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티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리스티포스는 기원전 435년경 리비아 키레네에서 태어난 소크라테스의 제자이다. 그는 쾌락을 삶의 최고의 선으로 여기는 윤리적 쾌락주의를 주창했으며, "나는 소유한다, 나는 소유되지 않는다"라는 말로 자신의 철학을 표현했다. 아리스티포스는 소크라테스의 가르침에서 벗어나 쾌락을 추구하는 삶을 살았고, 시라쿠사의 디오니시우스 1세의 궁정에서 고문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그의 철학은 딸 아레테와 손자 아리스티포스(소)에게 전해져 키레네 학파로 발전했다. 아리스티포스는 쾌락주의적 삶으로 인해 소크라테스, 플라톤 등과 갈등을 겪었으며, 쾌락을 절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의 저작은 현재 전해지지 않으며, 그에게 귀속된 몇몇 저작은 위조된 것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쉬라쿠사이의 철학자 - 아르키메데스
아르키메데스는 기원전 3세기 시라쿠사 출신으로, 부력과 지레의 원리 발견, 나선 양수기 등의 발명, 원주율 계산 등 수학과 물리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물리학자, 엔지니어, 발명가이다. - 소크라테스의 학생 - 플라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테네에 아카데메이아를 설립하여 철학, 수학 등을 가르치고 이데아론, 영혼론 등을 주요 사상으로 삼아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다. - 소크라테스의 학생 - 알키비아데스
알키비아데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활약한 고대 아테네의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뛰어난 능력과 파란만장한 생애로 인해 논쟁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 아테나이의 철학자 - 플라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테네에 아카데메이아를 설립하여 철학, 수학 등을 가르치고 이데아론, 영혼론 등을 주요 사상으로 삼아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다. - 아테나이의 철학자 -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는 고대 아테네의 철학자로 서양 철학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 중 한 명이며, 문답법을 통해 진리를 추구하고 '너 자신을 알라'라는 경구를 중시하다 아테네 청년들을 타락시켰다는 죄목으로 사형을 받고 철학적 순교로 여겨지는 죽음을 맞이했다.
아리스티포스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리스티포스 |
출생 | 기원전 435년경, 키레네 |
사망 | 기원전 356년경, 아테네 |
학파 | 키레네 학파 |
주요 관심사 | 쾌락주의, 인식론 |
영향 | 소크라테스 |
영향 받은 인물 | 키레네의 아레테 소(小) 아리스티포스 안니케리스 키레네의 헤게시아스 테오도로스 에피쿠로스 |
2. 생애
아리스티포스는 기원전 435년경 키레네(현재의 리비아)에서 태어났다.[25] 고대 올림픽에 참가하기 위해 그리스에 갔다가 농학자 이스토마코스를 알게 되었고, 소크라테스를 만나고 싶다는 강한 열망을 품고 아테네로 향했다.[25] 기원전 399년 소크라테스가 죽을 때까지 함께 지냈다.[25]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26]는 아리스티포스를 기원전 366년경까지 추적하고 있는데, 이는 그가 친하게 지냈던 고급 창녀 코린토스의 라에스가 기원전 421년에 태어났다는 것과도 일치한다.
소크라테스의 제자였지만,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고, 성적 만족을 추구했으며, 강의로 사례금을 받는 등 스승의 가르침과 모범에서 크게 벗어났다.[27] 고향 정치에 휘말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다른 나라에 살았다고 소크라테스에게 말하기도 했다.[28] 디오니시우스 1세 또는 디오니시우스 2세의 왕궁에서 섬긴 적도 있으며, 기원전 396년에는 스파르타를 로도스 섬에서 추방한 총독 Artaphernes|아르타페르네스영어의 포로가 되기도 했다.[29] 이후 키레네로 돌아와 노년을 보낸 것으로 보인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아리스티포스는 기원전 435년경 고대 리비아의 키레네에서 아리타데스의 아들로 태어났다.[8][9] 올림픽 경기에 참석하기 위해 그리스에 왔다가 이스코마코스를 만나 소크라테스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그를 만나고 싶어했다.[8][9] 아테네로 가서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었다.[8][9]
2. 2. 소크라테스와의 관계
아리스티포스는 소크라테스의 제자였지만, 스승의 가르침과 실천에서 원칙과 실천 모두에서 벗어났다.[9]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견해와 가치를 배운 후, 쾌락에 더 큰 관심을 갖게 되었고, 결국 윤리적 쾌락주의를 대중화하고 여기에만 집중하게 되었다.[1] 그는 사치스러운 생활을 했고, 성적 만족을 추구했으며, 고급 창녀 코린토스의 라에스와도 친하게 지냈다. 그는 강의로 돈을 받았는데, 소크라테스의 제자들 중 그렇게 한 것은 그가 처음이었다.[27] 그는 때때로 소크라테스에게 돈을 보냈지만, 소크라테스는 그것을 모욕으로 여겨 종종 돌려주었다.[10][11][12] 아리스티포스는 또한 고향의 정치에 관여하는 어려움을 피하기 위해 외국에서 거주했다고 소크라테스에게 말했다.[13][14][9]2. 3. 시라쿠사 궁정 생활
소크라테스와의 철학적 차이로 인해 아리스티포스는 다른 길을 모색하여 디오니시우스 1세 또는 디오니시우스 2세의 궁정으로 향했다.[1] 그는 궁정에서 고문이 되었고, 쾌락 추구를 계속했다.[1] 그곳에서 사치스럽게 살았으며, 감각적인 만족과 악명 높은 라에스와의 교제를 추구했다.[1]2. 4. 말년
아리스티포스는 기원전 396년에 스파르타를 로도스에서 몰아낸 사트라프 아르타페르네스에게 포로로 잡히기도 했다.[15][16] 그의 철학적 견해, 가르침, 생활 방식에 대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신의 교리를 딸 아레테에게 전수하여 윤리적 쾌락주의를 계속 전파했다. 아레테는 다시 아들 아리스타이포스(소)에게 가르침을 전수했고, 이는 아리스티포스가 설립에 기여한 키레네 학파 철학 체계로 축소되었다고 한다.[9] 노년에 아리스티포스는 키레네로 돌아가 79세의 나이로 죽을 때까지 쾌락을 추구하며 호화로운 은퇴 생활을 했다고 한다.[1][12]3. 철학
아리스티포스는 쾌락주의를 자신의 철학으로 삼았다. 그는 소크라테스의 제자였지만, 스승이 파티, 술, 선물을 즐기는 모습에 주목했다.[1] 아리스티포스는 쾌락과 그 추구를 삶의 가장 큰 선으로 보았고, 쾌락에 얽매이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1] "나는 소유하되, 소유되지 않는다"라는 그의 말은 이러한 철학을 잘 나타낸다.[5] 그는 제자들에게 남을 해치지 않고, 도덕적 자제를 통해 쾌락 추구를 절제해야 한다고 가르쳤다.[1] 이후 키레네 학파를 세워 자신의 철학을 전파했고, 딸 아레테와 손자 아리스티포스 더 영거에 의해 그의 철학은 더욱 체계화되었다.[1]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에 따르면, 아리스티포스는 "환경에 자신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환경에 적응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어떤 상황에도 잘 어울렸다"고 한다.[19] 또한 육체적 쾌락을 추구한다는 비난에는 "쾌락을 멀리하는 것이 아니라, 쾌락에 지배되지 않고 다스리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답했다.[20][11]
3. 1. 쾌락주의
아리스티포스의 철학은 쾌락주의에 집중되었다. 소크라테스의 제자였던 아리스티포스는 스승이 파티, 술, 선물을 즐기는 것을 알고 있었다.[1] 이러한 행동에 흥미를 느낀 아리스티포스는 결국 윤리적 쾌락주의 철학을 형성했다. 그는 쾌락과 쾌락 추구를 삶의 최고의 선으로 보았으며, 그러한 쾌락 행위와 대상에 사로잡히거나 얽매이지 않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 "나는 소유한다, 나는 소유되지 않는다"라는 구절은 그의 철학을 잘 보여준다.[5] 아리스티포스는 추종자들에게 다른 사람을 해치지 말라고 훈계했고, 쾌락 추구는 도덕적 자제를 통해 절제되어야 한다고 경고했다.[1]아리스티포스가 쾌락 추구의 가치를 강조했지만, 그의 쾌락주의 철학은 종종 소크라테스와 그의 동료 제자들에게 반발을 받았다. 소크라테스는 파티, 술, 선물을 즐기기도 했지만, 덕을 쾌락보다 더 가치 있게 여겼다.[1] 아리스티포스는 소크라테스보다 쾌락을 더 중요하게 여겼고 덕에서 덜 본질적인 가치를 찾았기 때문에, 플라톤과 크세노폰과 같은 다른 철학자들은 아리스티포스가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가르침을 거스르고 벗어났다는 비난을 지지하고 제기했다.[1]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그를 궤변가라고 칭했다.[9]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는 아리스티포스의 계율을 준수하는 것은 "환경에 자신을 적응시키려 노력하는 것이지, 자신을 환경에 적응시키는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하며, "인생의 모든 모습, 모든 지위와 상황이 그에게 자연스럽게 어울렸다"라고 말한다.[19] 또 다른 보고에 따르면 아리스티포스는 육체적 쾌락을 사랑하는 것에 대해 책망받았을 때 "쾌락을 삼가는 것이 최선이 아니라, 결코 패배하지 않고 쾌락을 다스리는 것이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20][11]
3. 2. 키레네 학파
아리스티포스는 자신의 철학적 원리가 그의 딸 아레테와 그의 손자 아리스티포스 (소)에 의해 가르쳐지고, 더욱 구조화되어 포괄적인 체계로 전환될 키레네 학파를 시작했다.[1]3. 3. 소크라테스 및 다른 철학자들과의 갈등
아리스티포스가 쾌락 추구의 가치를 강조했지만, 그의 쾌락주의 철학은 소크라테스와 그의 동료 제자들에게 종종 반발을 샀다. 소크라테스는 파티, 술, 선물을 즐기기도 했지만, 덕을 쾌락보다 더 가치 있게 여겼다.[1] 아리스티포스는 소크라테스보다 쾌락을 더 중요하게 여겼고 덕에서 덜 본질적인 가치를 찾았기 때문에, 플라톤과 크세노폰 같은 다른 철학자들은 아리스티포스가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가르침을 거스르고 벗어났다고 비난했다.[1]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그를 궤변가라고 칭했다.[9] 철학적 가치와 믿음의 차이로 인해, 아리스티포스와 그의 쾌락주의 철학은 소크라테스와 당시의 다른 저명한 철학자들로부터 그를 분리시켰다. 철학자들이 아리스티포스의 가치에 대해 혐오를 보인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예는 플라톤의 ''파이돈''에서 플라톤이 아리스티포스가 소크라테스의 죽음을 목격하는 대신 쾌락 휴양지인 아이기나에 있었다고 묘사한 것이다.4. 저작
아리스티포스의 저작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는 소티온과 파나이티우스의 말을 인용하여 아리스티포스에게 저작이 있다고 하며 긴 목록을 제시하지만, 로도스의 소시크라테스에 따르면 아리스티포스는 아무것도 쓰지 않았다고 말한다.[1] 그에게 귀속된 몇몇 편지들은 위조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대 시대에 아리스티포스에게 귀속된 저작 중 하나는 ''고대 사치에 관하여''(또는 ''고대인들의 사치에 관하여''; Περὶ παλαιᾶς τρυφῆςel)라는 책이었다. 이 책은 키레네의 아리스티포스가 쓴 것이 아닐 가능성이 오랫동안 제기되었는데,[21] 이는 무엇보다도 저자가 아리스티포스보다 한 세대 후에 살았던 테오프라스토스를 언급하기 때문이다.[24] 그 이름은 쾌락주의 철학자와의 연관성을 암시하기 위해 작가가 채택했을 수 있다.[22] 이 작품은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가 보존한 인용문으로 판단할 때,[23] 철학자들과 그들이 매춘부 또는 소년에 대한 취향을 가졌다는 일화로 가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4]
5. 일화
비트루비우스는 ''건축술에 관하여''에서 아리스티포스에 관한 다음 일화를 소개한다. 소크라테스 학파의 철학자 아리스티포스는 배가 난파되어 로도스인 해안으로 밀려났을 때, 해안에 그려진 기하학적 도형을 보고 동료들에게 "기운을 내자, 사람의 흔적이 보인다"라고 외쳤다. 그는 로도스 시로 가서 바로 체육관으로 갔다. 거기서 그는 철학적 주제에 대해 논의했고, 그에게 선물들이 주어져 자신을 단장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함께 온 사람들에게 옷과 다른 모든 필수품을 제공할 수 있었다. 그의 동료들이 고국으로 돌아가기를 원했고 그에게 집에 가져갈 메시지를 묻자, 그는 그들에게 아이들은 배가 난파할 때도 함께 헤엄쳐 나갈 수 있는 종류의 재산과 자원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17]
참조
[1]
웹사이트
Aristippus of Cyrene
https://www.worldhis[...]
2023-06-04
[2]
웹사이트
Aristippus of Cyrene
https://www.worldhis[...]
2021-07-22
[3]
문서
[4]
간행물
Hedonism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9
[5]
웹사이트
Aristippus {{!}} Greek philosopher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6-04
[6]
서적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www.worldcat[...]
Thomson Gale/Macmillan Reference USA
2006
[7]
서적
The People of Plato
https://books.google[...]
[8]
문서
[9]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Abaeus, Ariste'nus Ale'xius, Aristippus
http://www.perseus.t[...]
2023-06-04
[10]
문서
[11]
서적
Lives of the Eminent Philosophers
https://en.wikisourc[...]
[12]
웹사이트
Aristippus and the Pursuit of Pleasure {{!}} Classical Wisdom Weekly
https://classicalwis[...]
2023-06-04
[13]
문서
[14]
웹사이트
The Memorabilia, by Xenophon
https://www.gutenber[...]
2023-06-04
[15]
문서
[16]
웹사이트
Diodorus Siculus, Library, Book XIV, Chapter 79
http://www.perseus.t[...]
2023-06-04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