성하여 한 남자의 삶을 통해 한국 현대사의 질곡과 상처를 성찰하는 작품으로, 5.18 민주화 운동, IMF 외환 위기 등 사회적 사건들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며 국내외 영화제에서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영화상 - 더 서울어워즈
더 서울어워즈는 영화와 드라마를 통합하여 시상하는 대한민국의 시상식으로, 2017년 처음 개최되어 각 부문별 대상, 주연상, 조연상, 신인상, 특별배우상, 인기상 등을 수여하며 인기상은 모바일 투표로 선정된다. - 대한민국의 영화상 -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부산영화평론가협회는 2000년 부산국제영화제의 부대행사로 시작되어 우수한 한국 영화와 영화인에게 상을 수여하는 영화상으로, 시상식에서 2015년부터는 포럼 형식으로 진행되며 대상, 각본상, 기술상, 연기자상, 신인감독상, 신인연기자상, 심사위원특별상, 이필우기념상 등의 부문으로 시상한다. - 1996년 설립 - 한국문학번역원
한국문학번역원은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위해 번역 및 출판 지원, 국제 교류, 번역 교육, 정보 서비스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관이다. - 1996년 설립 - 코스닥
코스닥은 대한민국의 중소·벤처기업 주식 시장으로, 기술 중심 기업의 자금 조달과 투자 기회 제공을 목표로 1996년 설립되어 성장과 침체를 거듭하며 제약, 바이오, IT 등 성장 산업군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씨네21 영화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주최 | 씨네21 |
시작 연도 | 1996년 |
웹사이트 | 씨네21 |
관련 정보 | |
설명 | 씨네21이 주최하는 영화상임. 독자들이 뽑은 올해의 영화들임. |
2. 역대 주요 부문 수상작(자) (시상식)
2. 1. 1회 (1996년)
1996년 2월 6일 오후 5시 서울 영등포구 LG트윈타워 동관에서 1995년 작품을 대상으로 하는 제1회 씨네21 영화상 시상식이 열렸다. 사회는 김명곤과 정은임이 맡았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
올해의 영화상 |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 |
올해의 감독상 | 박광수 |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
올해의 배우상 | 홍경인 |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
안성기 | 《영원한 제국》 | |
올해의 신인감독상 | 이민용 | 《개같은 날의 오후》 |
올해의 신인배우상 | 한석규 | 《닥터 봉》 |
2. 2. 2회 (1997년)
1997년 2월 4일 오후 5시 서울 종로구 연강홀에서 1996년 작품을 대상으로 시상식이 열렸다. 사회는 김명곤, 김선재가 맡았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출처 |
---|---|---|---|
올해의 영화상 | 《은행나무 침대》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4154748] | |
올해의 감독상 | 임권택 | 《축제》 | |
올해의 배우상 | 안성기 | 《축제》 | |
올해의 신인감독상 | 강제규 | 《은행나무 침대》 | |
올해의 신인배우상 | 이정현 | 《꽃잎》 |
2. 3. 3회 (1998년)
1998년 2월 17일 오후 6시 서울 종로구 허리우드극장 블루관에서 1997년 작품을 대상으로 제3회 씨네21 영화상 시상식이 열렸다. 씨네21상은 서준식 제2회 인권영화제 집행위원장과 명필름의 《접속》이 수상했다. 올해의 영화상은 《초록물고기》, 올해의 신인감독상은 《초록물고기》의 이창동 감독에게 돌아갔다. 예감21상은 변혁 감독의 《인터뷰》가 수상했다.
3. 올해의 영화(인) (씨네21 송년호)
3. 1. 1998년
씨네21 제183호(1998년 12월 29일 발행)에서는 그해 주목할 만한 영화, 감독, 배우 등을 선정했다.
부문 | 수상자 | 작품 |
---|---|---|
올해의 영화 | 《아름다운 시절》 | |
올해의 감독 | 이광모 | 《아름다운 시절》 |
올해의 프로듀서 | 차승재 (우노필름) | 《8월의 크리스마스》, 《처녀들의 저녁식사》 |
올해의 시나리오 | 이광모 | 《아름다운 시절》 |
올해의 촬영 | 유영길 | 《8월의 크리스마스》 |
올해의 남자배우 | 한석규 | 《8월의 크리스마스》 |
올해의 여자배우 | 심은하 | 《8월의 크리스마스》, 《미술관 옆 동물원》 |
3. 2. 1999년
씨네21 제233호는 1999년 12월 28일에 발행되었다. 1999년 올해의 영화로는 《인정사정 볼 것 없다》가 선정되었다. 올해의 감독은 이명세 감독이 선정되었으며, 《인정사정 볼 것 없다》로 수상하였다. 올해의 남자배우는 최민식이 《해피엔드》, 《쉬리》로, 올해의 여자배우는 전도연이 《해피엔드》, 《내 마음의 풍금》으로 선정되었다. 올해의 시나리오는 장진 감독의 《간첩 리철진》이, 올해의 촬영은 홍경표 촬영감독이 《유령》으로 선정되었다. 올해의 프로듀서는 차승재 (우노필름) 대표가 《태양은 없다》, 《유령》으로 선정되었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
올해의 영화 | 《인정사정 볼 것 없다》 | |
올해의 감독 | 이명세 | 《인정사정 볼 것 없다》 |
올해의 남자배우 | 최민식 | 《해피엔드》, 《쉬리》 |
올해의 여자배우 | 전도연 | 《해피엔드》, 《내 마음의 풍금》 |
올해의 시나리오 | 장진 | 《간첩 리철진》 |
올해의 촬영 | 홍경표 | 《유령》 |
올해의 프로듀서 | 차승재 (우노필름) | 《태양은 없다》, 《유령》 |
3. 3. 2000년
2000년 12월 26일에 발행된 씨네21 제283호에서 발표된 내용이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
올해의 영화 | 《박하사탕》 | |
올해의 감독 | 이창동 | 《박하사탕》 |
올해의 남자배우 | 송강호 | 《반칙왕》 《공동경비구역 JSA》 |
설경구 | 《박하사탕》 《단적비연수》 | |
올해의 여자배우 | 이미연 | 《주노명 베이커리》 《물고기자리》 |
올해의 시나리오 | 이창동 | 《박하사탕》 |
올해의 촬영 | 정일성 | 《춘향뎐》 |
올해의 프로듀서 | 심재명, 이은 (명필름) | 《공동경비구역 JSA》 《섬》 |
3. 4. 2001년
2001년 12월 25일에 발행된 씨네21 제333호에서 씨네21 영화상 수상자들을 발표했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출처 |
---|---|---|---|
올해의 영화 | 《소름》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6373] | |
올해의 감독 | 허진호 | 《봄날은 간다》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6371] |
올해의 남자배우 | 최민식 | 《파이란》 | |
올해의 여자배우 | 이영애 | 《봄날은 간다》 《선물》 | |
올해의 시나리오 | 송해성, 안상훈, 김해곤 | 《파이란》 | |
올해의 촬영감독 | 김형구 | 《봄날은 간다》 《무사》 | |
올해의 프로듀서 | 오기민 (마술피리) | 《고양이를 부탁해》 |
3. 5. 2002년
씨네21 제383호는 2002년 12월 24일에 발행되었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출처 |
---|---|---|---|
올해의 영화 | 《생활의 발견》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16095] | |
올해의 감독 | 이창동 | 《오아시스》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16093] |
올해의 남자배우 | 설경구 | 《오아시스》 《공공의 적》 《광복절 특사》 《새는 폐곡선을 그린다》 | |
올해의 여자배우 | 문소리 | 《오아시스》 | |
올해의 시나리오 | 이창동 | 《오아시스》 | |
올해의 촬영감독 | 정일성 | 《취화선》 | |
올해의 프로듀서 | 이태원 (태흥영화사) | 《취화선》 |
3. 6. 2003년
2003년 12월 23일에 발행된 씨네21 제433호에서 2003년 올해의 영화상 수상자들을 발표했다. 올해의 영화로는 《지구를 지켜라!》가 선정되었다. 장준환은 《지구를 지켜라!》로 올해의 감독상을 수상했다. 봉준호와 심성보는 《살인의 추억》으로 올해의 시나리오상을, 김형구 촬영감독은 《살인의 추억》으로 올해의 촬영감독상을 받았다. 차승재 (싸이더스)는 《살인의 추억》, 《지구를 지켜라!》, 《싱글즈》로 올해의 프로듀서상을 수상했다.올해의 남자배우상은 《살인의 추억》의 송강호에게 돌아갔다. 올해의 여자배우상은 《바람난 가족》의 문소리가 수상했다. 올해의 신인남자배우상은 《살인의 추억》, 《질투는 나의 힘》, 《국화꽃 향기》의 박해일이, 올해의 신인여자배우상은 《장화, 홍련》, 《…ing》의 임수정이 수상했다.
3. 7. 2004년
씨네21 제484호는 2004년 12월 28일에 발행되었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출처 |
---|---|---|---|
올해의 영화 | 《송환》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27757] | |
올해의 감독 | 김동원 | 《송환》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27760] |
올해의 남자배우 | 백윤식 | 《범죄의 재구성》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27759] |
올해의 여자배우 | 전도연 | 《인어 공주》 | |
올해의 시나리오 | 최동훈 | 《범죄의 재구성》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27958] |
올해의 촬영감독 | 김형구 | 《역도산》 | |
홍경표 | 《태극기 휘날리며》 | ||
올해의 신인남자배우 | 강동원 | 《늑대의 유혹》 | |
재희 | 《빈 집》 | ||
올해의 신인여자배우 | 수애 | 《가족》 |
3. 8. 2005년
씨네21 제534호는 2005년 12월 27일에 발행되었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출처 |
---|---|---|---|
올해의 영화 | 《극장전》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35657] | |
올해의 감독 | 홍상수 | 《극장전》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35658] |
올해의 남자배우 | 황정민 | 《너는 내 운명》 | |
올해의 여자배우 | 전도연 | 《너는 내 운명》 | |
올해의 시나리오 | 이원재 | 《혈의 누》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35659] |
올해의 촬영감독 | 김우형 | 《그때 그사람들》 | |
올해의 제작자 | 장진 (필름있수다) | 《웰컴 투 동막골》 《박수칠 때 떠나라》 | |
올해의 신인남자배우 | 하정우 | 《용서받지 못한 자》 | |
올해의 신인여자배우 | 김지수 | 《여자, 정혜》 |
3. 9. 2006년
씨네21 제584호 (2006년 12월 26일 발행)에서는 다음과 같이 2006년의 수상자들을 선정했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출처 |
---|---|---|---|
올해의 영화 | 《해변의 여인》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43668] | |
올해의 감독 | 봉준호 | 《괴물》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43669] |
올해의 남자배우 | 송강호 | 《괴물》 | |
올해의 여자배우 | 김혜수 | 《타짜》 | |
올해의 시나리오 | 이해영, 이해준 | 《천하장사 마돈나》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43670] |
올해의 촬영감독 | 김형구 | 《해변의 여인》 《괴물》 | |
올해의 제작자 | 최용배 (청어람) | 《괴물》 | |
올해의 신인감독 | 조창호 | 《피터팬의 공식》 | |
올해의 신인남자배우 | 류덕환 | 《천하장사 마돈나》 | |
올해의 신인여자배우 | 고현정 | 《해변의 여인》 |
3. 10. 2007년
씨네21 제634호는 2007년 12월 25일에 발행되었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출처 |
---|---|---|---|
올해의 영화 | 《밀양》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49617] | |
올해의 감독 | 임권택 | 《천년학》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49618] |
올해의 남자배우 | 송강호 | 《밀양》 《우아한 세계》 | |
올해의 여자배우 | 전도연 | 《밀양》 | |
올해의 시나리오 | 이창동 | 《밀양》 | |
올해의 촬영감독 | 조용규 | 《밀양》 | |
김성태 | 《검은 땅의 소녀와》 《경계》 | ||
올해의 제작자 | 김종원 (영화사 키노) | 《천년학》 | |
올해의 신인감독 | 윤성호 | 《은하해방전선》 | |
올해의 신인남자배우 | 다니엘 헤니 | 《마이 파더》 | |
올해의 신인여자배우 | 차수연 | 《별빛 속으로》 |
3. 11. 2008년
씨네21 제684호는 2008년 12월 23일에 발행되었다. 2008년의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
올해의 영화 | 《밤과 낮》 | |
올해의 감독 | 김지운 |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
올해의 남자배우 | 하정우 | 《추격자》 《비스티 보이즈》 《멋진 하루》 |
올해의 여자배우 | 공효진 | 《미쓰 홍당무》 |
올해의 시나리오 | 나홍진 | 《추격자》 |
올해의 시나리오 | 이경미 | 《미쓰 홍당무》 |
올해의 촬영감독 | 이모개 |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
올해의 제작자 | 김수진 (영화사 비단길) | 《추격자》 |
올해의 신인감독 | 나홍진 | 《추격자》 |
올해의 신인남자배우 | 강지환 | 《영화는 영화다》 |
올해의 신인여자배우 | 박보영 | 《과속스캔들》 |
3. 12. 2009년
씨네21 제734호는 2009년 12월 22일에 발행되었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출처 |
---|---|---|---|
올해의 영화 | 《마더》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59215] | |
올해의 감독 | 봉준호 | 《마더》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59216] |
올해의 남자배우 | 송강호 | 《박쥐》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59217] |
올해의 여자배우 | 김혜자 | 《마더》 | |
올해의 시나리오 | 봉준호, 박은교 | 《마더》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59219] |
올해의 촬영감독 | 홍경표 | 《마더》 | |
올해의 제작자 | 고영재 (스튜디오 느림보) | 《워낭소리》 | |
올해의 신인감독 | 이용주 | 《불신지옥》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59218] |
올해의 신인남자배우 | 양익준 | 《똥파리》 | |
올해의 신인여자배우 | 백진희 | 《반두비》 |
3. 13. 2010년
씨네21 제785호는 2010년 12월 28일에 발행되었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출처 |
---|---|---|---|
올해의 영화 | 《시》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64351] | |
올해의 감독 | 홍상수 | 《하하하》 《옥희의 영화》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64352] |
올해의 남자배우 | 원빈 | 《아저씨》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64353] |
올해의 여자배우 | 서영희 | 《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 | |
올해의 시나리오 | 이창동 | 《시》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64355] |
올해의 촬영감독 | 이모개 | 《악마를 보았다》 | |
올해의 제작자 | 이태헌 (오퍼스픽쳐스) | 《아저씨》 | |
올해의 신인감독 | 장철수 | 《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64354] |
올해의 신인남자배우 | 송새벽 | 《방자전》 | |
올해의 신인여자배우 | 이민정 | 《시라노; 연애조작단》 |
3. 14. 2011년
씨네21 제835호는 2011년 12월 27일에 발행되었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출처 |
---|---|---|---|
올해의 영화 | 《북촌방향》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68611] | |
올해의 감독 | 홍상수 | 《북촌방향》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68613] |
올해의 남자배우 | 김윤석 | 《황해》 《완득이》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68614] |
올해의 여자배우 | 탕웨이 | 《만추》 | |
올해의 신인남자배우 | 이제훈 | 《파수꾼》 《고지전》 | |
올해의 신인여자배우 | 유다인 | 《혜화,동》 | |
올해의 시나리오 | 박인제 | 《모비딕》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68615] |
올해의 촬영감독 | 김우형 | 《만추》 《고지전》 | |
올해의 제작자 | 심재명 (명필름) | 《마당을 나온 암탉》 | |
올해의 신인감독 | 윤성현 | 《파수꾼》 |
3. 15. 2012년
씨네21 제885호는 2012년 12월 25일에 발행되었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출처 |
---|---|---|---|
올해의 영화 | 《다른 나라에서》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72227] | |
올해의 감독 | 정지영 | 《남영동1985》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72228] |
올해의 남자배우 | 이병헌 | 《광해, 왕이 된 남자》 | |
올해의 여자배우 | 조민수 | 《피에타》 | |
올해의 시나리오 | 이용주 | 《건축학개론》 | |
올해의 촬영감독 | 김태경 | 《은교》 | |
올해의 제작자 | 최용배 (청어람) | 《26년》 | |
올해의 신인감독 | 이광국 | 《로맨스 조》 | |
올해의 신인남자배우 | 조정석 | 《건축학개론》 《강철대오: 구국의 철가방》 | |
올해의 신인여자배우 | 김고은 | 《은교》 |
3. 16. 2013년
씨네21 제935호는 2013년 12월 24일에 발행되었다. 이 해의 수상 결과는 다음과 같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출처 |
---|---|---|---|
올해의 영화 |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75407] | |
올해의 감독 | 봉준호 | 《설국열차》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75408] |
올해의 남자배우 | 송강호 | 《설국열차》 《관상》 《변호인》 | |
올해의 여자배우 | 정유미 | 《우리 선희》 | |
올해의 시나리오 | 신연식 | 《러시안 소설》 | |
올해의 촬영감독 | 최영환 | 《베를린》 | |
올해의 제작자 | 이춘연 (씨네2000) | 《더 테러 라이브》 | |
올해의 신인감독 | 김병우 | 《더 테러 라이브》 | |
올해의 신인남자배우 | 여진구 |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 | |
올해의 신인여자배우 | 정은채 |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
3. 17. 2014년
씨네21 제985호는 2014년 12월 23일에 발행되었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출처 |
---|---|---|---|
올해의 영화 | 《자유의 언덕》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78814] | |
올해의 감독 | 장률 | 《경주》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78815] |
올해의 남자배우 | 카세 료 | 《자유의 언덕》 | |
올해의 여자배우 | 천우희 | 《한공주》 《카트》 | |
올해의 시나리오 | 김성훈 | 《끝까지 간다》 | |
올해의 촬영감독 | 최찬민 | 《군도: 민란의 시대》 | |
올해의 제작자 | 심재명 (명필름) | 《카트》 | |
올해의 신인감독 | 이수진 | 《한공주》 | |
올해의 신인남자배우 | 박유천 | 《해무》 | |
올해의 신인여자배우 | 천우희 | 《한공주》 《카트》 |
3. 18. 2015년
씨네21 제1035호는 2015년 12월 22일에 발행되었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출처 |
---|---|---|---|
올해의 영화 |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2544] | |
올해의 감독 | 류승완 | 《베테랑》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2546] |
올해의 신인감독 | 홍석재 | 《소셜포비아》 | |
올해의 남자배우 | 유아인 | 《베테랑》 《사도》 | [https://web.archive.org/web/20170202063707/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2547] |
올해의 여자배우 | 전도연 | 《무뢰한》 | |
올해의 신인남자배우 | 변요한 | 《소셜포비아》 《마돈나》 | |
올해의 신인여자배우 | 박소담 |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 《검은 사제들》 | |
올해의 시나리오 | 조철현, 오승현, 이송원 | 《사도》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2548] |
올해의 촬영감독 | 강국현 | 《무뢰한》 | |
올해의 제작자 | 한재덕 (사나이픽쳐스) | 《무뢰한》 |
3. 19. 2016년
씨네21 제1085호는 2016년 12월 20일에 발행되었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
올해의 영화 | 《아가씨》 | |
올해의 감독 | 박찬욱 | 《아가씨》 |
올해의 남자배우 | 이병헌 | 《내부자들》 《밀정》 《매그니피센트 7》 |
올해의 여자배우 | 김민희 | 《아가씨》 |
올해의 시나리오 | 신연식 | 《동주》 |
올해의 촬영감독 | 정정훈 | 《아가씨》 |
올해의 제작자 | 임승용 (용필름) | 《아가씨》 《럭키》 |
올해의 신인감독 | 윤가은 | 《우리들》 |
올해의 신인남자배우 | 구교환 | 《우리 손자 베스트》 |
올해의 신인여자배우 | 김태리 | 《아가씨》 |
3. 20. 2017년
씨네21 제1135호는 2017년 12월 19일에 발행되었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출처 |
---|---|---|---|
올해의 영화 | 《밤의 해변에서 혼자》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8998] | |
올해의 감독 | 홍상수 | 《밤의 해변에서 혼자》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9000] |
김현석 | 《아이 캔 스피크》 | ||
올해의 남자배우 | 설경구 |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9001] |
올해의 여자배우 | 나문희 | 《아이 캔 스피크》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9002] |
올해의 시나리오 | 황동혁 | 《남한산성》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9007] |
올해의 촬영감독 | 김지용 | 《남한산성》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9006] |
올해의 제작자 | 김홍백 (홍필름) | 《범죄도시》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9008] |
올해의 신인감독 | 조현훈 | 《꿈의 제인》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9003] |
올해의 신인남자배우 | 이가섭 | 《폭력의 씨앗》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9005] |
올해의 신인여자배우 | 최희서 | 《박열》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9004] |
3. 21. 2018년
씨네21 제1185호는 2018년 12월 19일에 발행되었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출처 |
---|---|---|---|
올해의 영화 | 《버닝》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1939] | |
올해의 감독 | 이창동 | 《버닝》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1941] |
장준환 | 《1987》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1942] | |
올해의 남자배우 | 김윤석 | 《1987》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1943] |
올해의 여자배우 | 한지민 | 《미쓰백》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1944] |
올해의 시나리오 | 김경찬 | 《1987》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1949] |
올해의 촬영감독 | 홍경표 | 《버닝》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1948] |
올해의 제작자 | 원동연 (리얼라이즈픽쳐스) | 《신과함께: 죄와 벌》 《신과함께: 인과 연》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1950] |
올해의 신인감독 | 전고운 | 《소공녀》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1945] |
올해의 신인남자배우 | 성유빈 | 《살아남은 아이》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1946] |
올해의 신인여자배우 | 전여빈 | 《죄 많은 소녀》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1947] |
3. 22. 2019년
씨네21 제1236호는 2019년 12월 24일에 발행되었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출처 |
---|---|---|---|
올해의 영화 | 기생충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4551] | |
올해의 감독 | 봉준호 | 기생충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4553] |
올해의 남자배우 | 송강호 | 기생충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4554] |
올해의 여자배우 | 이정은 | 기생충 미성년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4555] |
올해의 신인감독 | 김보라 | 벌새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4556] |
올해의 신인남자배우 | 정해인 | 유열의 음악앨범 시동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4557] |
올해의 신인여자배우 | 박지후 | 벌새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4558] |
올해의 외국영화 | 아이리시맨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4562] | |
올해의 시나리오 | 봉준호 한진원 | 기생충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4561] |
올해의 촬영감독 | 홍경표 | 기생충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4560] |
올해의 제작자 | 강혜정 (외유내강) | 사바하 엑시트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4559] |
3. 23. 2020년
씨네21 제1286호는 2020년 12월 22일에 발행되었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
올해의 영화 | 《도망친 여자》 | |
올해의 감독 | 정진영 | 《사라진 시간》 |
올해의 남자배우 | 유아인 | 《#살아있다》 《소리도 없이》 |
올해의 여자배우 | 김민희 | 《도망친 여자》 |
올해의 신인감독 | 윤단비 | 《남매의 여름밤》 |
올해의 신인남자배우 | 김준형 | 《에듀케이션》 |
올해의 신인여자배우 | 강말금 | 《찬실이는 복도 많지》 |
올해의 시나리오 | 이지민 우민호 | 《남산의 부장들》 |
올해의 촬영감독 | 홍경표 |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
올해의 제작자 | 장원석 |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침입자》 《사라진 시간》 |
올해의 외국영화 |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
4. 수상 부문
4. 1. 시상식 부문
4. 2. 송년호 부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