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구상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구상어는 몸이 방추형이고 머리가 넓으며 평평한 형태의 상어이다. 등쪽은 푸른색을 바탕으로 갈색이 섞여 있고 배쪽은 흰색 바탕에 노란색을 띤다. 다른 상어와 달리 분수공이 없고, 제1등지느러미가 크며, 반달 모양의 꼬리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 멸치, 청어, 꽁치 등 어류와 갑각류, 두족류를 먹는 육식성 물고기이며, 서부 및 남부 태평양, 인도양, 대한민국 남해 등에서 서식한다. 수심 80~120m의 연안이나 산호초에서 주로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8년 기재된 물고기 - 흑점얼룩상어
흑점얼룩상어는 인도양 및 태평양 서부의 열대, 온대 해역에 서식하며 야행성으로 갑각류나 경골어류를 잡아먹고 성장하면서 회갈색을 띠는 수염상어목의 어류이다. - 1838년 기재된 물고기 - 머리대구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 머레이강에 서식하는 머리대구는 잡식성 대형 담수어로 생태계 균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흉상어과 - 황소상어
황소상어는 전 세계 열대, 아열대 해역, 기수역, 담수에서 서식하며, 4m까지 자라는 크고 뚱뚱한 체형에 짧고 둥근 주둥이를 가진 상어로, 뛰어난 삼투압 조절 능력으로 담수 생존이 가능하고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며, 어획과 서식지 파괴로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었다. - 흉상어과 - 레몬상어
레몬상어는 아열대 및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노란색을 띤 회색의 체색과 짧고 넓은 주둥이를 가진 사회적인 야행성 육식 동물로,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난태생으로 번식하지만, 어업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호가 필요한 종이다.
아구상어 | |
---|---|
분류 | |
학명 | Rhizoprionodon oligolinx |
명명자 | V. G. Springer, 1964 |
보존 상태 | |
IUCN | NT |
생물학적 분류 | |
속 | Rhizoprionodon |
종 | oligolinx |
분포 | |
![]() |
2. 특징과 먹이
아구상어는 황소상어와는 달리 사람에 대한 공격 빈도는 낮지만, 사람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육식성 물고기이다. 먹이로는 멸치, 청어, 꽁치, 도미, 정어리 등의 어류들과 갑각류, 오징어와 같은 두족류를 주로 잡아먹는다.
2. 1. 신체적 특징
아구상어는 몸이 방추형으로 길고 머리는 넓으며 평평하다. 몸의 빛깔은 옆줄을 기점으로 등쪽은 푸른색을 바탕으로 연한 갈색이 섞여 있으며, 배쪽은 흰색 바탕에 노란색을 띤다. 아구상어는 다른 상어와는 달리 숨을 쉴 때 물을 들이마시는 기관인 분수공이 없다. 눈에는 순막이 있어서 눈을 보호하며, 입술의 주름은 퇴화되어 흔적만 남아 있고 윗입술주름과 아랫입술주름의 길이는 거의 같다. 등지느러미는 2개이며 제1등지느러미가 매우 크고 제2등지느러미는 작으면서 꼬리지느러미 바로 앞쪽에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반달 모양이지만 위쪽 상엽에 움푹하게 패인 홈의 결각이 있다. 각 이빨은 바깥 언저리에 깊고 둥근 홈이 있으며 위턱에 1개, 아래턱에 2개의 중앙이빨이 있다.2. 2. 색깔
아구상어는 몸 빛깔이 옆줄을 기준으로 등쪽은 푸른색 바탕에 연한 갈색이 섞여 있으며, 배쪽은 흰색 바탕에 노란색을 띠는 특징이 있다.2. 3. 이빨
아구상어의 각 이빨은 바깥 언저리에 깊고 둥근 홈이 있으며 위턱에 1개, 아래턱에 2개의 중앙이빨이 있다.[1]2. 4. 먹이
아구상어는 멸치, 청어, 꽁치, 도미, 정어리 등의 어류와 갑각류, 오징어 같은 두족류를 주로 잡아먹는 육식성 물고기이다.2. 5. 인간과의 관계
아구상어는 사람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상어이지만 황소상어와는 달리 사람에 대한 공격 빈도는 낮다.[1]3. 서식지
아구상어는 태평양, 인도양의 서부와 남부에 주로 서식하며, 대한민국 남해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피낭섬, 홍해, 동아프리카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주로 수심 80~120m의 대륙붕 연안이나 산호초에 서식하는 표해수대 어류이다.
3. 1. 주요 서식지
대한민국의 남해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피낭섬, 홍해, 동아프리카를 포함한 서부와 남부 태평양, 인도양에 광범위하게 서식한다. 수심 80~120m의 대륙붕으로 구성된 연안이나 산호초에 주로 서식하는 표해수대 어류이다.3. 2. 서식 환경
아구상어는 주로 서부와 남부 태평양, 인도양에 서식하며, 대한민국 남해, 일본, 대만,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피낭섬, 홍해, 동아프리카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수심 80~120m의 대륙붕으로 구성된 연안이나 산호초에 주로 서식하는 표해수대 어류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