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은 1992년 모하마드 나지불라 대통령 사임 이후 무자헤딘 간의 내전으로 혼란스러운 아프가니스탄에서 수립된 정부이다. 1992년 부르하누딘 라바니가 임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굴부딘 헤크마티아르의 반군 세력과의 갈등과 파키스탄의 지원을 받은 탈레반의 발흥으로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되었다. 1996년 탈레반이 카불을 점령하고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을 선포하면서, 라바니 정부는 북부 동맹으로 축출되었고, 탈레반은 엄격한 이슬람 율법을 강요했다. 북부 동맹은 국제 사회의 지지를 받으며 탈레반에 대항했으나, 2001년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 붕괴되었고, 2002년 아프가니스탄 과도 이슬람국으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1996년)
    1996년 탈레반이 카불을 점령하여 수립된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은 물라 오마르를 최고 지도자로 두고 엄격한 샤리아 법을 통치 이념으로 삼았으며 강압적인 정책을 시행했으나 2001년 미국의 침공으로 붕괴되었다가 2021년 재집권하여 현재 아프가니스탄을 실질적으로 통치하고 있다.
  • 아프가니스탄 분쟁 (1978년~현재) -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은 1978년 사우르 혁명으로 수립된 공산주의 국가로, 소련의 지원 아래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나 이슬람 세력의 반발과 내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으로 1992년 붕괴되었다.
  • 아프가니스탄 분쟁 (1978년~현재) - 북부동맹 (아프가니스탄)
    북부 동맹은 1996년 탈레반에 대항하여 결성된 아프가니스탄의 반 탈레반 연합 세력이며,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아흐마드 샤 마수드가 주요 지도자였고, 2001년 미군의 지원을 받아 탈레반 정권 붕괴에 기여했다.
  • 아프가니스탄의 근대사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은 2004년 헌법 공포 이후 2021년 탈레반 재집권으로 붕괴되기 전까지 존재했던 대통령 중심의 공화국으로, 2001년 미국의 군사 개입 이후 민주적인 선거를 통해 정부가 수립되었으나 부패, 여성 인권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었다.
  • 아프가니스탄의 근대사 - 아프가니스탄 토후국
    아프가니스탄 토후국은 1826년 도스트 무함마드 칸이 건립하여 1926년 아마눌라 칸이 아프가니스탄 왕국을 선포할 때까지 존속한 국가로, 영국의 침략과 내분 속에서도 중앙집권화와 근대화를 추구하며 1919년 영국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쟁취했다.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통칭아프가니스탄
정식 명칭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아프가니스탄 위치
아프가니스탄
국가 모토لا إله إلا الله محمد رسول الله (라 일라하 일랄라 무함마둔 라술 울라)
알라 외에는 신이 없고, 무함마드는 알라의 사도이다
국가قلعه اسلام قلب اسیا (칼라-이 이슬람 칼브-이 아시아) "이슬람의 요새, 아시아의 심장"
공용어다리어, 파슈토어
종교이슬람
통화아프간 아프가니 (AFN)
ISO 3166-1없음
국가 전화 코드+93
정치
정치 체제단일 이슬람
임시 정부 (1992–1996; 2001–2002)
망명 정부 통제 (1996–2001)
대통령시브가툴라 모자데디 (1992, 임시)
부르하누딘 라바니 (1992–2001)
하미드 카르자이 (2001–2002, 임시)
총리압둘 사부르 파리드 코히스타니 (1992)
굴부딘 헤크마티아르 (1993–1994, 1996–1997)
아르살라 라흐마니 다울라트 (1994–1995, 임시)
아흐마드 샤 아흐마드자이 (1995–1996, 임시)
압둘 라힘 가푸르자이 (1997)
부통령압둘 라술 사야프 (1992)
마울라위 미르 함자 (1992–1993)
모하마드 샤 파즐리 (1993–1994)
모하마드 나비 모하마디 (1993–1996)
역사
성립페샤와르 협정 (1992년 4월 24일)
국가 선포1992년 4월 28일
카불 함락탈레반 카불 점령 (1996년 9월 27일)
북부 동맹1996–2001
미국 침공미국 침공 (2001년 10월 7일)
카불 재탈환카불 재탈환 (2001년 11월 13일)
멸망2002년 로야 지르가 (2002년 6월 11일)
선행 국가아프가니스탄 공화국
후행 국가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1996–2001)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과도 정부 (2002)

2. 배경

1992년 무함마드 나지불라 대통령은 소련의 지원 중단으로 사임하고, 중립적인 임시 정부가 구성되었다. 여러 무자헤딘 정당들이 연립 정부 구성을 위한 협상을 시작했으나, 파키스탄 군 정보국의 지원을 받는 굴부딘 헤크마티아르의 이슬람당은 카불을 무력으로 점령하려 했다.

2. 1. 무자헤딘 파벌 간 갈등 심화

1992년 3월, 모하마드 나지불라 대통령은 정부를 지원하던 러시아의 지원이 끊기자 사임하고 중립적인 임시 정부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여러 무자헤딘 정당들이 연립 정부 구성을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 그러나 파키스탄의 군 정보국(ISI)의 지원과 지시를 받는 것으로 추정되는 굴부딘 헤크마티아르가 이끄는 헤즈베 이슬라미는 협상에 참여하지 않고 카불을 단독으로 정복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헤크마티아르는 병력을 카불로 이동시켰고, 4월 17일 직후 도시에 진입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이는 다른 무자헤딘 단체들이 헤크마티아르가 국가 정부를 장악하는 것을 막기 위해 4월 24일 카불에 진입할 수밖에 없게 만들었다.[2][3]

이는 다섯 또는 여섯 개의 경쟁 군대 간의 내전을 촉발시켰으며, 이들 군대는 거의 모두 외국 국가의 지원을 받았다. 여러 무자헤딘 단체들은 1992년 4월 26일 '임시 정부'를 선포했지만, 이는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실질적인 권위를 얻지 못했다.

3. 역사

1978년 사우르 혁명으로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이 수립된 이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을 거치면서 이슬람 세력이 성장했다. 1992년 무함마드 나지불라 정권이 붕괴되고 페샤와르 협정에 따라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이 수립되었다.[10] 그러나 굴부딘 헤크마티야르가 이끄는 이슬람당은 협정을 거부하고 이슬람 국가 건국을 선언, 샤리아를 채택하고 술집을 폐쇄하며 여성에게 히잡 착용을 의무화했다.[10] 부르하누딘 라바니가 임시 대통령으로 취임했으나, 헤크마티야르와의 권력 다툼으로 내전이 발발했다.[10]

1994년, 탈레반이 등장하여 아프가니스탄 남부를 장악하고 세력을 확장했다.[4] 1996년 탈레반은 수도 카불을 점령하고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을 선포, 무함마드 나지불라를 처형하고 더욱 엄격한 샤리아와 푸르다를 강요했다.[4] 특히 여성들은 부르카 착용과 가택 연금, 취업 금지 등의 억압을 받았고, 소녀들의 교육이 중단되어 문맹률이 증가했다. 영화관, 축구 경기장, 텔레비전 방송국도 폐쇄되었다.[4]

아흐마드 샤 마수드, 압둘 라시드 도스툼 등은 북부 동맹을 결성하여 탈레반에 저항했다.[4] 북부 동맹은 국제 연합에서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을 대표했다. 1997년 북부 동맹의 전략적 승리로 탈레반의 공세가 주춤했으나, 협상은 결렬되었다. 1998년 탈레반은 마자르-이-샤리프를 점령하고 시아파 주민 학살과 이란 외교관 살해를 자행하여 국제적인 분노를 샀다.[4]

2001년 미국 동시 다발 테러 이후, 미국북대서양 조약 기구가 참전하여 탈레반 정권을 전복시켰다.[10]

3. 1. 라바니와 헤크마티아르

무함마드 나지불라는 1992년 4월 15일에 사임했다.[10] 같은 해 4월 25일, 아프가니스탄의 반소련 저항 세력 7개 조직 중 6개 조직은 페샤와르 협정을 체결, 카불을 장악하기 위한 임시 정부를 설립했다.[10] 파슈툰족 굴부딘 헤크마티야르가 이끄는 이슬람당은 나지불라의 잔당으로부터 지지를 받아 협정 서명을 거부하고, 이슬람 국가 건국을 선언, 샤리아 채택, 술집 폐쇄, 여성의 히잡 착용 의무 등을 정했다.[10] 1992년 6월, 타지크족 중심의 자마아테 이슬라미 당수 부르하누딘 라바니가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의 임시 대통령으로 취임했고, 12월 30일에는 7명으로 구성된 정부 위원회 의장 (실질적으로는 대통령)으로 2년 임기로 선출되었다.[10] 그러나 헤크마티야르는 통치권을 요구하며 라바니의 군대와 충돌했다. 수개월간의 전투 후, 1993년 3월 두 사람은 협정을 체결, 라바니의 임기를 1.5년으로 단축하고 헤크마티야르를 6월에 총리로 임명했다.[10] 그러나 반란 세력 간의 전투는 계속되었고, 카불은 거의 파괴되었다.

3. 2. 탈레반의 발흥

1994년 말, 파슈툰족 중심의 이슬람 근본주의 민병대 탈레반은 파키스탄의 지원을 받아 아프가니스탄 남부 대부분을 점령했다.[4] 1995년과 1996년에 걸쳐 꾸준히 세력을 확장한 탈레반은 1996년 9월 수도 카불을 점령하고 라바니 정부 등 다른 파벌들을 북쪽으로 몰아냈으며, 그해 말 아프가니스탄의 3분의 2를 장악했다. 1996년 9월 27일, 무함마드 나지불라 전 대통령은 체포되어 공개 처형되었다.[4]

탈레반은 국호를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으로 변경하고, 통치 지역 주민들에게 더욱 엄격한 샤리아와 푸르다를 강요했다. 이는 특히 여성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여성들은 부르카를 착용하고 집에 머물러야 했으며,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집 밖에서 일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거의 모든 소녀들이 교육을 받지 못하게 되면서 문맹률이 증가했다. 영화관, 축구 경기장, 텔레비전 방송국도 폐쇄되었다.[4]

3. 3. 북부 동맹 vs 탈레반

아흐마드 샤 마수드, 압둘 라시드 도스툼, 카림 할릴리 등은 축출된 라바니 정부와 함께 북부 동맹을 결성했다.[4] 이들의 공식 명칭은 '아프가니스탄 구원을 위한 이슬람 연합'이었으며, 목표는 탈레반으로부터 국가를 되찾는 것이었다. 북부 동맹은 국제 연합에서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을 대표했다.

1997년 5월 말, 북부 동맹의 전략적 승리로 탈레반의 공세는 중단되었다. 국제적 압력으로 양측은 협상을 시작했지만, 서로 과도한 요구를 제시하여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교착 상태에 빠졌다.[4] 1997년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은 영아 사망률 25%, 지뢰로 인한 민간인 사상자 발생, 경제 봉쇄로 인한 기근, 국제 구호 단체의 활동 제약 등 심각한 인도주의적 위기에 처해 있었다. 1998년 2월에는 아프가니스탄 북동부에서 지진이 발생하여 4,500명이 사망했다.[4]

1998년 상반기, 평화 협정이 체결될 것으로 보였으나 북부 동맹은 붕괴되었다. 탈레반은 이 틈을 타 공세를 시작하여 마이마나, 셰베르간, 마자르-이-샤리프(1998년 8월 8일)를 점령했다. 탈레반은 마자르-이-샤리프에서 시아파 주민들을 대상으로 학살을 자행하고, 8명의 이란 외교관과 언론인을 살해하여 국제적인 분노를 일으켰다. 이로 인해 탈레반 정권은 이란과 전쟁 직전의 상황까지 몰렸다.[4]

3. 4. 미국의 개입과 이슬람국 붕괴

2001년 미국 동시 다발 테러로 인해 미국북대서양 조약 기구가 참전하여 탈레반 정부를 전복시켰다.[10]

4. 지도

참조

[1] 웹사이트 CIA -- The World Factbook -- Afghanistan https://web.archive.[...] 2012-06-06
[2] 보고서 Blood-Stained Hands: Past Atrocities in Kabul and Afghanistan's Legacy of Impunity (chapter II, Historical background)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05-07-06
[3] 뉴스 Afghanistan: power struggle https://web.archive.[...] PBS 2007-07-27
[4] 백과사전 Afghanistan. §5.6 Burgeroorlog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5] 웹사이트 CIA -- The World Factbook -- Afghanistan http://www.umsl.edu/[...] 2012-06-06
[6] 보고서 Blood-Stained Hands: Past Atrocities in Kabul and Afghanistan’s Legacy of Impunity (chapter II, Historical background)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05-07-06
[7] 보고서 Blood-Stained Hands: Past Atrocities in Kabul and Afghanistan’s Legacy of Impunity (chapter I Introduction; see under § Specific Findings)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05-07-06
[8] 뉴스 Afghanistan: power struggle https://www.pbs.org/[...] PBS 1992-04-28
[9] 뉴스 Afghani president Ashraf Ghani flees country as capital falls to insurgents – as it happened https://www.theguard[...] 2021-08-15
[10] 백과사전 Afghanistan. §5.6 Burgeroorlog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11] 문서 Dowlat-e Eslami-ye Afghanest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