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와카텍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와카텍어는 과테말라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이다. '우리 말'을 뜻하는 qaʼyol로 불리며, 아과카탄 지역의 지명에서 유래된 '아와카텍'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음운 체계는 맘어와 유사하며, 특유의 음소와 모음 체계를 갖는다. 문법적으로는 능격 언어이며, VSO 어순을 따른다. 찰치텍은 아와카텍어의 방언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과테말라 정부는 별개의 언어로 인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테말라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과테말라의 언어 - 가리푸나어
가리푸나어는 가리나구 민족의 언어로, 아라와크어, 카리브어, 프랑스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남녀 어휘 사용에 차이가 있고 중앙아메리카와 미국 이민 사회에서 사용된다. - 멕시코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멕시코의 언어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 마야어족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 마야어족 - 모판어
모판어는 과테말라 페텐 주 일부와 벨리즈 남부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유카테코어군과 유사한 음운 체계를 가지며 성을 나타내는 분류사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고, 라틴 문자로 표기되며 과테말라 마야어 학술원에 의해 표준화되었다.
아와카텍어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와카텍어 |
자기 이름 | Qa'yol |
언어 정보 | |
사용 국가 | 과테말라, 멕시코 |
사용 지역 | 우에우에테낭고주, 치아파스주, 베라크루스주 |
사용자 | 아와카텍족 |
추정 화자 수 (과테말라) | 10,100명 (2019년 인구 조사) |
추정 화자 수 (멕시코) | 20명 (2020년 인구 조사)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마야어족 |
어파 | 키체-맘어군 |
어군 | 맘어군 |
어branch | 이실어군 |
언어 코드 | |
ISO 639-3 | agu |
Glottolog | agua1252 |
기타 정보 | |
소수 언어 인정 국가 | 과테말라, 멕시코 |
언어 관리 기관 | 과테말라 마야어 학술원 |
2. 이름의 유래
아와카텍족은 자신들의 언어인 아와카텍어를 ‘우리 말’이라는 뜻인 qaʼyol이라고 부른다.[27][28][29] 아와카텍족은 스스로를 qatanum이라 부르는데, 이는 ‘우리 사람들’이란 뜻이며 ‘아와카텍’이라는 단어와는 무관하다. 아와카텍이라는 이름은 아과카탄(Aguacatán)이라는 지명의 형용사형인데, 이 스페인어 지명은 ‘아보카도가 많은 곳’이라는 뜻이다.[27][28][29]
아와카텍어의 음운 체계는 맘어와 매우 유사하다. 설단음이 있으며, 구개음화된 연구개음 ky, kyʼ가 독립된 음소로 존재한다.[20] 치경음 방출음은 변이음으로 유성음이 될 수 있다.[15]
3. 음운론
3. 1. 모음
아와카텍어에는 '''ay''', '''ey''', '''oy''', '''uy'''와 같이 네 개의 이중모음이 있다.
3. 2. 자음
아와카텍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rowspan="2" colspan="3" | | 양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기본 | 구개음화 | ||||||||||||||||||
파열음 | 기본 | p {{lang|mul|pʰ|} | }
rowspan="2" colspan="3" | | 양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연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일반 | 구개음화 | ||||||||
파열음 | 일반 | p {{lang|mul|p|}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